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종합경영의 기초지식/경영의 환경/경영의 환경일반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기업과 국민경제

[편집]

企業-國民經濟

기업과 국민경제의 관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국민경제가 일체의 기업경영을 포괄하여 성립하는 포괄 구성체(包括構成體)이고, 기업경영은 국민경제의 내부에 포괄되어 존재하는 내재구성체(內在構成體)로서, 상대의 존립을 서로 보장, 자기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 공동적인 생활결합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즉, '국민경제의 내재구성체'는 기업의 본질적인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고, 기업의 적정 규모 및 조업도(操業度) 기준 같은 것도 본래는 이런 관계 속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기업경영과 국민경제와의 관련으로서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경제의 자동적 구성·발전을 적극적으로 실현하고 있는 사회적 기능이 기업의 직위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가 구비하고 있는 완전경쟁, 가격기구에 의한 자동적 조절작용, 영리주의의 특질은 실제로 사기업(私企業)의 자기구성을 매개로 하여 국민경제의 구성·발전이 자동적으로 실현되기 위한 3가지 기본적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구조와 국민경제

[편집]

産業構造-國民經濟

기업과 국민경제가 2가지 관계에서 결합된 공동체인 것과 마찬가지로, 산업구조는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일부분이다. 따라서 산업구조의 특색이나 고도화는 곧 국민경제 그 자체의 특색이나 고도화를 의미한다.

본래 국민경제는 내부에 존재하는 일체의 개별경제(가정과 기업)를 통일적으로 질서화함으로써 성립된 포괄 구성체이지만, 그 내부적인 질서화의 과정은 단계적이다. 한편으로는 일체의 가정을 포괄하여 한 국가의 산업질서가 구성되고, 이들 질서를 서로 통일시킴으로써 국민경제의 생활질서가 되는 것이다. 이 산업질서의 내부구성은 3가지 계층으로 된 중층적(重層的)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최하위계층에는 개개 기업이 구성되고, 다음에 중간계층에는 동종(同種)상품의 생산·공급에 걸친 일체의 기업이 통일된 특정의 산업부문 또는 생산부분을 구성하고, 상층에는 전 종류의 산업부분이 통일된 한 나라의 산업체계가 되며, 이들 3가지의 계층으로 된 중층적 구성양식을 산업구조(産業構造:industrial structure)라고 불린다.

따라서 산업구조의 변화 또는 고도화라고 하는 것은 이들 3계층의 중첩적 구조의 변화 또는 고도화, 즉 산업구조에서 분업적 기업형태로 기계적 경영 → 고속도 경영 → 조화적(調和的) 경영이라는 진화 또는 산업부문 구조에서의 기업집중 및 독점화 경향, 산업체계 내부에 있어서의 소비재, 생산부문에 대한 생산재, 생산부문의 구성비율 증대 등인 것이다.

중층적 산업구조 가운데 중심적이고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은 상층의 산업체계 구성으로서, 보통 협의(狹義)의 산업구조라고 할 때에는 이 산업체계의 내부적 구성양식만을 말한다. 이 협의의 산업구조는 한 나라의 산업체계가 어떤 종류의 산업부문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문은 어떤 산업규모를 갖는가 하는 각 산업부문과 전체와의 비례성 및 각 부문 상호간의 비례성을 명확히 함으로써 수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생산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다음 3가지 기본과제에 따라 지표를 구할 수 있다. (1) 생산물 공급(W2)과제를 지표로 하는 경우 ― 한 나라의 국민총생산 중 각 산업부문별 생산액 비율은 각국 산업구조의 국제적 비교가 가능하고 한 나라의 산업구조가 갖는 국제적 특질, 고도성·저도성 및 국민경제의 선진성·후진성 그리고 현재의 산업구조와 과거의 산업구조의 비교에서 역사적 발전에 따른 고도화의 속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2) 생산재 수요(W`_1` )를 지표로 하는 경우 ― 취업노동자수와 임금총액 또는 전력소비량·동력량(動力量)에 의해 산업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3) 투하화폐 자본액(G )을 지표로 하는 경우 ― 기투하(旣投下) 실비자본이나 신규투하자본과 경영자본을 지표로 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생산성 향상과 국민경제

[편집]

生産性向上-國民經濟 생산성의 의의는 산업구조의 3가지 과제와 3계층의 관계에 의해 해석·규명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생산성의 의의는

