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부문관리의 이론과 실제/생 산 관 리/공장·생산계획과 작업연구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공장계획[편집]

경영계획과 공장계획[편집]

經營計劃-工場計劃

공장계획의 의의 工場計劃-意義

공장은 생산의 3요소(사람·자재·기계설비)로 구성된 시스템을 통하여 필요한 수량과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능이 모두 포함된 장소로 규정된다. 공장계획은 이 기능을 포함한 공장을 기업목표에 따라 계획·조직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장계획은 경영목표를 장기적으로 달성하는 수단이므로 목표의 명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장계획에서의 예측[편집]

工場計劃-豫測

이 계획은 예측을 전제하므로 대부분 불확실한 요소를 내포하게 된다.

(1) 공장계획과 경제예측(經濟豫測) ― 경기 변동과 수요는 밀접한 관계에 있고, 설비투자의 적시성(適時性)과 관계된다. 따라서 경제의 예측은 정확성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경기지표·통계조사의 이용, 계량경제학적(計量經濟學的) 모형의 이용방법 등이 있다.

(2) 공장계획과 수요예측 ― 수요예측은 장기(5년 이상)·중기(1년 이상∼5년 미만)·단기(1년 미만)로 나누어진다. 장기예측에서는 개략적인 목표를 설정하는데, 중기·단기예측이 그 기본이 된다.

(3) 공장계획과 인원예측 ― 인원예측은 공장설비의 자동화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4) 공장계획과 기술예측 ― 현대 산업사회는 항상 새로운 기술개발·공정개발에 도전받고 있으므로, 공장계획은 기술예측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된다. 기술예측은 제조기술의 진보, 설계혁신, 재료의 진보 등 각종이 있으므로, 공장계획에서는 설비의 경제적 내용연수를 설정, 이 기간중 투자비용의 회수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

공장계획과 생산계획[편집]

工場計劃-生産計劃

이 계획을 입안할 때에는 생산의 기본요소인 제품·생산수량·공정·시간·예정원가·가격정책에 대하여도 결정해야 한다. 이것은 공장계획을 세울 때 앞으로의 생산계획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뜻한다. 생산계획과의 관련사항은 생산방식과 기계설비·공장능력과 생산수량·품질의 설계·공장배치문제 등이다.

공장계획과 자금계획[편집]

工場計劃-資金計劃

공장계획을 위한 자금 가운데 장기저인 고정자금으로 투하된 자금은 기계설비 등의 내용년수(耐用年數) 동안 감가상각비로서 장기적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공장계획에 소요되는 자금의 원천은 자기자금이나 장기차입금에 의존하게 되고, 소요자금의 견적은 개별항목의 적산방법(積算方法), 과거의 수치와 시계열(時系列)에 의한 거시적(巨視的) 추산방법 등이 있다.

공장계획과 이익계획[편집]

工場計劃-利益計劃

이익계획은 매연도 예산편성방침의 출발점이므로, 장기계획에 의한 당해년도 목표와 당해시점에서의 기업의 내외여건·과거실적·현재수준·새로운 프로젝트 등의 요소를 감안, 결정된다. 이익계획 작성에서의 과제는 변동비의 절감이며, 기술수준의 향상·공장조건의 개선이 그 대상이 된다. 공장계획에서의 투자가치 평가기준은 ① 투자이익률법, ② 원가비교법, ③ 자본회수기간법, ④ 현재가치법 등이 있다.

공장입지·대지선정[편집]

工場立地·垈地選定

공장입지는 생산활동을 수행하는 장소의 선택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공업입지는 국민경제적 관점에서의 적지공업(適地工業)의 선정이므로 공장입지와 구분된다.

공장입지의 선정요인[편집]

工場立地-選定要因

공장입지의 선정에 있어서는 기술적·경제적·사회적·요인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기술적 요인[편집]

技術的 要因

(1) 대지의 상태 ― 대지의 지형·지질은 공장건설비를 결정짓는 중요 요인이며, 각종 기계설비의 유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지질의 불량은 건물·기계의 기초공사에 많은 경비를 투입하여야 하며, 지형이 나쁜 장소에 공장을 건설하면 공장의 방위책이 강구되어야 하므로 지형·지질이 나쁜 장소는 공장의 적지(適地)가 못된다.

