관동별곡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문서는 이체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해당 문서는 원문 서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송강가사》에 실린 정철의 〈관동별곡〉

江湖(강호)()이깁퍼 竹林(듁님)의 누엇더니
關東(관동) 八百里(팔ᄇᆡᆨ니)方面(방면)을 맛디시니
어와 聖恩(셩은)이야 가디록 罔極(망극)ᄒᆞ다
延秋門(연츄문) 드리ᄃᆞ라 慶㑹南門(경회남문) ᄇᆞ라보며

(하직)고 믈너나니 (옥졀)이 알ᄑᆡ셧다
丘驛(평구역) ᄆᆞᆯ을ᄀᆞ라 黒水(흑슈)로 도라드니
蟾江(셤강)은 어듸메오 雉岳(티악)이 여긔로다

昭陽江(쇼양강) ᄂᆞ린믈이 어드러로 든단말고
孤臣(고신) 去國(거국)白髮(ᄇᆡᆨ발)도 하도할샤
東州(동ᄌᆔ)밤 계오새와 北寬亭(븍관뎡)의 올나 ᄒᆞ니
三角山(삼각산) 第一峯(뎨일봉)이 ᄒᆞ마연 뵈리로다
弓王(궁왕) 大闕(대궐)터희 烏鵲(오쟉)이 지지괴니
千古(쳔고) 興亡(흥망)을 아ᄂᆞᆫ다 몰ᄋᆞᄂᆞᆫ다
淮陽(회양) 녜일홈이 마초아 ᄀᆞᄐᆞᆯ시고
汲長孺(급댱유) 風彩(풍ᄎᆡ)를 고텨아니 볼게이고

營中(영듕)無事(무ᄉᆞ)ᄒᆞ고 (시졀)三月(삼월)인제
花川(화쳔) 시내길히 楓岳(풍악)으로 버더잇다
行装(ᄒᆡᆼ장)을 다ᄯᅥᆯ티고 石逕(셕경)의 막대디퍼
百川洞(백쳔동) 겨ᄐᆡ두고 萬瀑洞(만폭동) 드러가니
()ᄀᆞᄐᆞᆫ 무지계 ()ᄀᆞᄐᆞᆫ ()의초리
섯돌며 ᄲᅮᆷᄂᆞᆫ소ᄅᆡ 十里(십리)의 ᄌᆞ자시니
들을제ᄂᆞᆫ 우레러니 보니ᄂᆞᆫ 눈이로다

金剛臺(금강ᄃᆡ) ᄆᆡᆫ우()仙鶴(션학)이 삿기치니
春風(츈풍) 玉笛聲(옥뎍셩)의 첫ᄌᆞᆷ을 ᄭᆡ돗던디

縞衣玄裳(호의현샹)(반공)의 소소ᄯᅳ니
西湖(셔호)主人(쥬인)을 반겨셔 넘노ᄂᆞᆫᄃᆞᆺ

小香爐(쇼향노) 大香爐(대향노) 눈아래 구버보고
正陽寺(졍양ᄉᆞ) 真歇臺(진헐ᄃᆡ) 고텨올나 안ᄌᆞᆫ마리
廬山(녀산) 真面目(진면목)이 여긔야 다뵈ᄂᆞ다
어와 造化翁(조화옹)이 헌ᄉᆞ토 헌ᄉᆞᄒᆞᆯ샤
ᄂᆞᆯ거든 ᄯᅱ디마나 셧거든 솟디마나
芙蓉(부용)을 고잣ᄂᆞᆫ ᄃᆞᆺ 白玉(ᄇᆡᆨ옥)을 믓것ᄂᆞᆫ ᄃᆞᆺ
東溟(동명)을 박차ᄂᆞᆫ ᄃᆞᆺ 北極(북극)을 괴왓ᄂᆞᆫ ᄃᆞᆺ
놉흘시고 髙臺(망고ᄃᆡ) 외로올샤
(혈망봉)
하ᄂᆞᆯ의 추미러 므ᄉᆞ 일을 ᄉᆞ로리라
千萬(쳔만겁) 디나ᄃᆞ록 구필줄 모ᄅᆞᄂᆞᆫ다
어와 너여이고 너ᄀᆞᄐᆞ니 ᄯᅩ잇ᄂᆞᆫ가

