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부문관리의 이론과 실제/생 산 관 리/품질관리와 포장·운반관리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품질관리[편집]

품질관리의 의의[편집]

品質管理-意義

품질관리란 품질의 균일성을 통제하는 기능으로서, 설정된 품질기준과 품질한계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즉, 설정된 기준에 따라 품질의 균일성이 유지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통계적 방법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것을 특히 통계적 품질관리(SQC:statistical quality control)라고도 한다.품질관리의 방법은 다음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작업장에 의한 품질관리

(2) 직장(職長)에 의한 품질관리

(3) 검사에 의한 품질관리

(4) 관리도 및 표본검사에 의한 품질관리(SQC)

(5) 종합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control:TQC)

오늘날의 품질관리기법은 (4)항을 중심으로 많이 발전되고 있으며, (5)항의 종합적 품질관리도 넓게 연구되고 있다.

품질관리의 조직[편집]

品質管理-組織

품질관리의 단계 品質管理-段階

품질관리의 단계 및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표준화 ― 품질기준·기술표준·작업표준의 결정

(2) 실시(實施) ― 표준에 의한 작업의 실시

(3) 검사 ― 표준에 의한 작업이행 여부의 검사

(4) 조치(措置) ― 표준과의 차이를 수정(修正)

(5) 검사 ― 수정조치의 이행 여부를 검사

(6) 표준의 향상 ― 성능·비용 등에 대한 표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속적인 노력의 경주

품질관리조직에서의 품질책임[편집]

品質管理組織-品質責任

품질관리조직에 있어 품질에 대한 책임의 한계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제품계획 ― 판매부문. 고객이 요청하거나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제품의 설명, 제품의 품질자료의 제출, 고객과 협의에 의한 품질 표준 결정

(2) 제품기술 ― 기술부문. 시제품(試製品)의 설계, 제품보증, 작업특성의 결정

(3) 제조기술 ― 기술부문. 기계의 선정, 적당한 공구의 설계, 작업방법의 설계, 작업장의 개선, 작업조건의 충족, 표준품질의 유지

(4) 구매부문 ― 납품자의 선정, 납입품의 품질보증

(5) 시험실 부문 ― 재료 및 공정의 품질표준 설정, 구입 또는 가공제품의 품질검사 및 승인, 특수가공기술의 이용 권장

(6) 공장감독부문 ― 작업자의 교육, 제조설비에 대한 주의 및 감독, 설계도와 견본에 대한 설명, 부품 관리

(7) 현장작업부문 ― 숙련, 작업주의 및 필요한 기능

(8) 검사·시험부문 ― 수입부품과 재료의 품질판정, 제품의 견본서와의 일치 여부 평가

(9) 포장·출고부문 ― 제품 포장의 적합성, 제품의 출하

(10) 제품서비스 부문 ― 부품의 대체, 보수와 수리의 지도

종합적 품질관리[편집]

綜合的品質管理

전사적(全社的) 경영관리의 일환으로 품질관리를 다룬 종합적 품질관리를 처음 제창한 미국의 파이겐바움(A. V. Feigenbaum)은〔그림 1〕과 같은 기술3각형으로 이를 설명하고 있다.

품질관리의 4가지 업무[편집]

品質管理-業務

신제품관리[편집]

新製品管理

제품에 대하여서 요구되는 비용·성능 및 신뢰성에 대한 품질표준을 확립한다. 이를 위하여 ① 제품의 기능분석, ② 환경조건과 실제의 사용목적에 대한 시험, ③ 품질특성의 분류, ④ 품질수준과 표준의 확립, ⑤ 공정능력의 조사, ⑥ 공차(公差)에 대한 해석, ⑦ 품질능력에 대한 분석, ⑧ 시제품(試製品)에 대한 역사적 기록, ⑨ 시제품의 시험, ⑩ 공정제원(工程諸元)의 확립, ⑪ 제품의 평가, ⑫ 제조공정의 검토, ⑬ 신뢰표준의 확립 등이 필요하다.

구입자재관리[편집]

購入資材管理

이는 견본에 합치되는 품질의 부품을 수입·보관하는 일이다. 구입자재 관리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납입자의 능력평가, ② 납입자에 의한 보증, ③ 품질의 검사, ④ 경제적 검사방법(표본방법)의 선정, ⑤ 검사성능의 판정 등.

