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동양의 사상/중국의 사상/송·명의 사상
송·명의 사상
[편집]宋·明-思想
중국 송명대 사상의 특징은 한(漢)·6조(六朝)·수(隋)·당(唐) 시대의 유가(儒家)·도가(道家)·불가(佛家)의 3교정립을 지양 종합함으로써 유가를 중심한 3교합일의 사상이다. 그 특색은 이기(理氣) 심성(心性)의 연구로서 이기는 철학상의 본체론적 실재이며, 심성은 심리(心理) 윤리의 문제로서 이기심성의 학은 천(天)과 인(人)을 일관적으로 보려는 것이다. 그런데 전자는 특히 노장(老莊)의 세계관을, 후자는 특히 불교의 선종(禪宗)의 심성론을 받아들여 유교를 심화(深化)한 것이라 하겠다. 기(氣)는 우주구성의 소재로서 음양(陰陽)의 기운 즉 힘으로서 자연과학상의 에너지이며, 이(理)는 기의 운동이나 작용의 조리(條理)로서 철학적으로는 원리(Principle)·형식(Form)·로고스(Logos)·이데아(Idea)·규범(Norm)·당위(Sollen)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과학적으로는 법칙(Law)의 뜻이다. 우주를 근원에 있어 기 하나로 보는 것은 기일원론(氣一元論)이요, 이와 기의 두 개로 보는 것은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다. 따라서 물심(物心)의 일체현상이 기 또는 이기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사람의 심성을 논함에 있어서도 심(心)을 기 또는 이기로 보게 된다.
그리고 그 본체를 체(體)라 하고, 그 작용을 용(用)이라 하여 체와 용으로 구별하는데, 용이란 본체와 현상으로 구별할 때의 현상과는 그 개념이 다르다. 북송(北宋)의 대표적 철학자로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 등이 있고, 남송의 대표자로 주희, 육구연 등이 있으며, 명대에는 왕수인, 나흠순, 유종주 등이 유명하다. 주돈이(1017-1073)는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통서(通書)>를 지었다. 그는 우주의 근원(體)을 '무극이 태극(無極而太極)'이라 하여 이 태극이 그 자체의 동정(動靜)에 따라 음(陰)과 양(陽)으로 분화되며, 양이 변하고 음이 합함으로써 수·화·금·목·토(水火金木土)의 5행(五行)이 된다. 무극의 진(眞)과 음양5행의 정(精)이 묘합(妙合)하여 응취함으로써 만물이 화생(化生)한다.
그러니 만물은 그 근원에 있어 1태극(一太極)이므로 일체가 각기 한 태극으로서의 자성(自性)을 가진다고 하여 각일기성(各一其性)이라 했다. 따라서 인성(人性)은 체로서는 태극이니, 그 본래상을 성(誠)이라 하여 이것을 인극(人極)이라 불렀다. 인극은 적연부동(寂然不動)으로서 순수지선(純粹至善)인 성(誠)이나, 그것이 대상물에 접할 때 선과 악으로 나누어진다 하여 성선설과 성악설을 종합했으며, 특히 주정(主靜)과 무욕(無欲)으로써 수양을 강조하였으니 노불(老佛)사상을 섭취한 것이다. 소옹(邵雍, 1011-1077)은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를 지어 선천학(先天學)을 논했다. 소옹은 태극을 일동일정지간(一動一靜之間)이라 정의하였다. 태극의 동정(動靜)에 따라 음양강유(陰陽剛柔)로 분화되며, 음양은 천(天)의 4상(四象)으로서 일월성신, 강유는 지(地)의 4유(四維)로서 수화토석(水火土石)이 된다. 4상과 4유는 천지의 본체로서 선천이며, 4상과 4유의 교운(交運)으로써 현상세계란 후천(後天)이 생성되는 것이다. 소옹은 한·당 이래의 5행사상을 취하지 않고, 4수(四數)로써 모든 것을 설명한다. 그리하여 선천학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기준을 정하여 천지의 운행 괴멸과 인물(人物)의 소장(消長) 성쇠(盛衰) 및 역사 지리 등을 해명하려 했다.
그리고 심(心)을 태극이라 하고, 도(道)를 또 태극이라 하여 물심일원관(物心一元觀), 만물일체관(萬物一體觀)의 입장에 서서 인식의 객관주의를 주장함으로써 관물철학(觀物哲學)을 이루고, 천(天)을 인(人)에게로 끌어내려 인간본위론(人間本位論)을 확립했다. 장재(張載, 1020-1077)는 <정몽(正蒙)> <서명(西銘)>을 지어 태허(太虛)를 논했다. 태허란 우주공간과 기(특히 본체)를 합한 개념으로서 태극과 흡사한 것이다. 태허의 동정 굴신(屈身) 즉 음양의 회합충화지기(會合沖和之氣)를 태화(太和)라 하고, 태화를 곧 도(道)라 하여 기일원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로서 천지만물일체지인(天地萬物一體之仁)의 사상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인성론에 있어 만인동일한 천지지성(天地之性)과 만인 유차(有差)한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누었으며, 기질지성을 천지지성으로 돌이킬 것을 강조하고, 일기(一氣)의 유무혼일지상(有無渾一之常)을 우주의 진상(眞相)이라 하여 불가의 영혼불멸설과 도교의 신선영생설을 공격했다. 정호(程顥, 1032-1085)는 태극을 말하지 않고, 건원일기(乾元一氣)의 분화를 말함으로써 현상계의 차별상을 진상(眞狀)이라 보게 하고 성론에 있어 선악공재(善惡共在)를 생(生) 즉 삼의 진상이라 했다. 그는 생(生)을 성이라 이르고, 성을 기라 하여 성즉기(性卽氣), 기즉성(氣卽性)이라 함으로써 우주론에 있어서도 도즉기(道卽器), 기즉도(器卽道)를 주장하여 본체와 현상을 일체(一體)로 보았으며, 인식론에 있어 신비적 신오(神悟)를 말하여 존구자명(存久自明)을 주장함으로써 물래순응(物來順應)하는 무위 자연의 경지를 이룰 것을 주장했다. 정이(1033-1107)는 형인 정호와 같은 계통이지만 이기이원론을 창설한 사람이다. 그는 음양은 기요, 음양하는 까닭(所以 즉 이치)은 이라 하여, 理를 體, 氣를 用이라 한다. 이와 기는 우주본체로서 형이상학적 실재요, 理의 이일분수(理一分殊)를 구체화하는 것이 기이며, 현상 세계는 이와 기의 합성이다. 심성(心性)에 있어 이는 성으로서 체요, 기는 정으로서 용이라 하고, 장재와 같이 성을 천지지성과 기질지성으로 나누어 보고, 천지지성은 만인동일로 순선, 기질지성은 만인부제(萬人不齊)로 유선악(有善惡)이라 하여 종래의 성설에 대한 제설을 종합하였다. 정호·정이 형제의 유서를 <2정전서(二程全書)>라 일컫는다. 주희(朱憙, 1130-1200)는 이기이원론의 완성자이다. 송학의 집대성자로서 특히 주돈이의 태극도설과 정이의 이기설을 종합하였다. 그는 주돈이의 태극도설에 있어서 태극을 이(理), 음양을 기(氣)라 하여 이와 기를 개념상으로 구별 분대(分對)시키고, 실제에 있어서는 이와 기의 불가분개(不可分開)를 말하였으나, 이선기후(理先氣後)의 경향을 띠었다.
성정론에 있어 정이와 같이 이(理)를 성(性)으로서 체(體), 기(氣)를 정(情)으로서 용(用)이라 하고, 성을 본연지성(本然之性 즉 천지지성)과 기질지성으로 2분하여 본연지성은 순선으로서 만인 동일한 것, 기질지성은 유선악으로서 만인유차(萬人有差)라 하고, 기질지성 중의 악을 선으로 돌이킬 것을 주장하여 거경(居敬)과 궁리(窮理)를 아울러 닦을 것을 내세웠다. 주희는 지식론에 있어 정이와 같이 경험론적 입장과 이성론적 입장을 아울러 강조함으로써 귀납법과 연역법을 모두 채용했으며, 선지후행(先知後行)의 입장을 취했다. 저서로 <주자대전(朱子大全)>이 있다. 육구연(陸九淵, 1139-1192)은 송학에 있어 이채로운 존재로 주희에 맞섰다. 주희는 정이의 경험론적 분석적 계통을 이어 정주학을 완성시켰고, 육구연은 정호의 직각적(直覺的) 종합적 계통을 이으면서 그 유래를 맹자에 두었다. 그는 주희의 이기론의 실재론적 경향에 반대하여 심즉리(心卽理)라는 유심론적 특성을 드러냈다.
그리하여 천리(天理)·지리(地理)·인리(人理)의 셋을 합하여 이(理)라 하고, 심(心)을 곧 이라 한다. 즉 모든 현상은 심의 현상이다. 따라서 성론에 있어서도 본연 기질을 구별하지 아니하고, 이로서의 본심만 밝히면 양지양능(良知良能)이 본래대로 드러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주희의 지리한 과학적 공부방법을 배척하고 덕성함양(德性涵養)에만 기울어졌다. <상산전집(象山全集)> 36권이 있다. 왕수인(王守仁, 1472-1528)은 명대의 대표적 철학자로서 육구연의 학풍을 이어 육왕학(陸王學)을 완성시켰다. 그는 심즉리(心卽理)란 유심론적 입장에서 심의 본체 본질을 양지(良知)라 하고, 사욕에 가리워져 심의 본래 면목을 흐리게 한다 함으로써 치양지(致良知)를 역설하여 대학의 이른바 격물(格物)을 정심(正心)이라 주장하고 또 지행합일을 말하였다. 심즉리, 지행합일, 치양지는 왕학(王學)의 3강령이며, 치양지의 공부로서 정좌(靜坐)를 강조한 것은 중용의 이른바 미발지중(未發之中)을 체인하려는 것이며, 이 경향은 선가(禪家)의 선정(禪定)에서 흡수한 것이다. <전습록(傳習錄)>이 있다. 나흠순(羅欽順, 1465-1547)은 정호의 계통으로서 정주학을 이어 왕수인의 선풍적인 공리공담(空理空談)을 물리치고 이일분수설로써 우주와 인성을 해명한 이기일물설(理氣一物說)의 입장을 취했다. <곤지기(困知記)>를 지었다. 유종주(劉宗周, 1578-1645)는 명대 최후의 철학자로서 주돈이의 태극도설을 모방하여 <인극도설(人極圖說)>을 지어 미발지중의 심체(心體)를 무선이지선(無善而至善)이라 하여 주희의 선생 이동의 학풍을 이어 신독공부(愼獨工夫)를 강조하였다. <유자전서(劉子全書)> 40권이 있다.
<裵 宗 鎬>
송학의 발흥
[편집]宋學-勃興
송(宋)의 학문 문화가 새로운 경향을 가지고 일어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진종조(眞宗朝)로부터 인종조(仁宗朝, 998-1063)에 걸친 시기이다. 범중엄(范仲淹)이나 정학(正學)의 4선생으로 호칭된 호원(胡瑗), 손복(孫復), 석개(石介), 진양(陳襄) 등은 각기 특색있는 학풍이나 주장을 가지고 서로 잇따라 나와 소위 송학(宋學)의 선하(先河)를 이루었다. 범중엄(范仲淹)은 그 명절(名節)과 고매한 식견으로 시대의 선구자로서 계몽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서하(西夏) 경영에 정치적 수완을 보여 중앙정부의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였다. 학문적으로는 6경(六經)에 통하였으며 더욱이 역(易)에 정통하였고 장횡거(張橫渠)에게 <중용(中庸)>을 주어 유학의 문에 들어가게 한 이야기는 유명하다. 호원(胡瑗, 933-1059)은 안정 선생(安定 先生)이라고 호칭되며 교육가로서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는데, 정이천(程伊川)도 그 문하에서 배운 준재(俊才)이다. 그의 <주역구의(周易口義)>는 역(易)을 이론적으로 해명하고 한대 유가(儒家)와 같이 상수론(象數論)을 혼합하지 않았다. 이천(伊川)의 역전(易傳)에 그 영향이 보인다. 손복(孫復, 992-1057)은 태산선생(泰山先生)으로 호칭되었다. 진사 시험에 합격하지 못해 태산(泰山)에 은퇴하여 강학(講學)에 힘을 쏟았으며 <춘추존왕발미(春秋尊王發微)>를 저술하였다. 그는 이 저술에서 종래의 주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스러운 자기의 해석을 전개하고 있지만 그중에도 다시 <춘추(春秋)>의 본지(本旨)를 정명정분(正名定分)에 있다고 하고 또 <춘추>에 실린 사실을 전부 도의에 위배된 것뿐이라고 하였다. 손복 및 그 제자인 석개(石介, 1005-1045)는 춘추론을 통하여 중국(宋王朝)의 정통성과 고전사상의 정통적 부활 및 양(楊)·묵(墨)·불(佛)·노(老) 사상의 배격을 주장하여 송조 국가체제의 정신적 지주를 수립하려고 하였다. 다시 진양(陳襄)은 <대학(大學)> <중용(中庸)>에 의거 실천도덕론을 전개하여 <성명기(誠明記)>와 함께 송대 도덕의 궁리진성(窮理盡性)·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의 방향을 잡아 놓았다. 그의 지방정치에 있어서의 권농정책(勸農政策)이나 향촌민(鄕村民)의 교도에 이용한 <고령선생권유문(古靈先生勸誘文)>은 남송(南宋)의 주자(朱子)에 이르러서 크게 채택되어 그 모범이 되었다.
