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교육/교육의 이론과 실제/가이던스와 카운슬링
guidance-counseling 〔序說〕 생활지도(가이던스)와 카운슬링이란 학생들의 학교 내외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적응상의 문제를 돕기 위하여 마련한 계획된 활동이다. 여기에는 학생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을 위시하여 교육적·사회적·도덕적·오락적·직업적인 여러 영역이 모두 포함된다. 그러나 학교의 생활지도활동 및 카운슬링이 다만 이러한 영역에서 적응이 잘 안 되는 학생만을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적응이 잘 되고 있는 학생까지도 포함시켜 앞으로도 계속 적응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 주자는 것이다.생활지도의 개념을 넓게 해석한다면 인류의 출발, 역사의 출발과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옛날의 생활지도는 현재의 상황에서 볼 때는 보잘 것 없는 것이지만, 어른이 미성년자를 돌보고, 부모가 자녀의 일상생활과 성장을 보살피고, 학식과 덕망이 있는 어른이 젊은이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 상의에 응해 주는 것은 고금이 동일하다. 19세기 후엽부터의 조직적인 생활지도운동은 직업을 선택하고 준비하는, 소위 직업지도(職業指導)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급진적인 산업의 발달은 특수기술을 필요로 하는 직업의 분화를 가져 왔으며, 급증하는 직업적 기회는 당시의 젊은이들에게 적지 않은 문제를 던져 주었다. 대부분의 생활지도 전문가들은 파슨스(Frank W. Parsons)가 1907년에 미국 보스턴에서 직업지도운동을 시작한 것을 조직적인 생활지도의 출발이라고 보고 있다. 파슨스에 의해 시작된 보스턴시의 직업지도운동은 그 후 미국 각지로 확대되어 나갔다. 이러한 초기단계의 직업지도운동은 학교 밖의 밖의 사회에서 주로 행하여졌고, 그 주도적 역할도 학교 밖의 사회기관에서 차지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생활지도운동은 해방과 더불어 민주적인 교육사상의 도입에서 비롯된다. 물론 일제시대에도 학교에 훈육계가 있어 학생들의 훈육문제를 담당해 왔지만, 그 모두가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에 의해 운영된 것이 아니었다. 한국전쟁 직후 미국 교육사절단이 현직 교원의 재교육을 할 때 생활지도·정신위생·카운슬링 등의 강좌를 개설했고, 1957년부터 서울시교위(敎委)와 중앙교육연구소가 각각 생활지도 담당교사 강습을 시작한 것이 카운슬러 훈련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생활지도의 중요 영역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인에 대한 주의깊은 연구 ― 가장 효과적인 생활지도 계획은 각 개인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야 한다. 개인에 관한 정확하고 가치있는 정보를 보다 많이 수집하여 그들의 자기 이해를 촉진시켜 주려는 것이다. (2) 적합한 상담활동 ― 상담활동은 학교의 생활지도계획에 있어 중핵적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나 모든 교직원이 동일한 차원에서 상담활동에 임할 수는 없다. 학급담임교사나 교과담당교사, 그리고 학교행정가는 각각 그 직책의 범위 내에서 상담에 임할 수 있지만, 보다 전문적인 조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전문적 훈련을 쌓은 상담교사가 직접 담당해야 한다. 또 상담교사는 어떤 이론적 입장에서 출발하느냐에 따라 상담의 방향과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지시적(指示的) 상담이냐, 비지시적(非指示的) 상담이냐, 절충적(折衷的) 상담이냐, 행동수정적(行動修正的) 상담이냐,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냐 등, 어느 입장에서의 상담이냐에 따라 그 방법에 방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3) 포괄적인 정보활동 ― 학생들로 하여금 현재는 물로 장차의 보다 나은 적응 및 계획을 위하여 각종자료와 정보를 제공해 주는 일이다. 교육 및 진학에 관한 정보, 직업 및 선직(選職)에 관한 정보, 이를 위한 훈련기회, 성공에 필요한 개인적 및 사회적 기술의 제공 등이 포함된다. (4) 정치(定置) 및 추후지도(追後指導) 활동 ― 각 개인으로 하여금 적성과 개성에 맞는 범위를 유지하게 하고, 또 그 위치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있는지, 혹시 계속적인 지도, 추가적 지도가 필요한 것인지 살펴야 할 때도 있다. (5) 교직원을 위한 봉사활동 ― 학교의 생활지도 활동은 모든 교직원에게 봉사할 의무를 지니고 있으며, 그를 위한 충분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교사와 학생간에 생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주고, 학생들의 교육적 직업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광범한 자료와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다. (6) 연구활동을 위한 준비 ― 생활지도 활동은 학생들의 요구·문제·고민·특성 등을 정확하게 알아보기 위한 연구활동도 포함된다. 이 연구활동은 장차의 보다 나은 생활지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며, 학부모의 협조를 구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되기도 한다. (7) 학교·가정·사회간의 유대 ― 아무리 조직적인 생활지도활동이라 할지라도 가정·사회의 협조없이 학교 단독으로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순 없다. 학교에서 파생되는 생활지도상의 문제를 적시에 알리고, 가정·사회의 인적 물적인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 <黃 應 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