제품관리[편집]

製品管理

이는 불량품의 관리와 공장으로부터 시장까지의 제품관리가 포함된다. 제품관리를 위하여는 ① 공정 중의 품질관리와 제품 최종검사에서의 품질계획, ② 공정능력의 조사, ③ 공정발췌, ④ 관리도(管理圖), ⑤ 공구·제품의 관리, ⑥ 작업자의 훈련, ⑦ 제품 불만의 분석, ⑧ 품질코스트, 시장에서의 품질기술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특별공정조사[편집]

特別工程調査

이것은 불량품의 원인을 규명하고, 품질특성을 개량하기 위한 조사 및 시험활동이다.

품질관리와 통계학[편집]

品質管理-統計學

품질관리 분야에서 이용되는 통계적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도수분포(度數分布) ― 품질특성의 도수·평균품질·품질의 분산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2) 관리도(管理圖) ― 품질의 허용한계를 상한선·하한선으로 구분하고, 품질의 특성을 시간적으로 비교한다.

(3) 발췌표 ― 제조 또는 납품시 품질의 합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검사 대상품목의 통계적 샘플을 추출한다.

(4) 특수상품 ― 상관(相關)분석·분산분석 및 공차(公差) 분석 등의 방법도 특수한 문제의 해석을 위하여 이용된다.

포장·운반관리[편집]

포장관리의 의의[편집]

包裝管理-意義

포장관리란 제품의 보호·수송·분배 등 상품화 계획의 기초가 되는 공업포장(工業包裝)의 측면과, 미학(美學)·색채학·심리학·인쇄기술·가공기술·특허법 등과 관련되는 상업포장(商業包裝)의 일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포장관리는 2가지 측면을 조화시켜 제품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기능이다.

포장관리의 내용[편집]

包裝管理-內容

생산과정에서의 포장관리生産科程-包裝管理

포장재료의 수입 및 보관, 포장작업의 관리가 있다.

포장재료의 수입 및 보관은 생산계획에 따라 포장재료가 적시에 입고(入庫)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이다. 포장재료의 검사기준은 다른 관련부서와 협의에 의하여 작성되어야 하며, 보관에는 변색(變色)이나 노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조치되어야 한다.

포장작업의 관리는 수작업(手作業)에 대한 관리와 기계작업에 대한 관리로 구분된다. 수작업에 대한 관리는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간공학적(人間工學的) 고려와 작업환경의 정비가 필요하다. 기계작업에 의한 포장은 다품종을 동시에 제조, 적정위치에 삽입하는 특징이 있다.

조사·시험연구·개발과정에서의 포장관리[편집]

調査·試驗硏究·開發過程-包裝管理 조사 및 개발부는 시장조사·구매 동기와 소비자의 구입 후 반응조사, 타사와의 비교, 디자인 테스트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시험연구부는 포장재료의 물리적·화학적 실험을 행하며, 종합적 수송방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다.

디자인 제작에서의 포장관리[편집]

design製作-包裝管理

디자인부의 업무내용은 디자인의 제작·인쇄 및 가공의 관리, 카피(copy)의 제작 등이다.

기타 부문에서의 포장관리[편집]

其他部門-包裝管理

기타부문에서 포장관리와 관련되는 사항은 포장재료의 구입부터, 판매를 중심한 포장관리, 등록(용기의 형태·실용신안·의장특허 등)에 관한 포장관리, 회의조직(제품개발회의·상품화계획회의·포장회의 등)에 의한 포장관리 등이다.

운반관리의 분석[편집]

運搬管理-分析

운반관리 대상은 단순히 물품의 이동에 국한되지 않고, 제품의 적개·납품·취급방법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운반관리의 분석은 운반의 현상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적출(摘出)함으로써 운반량·운반거리·운반노동력·경비 등을 절감하고, 운반 능률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

운반경로의 분석[편집]

運搬經路-分析

공장이나 작업장의 배치도에 의하여 운반경로를 기입하고, 이것에 의하여 자재 또는 부품의 흐름을 분석한다. (〔그림 2〕참조).