(1) 생산재 사용량과 생산물 산출량과의 비율

으로 파악되고,

자본생산성 으로 파악되며

(2) 산업구조의 내부 3계층의 문제로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은 ① 각종 생산요소의 기술적 합리화에 의한 개별적 생산성 향상, ② 생산공정 구성과정을 기술적으로 합리화한 결합적 생산성 향상, ③ 경영체 구성과정을 합리화하여 얻는 경영적 생산성 향상, ④ 생산량의 결정(), 생산재 수요량 결정(), 화폐자본 조달량 결정()을 합리화함으로써 생기는 기업경영적 생산성 향상으로 나눌 수 있고, 산업부문 생산성 향상은 산업계층의 3과제인 부문총생산량(), 생산재 수요량(), 자본조달량()의 적정화(適正化)와 적정배분에 실현되며, (3) 국민경제적 생산성 향상은 산업체계 계층의 3과제인 국민총생산(), 국민경제의 생산재 총투입량(), 국민경제총자본량() 적정화와 각 산업부문에의 적정 배분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3계층의 생산성 향상 사이에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이 산업부문 생산성 향상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이를 매개로 하여 국민경제 생산성 향상에 공헌하는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면 국민경제의 생산성 향상의 계기로 되는 국민경제의 적정규정 및 각 부문간의 적정배분과제, 또 산업부문 생산성 향상과 같은 과제들은 하층의 개별기업(個別企業)이 생산의 3가지 경제적 과제인를 극대이윤으로 하였을 때 종합적 결과로서 무계획적이면서도 자동적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경기순환과 기업경영

[편집]

景氣循環-企業經營

국민경제의 변동으로서의 경기순환이 기업경영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지의 사실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기변동은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는 국민경제의 기능적 구성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개별기업의 주체적 변동에 따라 일어난다.

따라서 경기순환과 사기업(私企業)의 경기활동과의 관계를 2가지 관점에서 취급할 수 있는데 첫째, 기업경영이 경기순환을 여건으로 하여 적응·운영되어 가는 관계이다. 자본주의 하에서의 기업경영은 유통경제적 변동의 위험에 따른 투기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기업의 운영은 기술생산성 향상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유통경제의 경기순환에 지배받게 된다. 이 경우 기업경영자는 경기변동에 관심을 갖고 소극적 방어가 아니라 적극적 활동으로 경기변동을 이용, 고도 성장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로는 경기변동이 기업가 활동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경우이다. 자본주의적 경기변동은 국민경제의 구성·발전을 영리주의적 구성을 매개로 한 사기업(私企業)의 무계획적·자동적인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순은 자유주의 기구의 자동적 조절작용 및 완전경쟁과 가격기구의 기능에 의해 자연적으로 해결되지만, 오늘날에는 자본주의 체제에 수정을 가하여 ① 정부가 이를 통제적으로 간섭 해결하거나, ② 기업 내부구조에 경영전문가를 두어 경영목표를 합리적인 것으로 하는 방법, ③ 기업경영에 노동자·자본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법, ④ 기업경영자 자신이 사회적 책임을 인식, 합리적으로 운영하는 방법 등으로 모순을 해결해야 한다.

기업과 정치

[편집]

企業-政治

자유자본주의 경제하에서는 자유방임정책의 채용으로 경제와 정치는 엄중히 구별되며 국가는 경제에 간섭하지 않고, 경제는 자신의 경제법칙과 사회요인에 의해 자전(自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경제와 정치 사이에는 서로 삼투(渗透)현상이 있음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입증되고 있다. 이리하여 미국의 경제에서도 구조적 변화가 생기고 있는데, 이를 정치와 경제의 삼투화(渗透化)라고 하는 학자도 있지만, 보통 기업과 정부의 긴밀한 문제로 취급하고 있다.