구양수
[편집]歐陽修 (1007-1072)
중국 송대의 문학가·사상가·역사가. 자는 영숙(永叔), 시(諡)는 문충공(文忠公)이다.
길주(吉州) 여릉(廬陵)에서 출생하였다. 수주(隋州) 숙부의 집에서 어머니와 함께 기숙하였다. 22세에 진사가 되었고, 국자감(國子監) 및 예부(禮部)의 시험에도 수석으로 합격하였다. 이로부터 중앙정계에서 활약하게 되어 마침내 참지정사(參知政事)에까지 올라갔다. 그는 역사가로서 <신5대사(新五代史)>를 저작하였다. 그 특색은 춘추(春秋)의 3전(三傳)을 믿지 않고 직접 본문의 주의(主意)를 찾아내고 문(文)을 <사기(史記)>에서 취하여 한 자 한 구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에 깊은 의미를 갖게 했다. 송초(宋初)에 설거정(薛居正)의 감수에 의하여 만들어진 <구5대사(舊五代史)>는 실록(實錄)이었는데, 구양수의 그것에는 그의 사관(史觀)이 흐르고 있으며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自治通鑑)>, 주자(朱子)의 <통감강목(通鑑綱目)>, 호안국(胡安國)의 <춘추전(春秋傳)> 등 송대 신역사학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또 그의 저작으로 <신당서(新唐書)>가 있다. 문학자로서는 한유(韓愈)의 고전 문체를 창도(唱道)하였다. 그 문하에는 소식(蘇軾), 소철(蘇轍) 형제와 증남풍(曾南豊), 유창(劉敞), 유반(劉産) 등의 문장가가 나와 각각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또 사상가로서는 역사가적 견식과 비판정신에 의하여 직접 경전의 비판을 시도하였고, 특히 <역혹문(易或問)> <역동자문(易童子問)>을 지었는데, 거기에서는 독창적인 견해를 세워 송대에 있어서 형이상학적 사유(思惟)의 선구를 이루었다. 그것은 정녕코 혁명적인 주장으로, 그의 고고학적 저작이라고 해야 할 <집고록(集古錄)>과 아울러서 송대 문예부흥에 큰 힘을 주었다.
사마광
[편집]司馬光 (1019-1086)
중국 송대의 역사가·사상가·정치가. 자는 군실(君實), 시(諡)는 문정(文正). 태사(太師) 온국공(溫國公)이란 칭호를 받았다. 섬주(陝州) 하현(夏縣)에서 출생하였다. 부친 사마지(司馬池)는 천장각대제(天章閣待制)이었다. 20세 때에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봉례랑(奉禮郞)에 서임되었고, 이후 영종(英宗) 때에는 천장각대제(天章閣待制) 겸 시강(侍講)이 되었으며, 신종조(神宗朝)에는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되었다. 이즈음 하삭(河朔-黃河의 북방) 지방의 오랜 가뭄으로 계속 작물(作物)은 말라죽고 국가 재정은 궁핍해졌다. 사마광은 "재앙을 구제하고 용도를 절약하는 것은 마땅히 귀근(貴近)으로부터 시작하여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왕안석(王安石)은 "국용(國用)이 부족한 것은 재물을 잘 다스리지 못했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하여 양자를 중심으로 하는 신법당(新法黨)·구법당(舊法黨)의 다툼이 생겼다. 송대 붕당(朋黨)의 당쟁이 여기에서 시작된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무엇보다도 <자치통감(資治通鑑)>으로 충분하지만, 그 방대한 저술 속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온공의맹(溫公疑孟)>에서의 맹자 비판(孟子批判)과 <잠허(潛虛)>에서의 형이상적 사유이다. <효경(孝經)> <역(易)> <노자(老子)> <태현경(太玄經)> <대학(大學)> <중용(中庸)> 등의 주해(註解)도 중요한 저작이다.
자치통감
[편집]資治通鑑(1084)
사마광(司馬光)의 주저(主著). 영종(英宗)(1063∼1066) 때 역사 관계의 책이 방대하여 황제가 두루 이것을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사마광에 명하여 <통지(通志)> 8권을 만들게 함으로써 시작되었다. 2제(二帝) 19년의 세월을 소비하여 신종 원풍(神宗 元豊) 7년 11월에 이르러 완성한 실로 294권에 달하는 거대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주(周)의 위열왕(威烈王) 23년(전403)에서 시작하여 송(宋)의 전·5대 후주(五代後周)의 세종 현덕(世宗 顯德) 6년(959)에 끝맺고 있다. 기술은 통사(通史)·편년사(編年史)의 체재를 취하고, 구양수(歐陽修)의 <신오대사(新五代史)>와 같이 춘추(春秋)에서 그 규범을 모방하고 있다. 사마광(司馬光)이 이 책을 제작한 의도는 전국(戰國)시대에서 5대(五代)까지 1362년의 정치적 변천을 더듬어 그 치란흥망(治亂興亡)을 정돈함으로써 대의명분을 밝혀 제왕(帝王)의 치정의 거울로 삼는 데 있었다. 따라서 거기에는 그 자신의 역사관이 대의명분에 집약적으로 관철되어 있다. "신(臣)의 정력이 이 서(書)에 다하였도다"라고 그가 상주(上奏)한 바 있는 19년간의 수사사업(修史事業)에는 각 왕조(王朝)의 정사(正史) 외에 잡사(雜史) 322종이 사용되고, 부산물로서 <자치통감고이(資治通鑑考異)> <통감목록(通鑑目錄)> <통감석례(通鑑釋例)> <계고록(稽古錄)> 등의 저술이 생겼다. <자치통감(資治通鑑)> 및 이런 유의 저서가 송대에 미친 영향은 크며 통감 제작에 관하여 범조우(范祖禹)(1041∼1098)의 <당감(唐鑑)>은 정통론(正統論)의 기초가 되어 호안국(胡安國)의<춘추전(春秋傳)>, 주자(朱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등이 나오게 되었다.
왕안석
[편집]王安石 (1021-1086)
중국 송대의 정치가·사상가. 자는 개보(介甫), 시(諡)는 문공(文公), 태전(太傳)이란 칭호를 받았다. 무주(撫州) 임천(臨川)에서 출생하였다. 20세를 갓 넘은 청년 천자 신종(神宗)은 밖으로는 요(遼)와 서하(西夏)의 무력적 압박을 받아서 굴욕적 조약을 맺고, 안으로는 독재 군주국가의 필연적인 결과로서 야기된 정치적 문란(紊亂)으로 인해 국정개혁에 착수해야만 그 때에 눈이 띈 사람이 왕안석(王安石)이다. 왕안석은 남경 지부(南京知府)로부터 발탁되어 서울로 들어와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되었고, 얼마 후 부재상인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임명되었다. 그는 유명한 신법(新法)을 단행하여 균수(均輸)·청묘(靑苗)·시역(市易)·보갑(保甲)·보마(保馬)·모역(慕役) 등의 제 정책을 내놓았다. 이것은 머지않아 실패로 끝났지만, 그 새로운 정책들의 의거한 바는 <주례(周禮)>의 정신이었던 것이다. 그의 저서 중에 주례(周禮)(周官)에 신해석을 한 <주관신의(周官新義)>가 그것이다. <시경(詩經)>, <서경신의(書經新義)>와 아울러 <3경신의(三經新義)>로 일러지고 있으나 서(書)·시신의(詩新義)는 아들인 방 및 문인이 쓴 것이다.
소옹
[편집]邵雍 (1011-1077)
중국 송대의 특색있는 사상가. 자는 요부(堯夫), 시(諡)는 강절(康節). 범양(范陽) 출신이다. 소옹의 집은 대대로 은덕(隱德)을 본지로 삼아 벼슬하지 않았다. 그도 몇 번인가는 소명을 받았지만 끝내 관도(官途)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의 저서에는 <관물편(觀物篇)> <어초문답(漁樵問答)>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 <선천도(先天圖)> <황극경세(皇極經世)> 등이 있다. 학계(學系)를 보면 진박(陳搏) ― 충방 ― 목수(穆脩) ― 이지재(李之才) ― 소옹(邵雍)으로 되어 있다. 학조(學祖)인 진박(陳搏)이 송초의 도가(道家)였기 때문에 그의 학문은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관물편(觀物篇)>을 위시하여 그 저서를 세밀히 보면 도가적 논리보다도 오히려 <역(易)>의 논리에 기초를 둔 특색있는 선천심학(先天心學)이라고 하겠다. 그에 의하면 현상계(現象界)의 구조는 결국 음양(陰陽)의 대대(對待)요, 그와 같이 되어 있는 궁극의 자기 원인(自己原因)은 1기(一氣)이며, 천지의 '중(中)'이며 1동1정(一動一靜)의 '간(間)'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간(間)이나 중(中)은 바로 사람의 마음의 작용 그것이기 때문에 천지인(天地人) 3자가 이 세계구조의 전체를 나타내는 상응체계(相應體系)이다. 현상에 상즉(相卽)하는 현상 그 자체의 자기 원인이나 나(我)속에 있다. 나의 마음의 작용 그 자체는 즉 세계 구조의 궁극적인 유일 자(者)인 이 세계를 존재하게 하는 작용이라는 것이다.
도학
[편집]道學
중국 송대의 학문은 춘추학(春秋學)을 중심으로 하여 정통론(正統論)·명분론(名分論)·정치론(政治論)을 이끌어 내었고 다시 종래의 훈고적 주석학(註釋學)을 탈각하여 직접 고전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전개하는 방향을 취하였다. 이의 영향을 받아서 나타난 것이 형이상학적인 이론의 전개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도덕론의 구성이다. 더욱이 그것은 도학이라고 호칭되는 바와 같이 옛 성인의 유교(遺敎)를 현실인 송대에 직접 살려서 새로운 해석과 사색을 함께 융합시킨다고 하는 정통적 유학의 발전으로서 자각하고 있었다. 도학이라 함은 도통(道通)의 학(學)이라는 뜻이다. 요(堯)-순(舜)-우(禹)-탕(湯)-문왕(文王)-무왕(武王)-주공(周公)-공자(孔子)-증자(曾子)·안자(顔子)-자사(子思)-맹자(孟子)-주자(周子)-장자(張子)·정자(程子)-주자(朱子)라고 하는 일련의 학계(學界)를 의식적으로 구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또 주(周)·장(張)·정(程)·주(朱)의 학(學), 정주학(程朱學)·주자학(朱子學)·이학(理學)·이기학(理氣學)·성리학(性理學)·성명(性命)의 학(學) 등으로 호칭됨으로써 송대의 대표적 학자·사상가를 포괄하고 있었다. 그 사상 경향의 대요(大要)는 다음과 같다. (1) 현존(現存)하는 세계(世界)의 구조를 잘 관찰하여 그의 능력 작용=존재형식을 궁구하면 인사 일반(一般)도 또한 이 세계 즉 천지(天地)의 자연(自然)이므로 그와 같이 있는 존재형식을 떠나서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천지자연의 생성, 변화, 소멸의 형식은 바로 인사일반(人事一般)의 그것이다. (2) 천지자연(天地自然)의 운행-생성변화(生成變化)에는 무엇인가 근본이 되는 작용이나 까닭(原因)이 있는 것이 아닐까? 이 까닭이라는 것이 천지자연(天地自然)으로 하여금 저절로 그와 같이 있게 하는 것은 아닌가? 그 원인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어느 곳에 있는가?