(2) 용수(用水) ― 갈수기(渴水期)에도 공장용수의 최대사용량이 확보되어야 하며, 수질(水質)도 적합해야 한다.

(3) 배수·폐물·매연의 처리 ― 공장의 배수·폐물·매연·악취·소음·진동 등의 처리는 공해문제와 관련이 있으므로, 입지선정에 있어서 이의 처리문제도 유의해야 한다.

(4) 부산물(副産物)의 처리 ― 제품가격에 미치는 영향으로 보아 중요사항의 하나이며, 사회정세의 변화가 주제품과 부산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

(5) 기후·풍토 ― 강우량·강설량·온습도·기류 등의 기후조건은 종업원의 건강·작업능률과 관련된다.

경제적 요인[편집]

經濟的要因

(1) 지가(地價)의 저렴 ― 대지 선정에 있어서 첫째 요인은 지가의 저렴으로 이것은 앞으로의 공장증설 때에도 제한받지 않아야 한다.

(2) 원재료 구입 ― 원재료의 구입이 용이하고 신속·확실·저렴해야 한다.

(3) 전력·연료의 확보 ― 전력이나 연료 등의 확보가 저가로 보장되어야 한다.

(4) 시장문제 ― 시장이나 소비자에 인접해야 수송비를 절약할 수 있다. 광고선전·수요실태의 정확한 조사연구에도 유리하다.

(5) 노동력의 획득 ― 노동력의 구득이 용이하고 임률이 낮으며, 노동력의 질적 수준이 높아야 한다.

(6) 운송·통신기관의 편의성 ― 원재료나 재품의 운반이 신속·저렴해야 되며, 통신의 편의성도 고려해야 한다.

(7) 금융기관 ― 금융기관이 인접해 있어야 한다.

(8) 타공장과의 관계 ― 동종 또는 유사업종의 공장과 인접해 있으면 제조기술·재료입수·제품판매·노동력 획득 등에 편리한 점이 많다.

(9) 조세(租稅)·보험료 ― 공장의 입지가 지방일 경우, 조세감면의 혜택이 있게 된다.

사회적 요인[편집]

社會的要因

(1) 국가정책 ― 국토개발계획·도시계획·지역개발계획에 따라 입지선정의 대상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2) 경제정책 ― 콤비나트(combinat)·공업단지의 설정 등 국가의 경제개발정책도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친다.

(3) 학교·병원 등 복지시설의 유무 ― 공장 대지선정에 있어 가능한 대로 학교·병원 등의 공공복지시설이 있는 곳은 피해야 한다.

공장계획에 있어서의 고려사항[편집]

工場計劃-考慮事項(1) 제품 및 재료에 관한 사항 ― ① 제품의 설계구조와 품질, ② 물리적·화학적 성질, 중량·형상·형태·취급상의 특수성, ③ 제품 종류의 다소, ④ 생산공정·공정순서·공정개선의 가능성 및 부품재료의 표준화

(2) 기계설비에 관한 사항 ― ① 종합생산시스템, ② 기계설비의 특성·형식·대수·가동시간·용적·중량·가공 능력·공작법·소음·진동, ③ 공구의 특성·수량·보관방법, ④ 설비의 공정균형(가공속도·능력), ⑤ 배관·배선·조절장치·원격제어장치·압력공기 등

