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교육/교육의 이론과 실제/학교관리와 운영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學校管理-運營〔序說〕 학교란 학습할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을 의도적·계획적으로 교육하여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곳이며,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그들의 능력에 따라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별로 각각 조직화된 교육내용을 편성하여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학교관리는 학생의 교육에 필요한 제반 조건을 정비하는, 곧 학교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인사(人事)의 관리. 재정과 시설의 관리, 및 사무의 처리 등에 걸쳐 관리자의 교육적 착상이나 주관보다도 법규주의적(法規主義的) 입장에서 법령이나 행정지시로 제시한 규칙 및 기준을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학교경영에서는 행정적인 법규를 준수하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경영자의 교육 이상과 주체적 창의성이 존중된다. 학술적으로는 경영·관리를 이렇게 구별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동의어(同義語)로 사용하는 것이 통례(通例)로 되어 있다. 구태여 양자의 차이를 말한다면 학교관리보다는 학교경영이 더한층 광범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민주교육의 본질은 개개인의 개성과 사회성을 최대한으로 발전시켜서 바람직한 민주시민으로 길러내는 데 있다. 이러한 교육의 본질에 따라 우리나라 교육법 제1조에는 교육의 목적이 명시되어 있고, 국민교육헌장에는 교육의 3대 지표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각급 학교경영의 목표는 그 학교의 특수성과 지역사회의 실정에 따라 국가교육의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교경영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실생활과 유리된 문화유산의 전달에 급급하는 서적중심의 전통적인 학교경영이나, 기초학력의 배양은 도외시하고 지나친 아동생활중심의 학교경영으로는 올바른 교육을 할 수 없다. 올바른 교육목표의 구현은 개인과 지역사회의 상호관계를 존중하고,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협동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내는 지역사회학교로서의 경영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학교경영에서는 민주화의 원리, 과학성의 원리, 사회성 및 지역성의 원리가 존중되어야 한다. 학교경영의 근본목표는 학생들의 보다 나은 성장·발달을 도모하는 일이다. 따라서 학교장은 유능한 교직원 진용을 편성해 각자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시설 및 재정관리의 적정을 기하며, 교육내용의 충실을 도모해야 한다. 학교장의 기능에는 행정관리적 기능, 장학지도적 기능 및 대외적(對外的) 기능의 세 가지 면이 있다. 그러므로 학교경영 및 관리상의 중점도 이 세 가지 면에서 고찰해 볼 때에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첫째, 학교 단위(單位) 교육과정을 구성, 교과경영과 특별교육활동의 합리적 운영을 도모하는 일이다. 그러자면 교육과정의 운영계획에 따라 학습지도의 연(年)·월(月)·주간(週間)계획을 세워 학습지도의 효과를 올리고, 생활지도의 상담조언(相談助言)을 통하여 학생들의 전인적(全人的)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이 질적 향상을 위하여 현직(現職)교육계획을 세워서 교원활동을 활발히 전개해야 한다. 둘째, 교원조직을 강화하고, 교육시설을 정비·확충하며, 학교예산의 적절한 운영으로 정상적 교육과정운영을 뒷받침하기 위한 교육조건을 형성하는 일이다. 따라서 학교장은 학교예산을 확보하여 학교 기본운영계획에 따라 건전한 재정운영을 하고, 교육조건의 정비를 위하여 효율적인 투자를 함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마련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교무운영에서는 교직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사무처리의 능률을 높이도록 한다. 셋째, 대외적 관계를 원만하게 조정하는 일이다. 학교경영은 법의 테두리안에서 상부(上府) 관청의 지휘·감독을 받아야 하고, 학부모와 학생들의 욕구 충족을 위하여 육성회·동창회와의 연락을 긴밀히 해야 한다. 특히 지역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하여 교육과정운영에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올리는 동시에, 학생들로 하여금 활용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올리는 동시에, 학생들로 하여금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봉사하도록 함으로써 훌륭한 지역사회학교를 건설해 나가야 한다. 학교의 교육계획을 실천한 후에는 그 결과가 기대하는 목표에 얼마나 도달하였나를 평가하여, 다음 교육계획을 세우는 데 귀중한 자료로 삼아야 한다. 이와 같은 평과과정, 곧 계획·실천·평가는 학교경영상의 순환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장은 교육목표의 설정, 교육과정의 운영, 학교관리의 상황,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모든 면에 걸쳐서 관찰·질문지법·각종 평정법(評定法) 또는 표준화검사 등 방법을 활용하여 자기 자신의 학교경영실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교육위원회에서는 각 학교의 경영실태를 시찰·조사하여 체크리스트나 각종 누가기록부(累加記錄簿)를 만들어 놓고, 장학지도상의 참고자료로 삼아야 한다. <金 永 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