――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다시 ―― (3) 이 천지(天地)의 저절로 그렇게 되는 원인(原因)으로서의 작용은, 실은 사람에 있어서는 사람이 사람인 원인의 작용인 셈이다. 왜냐하면 천지자연은 본래 사시(四時)를 축(軸)으로 삼아 한 없이 순환하고, 각각 상호의 조화(調和)를 보전하여 조금도 정제(整齊)하지 않은 곳이 없기 때문이다. 사람도 또한 천지의 사이에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천지자연이 그와 같이 있는 존재형식은 사람이 사람으로 있지 않으면 안 될 형태(姿)를 보이고(示)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현재 있는 사람은 예외없이 천지자연(天地自然)이 저절로 그처럼 조화(調和)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부조화(不調和)나 악(惡)도 현존(現存)한다. 그러므로 사람은 천지자연(天地自然)의 그와 같은 존재형식을 본받아 또 마땅히 할 상태로 있지 않으면 안 된다. (4) 그러면 사람은 천지의 사이에 처하여 어떻게 존재하는 것이 사람으로서 완전한 형태(姿)일까? 사람의 사람된 소이(所以)는 무엇일까? 이런 것들의 공통된 문제의식은, 사실은 도리어 현실에 처해서 인사(人事)의 처리(處理)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하는 구체적인 데서부터 출발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것을 해결할 논리적 근거를 구(求)하기 위하여 천지자연 즉 현상일반의 생성, 변화, 소멸의 존재형식을 구명하여 인사(人事)의 처리도 이것을 규범으로 해서 합리적으로 이것을 해결하려 하였다. 결국 어떻게 하여 나를 닦고 남을 다스릴까 하는 도덕론(道德論)과 이 세계의 구조는 어떤가 하는 우주론(宇宙論)과 표리의 관계이며 일체(一體)이다. 그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빠짐없이 고전사상(<역(易)> <중용(中庸)>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등으로 특히 <역(易)>이 그 중심)에서 그 근거를 구(求)한 것이다.
주돈이
[편집](1017-1073)
중국 송대의 사상가. 자는 무숙(茂叔), 호는 염계(濂溪), 시(諡)는 원공(元公)이다. 도주 영도(道州 營道-현재의 허난성에 속함) 사람. 본명은 돈실(敦實)이라고 하였으나 그 때의 황제 영종(英宗)과 동명이었으므로 고쳐서 돈이라고 하였다. 부친인 보성(輔成)은 하주(賀州) 계령현(桂嶺縣)(현재의 黃西省에 속함)의 지사(知事)를 하고 있었다. 모친은 정씨(鄭氏)이다. 염계는 소년 시절에 아버지를 잃었으므로, 모친의 일가인 용도각(龍圖閣) 대학사(大學士) 정향(鄭向)의 집에서 양육되었다. 경우(景祐) 3년(仁宗朝, 1036)에 그는 젊은 나이로 홍주(洪州) 분녕현(分寧縣)의 주부(主簿)가 되었으며, 이어서 남안(南安)에 사법관(司法官)으로 부임하였다. 그 후 주로 각 현(顯)의 지사를 역임하여 지남강군(知南康軍)을 최후로 57세에 타계했다. 그가 남안(南安)에 있을 때에 정향(程珦)이라는 사람이 같은 관리로서 부임했다. 정향은 염계의 인품과 학문에 경의를 품고 친하게 교제함과 동시에 자기의 두 아들을 염계에게 나아가 배우게 하였다. 그것이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의 두 형제였다. 송대의 형이상적 사유는 주자(周子)에 의하여 열려졌다고도 한다. 그 이전에 싹이 엿보였다고 해도 저 유명한 염계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이나 <통서(通書)>에 보이는 깊은 사색은 후의 2정자(二程子), 장횡거(張橫渠)로 계속하는 송대 도학(道學)의 단서였다. <주자전서(周子全書)> 7권은 순전히 염계의 저술을 모은 것이다.
태극도설
[편집]太極圖說
주돈이(濂溪)의 저서. <태극도설(太極圖說)>은 태극도와 도면을 설명한 <태극도설(太極圖說)>로 되어 있다. 태극도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이 도면에 붙여진 그의 설명(圖說)에 의하여 그 사상을 살펴 보겠다. 첫째 '무극(無極)이면서 태극(太極)'이라 한다. 이 말은 세계의 궁극적인 것, 말하자면 비교상대(比較相對)를 초월한 유일의 진실재(眞實在)라는 것이다. 극(極)은 행하여 다한 곳(盡), 일도에 달(達)한 곳이기 때문에 무극(無極)은 행하여 다하고도 오히려 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 '태극(太極)'이란 "역(易)에 태극(太極)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를 생(生)한다"라고 한 것과 같이 현상(現象)의 궁극(窮極)·존재(存在)의 배후에있는 원인(原因)이다. 이렇기 때문에 '무극(無極)이면서 태극(太極)'이라는 어구는 다같이 존재(存在)를 지탱하고 있는 원인이 적극(積極)·소극(消極) 두 양상의 형용 곧 표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원인(原因)-궁극자(窮極者)가 움직임으로써 적극적으로 움직이면 양(陽)을 낳고, 이 양동(陽動)이 궁극(窮極)하면 정이 된다. 정이 되면 그것은 음(陰)이다. 그러나 이 음정(陰靜)도 그대로의 상태로 있는 것은 아니고 최후까지 가서는 다시 적극적인 양동(陽動)으로 변한다. 이와 같이 1동(一動) 1정(一靜)으로 상호간에 근거(根)가 되고 기본이 되어 교착하고 있다. 동정(動靜)이 있다고 하는 것은 양(陽)과 음(陰)으로 분리되는 일로서 결국 이 세계를 지탱하고 있는 궁극(窮極)의 것이 자연히 작용하고 분화하여 서로 음이 되고 양이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음정양동(陰靜陽動)은 물(物)·사(事)가 현상(現象)으로서 생성, 변화, 소멸하고 있는 이 세계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그와 함께 음정양동(陰靜陽動)으로서의 물(物)과 사(事)는 무극(無極)-태극(太極)이라고 하는 궁극자로부터 분리하여 그것의 바깥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동(動)-정(靜) 혹은 음(陰)∼양(陽)이라고 하여도 그것은 궁극자(窮極者)로서의 무극(無極)∼태극(太極)과 상즉(相卽)하여 그 속에서 그것과 분리되는 일이 없이 생기(生起)하고 있다고 하는 논리적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음(陰)과 양(陽)이 서로 교대하고 변화하여 5행(五行)이 생긴다. 5행(五行:土·水·火·木·金)은 음양이 물과 토의 구체적 존재의 가장 기본적인 2기(一氣가 나누어져 陽氣·陰氣로 된다)를 나타낸 것에 대하여 말하자면 현상(現象)하는 개개의 물건 내지는 현상 자체의 구성 요소로 생각된다. 이 5행이 여러 가지의 양상으로 서로 조합되어서 건도(乾道) 즉 양기(陽氣)인 적극(積極)은 남성적인 것을 생성하고 곤도 즉 음기(陰氣)인 소극은 여성적인 것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만물이 생성하는 중에서 사람은 음양5행(陰陽五行)의 조합이 가장 우수한 것이다. 더욱이 사람이 이상(理想)으로 하는 성인(聖人)은 중정인의(中正仁義)의 덕을 닦아서 사람에게 있어야 할 도덕적 규범(人極)을 세워서 천지의 작용, 일월(日月)의 운행(運行), 4시(四時)의 순환 및 귀신까지도 각기 그것의 작용에 호응하여 조화를 보전한다고 말하고 있다. <태극도설(太極圖說)>은 송대의 도학에 있어서 형이상적 사유와 도덕론의 기본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후의 학자는 거의 이 책을 읽고 여러 가지의 해석이나 사색을 하고 있다. 주자(朱子)와 육상산(陸象山)의 논쟁도 무극(無極)이면서 태극(太極)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하는 점에 양자의 사상을 집약하여 이루어졌다.
통서
[편집]通書
주돈이(濂溪)의 저서. 주자의 설에 의하면 <통서>는 본래 <역통(易通)>이라고 호칭되어 <태극도설(太極圖說)>과 병행하여 쓰여졌다고 한다. 전체는 2권 40장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장은 비교적 짧은 문장으로 기술되고 있다. <태극도설>이 주돈이의 우주론을 논술하고 있다면 <통서>는 도덕론을 설명하고 있다고 하여도 좋다. 도덕론으로서의 <통서> 1편을 일관하고 있는 것은 성(誠)이다. 그는 '성'을 현상(現象) 세계의 모든 변화 교체에 잠재하는 참된 기능이라고 하는 동시에 그것을 인간에 있어서의 도덕의 근본 규범으로 간주하였다. 성(誠)은 제덕(諸德) 또는 모든 사람의 행위의 근본이다. 사람이 성(誠)을 완전하게 체득할 때 곧 궁극적으로 사람의 행위가 성(誠) 그것일 때 소위 5상(五常)의 덕목(仁·義·禮·智·信)도 완성된다. 행위에 있어서의 선악(善惡)은 <태극도설>에도 "5성(五性)이 감동하여 선악이 나누어지고 만사가 나온다"고 한 것처럼 5성이 감응하여 움직여서 이제 막 행위를 발(發)하려고 할 때에 기(幾)가 나누어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덕을 닦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동(動)을 근신(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동(動)을 삼갈 때는 선악으로 나누어지는 행위(行爲)의 기(幾)를 삼가(愼)도록 하여 이것을 반드시 선(善)으로 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幾)에 삼가고 동(動)에 삼간다는 것은 주돈이의 말로 하면 주정(主靜)이다. 주정(主靜)이란 무욕(無欲)하기 때문에 정(靜)을 보전(保全)할 수 있는 그 무욕(無欲)의 정(靜)을 주일(主一)로 하는 일이다. <통서>는 역시 주자에 의해 주해됨으로써 송대 이학(理學)의 준거해야 할 고전이 되었다.
장재
[편집]張載 (1020-1077)
중국 송대의 사상가. 자는 자후(子厚)이다. 봉상미현의 횡거진(橫渠鎭) 출신이었기 때문에 횡거 선생(橫渠先生)이라고 호칭된다. 어렸을 때에 현의 지사직(知事職)으로 있던 부친을 잃었다. 젊었을 때 범중엄(范仲淹)을 회견하고 병사(兵事)를 말하였다. 그때 범중엄은 "유자(儒者)에게는 자연히 명교(名敎)를 즐길 만한 것이 있다. 어찌하여 병담(兵談) 같은 것을 좋아하는가"라고 하면서 <중용(中庸)>을 그에게 주었다. 횡거는 거기서 비로소 도(道)를 구할 것을 결심하고 한때 불교·노장사상(老莊思想)에 들어갔으나 오래지 않아 6경(六經)의 학문으로 돌아왔다. 진사시험에 합격한 후에 지방관으로서 여러 가지 공적을 쌓았다. 그 때의 황제(皇帝)인 신종(神宗)은 그를 크게 등용하려고 하였으나 집정(執政=내각의 최고 책임자) 왕안석(王安石)과 의견이 맞지 않아서 신병을 이유로 향리에 돌아와 학문과 교육에 힘을 다하였다. 그에 의하여 세워진 기(氣)의 우주론(宇宙論) 또는 기(氣)의 철학은 당시의 제가들의 사상과 비교하여 매우 특색있는 것이었다. 그 철저한 '유(有)의 이론(理論)'은 얼른 보기에 주돈이, 소옹(邵雍), 2정자(二程子)의 사상이 <역(易)>의 정신을 기초로 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듯하다. 그러나 역시 그 입론(立論)의 근저에는 <역(易)>의 '1음(一陰) 1양(一陽), 이것을 도(道)라고 한다'를 중심으로 하는 사고방식이 있다. 있는 것은 기(氣) 뿐이어서 현상의 개체는 기(氣)가 응취(凝聚)한 객감(客感)·객형(客形)이다. 기(氣)의 본래의 모양(姿=個體를 형성하지 않은 氣)은 태화(太和) 또는 태허(太虛)라는 것인데, 이것은 사람에게 감각되지 않는 것(幽), 즉 기(氣)의 지정(至靜)한 상태라고 한다. 그의 저술은 <장자전서(張子全書)>에 수록되어 있는데 동명(東銘)·서명(西銘)·정몽(正蒙)·경학이굴(經學理窟)·역설(易說)·문집(文集)·어록(語錄) 등이 이 속에 들어 있다.