(3) 인간에 관한 사항 ― ① 작업환경과 안전, ② 노동의 질과 노동조건·숙련도·작업시간·노동법규, ③ 작업능률·작업조직·작업감독의 정도

(4) 이동에 관한 사항 ― ① 흐름의 형식, ② 운반방법·검사·저장방법, ③ 운반통로·운반설비의 특질

(5) 정체(停滯)에 관한 사항 ― 부품저장 장소·저장방법·저장량

(6) 서비스에 관한 사항 ― ① 종업원 복지시설·통로·방화시설 등, ② 품질검사·생산관리 등의 관리사항, ③ 기계보전·배전·배관

(7) 건물에 관한 사항 ― ① 범용(汎用) 또는 전용여부, ② 단층 또는 다층 여부, ③ 건물의 형상·조명·소음·진동, 천정의 높이·강도, ④ 기둥의 위치·벽의 두께

(8) 변경에 관한 사항 ― ① 공장계획의 탄력성, ② 적합성, ③ 교환성, ④ 확장, ⑤ 외부조건의 변화, ⑥ 기존 장치의 제약

(9) 기타 ― ① 제법규, ② 외관, ③ 보안조처 등

공장계획의 순서[편집]

工場計劃-順序

공장계획의 순서는 〔그림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획·설계수준의 결정·방침결정·기본 계획 설정·계획수정·세부계획입안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기획[편집]

企劃

각종 조사에 의한 공장건설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의 계획단계이다.

공장설계수준의 결정[편집]

工場設計水準―決定

공장건설이 결정되면 처음 주어진 시스템의 기능을 분석, 하나하나 그 필요성을 검증하면서 보다 높은 차원의 설계를 모색한다.

공장계획 방침설정[편집]

工場計劃方針設定

① 목적의 확인:생산능력의 증대·건물면적의 절약·재공품의 감소·생산기간 단축·운반공수(運搬工數)의 절약·기계가동률의 향상·감독의 용이성·품질보장·작업환경 개선·탄력성 증대·고객에 대한 PR등, ② 생산능력:수요의 변동을 감당할 수 있는 탄력성 유지를 위하여 생산설비·유틸러티(utility) 부분에 여유를 두거나 앞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③ 예산과 장비의 사용계획, ④ 완공시기:고용계획·훈련계획과의 조정이 필요하며, PERT에 의한 관리가 효과적이다. ⑤ 공장계획의 조직화.

공장건설 계획[편집]

工場建設計劃

건물배치 계획

建物配置計劃공장건물의 평면배치는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① 공정의 배치가 경제적이고 능률적인 것, ② 건물과 건물, 건물과 부속건물과의 연락이 기능적이고 조직적일 것, ③ 운반설비와 건물의 관련성, 건물간의 관련성을 합리적으로 유지할 것, ④ 장래의 확장이나 변경에 대처할 것, ⑤ 건물의 위치에 있어서 채광·풍향(風向) 등을 고려할 것, ⑥ 건물의 집중방식·분산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할 것, ⑦ 관계법규를 검토할 것.

평면계획과 입면계획[편집]

平面計劃-立面計劃

공장배치를 결정하고 평면계획을 착수하기 위한 기본사항으로서는 ① 종업원수(성별), ② 설비의 크기·중량·대수·위치·종류, ③ 출입구 및 통로의 크기·폭·위치·수량, ④ 사무소·창고·작업장·부속건물의 면적·수·위치, ⑤ 건물기둥의 간격 등이다. 또한 공장건물의 형식에는 단층·다층·특수형이 있고, 이것은 작업종류·작업방법·대지 면적의 계약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평면형식에서는 I 형이 많고 L,U 형은 광선의 방향이 변하게 되며, H,I 형은 복도나 계단으로 연결하면 비교적 좋은 형이 된다. O,T,E 형은 특수형에 속한다.

