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부문관리의 이론과 실제/부서별 관리요령/기획·조사
기획〔의의〕
[편집]企劃〔意義〕
경영은 항상 조달 - 생산 - 판매 - 재무 - 조달이라는 순환을 형성하고 있다. 동일한 제품을 동일한 원재료를 사용, 동일한 생산기술·생산수단을 가지고 생산하면서, 동일한 판매 루트를 통해 판매하고, 대금을 회수한다. 그러나 기업이 이와 같은 순환과정만을 되풀이 한다며, 그 기업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쇠퇴, 결국은 몰락하게 된다.
기업이 이와 같은 쇠퇴 혹은 몰락에서 벗어나려면, 항상 시대에 맞는 경영체제를 확립하고, 새로운 제품을 개발·생산하는 창의성(創意性)을 가져야 한다. 경영에 있어서 이와 같은 창의성은 보통 경영계획을 통해서 실현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경영계획 없이는 오늘날의 기업은 유지·발전되기 어려운 것이다. 경영계획은 기간계획(period planning)과 개별계획(project plann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간계획이란 '특정 기간에 걸친 기업 전체 또는 각 부문의 업무의 활동계획'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개별기획은 '어떤 특정한 문제 직면하는 경영자가 장래의 활동 방안에 대한 결론을 얻기 위하여 각 대안(代案)을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기업에 있어서의 기획(企劃)이란 바로 개별계획(project planning)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젝트 플래닝 자체가 기획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기획은 어떤 특정한 사항에 대하여 그 사항을 중심으로 모든 관련사항을 종합적·유기적으로 배려·가미한 것으로서, 그것을 비교·평가하여 특정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적절한 수단내지 방법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은 항상 이와 같은 기획을 가짐으로써 단순한 순환 과정에서 탈피, 발전적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그러나, 기업이 균형 있는 발전을 기하려면 경쟁의 순환과정과 기획 사이에는 항상 벨런스가 있어야 한다. 즉, 순환과정에만 크게 의존하면 단기적으로는 안정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쇠퇴를 모면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기업이 지나치게 기획에만 의지하면, 단기적인 기업의 안전성을 파괴할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보아 순환과정은 단기적인 안정에, 기획은 장기적인 성장과 결부된다. 그러므로 경영에 있어서는 산업의 종류라든지, 기업의 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 순환과정과 새로운 기획과의 힘의 배합, 즉 밸런스가 항상 중요한 문제가 된다.
기획의 내용
[편집]企劃-內容
기획은 그 내용에 따라 구조적 기획과 조건적 기획으로 나줄 수 있다.
구조적 기획
[편집]構造的企劃
구조적 기획이란 경영자의 기본구조의 변화에 관한 것으로서, 설비신설·기술혁신·업종변경·자본구성의 변경·신규 사업계획·신제품 개발계획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구조적 기획에 있어서의 내용의 변화는 경영의 거의 전부문에 걸쳐 영향을 주므로 전체적·종합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다루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은 다시 말하면, 구조적 기획이란 경영자의 직능임을 가리키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경영자는 기업의 전체적·종합적 시야에서 문제를 해명하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조적 기획은 그 성질상 그것의 준비에는 많은 시일과 자금을 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계획 기간은 보통 장기에 걸치게 된다.
조건적 기획
[편집]條件的企劃
조건적 기획은 기업의 특정부문의 변경에 관한 기획으로서, 대체로 설비의 개선, 제조공정의 변경, 판매 수단의 개선, 사용 원자재의 변경, 외주방식의 변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요컨대, 이 기획은 경영조직의 개개 부문에 특히 관계가 깊은 사항에 대한 것으로서 부문관리자가 담당하는 기획분야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조적 기획에 비하여, 시간적으로도 비교적 단기간인 경우가 많다.
이상에서 대체로 기획의 내용을 구분해 보았으나 이러한 기획은 그 기획이 완성되었다고 해서 즉시 실천에 옮겨지는 것은 아니고, 적시에 적절히 발동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기획수립에 있어서는 특정사항에 관련된 많은 기획 대안(代案)을 작성, 그것들을 비교·평가하여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는 것도 그 특징의 하나이다.