정몽
[편집]正蒙
장횡거(張橫渠)의 저작이다. <정몽(正蒙)>은 그가 향리로 내려간 후의 저작이니 즉 그의 만년인 50세 이후의 것으로 추정된다. 본서(本書)는 <장자전서(張子全書)>에 수록되어 있다. 전(全) 9권이며 각권은 2편으로 되어 있다. 전체를 통하여 가장 중요한 편은 1권에서 4권 정도까지인데, 그 중에서도 <태화편(太和篇)>·<성명편(誠明篇)>은 그의 사상의 핵심이다. 일반적으로 장자(張子)의 우주론(宇宙論=形而上學的 思惟)이 기1원론(氣一元論)이라고 명명되고 있는 것은 노자(老子)의 '유(有)는 무(無)에서 생(生)한다'라고 하는 말을 정면으로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유(有)가 무(無)에서 생(生)하지 않는다고 하면 유(有)는 유(有)에서 생(生)하는 것인데, 장자(張子)는 이와 같은 생각으로 철저한 유(有)의 우주론(宇宙論)을 전개하였다. 그에 의하면 현상 세계의 모든 개체는, 사람까지도 음양2기(陰陽二氣)의 동정(動靜)·승강(昇降)·부침(浮沈) 등에 의한 운동의 결과로 해서 생성된 것이다. 그 음양2기(陰陽二氣)도 실제는 기(氣)=1기(一氣)이므로 이 기(氣)가 객감(客感)·객형(客形)을 취한다고 하는 것이 현상의 성립이며, 이 세계의 만변만화(萬變萬化)가 생(生)하는 까닭인 것이다. 이에 반대하여 기(氣)가 흩어지면 무형무감이어서 사람에게 감각되지 않게 된다. 이런 기(氣)의 무형무감(無形無感)의 상태가 기(氣)의 신이요, 또 그것을 태허(太虛) 또는 태화(太和)라고 한다. 따라서 태허·태화는, 기(氣)가 현상으로서의 객감·객형을 취하면서 변화하기 이전 근본의 온전한 정(靜)의 상태이므로 이 세계의 모든 것의 원인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의 문제, 즉 도덕론에 전화되면 '허(虛)와 기(氣)가 합하여 성(性) 명(名)이 있다'고 한 것같이 태허(太虛)·태화는 또 사람 본래의 자태의 성(性)이 된다. 성은 사람에게 일반적인 것이요, 구체적으로는 지성(至誠)이다. 그래서 성(誠)을 얻는다 ― 지성(至誠)에 이른다 ― 는 것이 성(性)을 얻는 것이며 성(性)을 다하는 것이 된다. <정몽(正蒙)>은 주자(朱子)가 중요시한 것이며, 또 명말 청초(明末淸初)의 왕선산(王船山)이 <장자정몽주(張子正蒙註)>까지 지은 중국의 사상사상(思想史上) 이색적인 저서이다.
서명
[편집]西銘
장재(張載)의 저작. <정몽(正蒙)>과 같이 그의 만년(晩年)의 저작일 것이다. <서명>은 <동명(東銘)>과 함께 대단히 짧은 문장이지만, 특히 <서명>의 사상적 내용은 심오하여 2정자(二程子)에게 상찬(賞讚)되었다. <서명>의 전문은 겨우 253자(東銘은 112字)에 지나지 않지만 담겨진 주제는 요컨대 천지만물과 '나'의 존재와의 일체에서 얻어지는 '인(仁)'이다. 건(乾)은 나의 부(父)이며 곤(坤)은 나의 모(母)이다. '나'는 천지의 자(子)로서 천지의 중간에 만물과 함께 있다. 그런 까닭으로 나의 체(體)는 단지 나의 형체(形體)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사람·산천·초목·금수·곤충에 이르기까지 무릇 천지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은 전부 나의 체(體)이다. 나의 성(性)도 또한 만물의 성이다. 천지는 나와 그리고 만물(萬物)도 생성(生成)하기 때문에 나와 한가지로 천지 사이에 있는 것은 모두 나의 동포다. 천지가 만물을 양육하는 것은 천지의 인덕(人德)이요, 천지의 이 운행을 본받고 천지의 존재형식에 복종하면 천지의 인덕을 나의 마음의 덕으로 삼을 수가 있다. 천지의 작용은 '화(化)한다'고 하는 것이며, 천지 운행의 뜻(志)은 헤아려 알 수가 없다. 그런 까닭으로 '화(化)'를 알고 신(神)을 궁통(窮通)하면 천지의 운용과 그 향하는 바 뜻을 밝혀 이것을 계승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해야 비로소 천지의 마음을 나의 마음으로 삼고 천지의 성(性)을 나의 성으로 삼을 수가 있어 천지의 인덕(人德)과 나의 인덕이 하나가 된다.
주자(朱子)의 <서명해(西銘解)>가 있다. 그에 의하면 '정자(程子) 학파는 대체로 서명(西銘)으로 학자에게 개시(開示)하였다'고 할 만큼 2정자(二程子)에게 준 영향이 컸다.
정호
[편집]程顥 (1032-1085)
중국 송대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다. 자는 백순(伯淳), 시호(諡號)는 순공(純公). 명도 선생(明道先生)으로 호칭되었다. 대대로 중산(中山)에 거주하였으나 후에 하남(河南)에 이주하였다. 부친 향(珦)은 지방관이었을 당시 주돈이를 알아 명도(明道), 이천(伊川) 형제를 그에게 배우게 하였다고 한다. 진사에 급제한 후 지방관으로 활약하였다. 희령(熙寧) 초(1070경)에 여공저(呂公著)의 추천으로 중앙정부에 들어 갔다.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이 거론되자 의견을 달리하여 직을 떠나 지방관으로 지냈다. 그 성격은 온후관대하여 동생인 이천(伊川)이 이론적이며 준엄(峻嚴)한 것과 대조적이었다. 명도사상(明道思想)의 특색은 인설(仁說)·성론(性論)인데 그 기초가 되는 것은 역적 논리(易的論理)의 전개로서의 형이상적 사유이다. 그에 의하며 현상의 세계는 결국 음양2기(陰陽二氣)의 대대(對待)에 의해 생성소멸하는 것으로 그것은 <자연적으로 그런 것>이다. 그것은 바로 역(易)에 "1음 1양(一陰一陽), 이를 도(道)라고 한다"고 하는 도(道)이며, 천지만물의 이(理)나 도(道)는 사람에 있어 묵식심통(默識心通-사람의 마음에 개우쳐지는 것)하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의 인설(仁說)은 이 논리를 기저로 하여 천지자연의 이(理)와 사람의 이(理-一般的인 性)와의 일체관에서 논술된다. <식인편(識仁篇)>에서 "인(仁)은 혼연히 물(物)과 동체요 의례지신(義禮智信) 모두 인(仁)이다. 이 이(理)를 알아서 성경(誠敬)으로써 이것을 보존(存)할 뿐이다"라고 말하였다. 인(仁)은 '저절로 그러한' 천지만물의 이(理)·도(道)인 동시에 사람의 마음의 이(理)라는 것이다. 그런 까닭으로 인(仁)을 체득하면 이미 나는 천지만물과 일체요 일신인 것이다. 이와 같은 사고방식이 발전하여 성(性)은 곧 기(氣)요, 기(氣)는 곧 성(性)으로서 생겨나면서 지닌 그대로 성(性)이라고 하는 논리가 전개된다. 그의 <진치법 10사(陳治法 十事)>은 반신법당(反新法黨)의 처지에서 당시의 정치사회 상태를 잘 통찰하여 그 폐단을 찌른 예리한 정치 논문이다. 명도(明道)의 사상은 남송의 육상산(陸象山)을 거쳐서 명의 왕양명(王陽明)의 사상으로 계승·전개된다. 어록(語錄)·저술은 <2정전서(二程全書)>에 수록되어 있다.
2정전서
[편집]二程全書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 형제의 사상적 논술·문장 등을 수록한 것. 내용은 2정유서(二程遺書)·이천문집(伊川文集)·정자외전(程子外傳)·이천경설(伊川經說)·이천역전(伊川易傳)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2정자(二程子)는 송대 도학의 대표적 인물이어서 주돈이, 소옹(邵雍), 장횡거(張橫渠) 등의 사상가가 각각 이색적인 사상의 소유자였음에 비하여 지극히 정통적으로 전통적 유학을 계승하여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나, 양자의 정밀한 사상 내용상 뉘앙스를 달리하며, 학문적인 관심과 방향(方向)에 있어서 크게 다른 점이 있다. 그러나 유사한 점도 있어 <2정전서(二程全書)>속에는 명도(明道)의 말인지 이천(伊川)의 말인지 판별되지 않는 것도 많이 보인다. <전서(全書)> 속에서 사상면으로 특히 중요한 명도(明道)의 것은 <식인편(識仁篇)> <정성서(定性書)> 외에 <명도어록(明道語錄)>이며, 이천(伊川)의 것에는 <이천어록(伊川語錄)> <이천어(伊川語)> <이천경설(伊川經說)> <이천역전(伊川易傳)>이 있다.
정이
[편집](1033∼1107)
중국 송대 도학(道學)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 자는 정숙(正叔).
형인 명도(明道)보다도 1년 늦게 하남(河南) (현재의 河南省에 속함)에서 출생하여 이천선생(伊川先生)으로 호칭되었다. 송학(宋學)의 선구자 호안정(胡安定)을 통하여 대학(大學)에서 배우고, 서경국자감(西京國子監)의 교수에 서임되었으나 사퇴하였고, 후에 숭전전설서(崇政殿說書)에 발탁되었다. 이때 많은 문사들은 정부부내에 있는 소동파(蘇東坡)를 따르면서 이천(伊川)의 학문은 우원(迂遠)하다 하여 배제했다. 여기에서 소위 낙촉(洛蜀)의 당쟁(黨爭)이 생겨 이천(伊川)은 축출되었다. 휘종황제(徽宗皇帝)(1100∼1125) 때가 되어서야 겨우 복관(復官)되어 경사(京師)에 돌아왔다. 이천의 학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적 논리(易的論理)의 전개로서의 형이상적인 사유이다. 즉 이천은 <역(易)>의 "1음(一陰) 1양(一陽), 이것을 도(道)라고 한다"에 도(道)라는 것은 '음양(陰陽)으로 되는 소이인 것' 즉 음양(陰陽)이 개합(開合)하는 소이라고 한다. '소이(所以)'라고 하는 것은 '까닭'이며 '이유'이며 '원인'이다. 따라서 1음(一陰) 1양(一陽)과 도(道)는 이론적으로 상이한 것이다. 현상이 1음(一陰)하고 1양(一陽)하여 생성·변화·소멸(生成變化消滅)하는 그 원인·이유가 도(道)이다. 더욱이 음양(陰陽)과 도는 어제 음양이 있고 오늘 도가 있다고 하는 논리가 아니고, 도는 음양에 즉(卽)하고 음양은 도에 처하여 있다고 하는 형이상하(形而上下)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이 사고방식은 1신(一身)의 마음(心)은 곧 천지(天地)의 마음(心)이고, 1물(一物)의 이(理)가 곧 만물(萬物)의 이(理)라고 하는 얼핏 보면 명도(明道)의 논리와 같은 형(型)으로 전개되는 것 같다. 그러나 명도(明道)가 '성즉기(性卽氣), 기즉성(氣卽性)'이라 한 데 반하여 그는 성즉리(性卽理)라고 하면서 성즉기(性卽氣)의 설은 취하지 않았다. 또 이천은 실천을 중시하면서 거경궁리(居敬窮理:마음을 純一하게 하여 오로지 자기의 본래 성에 순응하는 것에서 사물의 理致를 궁구한다), 격물치지(格物致知:事事物物에 卽하여 그 理를 궁구하여 知를 명확히 한다)를 설파하였다. 이천의 사상은 남송의 주자(朱子)에게 받아들여져서 전개되었다.