입면계획은 벽의 높이와 운반설비와의 관계, 기둥의 간격, 출입구·통로의 높이·폭 등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구조계획[편집]

構造計劃

건축구조는 배치계획과의 관련에서 결정되어야 하며, 건축비와 영선비가 적게 들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구조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철골철근콘크리트·목조 등이 있다. 기초는 건물·기계·설비·원재료·제품 등의 중량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기계의 진동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지반(地盤)의 지내력(地耐力)을 고려해서 기초공사의 정도를 결정해야 한다. 벽은 보온·열의 차단·방화·방음의 목적을 가지며, 기둥의 건물의 하중(荷重)뿐 아니라 천장크레인과 같은 운반설비의 하중까지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출입구는 사람의 출입·물품운반 등 생산공정의 요구에 따라 그 위치와 크기·구조 등이 결정되며, 아울러 도난·방화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바닥은 공장설비를 지탱하며, 통행과 작업·물품저장 등에 사용되므로 바닥의 구조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① 기계설비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있고, 설치가 용이할 것, ② 사람·원재료·제품의 통행·운반에 적합한 넓이와 구조일 것, ③ 작업능률상 피로가 적은 구조일 것, 일반적으로 바닥은 내구성(耐久性)과 적당한 탄력성이 요구된다.

생산계획[편집]

생산계획과 경영계획[편집]

生産計劃-經營計劃

경영방침은 각종 예측에 의하여 장기계획과 단기계획으로 구분되는데, 생산계획은 단기계획의 하나이다.〔그림 4〕에 나타난 각 계획간의 관련을 보면, 생산계획은 이익계획·판매계획·제품계획에 기초를 두고 있고, 한편으로는 설비계획·구매계획·인원계획·자금계획(일부)·연구계획의 수립을 위한 기초가 되고 있다.

생산계획의 기초[편집]

生産計劃-基礎

생산계획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는 생산품종·생산수량·작업표준이 기본사항이 되며, 이 표준에서 유도되는 각종 표준자료인 품질표준자료·시간표준자료·원가표준자료가 기초가 된다. 이 외에 공정별(工程別) 생산능력표가 필요하다.

생산계획의 종류[편집]

生産計劃-種類

생산계획은 기간생산계획·월간생산계획·일정계획으로 구분된다.

기간생산계획[편집]

(期間生産計劃 ) 이 계획은 일반적으로 경영계획기간(1년 또는 6개월)을 단위로 생산활동을 계획하는 것으로, 계획의 설정 목적은 다음과 같다.



생산방식별 컨트롤

A. 시장생산에서의 컨트롤


컨트롤 해야 할  활동


관   련   항   목


컨 트 롤

대상요인


컨  트  롤    방

 법


컨트롤을 적게 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완충

파라미터


예 측


예   측

(수요량)


주   문

(수량)


예측방식


주문량과 예측치의 차이를 적게 하기 위해서

생산속도향상 또는 제품 재고량을 조정


예측계수


생 산


생   산

(생산속도변동)


재   고

(제품재고수준변동)


생산속도


재고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수준이

낮아지면 생산속도를 변경한다


중간재고


생 산


생   산

(생산속도변동)


주   문

(주문량변동)


생산속도


주문량의 증대·감소에 의하여 생산속도를

변경한다


공정능력


생 산


선공정생산

(작업시간변동)


후공정생산

(작업지연)


지    연


공정간의 영향을 단절하여 타공정의 변동이나


지체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뱅크·플로트·워크 스페이스


생 산


주   문

(주문량변동)


재   고

(재고수준변동)


제품재고


제품재고에 의하여 주문의 변동을 흡수한다

주문의 경향보다 재고수준을 제어한다


제품재고 수준


재 고


재   고

(재고수준변동)


출   하

(서비스율변동)


제품재고


예정 서비스율 유지를 위하여 재고수준을 유지한다


제품재고 수준

(1) 예정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생산활동 내용의 명확화 (2) 시장상황에 비추어 생산능력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생산활동 내용의 명확화 (3) 상기 (1), (2)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자재·부분품·재료 등의 소요량 파악과 소요인원의 과부족 파악 (4) 기계설비·기계장치 등의 보충이나 갱신을 필요로 하는 사항의 파악 (5) 소요자금(생산자금)의 추정과 이의 조달 방안 강구 이 기간계획은 생산품종·생산수량 등을 기초로 작성되지만 시장의 상황변화, 생산상태의 변화에 따라 당초 계획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기간계획을 작성함으로써 수시의 상황변화에 대한 대처가 용이하고, 관련된 계획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기간계획에 따라 작성되는 관련계획으로는 자재구입계획·재고계획·외주계획·설비계획·인원계획·자금계획 등이 있다.