開心臺(ᄀᆡ심ᄃᆡ) 고텨올나 衆香城(듕향셩) ᄇᆞ라보며
萬二千峯(만이쳔봉)厯厯(녁녁)히 혀여ᄒᆞ니
()마다 ᄆᆡᆺ쳐잇고 긋마다 서린긔운
ᄆᆞᆰ거든 조티마나 조커든 ᄆᆞᆰ디마나
뎌긔운 흐터내야 人傑(인걸)을 ᄆᆞᆫᄃᆞᆯ고쟈
形容(형용)도 그지업고 軆勢(톄셰)도 하도할샤
天地(텬디) 삼기실제 自然(ᄌᆞ연)이 되연마ᄂᆞᆫ
이제와 보게되니
(유정)(유정)ᄒᆞᆯ샤
毗盧峯(비로봉) 上上頭(샹샹두)의 올라보니 긔뉘신고.
東山(동산) 泰山(태산)이 어ᄂᆞ야 놉돗던고
魯國(노국) 조븐 줄도 우리ᄂᆞᆫ 모ᄅᆞ거든
넙거나 넙은天下(텬하) 엇ᄯᅵᄒᆞ야 젹닷말고
어와 뎌디위ᄅᆞᆯ 어이ᄒᆞ면 알거이고
오ᄅᆞ디 못ᄒᆞ거니 ᄂᆞ려가미 고이ᄒᆞᆯ가

圓通(원통)골 ᄀᆞᄂᆞᆫ길로 獅子峯(ᄉᆞᄌᆞ봉)을 ᄎᆞ자가니
그알ᄑᆡ 너러바회 化龍(화룡)쇠 되어셰라
千年(천년) 老龍(노룡)이 구ᄇᆡ구ᄇᆡ 서려이셔
晝夜(듀야)의 흘녀내여
(창ᄒᆡ)예 니어시니
(풍운)을 언제어더 三日(삼일우)ᄅᆞᆯ 디련ᄂᆞᆫ다
隂崖(음애)예 이온플을 다살와 내여ᄉᆞ라


磨訶衍(마하연) 妙吉(묘길샹) 鴈門(안문)재 너머 디여
외나모 ᄡᅥ근ᄃᆞ리 佛頂臺(블뎡ᄃᆡ) 올라ᄒᆞ니
千尋絕壁(쳔심졀벽)(반공)애 셰여 두고
銀河水(은하슈) 한구ᄇᆡᄅᆞᆯ 촌촌이 버혀내여
실ᄀᆞ티 플텨이셔 뵈ᄀᆞ티 거러시니
圖經(도경) 열두구ᄇᆡ 내보매ᄂᆞᆫ 여러히라
李謫仙(니뎍션) 이제이셔 고텨의논 ᄒᆞ게되면
廬山(녀산)이 여긔도곤 낫단말 못ᄒᆞ려니

山中(산듕)을 ᄆᆡ양보랴 (동ᄒᆡ)로 가쟈ᄉᆞ라
籃輿(남여) 緩歩(완보)ᄒᆞ야 山映樓(산영누)의 올나ᄒᆞ니
玲瓏(녕농)碧溪(벽계)數聲啼鳥(수셩뎨됴)ᄂᆞᆫ 離別(니별)()ᄒᆞᄂᆞᆫ ᄃᆞᆺ
旌旗(졍긔)를 ᄯᅥᆯ티니 五色(오ᄉᆡᆨ)이 넘노ᄂᆞᆫ ᄃᆞᆺ
鼓角(고각)을 섯부니 (ᄒᆡ운)이 다 것ᄂᆞᆫ ᄃᆞᆺ
鳴沙(명사)긴 니근ᄆᆞᆯ이 醉仙(ᄎᆔ션)을 빗기시러
바다ᄒᆞᆯ 겻ᄐᆡ두고 棠花(ᄒᆡ당화)로 드러가니
白鷗(ᄇᆡᆨ구)야 ᄂᆞ디마라 네버딘줄 엇디아ᄂᆞᆫ