이천역전
[편집]伊川易傳
정이천(程伊川)의 저작. 서문에 원부(元符) 2년 정월이라고 기록되어 있어서 1099년에 완성된 것이라고 짐작된다. 그러나 제자인 양구산(楊龜山)(1053∼1135)에 의하면, 이것은 미완성인 채로 문인에게 보인 것이며 얼마후 산일된 것을 구산(龜山)이 수집하여 교합(校合)하였다고 한다. 이 저서는 역(易)의 상경·하경·단전(彖傳)·상전(象傳) 및 문언편(文言篇)을 해석하였을 뿐이며, 계사(繫辭)·설괘(說卦)·잡괘(雜卦)의 제전(諸傳)에는 주(註)가 없다. 이렇게 된 것은 왕필(王弼-魏晋時代의 사상가, 226-249)의 역주(易註)를 모방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으나, 양구산의 말과 같이 미완성 작품이라는 것이 타당하다고 <4고전서 총목체요(四庫全書總目提要)> (淸朝의 乾隆年間 四庫全書館에 收藏된 방대한 中國 역대의 서적의 내용 해설서)는 기술하고 있다. 어떻든 왕필(王弼)의 역주를 채용한 이천이 역(易)을 논리적으로 해석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에 의하면 역(易)의 도리는 지극히 미묘하고 역(易)이 나타내는 상(象)도 지극히 분명하나, 체용(體用)은 일원(一源)하며 현미(顯微)는 무간(無間)한 것이라 한다. 체용일원(體用一源), 현미무간(顯微無間)이라는 것은 무릇 존재하는 것(現象·易象)과 그것의 존재의 방식(道·易理)과는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물건이 있으면 거기에 물건의 이치가 있다고 하는 것과 같이, 양자가 상즉(相卽)하여 있음을 보이는 의미깊은 말이다. 주자(朱子)의 <역본의(易本義)>가 그 자신이 말한 바와 같이 매우 불만족했던 것에 비해서
<이천역전(伊川易傳)>은 주(註)가 결여된 부분도 있으나 송대(宋代) 역학의 정통을 확보하고 있다.
주희
[편집]朱憙 (1130-1200)
중국 송대의 최대의 사상가로서 송학(宋學)의 집대성자. 자는 원희(元晦), 또는 중회(仲晦)라고도 한다. 또한 자양(紫陽), 회암(晦庵), 회옹(晦翁), 고정(考亭) 등으로 호칭하였다.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선조 대대로 휘주(徽州) 무원(-현재의 江西省에 속함)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부친 주송(朱松)이 관리였기 때문에 그의 임지인 남검주(南劍州) 우계현(尤溪縣)에서 출생하였다. 소흥(紹興) 18년(1148)에 19세로 진사에 합격하였다. <송원이거 3록(宋元利擧三錄)> 중의 <소흥 18년(紹興一八年) 동년소록(同年小錄)>에 의하면, 그는 진사 제5갑(第五甲) 제90인(第九○人) 즉 제5갑(第五甲) 의 142인(人) 중 90번이라는 성적으로 합격하였다고 한다.
주자학
[편집]朱子學
그의 저작은 매우 많다.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은 <역본의계몽(易本義啓蒙)> <시집전(詩集傳)> <대학(大學)·중용장구(中庸章句) 및 혹문(或問)> <태극도설해(太極圖說解)> <서명해(西銘解)> <통서해(通書解)> <초사집주후어변증(楚辭集註後語辨證)>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주자가례(朱子家禮)> <근사록(近思錄)> <하남정자유서(河南程子遺書)>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의례경전통해(儀禮 傳通解)> 이외에 <주자문집(朱子文集)> 100권, <속집(續集)> 10권, <어류(語類)> 80권 등이 있다. 이러한 저작에서 보듯이 주자(朱子)의 학문은 북송(北宋)에서 일어난 신경향의 학술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여 이것을 절충하고 또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것이다. 또 4서(<大學>·<中庸>·<論語>·<孟子>)를 특별히 중요시 하여 주석을 하였고, <대학>의
<성의(誠意)>장의 주해는 죽기 3일 전까지 계속해서 수정했다. 이기론(理氣論)에서는 정이천(程伊川)의 2원론(二元論)을 계승하여 다시 더욱 상세·엄밀하게 체계화하였다. 형이상적(形而上的), 형이하적(形而下的) 논리 구별을 분명하게 하였다.
또 주돈이의 태극론(太極論)도 받아서 태극(太極)은 오직 1개의 이(理)의 자(字)라고 규정하여, 이(理)=태극(太極)=도(道:形而上的)와 기(氣)=음양5행(陰陽五行:形而下的)인 것은 형이하(形而下)의 음양2기(陰陽二氣)의 교감에 의해 생성되는 개체(個體)와 상즉불리(相卽不離)인 것이라고 말하였다. 도덕론(道德論)에서 이천이 명(命)·성(性)·이(理)·심(心)을 동일하게 보았기 때문에 <성즉리(性卽理)> <심즉리(心卽理)>라고 한 데 대하여, 주자(朱子)는 <성즉리(性卽理)>만을 취하고 심(心)은 형이하적(形而下的)인 것, 즉 음양2기(陰陽二氣)의 작용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사람의 성(性)은 이(理)이고 지선(至善)한 것이며 사람의 본연의 것이라고 하였다. 심(心)은 이(理)가 있는 곳, 이가 작용하는 장소이다. 또한 심(心)의 발동은 이(理)에 의하여 있게 되는데, 그 이야말로 사람에게 본래의 성(性)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사람의 본연의 성(性)이 지선(至善)하지만 현실에는 악도 존재하고 악인도 있다. 그것은 기품(사람도 氣의 집합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 氣가 모이는 방법, 氣를 받는 방식은 개별적인 것이라고 朱子는 생각하였다)에 과불급(過拂不及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理)=태극(太極)이라고 하는 형이상적인 것은 항상 사사물물(事事物物) 속에 있다. 사사물물이 없으면 다라서 이(理)는 없다. 즉 1물(一物)에 1리(一理)=1태극(一太極)이 있는 것이다. 논리적 과정을 말하면 이(理)가 있어야 물(物)이 있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물(物)이 없는 이(理)는 없다. 이런 까닭으로 이기(理氣)에 선후는 없다고 한다. 또 주자에 의하면 1물(一物)에 1태극(一太極)이 있는데, 이 이(理)는 즉 만물의 이(理)이다. 달이 호수나 냇물에 비쳐도 달은 원래 하나의 것이다. 일반자(一般者)·형이상자(形而上者)는 항상 개체(個體)에 내재하여 개체(個體)를 통하여 일반자(一般者)는 실현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가 도덕론에 적용되면 사람은 자기의 본연(本然)의 성(性)(理)을 회복하는 것이 인간으로서의 덕을 완성하는 것이며, 개별적 인간은 실천에 의하여서만 일반자(一般者)로서의 도(道)∼이(理)-성(性)을 구현할 수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자의 수양론(修養論)은 우선 격물치지(格物致知)이며 궁리진성(窮理盡性)인 것이다. 주자에 의하면 사사물물의 이를 궁구한다고 하는 것은 결과적으로는 나를 궁구하는 것이며 나를 다하는 것이지만, 그러나 물(物)의 이(理)와 심(心)의 이(理)와 심(心)의 이(理)와의 통일적인 파악에는 아직 불충분한 점이 있었다. 육상산(陸象山)이나 명(明)의 왕양명(王陽明)은 그 정곡을 찔러 비판한 사상가였다. 그러나 주자사상(朱子思想)이 송대 이후 끼친 영향은 지극히 크다. 주자학은 주자의 생전에 있어 지방관적, 재야적(在野的) 입장에서의 사상을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원(元)·명(明)을 거쳐 (청조에 이르기까지 관학적(官學的)인 아카데미즘의 주류를 형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주자학은 우리나라나 일본(日本)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오늘날 주자의 사상이 봉건사회에 있어서 지배계급의 상하적 신분의 확립을 지향하는 논리라고 하는 것이 용이하게 지적되고 있지만, 그 학식·논리 구성·학문적 태도는 의연히 중국사상 내지 동양사상의 해명에 있어 중요한 지위를 점거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근사록
[편집]近思錄 (1175경)
주희(朱憙)와 그 학문적 친교가 깊었던 여동래(呂東萊) 두 사람의 합작(合作)이다. 이 서(書)는 북송 시대 도학(道學)의 대표적 사상가인 주돈이, 장횡거(張橫渠), 정명도(程明道) 및 정이천(程伊川)의 저술(著述)·어록(語錄)을 발췌하여 편집한 것이다. 성립의 사정을 알기 위하여 주자의 후서(後序)를 보면 초학자(初學者)의 입문서로서 지어진 것이라 한다. 그러므로 주자도 이 책을 읽어 얻은 바를 기본으로 하여 다음은 4자(四子)의 전집(全集)을 읽을 것이며 구차하고 번다하다고 노력을 피하고 간편한 맛에 편승하여 이것만으로써 만족하다고 여기는 일이 있으면, 본서 편집의 의도에 반(反)한다고 말하고 있다. 구성은 도체(道體)·위학(爲學)·치지(致知)·존양(存養)·극기(克己)·가도(家道)·출처(出處)·치체(治體)·치법(治法)·정사(政事) · 교학(敎學) · 경계(警戒)·변이단(辨異端)·관성현(觀聖賢)의 14류(十四類)로 나누어져 있다. 이것에 의지하여 학문의 도(道)에 들어간 사람은 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자에도 많으며 따라서 주석서도 이 3국에 많다. 그리고 또 여동래(呂東萊)의 후서(後序)에 의하면 <근사록(近思錄)>은 이미 되어 있었다고 하면서 주자가 실제의 편자요 여동래(呂東萊)는 이에 참여한 것같이 쓰고 있다.
사서집주
[편집]四書集註
주희(朱憙)의 저작. 사서(四書)라 함은 <대학(大學)> <중용(中庸)>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이른다.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은 본래 <예기(禮記)> 중의 2편이었다. 그것이 독립된 것은 북송의 사마광(司馬光)이 <대학광의(大學廣義)>를 저술하는 한편, 당시(仁宗 때) 과거의 합격자에 급여한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다시 정이천(程伊川)은 이상의 넷을 사서(四書)로서 취하여 중요시했고 북송의 사상가 중에서 이 책을 취하여 비판이나 해석을 한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4서를 특히 학문의 기본적 방향이나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든가, 옛 성인(聖人)의 유교(遺敎)가 담겨져 있는 것이라고 하여, 상호 관련성을 갖게 하여 주석을 한 것은 주자였다. 북송 이래의 사상가는 주자를 포함하여 결코 4서만이 전통적 유교사상의 계승에 전담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하지 않은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시대는 벌써 난해한 고전(古典)을 일부 특권적 학자가 속세를 벗어난 서재에서 조작(操作)할 때가 아니었다. 송대에 개방된 문화의 일련의 서민화 경향은 독서인의 광범한 확장을 가져 왔고, 또한 교육의 보급도 이루어져서 4서(四書)의 중요성을 지향했던 것이다. <논어> <맹자>에 대해서는 제가(諸家)의 주(註)를 취사(取捨)하면서 주해를 붙였고, <대학> <중용>은 특히 장구(章句)로 나누어서 주석을 붙였다. 그 전체적 경향은 말할 것도 없이 그가 도달한 학문에 바탕을 둔 이론적 해석이어서 청조의 고증학자(考證學者)에 의한 사실 인정(事實認定)의 오류의 지적도 이러한 곳으로부터 오고 있다. <사서집주(四書集註)>는 송 이후의 중국인·한국인·일본인에게 가장 많이 읽혀진 고전에 속한다.