월간생산계획[편집]

월간생산계획( 月間生産計劃 ) 기간생산계획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것으로, 월간 외에 분기별(分期別) 또는 주간으로 작성되기도 한다. 이 계획에서 추산한 예정수요는 확정적인 것으로 보고, 생산을 착수하게 된다.이 계획의 작성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기간계획에서의 수정수요량과 실행계획과의 조정 (2) 확정된 수요량에 의거하여 기간생산계획의 생산요소들에 대한 계획 조정 (3) 제품의 구체적 생산계획 확정 (4) 공정별 생산능력의 최대한 활용 도모 (5) 판매부문과의 협조 (6) 재료 및 부품의 명세와 소요수량·소요시간의 지정 (7) 기계의 소요대수·가동시간의 확정과 소요인원의 확정, 외주품의 수량·소요시기 확정



B. 주문생산에서의 컨트롤


컨트롤 해야 할 활동


관   련   항   목


컨 트 롤

대상요인


컨  트  롤   방  법


컨트롤을 적게 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완충

파라미터


예 측


예   측

(수요변동)


주   문

(수량변동)


리드타임


기간계획·월간계획의 각 단계에서 생산량의

변경에 의하여 차이를 작게 한다


준비일정


작업설치


작업설치

(공정능력)


생   산

(부하변동)


공정능력


부하량(負荷量)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공정능력의

  설정


잔업·외주에 의한 공정능력


주 문


주   문

(수량·납기변동)


생   산

(여력·부하변동)


예정주문량


여력 및 부하변동과 주문량을 대비시켜서 부하량을

안정시키기 위해 주문량을 제한한다


주문량


생 산


수   주

(품종변동)


생   산

(기계간섭)


공정순서

가공기계선택


패럴렐기계 또는 융통성이 있는 공정을 선택,

기계간섭이 일어나는 가능성의 감소를 꾀한다


기계의 대체율

스케줄링

여유율


생 산


수   주

(납기변동)


생   산

(지연변동)


납기계수

스케줄링


주문에서 납품까지의 기간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납기까지의 여유를 갖도록 한다


납기여유


생 산


외   주

(리드타임변동)


생   산

(지연변동)


착공 완공시각


외주(外注)가공의 진척상황보다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시각을 변경하고 공정유휴, 타 작업의 지연감소를 꾀한다


납기계수

프리플로트

수요의 특징과 생산계획[편집]

需要-特徵-生産計劃

수요 또는 주문의 내용은 ① 제품의 품질, ② 요구수량, ③ 납기, ④ 가격, ⑤ 검사방법, ⑥ 납기지연에 대한 벌칙사항, ⑦ 보증, ⑧ 기타 등이다. 품질은 고객이 지정하는 경우와 제조업자의 명세에 따르는 경우가 있으며, 납품기간은 대체로 단기간일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조업자는 과잉재고의 보유에 의한 손실을 막고, 납품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생산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생산방식은 수요(또는 주문)의 내용에 따라 주문생산과 시장생산방식으로 나뉘는데, 이들의 생산 계획 및 통제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생산계획을 위한 예측[편집]

生産計劃-豫測

생산계획을 위한 예측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판매관계 전문가의 의견, ② 경영활동의 각종 지표(指標), ③ 과거 판매실적 자료에서의 평균, ④ 과거 판매실적의 통계적 분석, ⑤ 이상 각 방법의 조합(組合). 그러나 예측에는 항상 오차(誤差)의 발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① 예측의 신뢰성 파악, ② 예측오차의 범위 및 오차에 의한 각종 관련비용의 파악, ③ 예측오차의 기록 및 원인조사가 필요하다.