운반공정의 분석[편집]

運搬工程-分析

위〔표〕의 a·b와 같은 기호에 의하여 자재·부품의 흐름, 제품의 흐름을 분석하고, 운반거리(運搬距離)·운반시간·수량·중량(重量)·운반도구·운반장소·작업자 등에 관한 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운반공정의 분석은 운반상의 불합리점을 발견하고 그 개선점을 연구함으로써 운반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운반활성분석[편집]

運搬活性分析

활성분석은 운반과정에 있어 대기나 정체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운반과정을 활성계수(活性係數)로 나타내고, 그 개선점을 발견하는 분석 방법이다.(〔표〕의 c 참조). 대체로 운반활성이 0.5 미만이면 손수레나 컨테이너를 활용하고, 0.5∼1.3 이면 수압차(手押車)·동력운반차·간이컨베이어를 활용, 1.3∼2.3 이면 리프트 트럭·컨베이어·트레일러 방식의 도입, 2.3 이상이면 운반설비·관리방식의 검토로 운반공비 절감의 여부를 검토한다.

모형운반분석[편집]

模型運搬分析

운반공·차량·운반구에 실제로 물품을 적재하지 않고, 운반경로를 추적, 운반방법·경로·운반업무의 분담사항을 검토하여 개선점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운반합리화의 원칙[편집]

運搬合理化-原則

운반합리화는 단위하중(單位荷重) 방식이 원칙이며, 운반의 설계·개선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물품의 활성관계 ― 활성화물의 원칙, 단위하물방식, 팔레트방식, 취급 중복의 배제, 트레일러 열차방식

(2) 운반의 기계화관계 ― 중력의 이용, 기계화, 운반의 자동화, 운반작업간의 중계

(3) 작업대기관계 ― 작업량의 공정한 분배, 운반자·운반량의 균형·진자(振子)방식의 채용, 정시운반 방식, 운반가동률의 향상

(4) 이동경로 관계 ― 설비나 작업장의 적절한 배치, 운반경로의 직선화

(5) 기타 ― 운반속도의 증대, 면적·공간의 효과적 활용, 물품보호 원칙, 운반작업의 안전성, 운반구의 자체 하중 경감, 설비의 신속한 보수

배치[편집]

配置

제품별·기능별 배치 製品別·機能別配置

배치의 설계에 있어서는 생산될 제품종류와 생산량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방침을 세운다.

(1) 제품별 배치 ― 제품의 가공순서에 따라 기계·작업을 배치하는 흐름방식. 제품을 정위치(定位置)에 두고 부품·기기(機器)를 거기에 모으는 고정방식

(2) 기능별 배치 ― 동종류의 기능을 갖는 기계·작업을 모아서 자재를 이동시키는 집약방식

상호관련 분석에 의한 배치[편집]

相互關聯分析-配置

배치할 작업장 또는 기계설비의 상호관련을 찾아 그 관련하에 기본적 배치를 설정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림 3〕과 같이 작업장·기계설비의 상호간의 근접성과 그 이유에 관해 기호·코드번호로써 기입한다.

(1) 근접성 ― 절대 필요(기호 A, 結線數 4줄), 특히 필요(E, 3줄), 중요(I, 2줄), 보통의 근거리(O, I줄), 불필요(U, 없음), 부적함(X, 波線 1줄).

(2) 이유 ― 예(例):① 물건의 흐름, ② 관리의 용이성, ③ 환경조건, ④ 품질보존

이 상호관련도(相互關聯圖)에 따라 각 작업장·기계설비를 규정된 수의 선으로 연결하고 상호관련 다이어그램을 그린다(〔그림 4〕. 이때 결선(結線)이 많은 곳은 가까이 하고, 파선(波線)인 곳을 떼어 기본적인 배치를 설정한다.

소요면적의 할당[편집]

所要面積-割當

작업장·기계설비를 적정한 소요면적을 결정하고, 이것을 상호관련 다이어그램에 의해서 대지의 형상(形狀)에 적합시켜서 배치안을 작성한다.

배치평가[편집]

配置評價

이와 같이 작성된 몇가지 배치안에 관하여 각각의 조건·입장을 고려하면서 다음과 같은 점에 대해서 평가를하여 그 최적안을 선정한다. 즉, 투자액 미관(美觀), 관리의 용이성, 스피드의 이용, 안전성, 변경에 대한 융통성 확보, 확장에의 탄력성, 자재경로, 환경적응성, 보수유지의 용이성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