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종합경영의 기초지식/현대기업과 경영/현대기업의 경영〔서설〕
現代企業-經營〔序說〕 현대 산업사회에는 소수의 대기업과 다수의 중소기업이 존재한다. 그런데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자기의 하청공장(下請工場) 또는 제품의 판매점으로서 그 지배 하에 둠으로써 생산공정의 합리화나 판매시장의 확보를 유리하게 전개하려는 경향이 생긴다. 대기업이 중심이 된 몇 개의 중소기업과의 수직적 결합이 곧 기업의 계열화(系列化:lineup of enterprises)이다. 한편 최근에 이르러 기업집중이 기술혁신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데, 그 한 가지가 콤비나트이다. 콤비나트(combinat)란 독립 기업이 기술적인 합리화를 목적으로 다각적으로 경영하는 형태이다. 또 타회사와의 합병(合倂)이나 매수(買收)에 의한 다각형(多角形) 경영을 위한 컨글로머리트(conglomerate)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 거대화된 기업(big business)은 더 나아가 국제간의 합작투자(合作投資:joint venture) 내지 해외에서 직접투자를 전개하여 이른바 다국적기업(多國籍企業:multinational co.)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것은 초국가적인 기업형태로 세계기업(世界企業:world enterprise)이란 이름으로 불리어진다. 이와 같은 기업 형태는 기업집중의 고도화에 따른 새로운 경향인 것이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은 현대기업의 특색에 따라 경영도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첫번째는 마케팅 중심의 경영이다. 종전에는 생산지향적(生産志向的) 경영이었는데 지금은 시장지향적(市場志向的) 경영으로 바뀌고 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소비수요 증가율보다 생산력 증가율이 높아서 수요·공급의 균형을 이룩하려면 기업은 먼저 수요창조를 해야 하고, 기업의 대소를 막론하고 판매경쟁이 격화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현대기업은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에 역점을 두고 있다. 제품은 수명주기(壽命週期:life cycle)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제품이 출현한 후 성장기·성숙기·포화기를 거쳐 어느 땐가는 쇠퇴하는 과정을 밟는데 기업이 계속 성장하려면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을 항상 염두에 두고 신제품을 위한 연구개발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연구개발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데 기업소속의 연구소 또는 공동연구기관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와 아울러 기술혁신도 부단히 계속된다. 기술혁신(innovation)이란 생산시설 및 제조공정이나 원재료의 채용이 종전과 전혀 다르게 새롭고, 경영관리의 기술면에서도 전에 볼 수 없던 새로운 것을 모두 포함해서 한 말이다. 현대경영의 세 번째 특색은 생산의 자동화(自動化)와 계수적 관리기술의 발전이다. 공장에서의 작업은 이제까지와 같이 사람과 기계, 사람과 장치라는 결합관계가 아니고 사람이 미리 일정한 명령을 자동기계(自動機械)에 입력해 놓으면 작업은 기계만의 활동으로 정확·민첩하게 진행되고 운반이나 품질의 유지도 사람의 손을 빌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직접 작업을 관리하는 사람은 거의 필요없게 되고 기계가 행하는 작업관리의 상황은 모두 중앙관리실에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기계에 의한 자동화는 생산관리에서뿐만 아니라 관리기술의 영역에도 확대되고 있다. 경영관리의 계수면의 전통적 기법은 과거에는 복식부기(複式簿記)를 주축으로 한 회계계산과 이른바 상업수학에 의존하는 것이 고작이었는데 이제는 전자계산기의 개발로 경영전반의 사무능률의 향상은 괄목할 만한 바가 있다. 또 경영관리면에서의 의사결정도 수리적인 기초 위에서 객관적이고 과학적 수법에 의존하게 되었다. 오퍼레이션스 리서치(OR)는 그것의 보기의 하나이다. 이것은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해답을 주기 위해 적용되는 과학적(수리적) 방법인 것이다. 네 번째는 경영의 집단화와 국제화의 경향이다. 오늘날 선진국은 선진국 나름대로 번영의 지속을 위하여 그리고 후진국은 경제적 자립을 위하여 장기 경제개발계획을 실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 지역사회개발의 문제는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가나 공통적인 관심사가 되어 있다. 정부는 법적 규제와 필요한 조성책에 의거, 산업의 지역적 발전을 기도하고 있는바, 경제활동의 담당자는 결국 기업이기 때문에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공적 시책과 사적인 기업활동이 결부되는데, 대기업의 콤비나트, 중소기업의 공업단지, 위성도시로서의 주택단지의 조성을 보는 것이 그 예이다. 또한 오늘날은 산업공해(産業公害)의 문제가 중시되어 공장의 입지(立地)와 장치시설이 공해 예방의 관점에서 신중히 다루어지고 있다. 이런 것들은 집단적 경영이란 새로운 경영이념을 낳게 한다. 끝으로 국제간의 기업 공동투자·공동결정의 형태가 국제적인 경제협력이란 이름 아래 세계 각국에 퍼져가고 있다. 선진국 상호간 뿐만 아니라 선진국과 저개발국가 사이에도 많이 성립된다. 선진국간의 공동투자는 기업집중의 국제화 경향이며 선·후진국가간의 그것은 선진국의 고도의 자본·기술과 후진국의 저렴한 노동력과의 결합으로 유리한 국제적 경영을 전개하려는 데에 의도가 있다. 다국적기업 내지 세계기업은 현지주의(現地主義) 생산과 국별시장(國別市場)의 마케팅 정책을 채택하고 경영전략도 전세계적인 관점에서 전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