金蘭窟(금난굴) 도라드러 叢石亭(총셕뎡) 올라ᄒᆞ니
白玉樓(ᄇᆡᆨ옥누) 남은기동 다만네히 셔잇고야
工倕(공슈)의 셩녕인가 鬼斧(귀부)로 다ᄃᆞᄆᆞᆫ가
구ᄐᆞ야 六面(뉵면)은 므어슬 ()톳던고

髙城(고셩)을란 뎌만 두고 三日浦(삼일포)ᄅᆞᆯ ᄎᆞ자가니
丹書(단셔)ᄂᆞᆫ 宛然(완연)ᄒᆞ되 四仙(ᄉᆞ션)은 어ᄃᆡ 가니
예 사흘 머믄 ()의 어ᄃᆡ 가 ᄯᅩ 머믈고
仙遊潭(션유담) 永郎湖(영냥호) 거긔나 가 잇ᄂᆞᆫ가
清澗亭(쳥간뎡) 萬景臺(만경ᄃᆡ) 몃 고ᄃᆡ 안돗던고

梨花(니화)ᄂᆞᆫ ᄇᆞᆯ셔디고 졉동새 슬피울제
洛山東(낙산동반)으로 義相臺(의샹ᄃᆡ)예 올라 안자
日出(일츌)을 보리라 밤듕만 니러ᄒᆞ니,
祥雲(샹운)이 집픠ᄂᆞᆫ동 六龍(뉵뇽)이 바퇴ᄂᆞᆫ동
바다ᄒᆡ ᄯᅥ날제ᄂᆞᆫ 萬國(만국)이 일위더니
天中(텬듕)의 티ᄯᅳ니 毫𩬊(호발)을 혜리로다
아마도 녈구름 근쳐의 머믈셰라
詩仙(시션)은 어ᄃᆡ가고 咳唾(ᄒᆡ타)만 나ᄆᆞᆺᄂᆞ니
天地間(텬디)()ᄒᆞᆫ 긔별ᄌᆞ셔히도 ᄒᆞᆯ셔이고

斜陽(샤양) 峴山(현산)躑躅(텩튝)을 므니ᄇᆞᆯ와
羽蓋芝輪(우개지륜)鏡浦(경포)로 ᄂᆞ려가니
十里(십리) 氷紈(빙환)을 다리고 고텨다려
長松(댱숑) 울흔소개 슬ᄏᆞ장 펴뎌시니
믈결도 자도잘샤 모래ᄅᆞᆯ 혜리로다
孤舟(고쥬) 解纜(ᄒᆡ람)ᄒᆞ야 亭子(뎡ᄌᆞ)우ᄒᆡ 올나가니
江門橋(강문교) 너믄겨ᄐᆡ 大洋(대양)이 거긔로다
從容(둉용)ᄒᆞᆫ댜 이氣像(긔샹) 闊遠(활원)ᄒᆞᆫ댜 뎌境界(경계)
이도곤 ᄀᆞᄌᆞᆫ ᄃᆡ ᄯᅩ어듸 잇닷말고
紅粧(홍장) 古事(고ᄉᆞ)ᄅᆞᆯ 헌ᄉᆞ타 ᄒᆞ리로다
江陵(강능) (대도호) 風俗(풍쇽)이 됴흘시고
節孝旌門(졀효졍문)이 골골이 버러시니
比屋可封(비옥가봉)이 이제도 잇다 ᄒᆞᆯ다

眞珠舘(진쥬관) 竹西樓(듁셔루) 五十川(오십쳔) ᄂᆞ린믈이
太白山(태ᄇᆡᆨ산) 그림재ᄅᆞᆯ (동ᄒᆡ)로 다마가니
ᄎᆞᆯ하리 漢江(한강)木覓(목멱)의 다히고져
王程(왕뎡)有限(휴ᄒᆞᆫ)ᄒᆞ고 風景(풍경)이 못슬믜니
幽懷(유희)도 하도할샤 客愁(ᄀᆡᆨ수)도 둘듸업다
仙傞(션사)ᄅᆞᆯ ᄯᅴ워 내여 斗牛(두우)()ᄒᆞ살가
仙人(션인)을 ᄎᆞᄌᆞ려 丹穴(단혈)의 머므살가

