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재배와 관찰/식물의 채집·재배/식물의 채집과 표본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식물 채집 준비와 방법[편집]

채집은 식물을 조사·연구하는 데 필요한 재료를 얻기 위해 연구자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벌이는 일련의 작업이다. 조사·연구라 함은 꼭 학술적인 의미를 갖는다기보다는 식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식물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얻기 위해서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기초작업이다. 식물을 조사하거나 관찰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물론 살아 있는 식물 그대로를 조사하는 것이 좋겠지만, 식물마다 제각기 자라는 계절과 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그러한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식물을 채집하여 원형 그대로 보관하는 일이 중요하고, 또한 이 때문에 식물 채집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식물채집의 구체적인 목적은 식용·약용·취미·연구·교육 등 여러 가지이다. 식용으로서의 과실·채소의 채집은 선사시대부터 이루어졌다. 취미를 위한 수집이나 연구·교육을 목적으로 한 채집은 비교적 최근이다. 근세 이전의 식물 채집은 거의 약초 채집으로 채약이라고 했다. 채집의 목적에 따라 유의할 사항이 다르므로 채집에 앞서 각 식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춰야 한다.

식물채집을 할 때는 뿌리삽, 전정가위, 식물채집통, 야책, 종이테이프, 매직펜, 수첩, 연필을 준비한다. 풀은 꽃이나 열매·잎·줄기·뿌리를 포함한 식물 전체를 뿌리삽으로 채집하며, 나무는 꽃이나 열매·잎·가지를 포함하여 전정가위로 일부를 끊는다. 식물채집의 목적은 식물표본을 만들어 식물을 연구하는 데 있으므로 반드시 꽃이나 열매가 표본에 포함되어야 한다.

식물 채집 도구[편집]

植物採集道具

채집통[편집]

採集-

양철 또는 함석으로 만든 가방처럼 생긴 것으로 끈이 달려 있어 어깨에 맬 수 있고 크기는 다양하다. 먼 곳에서 식물을 채집하여 가져오려면, 시간이 오래 걸려서 시들 염려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채집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두꺼운 비닐 주머니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식물이 상하기 쉽다.

잡지[편집]

雜誌

채집한 식물을 신문지 등의 사이에 끼우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간지나 잡지책에 끼우면 배낭이나 가방 속에 넣어도 식물의 형태가 망가지지 않으므로 편리하다. 채집통이나 야책 대신 이용하면 편리하다.

모종삽[편집]

식물을 뿌리째 캐내기 위해 필요하다. 땅이 굳고 뿌리가 뒤엉켜 있는 경우에는 화석해머가 편리하다. 화석해머는 소형 곡괭이나 피켈과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모종삽은 쇠로 만든 것이 대부분인데,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도 많이 쓰이고 있다.

야책[편집]

대나무, 또는 베니어 판 두 장을 포개어 끈을 달아 어깨에 멜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사이에 신문지를 넣고 채집한 식물을 신문지 사이에 끼워 운반한다.

그 밖의 도구[편집]

-道具전정가위·돋보기·필기도구·종이테이프·명찰 등을 가지고 다니면 편리하다. 진정가위는 나무의 가지나 키가 큰 풀 따위를 자르는 데 필요하다. 또 돋보기를 준비하면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돋보기는 약 10배 정도의 배율을 가진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필기 도구로는 야외에서 기록할 수 있는 노트와 연필이 필요하다. 연필은 2B나 3B 정도의 것이 좋다.

