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가면극/한국의 가면극〔서설〕
韓國-假面劇〔序說〕 한국 가면극은 고구려의 무악, 백제의 기악(伎樂), 신라의 처용무(處容舞)와 오기(五伎) 등 삼국시대 이래로 대륙 전래의 산악백희(散樂百戱)와 고려의 산대잡극(山臺雜劇) 등 조선조 전대까지의 각종 가면희가 선행예능(先行藝能)으로서 참여하여 조선조(朝鮮朝) 후기에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이 정립하기에 이르렀다. 이 산대도감극 계통의 놀이로서 현전하는 것에는 중부지방의 양주별산대(楊州別山臺) 놀이와 송파산대(松坡山臺), 서북지방의 봉산(鳳山)탈춤과 강령(康翎)탈춤, 영남지방의 통영오광대(統營五廣大)와 고성(固城)오광대, 그리고 수영야유(水營野遊)와 동래야유(東萊野遊)가 있다. 이 밖에 하회별신(河回別神)굿놀이와 북청사자(北靑獅子)놀음은 계통을 달리하는 탈놀이이다. 한국 가면극의 연출형태는 음악반주에 춤이 주가 되며, 거기에 노래가 따르는 가무적 부분과 몸짓과 사설, 즉 대사가 따르는 연극적 부분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기자의 다수 또는 일부가 가면을 써서 등장인물을 나타내며, 극적 장면을 연출하는 것이 가면극이라면, 가면은 가면극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국 가면극에 쓰이는 가면은 위에 든 각 지방의 가면극에 따라 제각기 다른 표정의 가면을 사용하여 그 수가 풍부하다. 그 가면 제작의 재료로는 나무와 종이, 그리고 바가지가 제일 많이 사용된다. 가면의 색은 백색·주색(朱色)·흑색·갈색·황색·청색 등 5방색(五方色)이 주가 되며, 가면 뒷면에 탈보가 달려 있어 이것으로 머리에 동여매어 얼굴 전면을 덮게 되어 있으며 후두부를 가리게 된다. 이것은 그리스의 연극에 있어서의 가면이나 기악면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나라의 가면극 배우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가면극도 재래에는 평민의 남자들만이 탈을 써왔다. 반주 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피리·젓대·장고·북·꽹과리·해금 등 육자비(육각)의 악기이며, 반주 곡조는 염불·타령·굿거리 등의 민속무용의 반주음악과 같은 것이다. 한국 가면극은 원래 야외극으로 상연되어 왔고, 상연시간에도 일정한 제한이 없어, 보통 저녁에 시작하면 모닥불을 피워놓고, 새벽까지 계속하였다. 상연시기는 각 지방에 따라 다르나, 음력 정월 대보름과 4월 초파일, 5월 단오, 8월 추석 등의 명절과 그 밖에 나라의 경사때 하는 놀이로서, 또 가물 때의 기우제(祈雨祭)행사로서도 상연되었다. 현존한 이들 가면극은 가면에 대한 고사와 의식무(상좌춤)로 시작하되 파계승(破戒僧), 몰락한 양반(兩班), 상민(常民), 무당(巫堂), 사당(社堂), 거사(居士), 하인(下人)들의 등장을 통하여, ① 파계승에 대한 풍자와, ② 상전인 양반에 대한 모욕, ③ 남녀(부부)의 갈등, ④ 서민생활의 곤궁상을 보여주며, 이 주제들을 몇 개의 과장(科場)으로 나누어 일종의 옴니버스 스타일로 묶은 것이다. 이것은 어느 나라의 민속극에서도 공통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특권계급과 형식도덕에 대한 일종의 반항과 비판을 구체적으로 연출하는 민중극이다. 이같은 서민문학성은 임진·병자 양난 이후 새로 일어난 서민 문화의 주류를 이룬 사조로서 낡은 인간관계, 즉 양반의 특권이나 승려의 종교적 권위마저 웃어넘기던 시대적 분위기의 반영이기도 하다. 한국 가면극의 대표적인 놀이인 양주별산대놀이의 과장과 등장하는 인물, 즉 가면의 수(數)를 보기로 들면 다음과 같다. ⑴ 과장(科場)-길놀이(거리굿), 고사(서막), 제1과장 상좌춤, 제2과장 옴중과 상좌중, 제3과장 먹중과 옴중, 제4과장 연잎과 눈끔적이, 제5과장 팔목중(제1경 염불놀이, 제2경 침놀이, 제3경 애사당 북놀이), 제6과장 노장(제1경 파계승놀이, 제2경 신장수놀이, 제3경 취발이놀이), 제7과장 샌님(제1경 의막사령<依幕使令>놀이, 제2경 포도부장 놀이),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 ⑵ 가면-상좌(上佐) 2개, 옴(여드름), 먹중(또는 묵중<墨僧>) 4개, 연잎, 눈끔적이, 완보(完甫 또는 冠 쓴 중), 신주부(新主簿), 왜장녀(해산어멈과 도끼누이를 겸용), 노장(老長), 소무(小巫) 2개, 말뚝이(신장수와 도끼를 겸용), 원숭이, 취발이(醉發:쇠뚝이를 겸용), 샌님(언청샌님), 포도부장(捕盜部將), 신할아비, 미얄할미. 등장하는 총인원수는 32인이 되나, 겸용하는 가면이 있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가면수는 보통 22개가 된다. 봉산탈춤의 과장은 7과장 5경이며, 가면은 겸용하는 가면이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되는 가면수는 25개가 된다. 통영오광대는 5과장이며, 가면은 31개가 사용된다. <李 杜 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