天根(텬근)을 못내보와 洋亭(망양뎡)의 올은말이
바다밧근 하ᄂᆞᆯ이니 하ᄂᆞᆯ밧근 므서신고
ᄀᆞᆺ득 노ᄒᆞᆫ고래 뉘라셔 놀내관ᄃᆡ
블거니 ᄲᅳᆷ거니 어즈러이 구ᄂᆞᆫ디고
銀山(은산)을 것거내여 六合(뉵합)의 ᄂᆞ리ᄂᆞᆫ ᄃᆞᆺ
五月(오월) 長天(댱텬)白雪(ᄇᆡᆨ셜)은 므ᄉᆞ일고

져근덧 밤이드러 風浪(풍낭)()ᄒᆞ거ᄂᆞᆯ
扶桑(부상) 咫尺(지쳑)明月(명월)을 기ᄃᆞ리니
瑞光(셔광) 千丈(쳔댱)이 뵈ᄂᆞᆫᄃᆞᆺ 숨ᄂᆞᆫ고야
珠簾(쥬렴)을 고텨것고 玉階(옥계)ᄅᆞᆯ 다시쓸며
啓明星(계명셩) 돗도록 곳초안자 ᄇᆞ라보니
白蓮花(ᄇᆡᆨ년화) ᄒᆞᆫ가지ᄅᆞᆯ 뉘라셔 보내신고
일이 됴흔世界(세계) ᄂᆞᆷ대되 다뵈고져
流霞酒(뉴하쥬) ᄀᆞ득부어 ᄃᆞᆯᄃᆞ려 무론말이
英雄(영웅)은 어ᄃᆡ가며 四仙(ᄉᆞ션)은 긔뉘러니
아ᄆᆡ나 맛나보아 녯긔별 뭇쟈ᄒᆞ니
仙山(션산) (동ᄒᆡ)예 갈길히 머도멀샤

松根(숑근)을 볘여누어 픗ᄌᆞᆷ을 을픗드니
ᄭᅮᆷ애 ᄒᆞᆫ사ᄅᆞᆷ이 날ᄃᆞ려 닐온말이
그ᄃᆡᄅᆞᆯ 내모ᄅᆞ랴 上界(샹계)眞仙(진션)이라
黃庭經(황뎡경) 一字(일ᄌᆞ)ᄅᆞᆯ 엇디그ᄅᆞᆺ 닐거두고
人間(인간)의 내려와셔 우리ᄅᆞᆯ ᄯᆞᆯ오ᄂᆞᆫ다
져근덧 가디마오 이술ᄒᆞᆫ잔 머거보오
北斗星(북두셩) 기우려 (향ᄒᆡ슈) 부어내여
저먹고 날머겨놀 서너잔 거후로니
和風(화풍)習習(습습)ᄒᆞ야 兩腋(냥ᄋᆡᆨ)을 추혀드니
九萬里(구만리) 長空(댱공)애 져기면 ᄂᆞᆯ리로다
이술 가져다가 (ᄉᆞᄒᆡ)예 고로ᄂᆞᆫ화
億萬(억만) 蒼生(창ᄉᆡᆼ)을 다(ᄎᆔ)케 ᄆᆡᆼ근()
그제야 고텨맛나 ᄯᅩᄒᆞᆫ잔 ᄒᆞ쟛고야
말디쟈 ()을ᄐᆞ고 九空(구공)의 올나가니
空中(공듕) 玉蕭(옥쇼)소ᄅᆡ 어제런가 그제런가
나도 ᄌᆞᆷ을ᄭᅵ여 바다ᄒᆞᆯ 구버보니
기픠ᄅᆞᆯ 모ᄅᆞ거니 ᄀᆞ인들 엇디알리
明月(명월)千山萬落(천산만낙)의 아니비쵠ᄃᆡ 업다

라이선스[편집]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