채집할 때의 유의사항[편집]

採集-留意事項

우선 식물 연구에 꼭 필요한 부분만을 채집한다. 식물을 무분별하게 채집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연구를 방해하는 것이 될 뿐만 아니라 자연을 훼손하는 일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뿌리째 캔 식물은 바닥에 가볍게 두드리듯이 흙을 털어 내는 것이 물로 씻는 것보다 더 낫다. 식물을 채집하면 즉시 채집 장소와 식물의 이름을 테이프나 명찰에 기록하여, 줄기나 가지 등 식물의 채집 부위에 매달아 놓는다. 나중에 채집한 여러 식물들이 뒤섞여 헛갈리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인솔자의 설명과 자신이 알게 된 사실을 그때그때 메모해 두는 것이 좋다. 만약 채집통 속에 식물이 적으면, 날씨가 좋을 때에는 시들 염려가 있으므로 미리 길가에 난 풀을 몇 포기 뜯어서 넣어두거나 물에 적신 신문지를 깔아 놓으면 시드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눌려서 상하거나 꽃잎이 떨어지기 쉬운 꽃은, 비닐 주머니에 넣고 풍선처럼 부풀려 입구를 고무줄로 묶어 두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채집 정리와 운반[편집]

採集整理-運搬

채집은 궁극적으로 식물을 조사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므로 표본을 만들기 전에 식물이 싱싱할 때 스케치를 하거나 관찰하고, 또 참고서와 비교해 보는 일이 중요하다. 채집한 식물을 정리할 때에는 채집한 장소의 토양, 분포 상태, 발견 빈도 등을 함께 기록해 놓으면, 식물을 연구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된다. 채집이 끝난 후에는 채집에 사용했던 도구를 잘 손질해 두도록 한다. 특히 해조류 채집에 사용한 모든 도구는 반드시 민물에 깨끗이 씻어 말린 뒤 보관한다.

채집 방법[편집]

採集方法

식물을 채집하는 방법은 연구하는 성질에 따라 크게 특정한 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는 경우와 특정한 식물을 연구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특정한 지역의 식물 조사의 경우에는 식물의 종류 전체를 채집할 필요는 있으나 종류에 따라 그다지 많이 채집할 필요는 없다. 또 한 계절이 아닌 4계절에 걸쳐서 채집하는 것이 좋다. 꽃을 채집하는 경우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에 피는 꽃 등 계절에 따라 채집한다. 또 상록 초본 식물은 겨울에 채집하는 것이 시간을 절약시켜 준다.

특정한 식물의 조사의 경우에는 특정한 식물 하나하나의 종에 대해 여러 가지로, 또 많이 채집해야 한다. 왜냐하면 종에 대한 변이의 폭을 알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경우에는 완전한 표본을 만들어야 하므로, 뿌리·줄기·잎·꽃 등이 완전히 갖추어진 식물을 채집하는 것이 좋다. 채집하는 장소는 멀리 떨어진 곳을 선택하는 것보다 가까운 주변의 산이나 들, 냇가에서부터 시작한다. 한편 식물마다 사는 장소·시기·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채집할 때의 방법과 준비물도 약간씩 다르다.

풀의 채집[편집]

-採集

식물의 채집할 때는 뜰이나 길가의 잡초에서 점차 들이나 숲, 산으로 장소를 넓혀 가는 것이 좋다. 채집할 때는 반드시 꽃봉오리나 꽃·열매가 달린 것을 채집한다. 잎과 줄기만으로는 완전히 것이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같은 것이 많이 있을 때는 그 중 가장 좋은 것을 채집한다.

나무의 채집[편집]

-採集

풀과 마찬가지로 나무도 채집한다. 큰 나무는 뿌리를 채취할 수 없으므로 가지만을 채집한다. 꽃이나 열매가 달린 것이 좋지만, 풀과는 달리 잎만으로도 특징을 알 수 있는 것이 많다. 채집하는 크기는 신문지를 넷으로 접은 정도가 알맞다.

선태식물의 채집[편집]

蘚苔植物-採集

이끼는 크게 솔이끼류(선류)·우산이끼류(태류)·매화나무이끼류(지의식물)로 나눌 수 있다. 이끼는 주로 숲 속의 습한 곳이나 바위에 붙어서 살기 때문에,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채집할 수 있다. 특히 솔이끼와 우산이끼를 채집할 때에는 포자가 생기는 암그루와 포자가 생기지 않는 수그루를 구별하여 채집한다. 이끼류는 뿌리의 흙을 털어내고 비닐 주머니 같은 것에 넣어 가지고 운반한다. 이끼도 채집 장소와 날짜를 적어 두고, 이끼가 나 있던 곳, 즉 나무에 돋아 있을 때에는 그 나무의 이름을 알아 두고, 땅 위에 난 경우에는 그 장소의 특징을 되도록 자세히 적어 두면 이용에 편리하다.