경영학적 고찰에서는 경제와 정치의 상호 삼투화를 기업과 정부의 관계변화(關係變化)로 보고, 구체적으로는 양자의 긴밀한 관계형태로 취급, 외부관계의 변화가 기업경영 내부에 미치는 영향은 따지지 않는다. 그러나 기업과 정부와의 관계를 연구할 때 중시되는 것은 ① 기업자체의 변화와 정부의 변화는 동시에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지고, ② 경제조직과 정치조직의 차이에 따라 양자의 관계는 변화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한편, 국민소득과 기업경영의 관계는 부유경제(富裕經濟)에서의 기업과 정부의 관계가 빈곤경제(貧困經濟)에서의 기업과 정부의 관계와 다른 것처럼, 서로 상이한 점을 지니고 있다. 즉, 국민소득을 나타내는 국민총생산과 정부예산의 경비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정부경비의 비중증가는 경비내용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되며, 이는 곧 기업경영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산업정책과 경영방침

[편집]

産業政策-經營方針

기업과 정부의 관계가 긴밀해지는 것은 경제정책 및 산업정책이 개개 기업의 경영방침 결정에 기반과 여건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물론 사회주의 경제가 아닌 민주주의 경제에서는 기업이 자주적으로 경영방침을 결정하는 것이지만, 정부의 경제정책 및 산업정책은 기업의 경영정책에 대해 하나의 기틀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대기업과 같이 국민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민간기업의 자주적 정비는 정부의 산업정책 발흥에 제약적 요소가 되며, 정부의 경제정책 및 산업정책 자체도 자유기업(自由企業)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경제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여 자유방임적인 자유사기업(自由私企業)체제의 결함을 시정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부의 경제정책 지도목표는 경제의 안정적인 발전과 완전고용이다. 이 2개의 목적은 항상 조화되어 있지 않으면 인플레이션의 위험을 초래하므로, 경제정책과 산업정책의 중요한 임무가 된다. 또한 기업이 대규모화되면 장기계획을 기초로 한 경영정책을 채용하게 되는데, 이때 정부의 장기 산업정책(長期産業政策)이나, 경제정책이 기업의 장기경영정책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정부의 정책 및 경제 자체가 안정되었을 때 가능한 것이다.

정부의 경제정책 내용은 여러 가지 견지에서 여러 유형이 있으나, ① 사기업 통제의 방법으로서 또는 사기업 성립의 악조건을 보전하기 위하여 공기업(公企業)을 창설하는 방법, ② 사기업을 외부에 통제·조성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기업통제는 처음에 공기업에 한정되지만, 차츰 범위가 확대되어 완전한 자유사기업은 점차 줄어들고, 정부로부터 통제·조성을 받는 사기업이 많아지게 된다. 이때 정부는 자유사기업체제를 존중, 재정금융정책을 중심으로 한 일반 경제정책을 산업정책으로 포착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경영과 노동조합

[편집]

經營-勞動組合

노동조합의 목적은 노동조건의 유지 내지 향상에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경영과의 관계에서 노동조합의 역할을 고찰하면 소극적인 역할과

적극적인 역할로 나눌 수 있다. 소극적인 역할은 주로 노동조건유지에 관한 노력으로서, 노동협약(勞動協約)의 실시, 노동조합법의 이행에 대하여 경영자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적극적 역할은 적극적으로 노동조건 향상을 꾀하는 것으로서, 경영과의 관계에서 경영관리문제에 관심을 갖고 적극 참여, 제반노동조건을 향상하려는 노동조합 본래의 역할이다.

노동조합의 발전은 경영관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해자집단중 가장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것은 노동조합이다. 또 동시에 경영관리의 전개방식은 노동조합조건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경영관리와 노동조합 사이에는 상즉적(相卽的)인 발전관계에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동조합이 경영관리에 관심을 갖는 일은 극히 드물다. 이것은 노동조합의 경영관리는 경영자가 담당하는 임무라고 간단히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 경영자가 노동조합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이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또는 실제 문제에 있어서 노동조합은 경영관리 발전에 저해자(阻害者)가 아니라 촉진자이며, 경영관리는 경영자의 문제만이 아니라 노동조합 자신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노동조합의 역할은 경영관리를 스스로의 문제로 생각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진정한 의의로 실현하는 것이다.