기획의 담당부문
[편집]企劃-擔當部門
기획의 담당부문으로는 대체로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기획기능을 전사적(全社的) 입장에서 종합·조정하는 기획담당조직으로서, 일반적으로 '기획부'라든지 '기획실'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대기업이 되면 '조정실'이라는 명칭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각 직능부장, 이를테면 기술부·제조부·광고부 등의 부문의 장(長) 밑에 설치되는 기획조직이다. 보통, (제품)기획과·(제조)기획과·(광고)기획과·(××)기획과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이 조직에 해당하며, 자체적인 기획기능의 발휘가 강력히 요구되는 기술·제조·판매 등의 기본적 경영기능 부문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첫째의 기획담당 부문, 즉 전사적 입장에서 기획기능을 종합·조정하는 기획조직에 있어서는 그 관련되는 부문이 경영의 전 조직에 미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부문에 있어서는 기획직능과 제너럴 스태프(general staff)로서의 다른 개개 직능부문의 장(長)과의 사이에 기획상의 불균형이 생기기 쉬우며, 따라서 권한의 중복이 발생, 경영의 비합리화를 초래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둘째 유형에 속하는 기획담당조직에 있어서는 각 직능 자체의 기획기능은 충분하게 발휘되지만, 전반적인 유기성이 결여되므로 톱 매니지먼트(top management)의 종합·조정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타 기획위원회·상품화위원회 등 위원회 형식을 통한 보완조치도 필요하다.
조사〔의의〕
[편집]調査〔意義〕
현대기업은 대자본을 시설·장비에 투하하여 경영의 대규모화·대단위화를 도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향은 생산기술의 발달이라든지 기업간의 경쟁에 의해서 더욱 촉진되는 입장에 있다. 이것이 이른바 자본의 고정화, 또는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인데, 이러한 사실은 투자자본 회수의 전망을 흐리게 하고 노동의 고정화를 가져올 뿐 아니라
시장변동에 대한 경영의 적응력을 저하시킴으로써 경영관리의 탄력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경영이 경쟁에 이겨서 존속과 발전을 계속하려면 보다 많은 자본투자에 의한 새 시설과 장비의 확보, 적절한 노동력의 확보 등을 비롯 시장변동에 대처하는 우연성을 항상 높이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기업경영이 이와 같이 상반되는 2가지 요청을 경영활동에 구현하려면, 항상 경영정세를 분석·파악, 장래를 예측하고, 생산·판매 등에 따르는 투자규모·투자기간 혹은 투하자본 회수방법을 확정, 적절한 노동력을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조사란 이와 같이 경영체의 장래에 결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제반 문제를 비판적·종합적으로 검토, 경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경영자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 기능으로 한다.
경영체가 소규모이고 경영활동의 범위가 좁아 경영이 경영자의 육감과 경험만으로 충분히 영위된 때에는 조사는 일시적인 활동으로서 그다지 크게 인식되지 않았으나, 오늘날처럼 경영의 규모가 확대되고, 경영이 대내외적으로 복잡해진 때에 있어서는 조사의 의의는 자못 크며 조사활동 없이는 경영이 불가능할 만큼 되었다.
조사의 내용
[편집]調査-內容
조사를 내용별로 나누어 보면 순수조사와 응용조사로 분류된다. 순수조사(pure research)는 경영 전반을 위한 조사라고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경영활동에 관련되는 사항의 기본적 원리 또는 지식에 대한 조사이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① 국제경제조사, ② 국내경제조사, ③ 산업시장조사, ④ 상품시장조사, ⑤ 일반소비자층의 의견조사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응용조사(applied research)는 경영활동의 어떤 영역에 관해 명확한 특정 목적을 갖고 행하는 조사로서 이에 속하는 조사로는 ① 시장관계조사(수요조사·품질조사·디자인조사·가격조사·유통경로조사·경쟁관계조사 등), ② 판매관계조사(판매촉진조사·광고관계조사 등), ③ 기술관계조사(기술조사), ④ 개발관계조사(자원조사) 등을 들 수 있다.
순수조사와 응용조사는 상호 보완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응용조사는 순수조사에 의하여 넓은 방향과 시야가 주어지고, 또한 순수조사는 각론적 조사(各論的調査)라고도 할 수 있는 응용조사의 영역으로까지 구현화됨으로써 비로소 그 존재가치가 인식된다.
