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미술/서양미술의 흐름/에게해와 그리스·로마 미술/그리스의 건축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신전[편집]

神殿

그리스 건축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신전이며, 또 그리스 건축의 구성의 미(美)와 특색이 특히 신전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그리스 신전의 최고(最古)의 형식은 그 원형(原型)을 메가론이라 불리는 미케네 시대의 주택에서 딴 것이다. 그리스의 신전은 신상(神像)을 안치하고, 여기에 봉납(奉納)된 보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집이며, 경건한 신자들이 모여 제식을 행하는 장소는 아니다. 그리스도교 교회당에서는 갖가지의 양식이 시대에 따라 정면과 내부가 서로 관련해서 발전하고, 또 흔히 내부의 장식이 주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그런데 그리스 신전의 경우는 중점이 주로 외부의 형성에 있다.

주택처럼 신전도 최초에는 목재·점토·생벽돌 등을 재료로 해서 세워졌다. 이어 석조와 목조(木造)를 혼합한 것으로 변하고, 최후로 순전한 석조로 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처음에는 전체의 비례나 개개의 부분의 형식이 각각이었으나, 기원전 6세기에 처음으로 엄격한, 때로는 수학적으로 정확한 건축 방식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그리스 신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건축의 구조상으로 보아 기둥 및 그 위에 얹히는 수평한 부재(部材), 즉 엔태블러처(entablature)이다. 이것을 오더라고 부른다. 오더는 이것을 조성(組成)하는 각부의 비율이나 형태의 차이에 의하여 도리아식(式)·이오니아식 및 코린트식의 세 가지로 구별한다.

도리아식 오더[편집]

Doric Order

홈파기(溝彫)로 파낸 기둥이 주춧돌 없이 직접 스타일러베이트(기초를 형성할 때의 통례인 3단 석대의 최상단) 위에 선다. 기둥머리는 사발과 같은 윤곽을 보이는 에카이너스와 그 윗부분에 놓일 정방형의 정판(頂板), 애버카스로써 이루어진다. 프리즈는 메토프와 트라이글리프로 구분되고 그 메토프를 부조(浮彫)로 꾸민 경우가 많다.

이오니아식 오더[편집]

Ionic Order

도리아식과 달라서 기둥에 주춧돌이 놓여 있다. 특히 눈에 띄는 특징은 기둥머리의 형태이다. 즉 기둥머리의 양끝은 전후 양면으로 소용돌이 모양을 만들고, 이것을 측면에서 보면 장구 혹은 베개와 같은 형태이다. 또한 프리즈는 도리아식 프리즈와 같은 구분은 나타나 있지 않고 띠 모양으로 연속되어 있다.

코린트식 오더[편집]

Corinthian Order

일반적인 배치 방식으로 보아서 이오니아식과 큰 차이는 없다. 그러나 기둥머리에 어캔더스의 잎을 2단으로 겹쳐서 부각(浮刻)하여 나타내고, 도리아식이나 이오니아식보다도 훨씬 장식적이다.

이들 3개의 오더는 제각기 독특한 표정을 가지고 있어, 그것을 간결하게 형용하면 도리아식은 장중(莊重), 이오니아식은 우미(優美), 코린트식은 화려하다고 할 만하다.

도리아식 건축[편집]

Doric 建築

오늘날에 남아 있는 도리스식 신전의 가장 오래된 예는 올림피아의 <헤라 신전>으로서, 건축 연대는 기원전 7세기의 전반(前半)이라고 추측된다. 헤라 신전은 한 줄의 기둥이 집 주위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기둥의 수는 정면과 뒷면에 6개, 좌우 양측면에 모서리 기둥까지 세어서 16개, 본당(本堂)의 정면에 현관마루가와 있고, 뒷면에도 같은 모양의 현관마루가 있어서, 벽단주내(壁端柱內)에 2개의 기둥이 세워져 있다. 이미 진보한 설계를 보이는 것인데, 건축 재료는 미케네 시대에 쓰인 돌·생벽돌·목재·테라코타 등이었다.그리스의 석조 건축에서 곧이어 대리석과 같은 질이 좋은 재료를 많이 사용하게 되자, 건축상의 기법(技法)과 의향(意向) 등이 일반에 걸쳐 세련미를 거듭하여, 그 궁극의 경지에까지 발전할 가능성이 생겼다.

하나하나의 세부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처리를 보인 점에서, 다른 어떠한 건축도 그리스 건축에 필적할 것이 없다. 모르타르나 시멘트 종류를 사용하지 않고 석괴(石塊)와 석괴를 붙이는 훌륭한 솜씨, 면(面)의 뛰어난 취급법, 극히 명확한 형태 부여, 그리스 건축은 이리하여 석조 기술의 최고의 완성에 도달했다. 다공질(多孔質)의 패각 석회석(貝殼石灰石)이 쓰인 경우는 형태의 명료성을 확보하기 위해, 거친 돌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덧칠했다.