노동조합의 기능은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므로 그 역할에도 상위(相違)가 있다. 그러나 노동조건의 획득을 위한 노동협약체결의 역할, 그리고 조합원의 생활향상을 위한 복리후생 시설을 충실히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더 나아가서 조합원의 조건이나 생활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동조합의 경영권

[편집]

勞動組合-經營權

노동조합이 발전함에 따라 점차로 단체교섭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대하여 경영자는 경영권의 문제로 단체교섭의 범위를 '일정하게 한정'하려는 주장을 내세운다. 또한 '일정(一定)'의 정도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주장을 하고 있는바, 1945년 미국의 경영권위원회는 경영권이란 오해(誤解)를 피하고, 노사간(勞使間)의 분쟁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데 있어 경영자에게 주어진 권한과 책임이라고 해석했다. 이러한 임의의 경영권은 2가지로 구별되는데, ① 경영은 경영자의 권한과 책임에 속하는 것으로서, 단체교섭권의 행사가 불필요하다고 하는 것, ② 경영자가 신속히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으로서, 다만 결정 결과가 노동자 차별대우·임금 등의 노동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애로(隘路)처리기관에서 심사, 해결하면 된다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이 경영자의 경영권 주장은 단체교섭의 범위확대가 경영관리에 대한 침해라고 하는 데 대해 노동조합은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경영권의 주장은 노동자가 받아들이지 않는 한 성립할 수 없다. 결국 이러한 분쟁은 그 문제의 초점이 경영관리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현대적 현상을 검토하고, 노동조합과의 관련을 규명함으로써 분명히 할 수 있다.

근대경영과 PR

[편집]

近代經營-

전근대적 기업경영의 목적이 일시적 번영이나 당장의 이윤추구에 두는 경향이었으나, 오늘날의 경영목표는 기업의 제도화(制度化)로써 영속적 번영과 반영구적인 이윤을 확보하는데 두게 되어 근대 PR의 목표도 장기적 내지 반영구적 채산을 목표로 실시된다.

PR은 퍼블릭 릴레이션(public rellation:公衆關係)의 2문자를 딴 약어로서, 이의 어의해석은 미국 PR협회(Public Relation Society of America)의 정의에 의해 다음의 3가지로 나눈다. (1) PR상황으로서 정의 ― PR이란 조직체에 의해 공중이 갖는 이해를 조장하는 활동상황 또는 성공정도를 말하는 것이다. (2) PR활동 또는 PR직무(職務)로서의 정의 ― PR이란 조직체가 자신을 사회에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공증(special public)에게 건전하고 생산적인 관계를 건설·유지하려는 활동이다. (3) 전문기술 또는 전문가 업무로서의 정의 ― PR이란 공중관계적 제활동을 조직·개척하기 위한 기술(art) 또는 전문가업무(profession)이다. 여기에는 각종 전문기술에 대한 특수기술과 기능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에서 PR중역·PR담당자·PR고문·PR상담역 등의 용어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PR활동 또는 PR업무의 의미를 말하는데, PR활동은 좋은 관계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PR활동에는 PR상황·PR 전문기술을 필요로 하며 포함된다. 여하튼 PR활동은 각종 공중층 사람들과의 굿윌 릴레이션스(good will relation)와 또한 굿윌(good will)을 확보하려는 각종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기업체 또는 회사를 둘러싸고 있는 공중층(公衆層)에는 내부공중층·외부공중층·제3자공중층의 3인간군(人間群)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부공중층은 기업경영가에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자들로서, 주주·종업원들을 말하고, 외부공중층은 기업경영자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외부적인 것들로서, 고객·거래처·동업자를 말한다. 또한 제3자공중층(第三者公衆層)은 기업경영자와 간접적인 관계에 있는 지역사회 주민이나 일반공중을 말하는데, 이들은 PR의 대상이 되고 있고, 서로 이해관계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근대적 PR은 궁극적으로 경영관리자를 중핵으로 하여 내부공중인·외부공중인·제3자공중인의 이익을 조화시키는 것을 기초적 원리로 해야 한다.

PR방법

[편집]

-方法

PR은 흔히 커뮤니케이션이나 광고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는데, PR을 깊이 고찰하면 커뮤니케이션이나 선전보다 더욱 넓은 내용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품 자체가 PR을 위한 기초가 되기 때문에 제품이 고객의 구매의욕(購買意慾)을 일으키지 못하면 좋은 PR상황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우수한 제품만으로는 완전한 PR 상황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다른 요소들의 역할을 추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좋은 PR 상황을 획득하는 데에는 다음의 3가지 방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즉, ① 구체적 실익(實益), ② 타인에 대해 바람직한 대인관계를 취할 것, ③ 정확·적절한 통보를 할 것 등이 그것이다.