주자문집
[편집]朱子文集
주희(朱憙)가 쓴 문장(文章)을 집록(集錄)한 100권의 서(書). 여기에 수록된 주자의 글은 실로 다종다양하다. 특히 그의 상주문(上奏文)·사면문(辭免文)·기(記)·공이(公移) 등등은 주자의 구체적인 정치활동이나 정치사상을 아는 데 지극히 중요한 자료이다. 또 서간문(書簡文)·잡저(雜著)·기(記) 등은 주자의 학문사상을 아는 데 있어 <어류(語類)>와 함께 필독해야 할 부분이다. 기타 이 문집(文集) 100권은 별집(別集)·속집(續集)을 합하여 주자의 사상이나 역사적 성격을 전체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필요 불가결한 자료이나, 종래 주자를 논하는 사람 가운데서 문집을 자세히 읽은 사람은 거의 없다. 주자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설이나 해석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적 보고(寶庫)라 해도 무방하다.
주자어류
[편집]朱子語類
주희(朱憙)와 그 문인(門人)들의 학문상의 문답을 기록한 책(書). 지금 여기서 이르는 <주자어류(朱子語類)> 140권은 여정덕(黎靖德)이 편찬한 것으로서, 그 서문에는 남송 함순(咸淳) 6년(1270)의 재편년차(再編年次)가 기록되어 있다. 주자의 사후 70년이 지나서 된 것이다. 이 <어류(語類)>가 간행(刊行)되기 전에는 3록(三錄) 2류(二類)라고 하는 어록적 형태(語錄的 形態)와 어류적 형태(語類的 形態)의 두 계통의 간본(刊本)이 있었다. 여정덕(黎靖德)의 것은 어류적 입장에서 종래의 제간본(諸刊本)을 재편한 것이다. <어록(語錄)>의 편은 문인(門人)이 주자로부터 들은 학문상의 회답을 개인적으로 기록했던 것을 수록한 것이고, 어류(語類)는 필록자별의 <어록>을 해체하여 유목별(類目別)로 사상내용에 따라 분류 재편성한 것이다. 주자의 어록(語錄) 및 어류(語類)의 종류는 모두 14종이나 여정덕의 <주자어류>로 재편된 간본이 가장 내용이 풍부하다. 내용면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역시 이기(理氣)·귀신(鬼神)·성리(性理)·성정론(性情論)으로서 주자의 형이상적 사유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주자어류>는 주자의 문인들이 개인적으로 기록한 것을 수집한 것이기 때문에 주자가 직접 집필한 저서나 <주자문집(朱子文集)>에 비교하여 자료적인 가치는 제2의적인 것이다. 저서나 문집을 합하여 읽음으로써 그 자료적 가치는 높아질 것이다.
육왕학·양명학
[편집]陸王學·陽明學
육왕학(陸王學)이란 송대(南宋)의 사상가 육상산(陸象山)과 명대의 왕양명(王陽明)의 학문을 합하여 호칭한 것이다. 또 양명학(陽明學)은 물론 왕양명(王陽明)의 학문사상의 총칭이다. 육왕학(陸王學) 내지 양명학(陽明學)의 사상적 계보를 찾아보면 당연히 송대 사상(宋學)에 미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육상산의 사상은 북송의 정명도(程明道)를 계승하고 있으며, 왕양명은 정명도를 계승한 육상산의 사상 계보(思想系譜) 속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명도를 계승한 육상산의 학은 대단히 간명(簡明)하고 주로 실천 체득(實踐體得)을 중시하고 자아(自我)의 주체성을 강조한 점에 특색이 있다. 이 때문에 남송(南宋)의 사상계는 주(朱)·육(陸) 2자(二子)에 의해서 양분되어 이것이 명대(明代)에까지 흔적을 남기게 되었다. 주자는 이(理)의 형이상적 성격과 기(氣)의 형이하적 성격을 분명하게 이론적으로 구별하여 소위 이기(理氣) 2원론적인 방향을 취하였다. 따라서 특히 주돈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둘러싸고 주자와 육상산은 격렬한 논쟁을 전개하였다. 주자는 사사물물(事事物物)의 이(理)를 궁구하여 천하만물의 일리(一理)를 얻는다고 하였다. 그에 반하여 상산(象山)은 우주를 있게 하는 것은 이 1리(一理)뿐이라고 하고, 다시 학자가 배우는 것은 이 1리를 밝히는 것으로서, 명도(明道)가 "천지와 감통(感通)하면 나는 천지와 일체가 된다"고 말한 것이 이 이(理)를 얻는 것이라고 하여 명도에 동조하였다. 그것은 상산의 "우주의 모든 현상은 실은 나의 마음의 사상(事象)이요, 나의 마음의 일은 실은 우주의 일이다. 이 이(理)와 이 마음과는 한가지 것으로 귀결된다"는 이론으로 전개되는 심즉리설(心卽理說)에 기본하고 있다. 다시 왕양명은 상산을 이어 일체관적(一體觀的) 세계관에서 주자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을 비판하고, 심즉리(心卽理)설, 지행합일(知行合一)설, 양지(良知)설을 전개하여 명대 사상의 최고봉을 형성하였다. 육왕학(陸王學)의 특색이 실천적인 도(道) ― 이(理)의 체득을 주장하여 주체의 도덕적 자각에 의한 수증일치를 논하는 점에 있었기 때문에, 그 사상을 주관유심론적(主觀唯心論的)이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육구연
[편집]陸九淵 (1139-1192)
중국 남송의 사상가. 자는 자정(子靜), 호는 상산(象山), 시(諡)는 문안(文安). 무주(撫州) 금계현(金谿縣-현재의 江西省에 속한다) 사람으로 형인 구소(九韶-字는 子美), 구령(九齡-字는 子壽, 復齋先生)과 함께 학문으로서 이름을 남겼다. 건도(乾道) 8년(1172) 진사시험에 합격한 후 지방관으로 종사하면서 자제교육에 종사했다. 그의 사상의 특색은 심즉리(心卽理)이다. 그에게 있어서의 이 이(理)는 '천지가 천지어야 할 것'으로서 그 입론(立論)의 기초는 송대(宋代)의 다른 사상가와 다른 바가 없다. 그런데 이(理)는 어디에 있는가, 어떻게 파악하느냐 하는 점에 있어서는 북송(北宋) 이래 개개의 사상가에 따라서 논리의 입증이 달랐다. 그것은 주로 그와 같은 존재의 궁극자(窮極者=存在를 存在로 하는 것)와 <나>인 주체와의 관계에 있어서 경향을 달리했던 것이다. 육상산은 이에 대해서 "마음(心)은 1심(一心)이며, 이(理)는 1리(一理)이다. 이 심(心)은 이 이(理)여서, 둘로 나누어져 있는 일은 없다"라고 말하고 우주 안의 일은 자신의 분내(分內)의 일이며, 자신의 분내(分內)의 일은 우주안의 일이라고 했다. 다시 사람의 심(心)은 지극히 영(靈)=뛰어났다는 것) 하고 이(理)는 지극히 분명하다. 사람은 모두 이 심(心)을 가졌고, 심은 모두 이 이(理)를 지니고 있다고 했다. 이 주자의 격물치지론(格物致知論)에 있어서 주장한 "1물(一物)에 1리(一理)가 있고, 사사물물(事事物物)의 이를 밝힘으로써 만물의 일리를 얻는다"라는 논리와는 다르다. 상산에 있어서의 이(理)는 사물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고, 그와 같은 존재의 이(理)는 그것을 그것이라고 조정(措定)하는 바 나의 마음 속에 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나의 마음이 이(理) 그것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존재를 존재하게 하는 것, 즉 이(理)는 내 마음의 이(理)라고 하여 <심즉리(心卽理)>를 설파한 것이다. 따라서 이 1심(一心)이 만물의 이(理)이기 때문에 나의 마음에는 여하한 물건도 부가할 필요가 없고 마음을 가리고 있는 악폐만을 제거하면 된다. 독서강학(讀書講學)이라든지 사색 등도 도리어 유해하다고 한다. 그의 유명한 <6경(六經)은 나의 주각(註脚)에 불과하다>라고 하는 말은 이러한 사고 방식에서 나온 것이다.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둘러싼 주자와의 논쟁의 핵심은 다른 곳에 있는 것이 아니었다. 주자가 음양2기(陰陽二氣)와 도(道)를 형이상하(形而上下)로 나누고, <무극(無極)이면서 태극(太極)>인 것을 도(道), 즉 이(理)라고 한 데 대하여, 상산은 무극(無極)은 노자의 말이니 역(易)의 태극이라는 말로 족하다 하겠다. 즉 역(易)에서 <1음(一陰) 1양(一陽), 이를 도(道)라고 한다>고 하였듯이 그는 도설(圖說)의 위작론(僞作論)을 더하여 더욱 격렬한 논쟁으로 주자에 대항하였다. 상산의 사상은 명대의 진백사(陳白沙)를 거쳐 왕양명(王陽明)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육상산전집
[편집]陸象山全集 육구연(陸九淵)의 어록(語錄)·문장(文章)을 수집한 것이다. 내용은 문제(門弟)·학우(學友)들에게 준 서간문이 36권 중 17권에 이르러 상산의 사상을 해명하는 중요한 자료로 되고 있다. 사상 관계에서는 의장현학기(宜章顯學記)·무릉현학기(武陵顯學記) 등과 같이 지방의 학교가 설치되었을 때 붙였던 문장(文章)(記), 학술논문을 모은 잡저(雜著) 및 강의가 있고, 또 정치논문으로서 주표(奏表)·책문(策問) 등을 집록(集錄)하고 있다. 끝으로 2권은 어록(語錄)으로서 문인들의 필록(筆錄)을 수록하고 있다. 기타 서증(序贈)·시(詩)·제문(祭文)·묘지명(墓誌銘)·행장(行狀)·정문(程文)·습유(拾遺) 등의 권(卷)이 있고, 정문(程文)(一定한 형식으로 쓰는 試驗論文)이나 습유(拾遺)에는 사상관계의 문장이 많다. 이 <육상산 전집(陸象山全集)>에는 명대의 왕양명(王陽明)의 서문序文)(正德 16, 1521년)이 있어 흥미를 끈다. 왕양명은 성인의 학(學)을 심학(心學)이라고 규정하여 요순우(堯舜禹)는 서로 이어서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道心)은 미(微)하다. 오직 정(精)하고 오직 일(一)함으로써 진실로 그 중(中)을 잡는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심학의 원류(源流)라고 한다. 다시 "공맹(孔孟)의 학(學)이 일관하여 고자(告子)의 의외(義外)의 설(說)을 파기한 것은 곧 인(仁)이 사람의 마음에서 구해야 할 것이지 밖에서 구해지는 것이 아님을 명백히 한 것이다. 그런데도 후세의 유자는 심(心)과 이(理)를 둘로 나누어 물(物)이 이(理)를 밖에서 구해 나의 마음이 곧 물의 이(理)인 것을 알지 못한다. 송의 주자(周子), 2정자(二程子)는 공맹(孔孟)의 본지(本旨)를 잇고 육상산이 이것을 승계하였다. 그의 학문사상을 주자(朱子)와 비교하여 선(禪)이라고 하나, 선(禪)은 인륜(人倫)을 버리고 물의 이(理)를 망각하여 천하국가에 쓸모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禪)과 상산(象山)의 학(學)은 같지 않다"고 하고 있다. 여기 왕양명에 이르는 사상계보가 그 자신에 의하여 분명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 <전집(全集)>에서 주목할 만한 내용에는 주자(朱子)와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둘러싼 논쟁중 교환한 서간, <여주원회(與朱元晦)> 수 편과, 주자의 요청에 의하여 행한 <백록동서원강의(白鹿洞書院講義)>가 있다.
진헌장
[편집]陳獻章 (1428-1500)
중국 명대의 사조(思潮)의 선구적 역할을 수행한 사상가. 자는 공보(公甫), 시(諡)는 문공(文恭)이다.