버섯의 채집[편집]

-採集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버섯이 많이 자라므로 이 시기를 이용하여 집중 채집한다.

버섯은 아주 약한 식물이기 때문에 채집할 때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또 버섯자루의 끝 부분까지 완전히 채집해야 하므로, 삽으로 땅 속을 깊이 파서 채집한다. 독이 있는 버섯이 많으므로, 채집에 들어가기 전에 식용 버섯과 독버섯을 구별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버섯을 채집한 후에는 버섯이 나 있던 장소, 즉 땅 위·나무위·풀밭 등과 날짜·날씨, 발견 빈도, 서식 상태, 종류 등을 자세히 기록해 둔다.

양치식물의 채집[편집]

羊齒植物-採集

포자로 번식하는 고사리류·속새류·석송류 등과 같은 양치식물은 포자낭을 함께 채집한다. 특히 고사리는 포자낭이 붙어 있는 모양이나 잎자루에 붙어 있는 털·비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류를 구별하므로 꼭 잎과 포자낭이 함께 붙어 있는 것을 채집해야 한다.

해조류의 채집[편집]

海藻類-採集

해조류는 해안이나 바닷가의 모래밭에서 채집해야하므로 여러 가지 도구가 필요하다.

짠물이 잘 빠지는 헝겊 주머니, 바위에 달라붙어 있는 것을 뜯어 낼 때 필요한 낫, 작은 해조류를 넣기 위한 병을 비롯하여 핀셋·칼·물안경 등 여러 가지를 준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채집이 끝나면 반드시 사용한 도구들을 민물에 깨끗이 씻어 말려야 한다. 채집 시기는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해조류가 가장 무성해지므로, 1년 중 바닷물이 가장 얕은 시기인 4-6월경이 적당하다. 해조류는 채집할 때 채집하는 장소나 시기에 따라 같은 종류라도 모양이 바뀌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능하면 채집을 많이 해야 한다.

표본 만들기[편집]

식물 표본[편집]

植物標本

표본이란 식물을 상하지 않도록 특별히 건조시켜 대지에 붙여 놓은 것으로 석엽표본이라고도 한다. 표본 대지에는 식물의 이름, 식물이 자라던 곳, 채집한 날짜와 채집한 사람의 이름이 적혀 있다. 표본은 작은 식물인 경우는 식물체의 전체가 들어 있으나, 큰 식물인 경우는 잎·가지·꽃과 열매 등 중요한 부분만이 붙여져 있다. 식물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것은 생식기관이므로 완전한 표본은 꽃이나 열매가 들어 있다. 표본은 완전히 건조되어 있으므로 표본관의 표본상자에 넣어서 보관하며, 벌레의 해에 대하여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물의 표본은 크게 압엽 표본과 액침 표본으로 나눌 수 있다.

약엽 표본은 식물의 잎·가지 등을 신문지와 같은 종이 사이에 넣어 눌러서 말린 후 대지에 붙이는 방법으로, 건조 표본 또는 석엽 표본이라고도 한다. 식물을 연구하려면 살아 있는 것을 직접 조사하는 것이 좋다. 다만 후일의 연구를 위해, 또는 자료로 남기거나 다른 시기나 장소의 것과 비교하기 위해 주로 압엽 표본을 만들어 보존한다.