종업원 및 주주와의 관계

[편집]

從業員-株主-關係

종업원·기업관리자와 양호(良好)관계는 회사운영을 원활히 하는 기초가 되므로 경영자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 양호관계를 획득·유지하여야 한다. 즉, ① 종업원에 물질적인 이익을 제공할 것, ② 종업원 개개인을 존경하면서 접촉할 것, ③ 종업원에게 항상 거짓없는 경영상황을 알려 줄 것 등이다.

종업원에게 영업실적의 고하에 관계없이 높은 급료를 지불하려고 노력하고, 복리후생에 심혈을 기울이면 종업원의 사기와 충성심은 저절로 높아져 경영관리자와의 양호관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경영관리자와 종업원이 서로 엄격한 공사관계(公私關係)는 지켜가며, 인간적인 존경을 중요시 하면 양호관계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영관리자가 종업원에게 사보(社報)·편지·방문 등의 커뮤니케이션과 회사경영 방침을 정확히 통보, 경영참가에 적극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좋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주주와의 관계에 있어서 경영관리자는 영업실적을 높여 주주에게 물질적 이익배당에 혜택을 주어야 하고, 주주와의 접촉에 친절하여 좋은 인상을 주어야 한다. 그리고 '주주통신(株主通信)', '영업보고서' 등으로 경영상황을 정확히 통보, 투자에 신뢰감을 갖게 하여야 한다.'

소비자 및 취급점과의 관계

[편집]

消費者-取扱店-關係

소비자에게는 고객인 소비자와 고객이 아닌 소비자가 있는데, 특정상품 애용자로서의 구매자가 고객으로서 기업경영의 외부공중층을 이루며, 이들은 '고객은 왕'이라는 의미와 그 회사의 지원자라는 의미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가 된다. 이러한 고객과 양호관계를 갖기 위해서는 고객과의 굿윌(good will)을 위하여 우수제품을 생산·제공하며, 판매방법·판매원의 태도가 친절하고 존경심이 있어야 한다. 또한 회사의 기본방침이나 제품에 대해 계속 빠르고 적절한 방법으로 신문·잡지·라디오·TV·전람회 등의 광고·선전에 의해 고객의 애호를 획득해야 한다.

한편, 자사(自社)제품을 취급해 주는 대리점·소매점은 취급자로서의 고객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즉, 고객)보다도 실질적인 이익을 주도록 하는 것이 PR을 위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자사제품 취급자로 하여금 회사의 공동운영자로 생각하게 되고, 채산이 좋은 운영으로 적극 협력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광고와 진열의 원조, 회계업무의 지도, 각종 전시회와 강습회 개최 등으로 판매업자가 협력하도록 이끌어가야 한다.

일반공중과의 관계

[편집]

一般公衆-關係

일반공중은 공중을 구성하는 개인의 집합이다. 따라서 개개 공중적인 여러 개인을 중시하고, 그 개인들과의 양호관계 수립이 일반공중과의 양호관계 수립의 근저가 된다. 현대적인 사회구조에 있어서 일반공중의 개개인은 정치상의 주권자로 되어 있는데, 법률이나 풍습은 이 일반 공중적 여러 개인의 다수 의견에 의해 변화하고 있으므로 기업경영에 거의 관계가 없는 일반공중도 이러한 의미에서 중요한 존재가 된다. 따라서 기업은 지역사회에 박물관을 기증하거나, 병원을 설립함으로써 일반공중에게 구체적인 이익을 주고, 이에 따라 일반공중과의 양호관계를 수립해야 한다. 또한 제품개발에 의한 욕구충족, 납세에 의한 일반공중에의 혜택, 기업의 바른 이해 등도 양호관계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민주주의 사회는 민의(民意)에 의해 운영되는 사회이며, 민의의 보호와 지도를 담당하는 것이 행정관리와 보도진이다. 행정관리와 보도진은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고와 국민의 침해에 대해 통제와 감시의 임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기업은 행정관리에 대하여 자진 납세·준법·지시복종 등으로 적극 협력, 기업의 정직함을 알려야 하며, 항상 밀접한 관계로서 양호관계를 수립해야 한다. 보도진에 대해서는 항상 밀접한 관계를 갖고서 사내 뉴스를 제공, 취재에 협조하여 친밀감을 유지하고, 회사뉴스가 올바르게 전달되게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