신회(新會)의 백사리(白沙里) 사람이므로 백사선생(白沙先生)으로 호칭되었다. 신장(身長)은 8척, 눈빛은 별과 같았고, 우검(右瞼)에 일곱 개의 흑점이 있어 북두(北斗)와 같았다고 한다. 정통(正統) 12년(1447) 광동(廣東)의 향시(鄕試)에 합격, 익년 중앙정부에서 행한 회시(會試)에 합격했다. 국자감(國子監)에 입학하여 다시 진사시험을 준비 중이었으나, 오강재(吳康齋, 1391-1469)에게 수학한 후 과거에 대한 의욕을 버렸다. 그의 학문은 정좌(靜坐)를 주로 하는 것이었다. 성현의 유교(遺敎)를 구하여 침식을 잊은 채 책을 읽었지만 도리를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것은 곧 마음과 이(理)가 하나로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좌(靜坐)에 의하여 물(物)이 이(理)를 체인(體認)하는 것만이 학문(學問)이라고 하였다. 명말(明末) 청초(淸初)의 학자인 황종희(黃宗羲)는 "명대(明代)의 학문은 백사(白沙)에 이르러서 비로소 정미(精微)한 데 들어갔다. 그 가장 중요한 공부는 함양(涵養)에 있다.……왕양명(王陽明)에 이르러 커졌다. 양선생(兩先生)의 학문이 가장 가깝다고 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왕수인
[편집]王守仁 (1472-1528)
중국 명대의 사조를 대표하는 사상가·정치가·군인(軍人). 자는 백안(伯安)이며 시(諡)는 문성(文成). 양명(陽明)이라 호(號)하였으므로 일반적으로 왕양명(王陽明), 양명선생(陽明先生)이라고 한다.
여요(餘姚-현재의 浙江省에 속함)의 사람으로 부친은 화(華)라고 한다. 성화(成化) 17년(1481) 진사(進士) 제1인(第一人)에 급제하였고, 관(官)은 남경(南京)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다. 그는 출생 이래로 선병질(腺病質)이어서 청년기에 벌써 폐병으로 피를 토한 일도 있다. 혼미와 번민의 원인은 이 병(病)과 주자학(朱子學)에서 설명되는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이 아무리 하여도 납득되지 않는 점에 그 원인이 있었다. 주자의 이(理)는 사사물물(事事物物)에 즉하여 궁구해야 할 것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때는 뜰의 대나무를 잘라 대의 이치를 파악하려고 한 나머지 병이 나기도 하였고, 또 어느 때는 주자의 독서법을 읽음으로써 그대로 성현(聖賢)의 유교(遺敎)를 읽었으나 도리를 얻지 못하여 신경쇠약에 빠지기도 하였다. 자신은 도저히 성인(聖人)이 될 만한 그릇이 못된다는 체념이 <오익(五溺)>(任俠·騎射·辭章·神仙·佛敎의 傳習)에 빠지게 하였다고 한다. 35세 때에 중앙정부에 비판적인 정치논문을 상주하여 환관(宦官) 유근(劉瑾)의 노여움을 삼으로써 귀주(貴州) 용장(龍場-현재의 貴州에 속함)에 유배되었다. 산악부족(山岳部族) 속에서 고독한 생활을 보내고 있던 실의(失意)의 양명(陽明)은 여기서 본래의 깨달음을 얻었다. "성인(聖人)의 도(道)는 나의 성(性)에 구비되고 있다. 지난번에 이(理)를 사물에서 구한 것은 오류였다"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理)가 사물에 없다고 한다면 그것은 나의 마음에 있다. <심즉리(心卽理)>의 설이 여기서 확립되어 마침내 양명사상(陽明思想)의 근간이 되었다.
<심즉리(心卽理)>라고 하는 것은 선악을 포함한 마음이 이(理)라는 뜻이 아니고, 마음의 발동이 항상 이(理)의 경지를 뜻하는 실천적인 개념인 것이다. 주자(朱子)가 이(理)와 심(心)을 나누어 전자를 형이상적, 후자를 형이하의 음양이라고 한 말과는 크게 다르다. 나의 마음이 발동이 항상 이(理)라고 하는 것은 효(孝)를 아는 것과 효를 행하는 것이 나누어져 둘인 것이 아니다. 그와 같은 지(知)와 행(行)이 합일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하여 양명이 치지격물(致知格物)을 말한 것도 '양지(良知)를 치(致)한다-치양지(致良知)'라고 한 것도, 요는 마음의 본체로서의 양지 그것으로 되는 경지를 말한 것이다. 양명의 사상은 행위하는 주체가 항상 이(理)의 체현자일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의 사후, 그의 사상은 여러 방향으로 전개되어 실천하는 주체를 소홀히 하는 관념적·공상적인 이론으로 흘렀는가 하면, 착실한 면학수양(勉學修養)을 경시하는 풍조까지 빚어냈다. 그러나 명대의 사조는 양명사상(陽明思想)의 전개(右派와 左派로 나누어진다)에서 개성이 발휘된 것도 역사적 사실임에 틀림없다. 한국에서도 조선(朝鮮)의 중기(中期) 이후의 사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전습록
[편집]傳習錄
왕양명(王陽明)의 제학설과 교계(敎戒)·서간 등을 그 제자들이 편집한 것이다. 전습(傳習)이라고 한 말은 <논어(論語)> 학이(學而) 제1(第一)의 <전(傳)한 바를 익혔(習)는가>에서 나온 것이다. 즉 이 명칭은 양명(陽明)에게서 전수(傳授)된 학문을 자신이 잘 체득 습숙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스스로 반성하는 의미로 붙인 것이다. <전습록>은 보통 <왕문성공전서(王文成公全書)> 38권 중의 처음 3권에 수록되어 있으나, <전습록>만을 간본(刊本)으로 하고 있는 것도 있다. 양명사상(陽明思想)을 파악하는 데는 <왕문성공전서> 전체를 숙지해야겠지만 <전습록>을 정성껏 읽으면 그의 사상은 대체로 이해된다.
왕학 우파
[편집]王學右派
중국 명대의 사상가인 왕양명(王陽明)의 학문의 유파중의 하나이다. 정통파(正統派)로 간주되었다. 양명(陽明)의 <심즉리(心卽理)>는 선악을 포함한 마음이 이(理)가 아니고 마음이 발동할 때 이미 그 마음은 이(理)라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마음의 악폐(惡弊), 즉 사욕(私欲)을 극복하여서 마음을 양지(良知) 그것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유파는 양명의 <4구결(四句訣)>에서 선(善)도 없고 악(惡)도 없는 것은 심(心)의 체(體)라 한 것을 심(心 )의 본체는 지선무악(至善無惡)이라고 하여 전통적인 성선설(性善說)과 타협하고, 심(心)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양명심학(陽明心學)으로부터 떠나서 점차로 주자학적(朱子學的) 이(理)를 문제로 하여 실제적·현실적 연구를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양명의 문인 전서산(錢緖山-德洪, 1496-1574)이 왕룡계(王龍溪-1498-1583)와 <4구결(四句訣)>을 둘러싸고 대립하여 분파한 이후, 우파에는 추수익(鄒守益-東廊, 1491-1562), 나홍선(羅洪先-念庵, 1504-1564), 유종주(劉宗周-1578-1645) 등이 있었다.
왕학 좌파
[편집]王學左派
중국 명대의 사상가 왕양명(王陽明) 학문의 유파의 하나이다. 이 파의 왕룡계(王龍溪)는 선(善)도 없고 악(惡)도 없는 것은 심(心)의 체(體)요, 선(善)도 있고 악(惡)도 있는 것은 의(意)의 움직임이며, 선(善)을 지(知)하고 악(惡)을 지(知)하는 것은 양지(良知)요, 선(善)을 하고 악(惡)을 버리는 것은 격물(格物)이라 한다는 왕양명의 <4구결(四句訣)>에 대하여, 이것은 일반 사인(士人)에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치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는 심즉리(心卽理)·치양지(致良知)의 실천적 주체의 입장, 즉 실천을 주로 하는 도(道)·이(理)에의 오입(悟入) 내지는 그것의 체득이라고 하는 입장에서 보면 의(意)·지(知)·물(物)에 선악의 대립이 있을리 없다는 것이다. 진정한 학문은 오득(悟得)만을 존귀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고방식에서 왕룡계는 마음이 본래 무선무악(無善無惡)하면 그때 발하는 행위는 양지(良知) 그것이며, 따라서 양지는 배우지 않고 사려하지 않아도 사람이 본래 완전하게 구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사고방식은 이 파(派)의 이탁오(李卓吾)에게 전해지면서 한 걸음 나아가 적극적인 인욕(人欲)의 긍정으로 발전하였다. 이 파의 특색은 유(儒)·불(佛)·도(道) 3교의 혼융, 선학적(禪學的)경향, 소농(小農)·도장(陶匠)·나무꾼·염정 등의 낮은 신분의 사람들을 포함하는 서민교육에의 실천, 전통의 부정이나 반체제적(反體制的)·신비적인 점 등에 있었다. 이 파는 특색있는 사조를 형성하면서도 새로운 시대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사상 내용을 갖지 못하고 공론적·신비적 경향만을 강조하다 오래지 않아 소멸하였다. 왕룡계(王龍溪), 이탁오(李卓吾) 외에 왕간(王艮), 왕벽(王檗-東崖, 1510-1587), 안균(顔鈞-山農, 생몰년 미상), 양여원(梁汝元), 나여방(羅汝芳-近溪, 1515-1588) 등이 이 파에 속하였다.
왕간
[편집]王艮 (1483-1541)
중국 명대 양명학 좌파(陽明學左派)의 사상가 자는 여지(汝止), 심재(心齋)라고 호하였다. 태주(泰州) 안풍장(安豊場)의 사람. 태주학파(太州學派)의 지도자. 소년 시절에 집이 가난하여 학업을 마칠 수가 없었으나 25세 때 공자묘(孔子廟)에 참예(參詣) 후로는 <효경(孝經)> <논어(論語)> <대학(大學)> 등을 열심히 읽었다. 38세 때 처음으로 왕양명이 강서 지방에서 양지(良知)의 학(學)을 강론한다는 말을 듣고서 찾아가 그 학문에 크게 감복하여 그후 제자의 예절을 취하였다. 양명의 사후에 그는 문호를 개방하여 일반 서민을 강학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있는 곳에는 소농·도장·어부·염정·초부(樵夫) 계층의 사람들까지 몰려와서 그 학문을 경청하였다. 그는 실천을 중시하여 학문의 목적은 성인이 되는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왕학좌파(王學左派)의 왕룡계가, 양지는 사람의 마음에그대로 현성(現成)하고 있다고 말하였는데, 그도 또한 양지는 자연의 천측(天則)이어서 인력으로 안배할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또 학문은 반드시 먼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을 설명하였다. 자기를 바르게 하고 그 다음에 물(物)이 바르게 되고 자기 자신이 바르게 된 후에 비로소 천하가 거기에 귀일한다고 하며 특색있는 <격물설(格物說)>을 전개하였다.
양여원
[편집]梁汝元 (1517-1579)
중국 명대 양명학좌파(陽明學左派)의 사상가. 자는 주건(柱乾), 호는 부산(夫山). 후에 하심은(何心隱)이라고 이름을 고쳤다. 영풍(永豊) 사람으로서, 안균(顔鈞)을 스승으로 하고 왕심재(王心齋) 학문의 신봉자였다. 따라서 태주학파(太州學派)의 직계이다. 하심은은 강학(講學)을 특히 중시한 사람이며, 그 실행가이기도 하였다. 북경(北京)에 있을 당시 장거정(張居正)이 강학을 증오하였으므로 격론하게 되었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얼마 후 그는 포박되어 살해되었다. 그의 사상은 인륜(人倫) 중에서 붕우(朋友)를 중시하며, 임협적(任俠的)인 행동력에 의한 광범위한 강학 실천과 농공상가사(農工商賈士)의 평등론, 인욕(人欲)의 긍정 등을 그 특색으로 한다. 저서에는<찬동집( 桐集)> 4권 외에 <양부산유집(梁夫山遺集)>이 있다.
이지
[편집]李贄 (1527-1602)
중국 명대 양명학 좌파(陽明學左派)에 속하는 사상가. 처음에 대지(戴贄)라 하고, 탁오(卓吾)라 호하였다. 천주(泉州) 진강현(晋江縣-현재의 福建省에 속함) 사람이다.