액침 표본은 식물체를 약액에 담가서 보존하는 방법으로, 주로 열매·해조류·버섯 등의 표본에 이용한다. 용기로는 보통 유리나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한다. 약액은 보존액이라고도 하는데, 그 농도는 식물의 종류와 표본 제작의 목적에 따라 다르다. 열매·해조류·버섯 등은 보통 70%의 알코올이나 5%의 포르말린에 넣어 액침 표본을 만든다. 액침 표본은 식물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압엽 표본보다 낫지만 빛깔이 변하는 단점이 있다.

압엽 표본[편집]

壓葉標本

잡지나 신문지 등에 채집한 식물을 끼우고, 여러 장을 포개어 위에 무거운 돌 같은 것을 얹어 잎 또는 식물 전체를 눌러 만드는 것을 말한다.

좋은 압엽 표본을 만들려면 우선 채집한 식물을 넷으로 접은 신문지 사이에 끼운다. 길이가 긴 것은 줄기를 N·M 또는 W 꼴로 구부려 끼운다. 또 가지가 너무 많을 때는 가위로 알맞게 잘라 내고, 잎이 너무 많아서 겹쳐질 때도 적당히 따낸다.

채집한 식물을 넷으로 접은 신문지 사이에 끼운 다음, 식물을 끼우지 않은 신문지를 넷으로 접어 그 위에 2-3장 포갠다. 이렇게 하여 표본을 끼운 신문지와 끼우지 않은 신문지를 교대로 쌓아 올린다. 쌓아 올리는 것이 끝나면 아래위에 준비한 판자를 대고, 위에 두꺼운 책이나 돌상자를 얹어 표본이 눌리게 한다. 사이에 끼운 신문지는 1-2일에 한번씩 갈아 주어야 한다. 7-10일쯤 지나면 식물은 완전히 건조되어 압엽 표본이 완성된다. 잎이 두껍고 수분이 많은 것은 기간이 더 걸린다.

또 압엽 표본에서 흡수지를 교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데 무엇보다도 식물을 끼워 놓은 종이를 함부로 뒤집거나 펼치지 말아야 한다. 식물의 모양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흡수지 교체는 대개 처음 이틀 동안은 하루에 한 번, 사흘째에는 두 번, 다음 이틀 동안은 한 번씩 바꾸어 주되, 이러한 작업을 1주일 정도 계속한다.

대지[편집]

臺紙

표본을 모두 완성한 후에는 모조지나 도화지와 같은 대지에 붙여 채집한 식물의 학명·이름·채집 장소·날짜·시간 그리고 채집자 이름을 쓴 라벨을 대지 오른쪽 밑에 붙인다.

표본은 작은 종이 조각에 풀칠을 하여 대지에 붙이거나, 셀로판 테이프를 좁게 잘라서 붙이되, 될 수 있으면 잎의 앞면이 겉으로 오게 한다. 또한 접혀서 꺾이거나 주름지지 않도록 한다. 채집한 식물에 여분이 있을 경우에는 보이는 면을 달리하여 붙여 주는 것도 알맞은 방법이다. 대지에 붙이지 않고 신문지에 그대로 보관하는 것도 좋지만 일일이 들추어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보는 과정에서 표본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능하면 대지에 붙여 보관하는 것이 좋다. 대지에 붙이지 않고 그대로 쌓아 둘 경우에는 채집 장소가 같은 것을 함께 정리하여 채집자가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한다.

보관과 이용[편집]

保管-利用

표본을 보관할 때에는 나프탈렌을 군데군데 넣어서 좀이 슬지 않도록 하고, 방습제를 이용하여 습기가 차지 않게 한다. 무엇보다도 표본을 이용할 때에는 관찰하고 난 뒤에 뒤집거나 한데 쌓아 놓거나, 흔들어 보아서는 안 된다. 표본은 망가지기 쉽고, 날짜가 지나면 부주의로 못 쓰게 되는 일이 많으므로,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면서 이용해야 한다.