작업연구[편집]

일정계획의 분류[편집]

日程計劃-分類

일정계획은 생산계획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생산요소를 일력(日曆)을 중심으로 작업의 시작기일과 완료기일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일정계획은 기간생산계획이나 월간생산계획을 기초로 수립되며, 생산기간의 단축을 위한 공정순위의 결정이 기본적인 문제가 된다. 일정계획의 형태는 총괄적 일정계획·세부적 일정계획·작업공정별(作業工程別) 일정계획·작업자별(作業者別) 일정계획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일정계획은 그 방법상 네트워크·직장별·라인 밸런싱(line balancing)으로 분류된다.

네트워크 일정계획[편집]

network 日程計劃

일정계획의 대상이 되는 여러 가지 작업 사이에는 명확한 순서가 있다.

네트워크에 의한 일정계획이 장점은 이 순서를 명확히 규정해 줌으로써 복잡한 공사의 계획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은 애로공정(critical path)을 중점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일정단축이 가능하고, 자원의 재배분(再配分) 가능성을 검토하여 효율적 일정관리를 가능케 한다. 네트워크에 의한 일정계획은 PERT 또는 CPM(critical path method)에 의한 일정관리이며, 고속도로의 건설, 고층 건물 등의 건설공사 부문에서 특히 효과적인 관리기법으로 인정된다.

PERT/Time[편집]

네트워크의 각 화살표에 소요시간을 견적하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일정을 계산한다. 활동과 이벤트를 각각 화살표와 원으로 표시하고, 화살표는 활동(activity)을 원은 이벤트(event)를 의미한다. 이벤트는 각 활동의 시작과 완료를 동시에 나타내며, 어떤 하나의 이벤트가 다른 어떤 이벤트와 연결이 되지 않을 때에는 더미(dummy) 화살표로 나타낸다. 따라서 모든 작업은 화살표와 원으로 그 상호관계를 도시할 수 있다.

PERT/Time[편집]

네트워크의 각 화살표에 소요시간을 견적하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일정을 계산한다. (1) 가장 빠른 착수시간과 완료시간 (2) 가장 늦은 착수시간과 완료시간 (3) 여유시간(작업일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각 공정의 여유시간) (4) 총여유시간이 영(zero)인 작업증정을 애로공정(critical path)이라 하고, 이 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의 합계가 총공정의 일정을 좌우하게 되므로, 중점관리의 대상이 되는 공정이다. PERT/Time은 위의 4가지 수치에 의해 일정계획을 수립한다. 즉, 작업의 가장 빠른 작업시간, 가장 늦은 작업시간의 차이에서 여유시간을 계산하고, 일정은 여유가 없는 작업공정(C.P.)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작업일정을 단축하려고 할 때에는 애로공정의 일정을 단축해야 하며, 이는 작업자·기계설비 등 자원의 이용계획 조정에 의하여 달성된다.

PERT/Cost[편집]

PERT/Time에서의 시간적 요소 외에 각 작업의 비용을 측정하여 일정과 함께 공사비용도 계획·관리하는 기법이다. 이 방법은 처음 미국의 국방부와 항공우주국(NASA)에서 공동으로 대규모 예산관리를 위하여 개발한 것이다.

CPM[편집]

(critical path method)

PERT/Time의 계획단계에서 공사기간 단축이 요구되는 때가 있다. 이 경우는 애로공정상의 어떤 작업을 계획기간 안에 급히 완성해야 하며, 작업자의 노무비·기계설비비 등을 초과 투입할 필요가 있다. CPM은 이와 같은 경우 최소의 비용증가로 공사기간을 단축하려 하는 방법으로 각 작업의 시간당 비용증가율을 비교하여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 등을 이용, 목적을 달성한다.

PERT/Man-scheduling[편집]

네트워크상의 각 작업공정에 대해 필요한 인원·소요자금·기계설비 등을 견적하고, 전체 공정 가운데 어느 기간 동안 이용가능한 수량 이하로 일정을 계획하는 방법이다.