그의 관직 생활은 허난성(河南省)·북경(北京)·난징(南京)의 하급관리 및 남경 형부원외랑(南京刑部員外郞)을 거쳐, 51세 때에 윈난성(雲南省) 요안부(姚安府)의 지부(知府)가 되었다가 54세에 그만둔 것이 전부이다. 회교도였던 그의 성격은 지극히 독존적인 인품으로 시비를 즐겨 도전적·전투적이었다. 더욱이 기행(奇行)을 좋아하고 반유교적(反儒敎的)·파괴적 언사를 써서 당시 모순 많은 명대 사회에서 압도적인 인기를 모았다. 따라서 당시의 부패한 관료층의 탄압을 받아 체포되어 그는 자살하였다. 그는 왕양명과 왕룡계를 도(道)를 얻은 진인(眞人)의 불사자(不死者)라고 준숭하였다. 그의 사상에 있어서의 <동심설(童心說)>이라든가, 역사비판에 있어서의 선악·현부(賢否)의 상대화(相對化) 등은 양명학의 발전임과 동시에 불교나 노장사상의 영향도 받고 있다고 생각된다.
분서
[편집]焚書
이지(李贄) (卓吾)의 저작으로 전 6권이며 <속분서(續焚書)> 5권이 부가되었다. 이 저서는 이탁오(李卓吾)가 관직을 그만두고 허베이성(湖北省) 황안현(黃安縣)의 경정향(耿定向)의 처소에서 기거하다가 사상적인 대립으로 절교한 후 마성현(麻城縣) 용호(龍湖)의 지선원(芝仙院)에 거주하고 있던 시절(59세 이후)의 십여년 동안 써놓은 서간·수필·시 등을 수집한 문집이다. 이 저서 중에서 대표적 논문은 제3권에 수록되어 있는 <동심설(童心說)>이다. 동심이 상실되는 것은 문견(聞見)이 밖으로부터 들어와 안의 주인이 되고 도리(道理)가 들어와서 안의 주인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특히 그 도리를 부정적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그의 입론(立論)에서 본다면, 음란을 가르치는 <서상기(西廂記)>라든가 도둑을 가르치는 <수호전(水滸傳)>과 같은 속문학(俗文學)이 고금의 지문(至文)이며, 6경(六經)·논어(論語)·맹자(孟子)는 도학자들의 구실로서 위선자를 만드는 본원이라고 한다. 이 외에 <분서(焚書)>에는 "사람이 각각 생지(生知)를 소유하고 각인이 다 부처가 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卷一 答周西嚴), "의복을 입고 밥을 먹는 것. 이것이 인륜의 물리(物理)이다"(卷二 答鄧石陽)등 독자적이면서 자유로운 견해가 많이 제시되어 있다.
장서
[편집]藏書
이지(李贄)의 대표적 저작으로서 전68권, <속장서(續藏書)> 27권이 부가되어 있다. <분서(焚書)>가 그의 문집으로 잡다한 것을 수집한 것에 비하여 이 책은 전국시대에서 원대(元代)까지를 기록한 기전체(紀傳體)의 종합 역사서이다. 이것은 이탁오가 허베이성(湖北省) 마성현(麻城縣)에 있는 지선원(芝仙院)에 체류하고 있었던 시절의 십수년 동안에 저술한 것이다. 서무인 <장서 세기열전 총목전론(藏書世紀列傳總目前論)>에 보이는 것처럼 시비선악에는 정체(定體)가 없고 전부 상대적·병존적이라고 한다. 이 입장은 <장자(莊子)>의 사상을 많이 닮고 있다. <세기총론(世紀總論)> <덕업유신론(德業儒臣論)> 및 <후론(後論)>, 기타 이 책 전반적인 논조는 무위(無爲)·무사(無私)에의 반론과 공리의 주장이라든가 전통적 가치관·규범의식에의 반발과 송유도통론(宋儒道通論)의 부정 등 종래의 사서(史書)인 <사기(史記)> <자치통감(資治通鑑)> <통감강목(通鑑綱目)>에 있어서의 춘추학적(春秋學的) 발상을 무시하였다. 매우 자유분방하고 독창적인 견해와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동림학파
[편집]東林學派
중국 명대 말기에 생긴 학자들의 정치활동 그룹이다. 명대의 사회는 만력(萬曆) 시절부터 차츰 혼란속으로 빠져 들었다. 희종(憙宗) 천계제(天啓帝-재위, 1621-1627)는 명조 제일의 암군(暗君)으로서, 환관(宦官) 위충현(魏忠賢)에게 정권을 위임하고 자신은 일락(逸樂)에만 빠져들고 있었다. 혼미한 사회적·정치적 상태에 대하여, 왕양명(王陽明) 이후의 심학(心學) 운동은 이미 공리공소한 것으로 흘러 부질없이 관념적 논식만 전개하였을 뿐 구국경세에는 아무 소용도 없게 되었다. 이때 정치적 문란과 사회적 혼란을 시정하려고 일어난 것이 소위 동림학파(東林學派)의 학자들이었다. 무석(無錫)의 고헌성(顧憲成)은 정부 부내의 인사쇄신을 위하여 누누이 용인(用人)의 의서(議書)를 상소하였다.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으므로 그는 관직을 사임하고 향리로 돌아와 송의 명유(名儒) 양시(楊時)의 동림서원(東林書院)을 재흥하여 동지를 집합시켰다. 그 중에는 조남성(趙南星), 추원표(鄒元標), 고번룡(高樊龍) 등이 있었다. 그들은 학문적으로는 주자학(朱子學)을 신봉하고 위충현(魏忠賢) 등 환관 일파와 대항하여 관료 사대부의 정통파 그룹을 대표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동림당(反東林黨)이 일어나 정책논의를 반복하고 있던 중에 이 당파는 환관 일파와 결탁하였고, 그로 말미암아 동림당(東林黨)은 탄압을 받아 소멸하였다. 그러나 이 파에 의하여 주장된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學)은 명말 청초의 황종희(黃宗羲), 고염무(顧炎武), 왕부자(王夫子) 등에 계승되어 다음 대(代)의 신문학의 원동력이 되었다.
그리스도교의 전래
[편집]-敎-傳來
그리스도교의 중국 전래에 대해서는 일찍이 당(唐)·원(元)시대의 네스토리우스교(景敎)의 유행과 원(元) 시대의 몬테 코르비노(John of Monte Corvino, 1247-1328)의 가톨릭 포교에 주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어느 것이나 그 시대에 소멸되어 중국의 사상이나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는 할 수 없다. 그것이 본격화한 것은 명말에 있어서의 예수회(耶蘇會) 선교사의 가톨릭 포교로부터 비롯한다. 예수회의 중국 포교 활동은 포르투갈·에스파냐의 동양무역 진출에 수반한 것이요, 최대의 개척자는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利瑪寶)였다. 그는 요우(僚友)인 미켈러 룻제리(羅明堅)와 함께 16세기말에 광동성(廣東省)에서 포교에 노력하였다. 그러다가 17세기 초에 명(明)의 만력제(萬曆帝)의 칙허에 의해 북경(北京)에 거주하면서 궁정이나 고관들 사이에 크게 포교 활동을 행하였다. 리치가 성공한 뒤를 이어 아담 샬(Adam Schall, 湯若望), 베르비스트(Verbiest, 南 仁) 등의 선교사들이 명·청 양조(兩朝)의 천문관(天文官)으로서 봉사하면서, 북경(北京)의 궁정을 중심으로 포교 활동에 종사하였다. 중국에서의 신자로는 명조의 대관(大官) 서광계(徐光啓)나 이지조(李之藻)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청의 강희(康熙) 초에는 신자 총수가 24만에 달하였다 한다. 예수회 선교사가 리치 이래 그리스도교와 중국의 전통적 예교(禮敎)와의 조화를 위하여 자기의 신앙을 중국인에 강요하는 것보다도, 차라리 천문(天文)·역법(曆法)·수학(數學)·지리학(地理學) 등의 새로운 서양 과학문명의 소개에 의하여 궁정을 비롯하여 지배계급의 환심을 사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 때문에 그리스도교의 신앙보다도 서양과학 지식의 이입이 활발하게 행하여져 명말 청초의 사상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서광계
[편집]徐光啓 (1562-1633)
중국 명말의 정치가·학자. 자는 자선(子先), 호는 현호(玄扈).
1596년 광동성(廣東省) 소주(韶州)에서 예수회 선교사로부터 처음으로 그리스도교의 설교를 듣고, 1600년 난징(南京)에서 마테오 리치를 만나 교의를 배웠다. 다시 다 로차(羅如望)에게 신앙을 닦은 후, 1603년 세례를 받았다. 1604년 진사가 되어 북경에 거주하면서 리치와 친교를 두텁게 하였고, 서로 협력하여 유클리드(Euclid) 기하학의 역서(譯書) <기하원본(幾何原本)>의 작성·간행에 힘썼다. 또 상해(上海)에서 선교사의 포교 활동을 원조하여 뒤의 서가회(徐家匯) 천주당(天主堂)의 기초를 만들었다. 리치의 활약 중에는 이지조(李之藻)와 함께 양익(兩翼)이 되었으나, 리치의 사후 탄핵되어 관직을 사퇴하고 약 10년에 걸쳐 농학(農學)의 연구에 몰두하여 고금의 학설을 집성한 <농정전서(農政全書)>를 저작하였다. 후에 관계에 복귀하여 1630년 예부상서(禮部尙書)가 되었고, 다시 대학사(大學士)로 나아갔다. 그 동안 아담 샬과 함께 중국력(中國曆)의 개수(改修)에 종사하였고, 또 선교사들과 협력하여 <숭정역서(崇禎曆書)>를 편찬하였다.
도교의 계보
[편집]道敎-系譜
도교가 교단적(敎團的) 사회 세력을 형성하여 그 기초를 확고히 한 것은 북위(北魏) 태무제(太武帝) 시절 천사도(天師道)를 연 구겸지(寇謙之)의 힘에 의한다. 송대 북송에서는 태조(太祖)·태종(太宗) 이래의 황제가 유학 진흥책을 취하는 한편, 도교를 깊이 믿어 여러 종류의 궁관(宮觀)을 건립하여, 송왕조를 보호 유지하는 종교와 같은 성격을 갖게 하였다. 장군방(張君房)의 <운급 7첨> 120권도 이때에 편찬된 것이다. 7첨(七籤)은 도경(道經)의 분류, 즉 3동(三洞)(洞眞·洞玄·洞神) 및 4보(四輔:太正·太平·太淸·太一)를 말하는데, 그는 이런 경전(經典) 4565권 속에서 중요한 것을 발췌하여 이 책을 편집하였다. 이후 남송에서는 크게 남종(南宗)·북종(北宗)의 두 파로 나뉘었다. 남종은 성(性)을 주로 하였고 북종은 명(命)을 주로 하였다. 남종의 성, 북종의 명이라고 하는 설은 명(明)의 송렴(宋濂)의 견해에 의하면 오히려 반대라 한다. 북종(北宗)은 여순양(呂純陽)으로부터 전진교(全眞敎)를 개설한 금(金)의 왕철 (字는 知明, 重陽子라고 易한다) 명대 및 청대에는 황제 권력의 전제 절대화(專制絶對化)를 강화할 목적으로 민중교화의 방책이 철저하게 취해졌다. 그 방책은 유교사상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전승적인 민간 신앙에 있어 인과응보(因果應報)·권선징악(勸善懲惡)을 말하는 이른바 유불도(儒佛道) 혼융의 교화책이었다. 이 교화책은 선서(善書)의 유행과 함께 명·청사회에 넓고 깊게 침투되었다. 선서란 선을 권하는 책이라는 뜻으로서, 송에게 전해졌다. 그의 저술로 <중양전진집(重陽全眞集)> <중양교화집(重陽敎化集)> <중양분리십화집(重陽分梨十化集)> <중양금궐옥쇄결> <중양수단양(重陽授丹陽)> <중양입교15론(重陽立敎十五論)>등이 있다. 또한 남송 초에는 유명한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이 이창령(李昌齡)에 의하여 저작되었다. 대 이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것은 민간에 있어 일상적 통속적인 도덕의 실천을 권장하는 책으로서, 유교적 교리뿐만 아니라 유도불(儒道佛) 3교 혼합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공과격(功過格)> <음즐문>은 그 대표적인 것이다. 또 불교계의 통속 경전으로서의 <보권(寶卷)>이 명대 이후 일반에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