열매나 씨의 표본[편집]

-標本

씨는 대체로 작아서 없어지기 쉬우므로 작은 주머니에 넣어 그 식물의 대지 한쪽 모서리에 붙여 둔다. 열매도 아주 작거나 건조하기 쉬운 것은 씨처럼 하여 두면 되지만, 크고 수분이 많은 것은 액침 표본으로 해야 한다. 열매가 썩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열매를 깨끗이 씻어 주둥이가 넓은 병에 넣고, 70% 알코올이나 5%의 포르말린액에 담가 둔다.

버섯의 압엽 표본[편집]

-壓葉標本

버섯은 연약하여 상하기 쉬우므로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목이버섯처럼 목질이 굳은 것은 그대로 응달에서 말려도 된다. 그러나 부드러운 다육질의 버섯은 표본을 만들기가 어렵다. 이런 경우에는 버섯을 세로로 2등분하여 흡수지에 끼우고, 약간 무거운 것으로 눌러 놓는 압엽 표본 방식이 적당하다.

흡수지는 첫날에는 한 시간마다 갈아 주고, 2, 3일째에는 두 시간마다 갈아 주어야 하는데, 흡수지를 알코올에 담갔다가 갈아주면 빨리 건조한다. 아주 연한 버섯인 경우에는 그대로 약한 불에 건조시킨 후 어느 정도 마르면 햇볕에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또 버섯 내부에 곤충의 알이나 유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열건조를 하는 것도 좋다.

고사리의 압엽 표본[편집]

-壓葉標本

고사리 종류는 포자낭이 붙는 모양이나 잎자루에 붙어 있는 털이나 비늘(인편) 같은 것에 특징이 있어, 종류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반드시 잎과 포자낭이 붙은 것을 채집하도록 한다. 포자낭은 고사리의 경우 대체로 잎의 뒷면에 붙어 있지만, 고비와 같은 특별한 잎에 붙어 있는 것도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채집한 고사리는 풀과 같은 방법으로 압엽 표본을 만든다.

이끼의 압엽 표본[편집]

-壓葉標本

이끼는 솔이끼 무리(선류), 우산이끼 무리(태류), 매화나무이끼 무리(지의류)가 있는데, 대부분 지면이나 나무줄기·바위 등에 돋아 있다. 솔이끼와 우산이끼를 채집할 때 주의해야 할 일은, 포자가 생기는 암그루와 포자가 생기지 않는 수그루의 구별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종류는 암그루와 수그루를 모두 채집하는 것이 좋다. 솔이끼는 보통 식물처럼 잎을 눌러 말린 압엽 표본으로 하여도 좋지만, 흙을 털어내고 셀로판 종이로 만든 가로·세로 각각 10cm 정도의 주머니에 넣어서 그대로 건조시켜도 좋은 표본이 된다. 우산이끼는 솔이끼와는 달리 수분이 많으므로 보통 식물과 같이 압엽 표본을 만든다.

해조류의 압엽 표본[편집]

-壓葉標本

우선 염분을 제거한 다음 해조류가 담긴 그릇에 대지를 넣어 핀셋이나 손가락으로 보기 좋게 펴지도록 하여 건진다.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를 하면서, 대지와 함께 비스듬하게 놓인 평평한 판자에 올려놓고 물기를 뺀다. 물기가 다 빠지면 흰 헝겊으로 대지를 덮고, 그 위에 신문지 두서너 장을 깔고, 다시 대지를 겹쳐 놓은 후 무거운 돌이나 책으로 눌러 놓는다.

대지에 흰 헝겊을 씌우는 것은 신문지에 조류가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흰 헝겊 위에 깔아 놓은 신문지는 하루에 한두 번씩 갈아 준다. 완전히 마를 때까지 헝겊을 씌운 채 흡수지만 교환해 주다가, 완전히 건조하면 헝겊을 벗겨 낸다. 해조류는 그 자체에 풀기가 있어 끈끈하기 때문에, 대지에 잘 달라붙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풀칠을 하거나 테이프로 해조류를 대지에 붙인다. 그렇게 한 다음에 압엽 표본처럼 라벨을 대지 한 쪽에 붙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