RAMPS[편집]

(resourcer allocation and mutil-project scheduling)

여러 프로젝트가 동시에 착수될 때 공통으로 사용되는 자원이 있을 경우에는 이의 이용을 위하여 서로 경쟁을 벌이게 된다. RAMPS는 이러한 경우 각 프로젝트의 중요도(납기지연에 대한 규제사항으로 평가)·여유시간·후속작업의 수·유휴작업의 수·계획작업의 수·작업중단에 대한 벌칙 등을 고려하여 여러 공사의 일정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이다.

직장별 일정계획[편집]

職場別日程計劃

공장(工場)에서의 일정계획은 대부분 이 방법에 속하는데, 기계·작업자를 이용하여 많은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일정계획이다. 각각 다른

m` 대의 기계를 사용하여 n` 개의 제품을 가공할 때, ① 제품 i` 를 위한 기계의 사용순서와 ② 기계의 사용시간이 tij` (여기서 j` 는 기계)일 때, 1대의 기계에서 동시에 2가지 제품의 가공이 불가능하다고 1개의 제품을 동시에 2개의 기계에서 생산할 수 없는 경우의 기계사용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직장별 일정계획의 기본형이다. 이 방법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가공순서가 동일한 경우[편집]

加工順序-同一-境遇

(1) 몬테카를로법(Monte Carlo method) ― 모든 작업이 동일 순서로 기계를 통과하는 경우, 최초의 기계에 투입되는 순서가 결정되면 그 이후는 처음과 동일한 순서로 가공된다. 그러나 작업의 수가 n` 일 때 순열의 수는 n!` (n` 의 계승)만큼 발생되므로, 실제 문제에 있어서는 몬테카를로법에 따라 임의의 순열을 뽑고 이 일정에 의한 목적함수(目的函數)의 최적치(最適値)를 비교하여 작업순서를 결정한다.

(2) 순열개량법(順列改良法) ― 작업의 어떤 순열(순서)을 가정하고, 여기에서 좀더 나은 순열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이는 몬테카를로법보다 실제적인 방법이다.

(3) 존슨(Johnson)법 ― 존슨법은 2개의 설비를 이용하여 n개의 작업에 소요되는 총작업시간을 최소로 하는 수학적 방법이다. 3개의 설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나, 이때는 작업의 가공시간에 약간의 제한조건이 붙게 된다.

가공순서가 상이한 경우[편집]

加工順序-相異-境遇

이 문제는 가공순서가 같은 경우보다 복잡하여 각 작업이 그들 자신의 고유순서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작업순서에 있어 다른 결합방법이 필요하다. 애커(S. Aker, Jr)는 n` 개 시설을 이용해 2개 작업을 수행하는 도시적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처치먼(C. W. Churchman)은 애커의 실행 가능한 해답에 가공시간을 고려하여 최적해(最適解)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지플러(B. Giffler)는 결정수(decision tree)에 의한 최적해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납기지연·손실함수·설비준비 비용을 고려하는 경우[편집]

納期遲延·損失函數·設備準備費用-考慮-境遇 이 방법은 1개의 설비에서 n` 개의 작업을 수행할 때 납기지연시간을 최소로 하는 작업순서를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납기지연에 의한 손실은 비용으로 환산·평가되어야 한다. 맥노턴(R. McNaughton)은 설비 1대, 작업이 n` 개, 작업(i` )의 처리시간을 ai` , 손실함수는 지연시간(t` )에 비례하여 pit 라고 할 때 ri=p`i`/a`i``` 인 ri``` 의 크기의 순서로 작업하는 것이 가장 좋은 작업순서라고 제안하였다. 또한 1개의 작업에서 다른 1개의 작업으로 이행할 때 소요되는 설비의 준비비용을 최소로 하는 면에서 작업순서가 결정되는 방법도 있다.

라인 밸런싱[편집]

line balancing

TV·자동차 등 대량생산 공장에서는 생산라인의 각 공정에 작업량을 균형있게 할당할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이런 문제는 컨베이어시스템이 산업계에 도입된 이후 제기된 것으로, 종래에는 주로 경험에 의하여 해결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