조사와 보고
[편집]調査-報告
조사결과는 적절히 분석·집계·수록되고 관계자에게 회부되어 경영활동에 활용됨으로써 비로소 그 의의가 발휘된다. 그러므로 조사의 적부(適否)는 보고의 적부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요는 조사가 조사를 위한 조사에 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조사가 효과를 거두려먼 조사의 진실성·정확성·계속성·비교 가능성·통일성·상호 보완성 등을 항상 고려, 조사사무·조사절차의 체계화·계획화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서는 우선, ① 조사목적의 명확한 설정, ② 문제의 분석, ③ 조사절차·대상 및 방법의 전반적 검토, ④ 조사자료의 수집과 정리, ⑤ 조사자료의 판단, ⑥ 조사결론의 확립, ⑦ 관계부(과)에 대한 보고·전달·제시 등이 순서 있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④, ⑤, ⑥이 조사활동의 핵심이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합리적으로 하느냐 못하느냐가 조사결과를 크게 좌우하게 된다.
조사에 의하여 일정한 체계적 자료와 결론이 얻어지면 적절히 보고되어 그것이 경영활동에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보고의 형식·분량·경로·시기·기록 등에 특히 유의하여 보고의 효과를 살리도록 해야 한다. 이를테면 조사보고의 형식에 있어서는 조사 결과가 충분히 이해된 다음 활동에 활용되어야 하므로 보고는 이해에 편리하도록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정기적·수량적인 것은 가능한 한 도표화해서 한 번 보아 대세를 파악할 수 있는 형식이 바람직스럽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자세한 설명을 요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조사부문의 위치
[편집]調査部門-位置
조사담당부문으로는 순수한 서비스기관으로서의 조사부(과)와 내부 통제조직의 초기적 형태로서의 조사부(과), 또는 연구소적 성격을 띤 조사부(과) 등이 있으나, 조사부(과)의 위치는 조사 자체의 기본적 성격에서 정해지지 않으면 안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경영에 있어서의 조사는 경영활동의 기본적 방향을 결정하고, 구체적인 집행에 지시를 주는 경영 결정기능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라야 한다.
그런데 현대기업에서는 이 경영결정 기능은 이사회에 의해서 담당되고 있어 조사부문은 조직상으로는 이사회에 직속하는 스태프기관으로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흔히 곡해되고 있는 것처럼 조사부(과)를 이사회의 사무국화(事務局化)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사회 사무국이라는 서비스 기능은 어디까지나 총무부나 비서실 등에서 할 것이고, 조사부(과)는 직접 결정의 소재가 되는 안건(案件)이나 자료의 제공기관으로서의 스태프 기관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조사조직의 기능
[편집]調査組織-機能
조사는 우선 소재인 자료(data)를 수집·정리한 후, 그것을 분석·통계하여 그 뜻을 검토하고 그것에서 결과를 귀납(歸納), 일정한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각 관계분야에 조사자료 혹은 조사보고로서 제공하는 것을 그 기능으로 한다. 따라서 이 기능은 조사 그 자체의 직능, 즉 조사사무와 조사관리의 2가지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전자는 조사내용에 따라 다시 분화된다. 우선 전체로서의 조사조직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보면 다음과 같이 몇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최고경영정책의 결정이라든지 각 부문의 관리방침 결정에 도움이 되는 내외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주로 최고경영층의 스태프기관으로서 활동한다. ② 조사부(과·실)에 컨트롤러(controller)로서의 기능을 수행시킨다. ③ 위의 2가지, 즉 계획·통제의 스태프를 겸한다. ④ 제조·인사·재무·자재·판매 등 부문활동에 대해 통계적 수치를 응용한 프로세스 컨트롤(process control)을 행한다. ⑤ 위의 기능 중 ①,②,③,④를 모두 겸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사조직 본래의 기능으로 보면 ①의 스태프 기관으로서 기업경영의 결정을 위한 방침·계획의 자료를 작성·제공하는 것이 중핵이 되어야 한다.
조사조직 내부의 기능으로서는 조사작업의 절차에 따라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조사목적의 설정 → 자료수집 → 분류·정리 → 분석· 연구
→ 예측 → 보고 → (기획) → (기획) → 보고이 프로세스로 보아 조사조직의 직능은 자료·분석·예측이 고유한 것이 되고, 필요에 따라서 이것에 기획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조사조직에 있어서 잊어서는 안 될 기능은 이러한 조사 자체를 합리적이고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조사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조사관리는 조사목적의 설정, 조사실시의 계획 및 조사실시의 통제를 모두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