구조상의 발전이란 점에서는 수세기 사이에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형태상의 진보 발달의 흔적은 적어도 도리아식 신전에서도 분명히 더듬어 생각할 수 있다. 기원전 6세기에 속한다는 셀리논태(고대의 셀리누스) 소위 C·D·F·G 제 신전(諸神殿), 페스툼(고대의 포세이도니아)의 이른바 <바실리카> 및 <케레스 신전> 등의 중후(重厚)한 형식, 기원전 5세기 전반에 속하는 에기나의 <아파이아 신전>,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 페스툼의 <포세이돈 신전> 등 엄정한 양식을 거쳐, 이윽고 클래식의 완성으로 발전하였다.

클래식의 완성은 기원전 5세기 중엽에 세워진 아테네의 <파르테논>, 혹은 같은 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아테네의 <헤파이스토스 신전>(일반적으로 테세이온이라 알려졌다) 피갈리아 부근의 바사이의 <아폴로 신전> 등에 의해 달성되었다.

더욱이 <파르테논>은 도리아식 신전의 궁극의 완성품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 건축의 가장 빛나는 기념비적 걸작이다. <파르테논>은 전면에 팔주식(八柱式)의 주주당(周柱堂)으로 건조되어 있는 것으로서 건축의 설계자는 이크티노스, 공사의 지도를 맡은 사람은 칼리크라테스였다. 건축 공사가 시작된 것은 기원전 447년, 완성한 것은 438년의 일이다.

건축 재료는 종래의 도리아식 신전과 달라서 거의 전부가 대리석이 사용되었다.

프리즈는 도리아식 신전에 통례의 트라이글리프와 메토프로 이루어지고, 메토프는 두꺼운 부조(浮彫)로 꾸며지고, 동서양 박공에는 군상(群像) 조각이 함께 들어 있다.

내부의 배치를 보면, 전후에 각각 현관마루가 있고, 본당(本堂)의 배후에 하나의 방이 딸려 있다. 이 방은 보물이나 봉납품의 저장에 쓰인 듯하다. 본당에는 대조각가 페이디아스가 상아와 금으로 만든 유명한 아테나 파르테노스의 상(像)이 안치(安置)되고 그 3면을 도리아식 기둥이 줄지어 서 있으며, 본당의 바깥벽의 위쪽 네 면에는 이오니아식 프리즈가 채용되어 있다. 이것은 이오니아의 감화(感化)를 보인 하나의 명료한 증거이다.

페르시아 전쟁이 끝난 기원전 5세기 중엽, 아네테는 이오니아 연방(聯邦)의 지배권을 잡아, 이 지도적 지위를 문화적으로도 선양(宣揚)하려 했다. 그래서 여기서 처음으로, 이오니아적인 특성과 도리아적인 특성의 중간을 차지하는 아테네의 지위가 확립된 것이다.

즉 아테네 건축에 있어서는, 바야흐로 도리아 양식이 이오니아 정신과 접촉함에 따라서 미적 세련의 극치에 달했다. 장중·간소한 도리아 정신이 우아·미려·온아(溫雅)한 이오니아 정신을 어느 모양으로 활용하게 되었는가는, 파르테논 건축 전체의 절묘한 효과가 이것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이오니아식 건축[편집]

Ionic 建築

도리아식 건축에 비교해 보면, 이오니아식 건축에 대해서는 사정이 그다지 분명치 않다.

기원전 500년경 이오니아족의 반란에 의하여, 대단히 큰 파괴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령 단편적이라고는 하지만, 옛 이오니아 양식의 중요한 건축으로서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이나 사모스의 <헤라 신전>의 유적은 우리의 주의를 끈다.

기원전 435년 내지 425년에는, 이오니아 양식의 아테나-니케 신전이 아테네-아크로폴리스의 프로필라이아 남쪽에 치우쳐 세워졌다. 이것은 전후 양면에 네 기둥을 갖는 양향배(兩向拜)식 신전(전면의 네 기둥에 조응(照應)하여 후면에도 네 기둥을 갖는 것)이다. 아크로폴리스에 있어서는 에레크테이온 축조(築造)에 의해서, 이오니아식 건축의 예술적 완성이 이루어졌다.

에레크테이온의 명면도는 다른 곳에서 유례없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신전은 페르시아인에 의해 파괴된 두 개 혹은 세개의 사당(祠堂)을 하나의 건물에 통합한 것으로서, 이 재건은 프로필레아의 건조 후, 곧 시작된 듯하다.

먼저 이러한 혼성적인 성질과, 거기에다 부지의 지반에 고저의 차이가 있는 사정에 의해 에레크테이온의 특수한 설계가 생겨났으리라. 그와 같이 건축가 또한 어떤 특수한 전통적 감화를 받았다고 추측된다.

이 신전은 기원전 5세기 말경 겨우 완성 단계에 이르렀으니, 설계자도 한 사람의 건축가만으로 한정되지 않았는데 에레크테이온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것은 남쪽으로 돌출한 방 양식의 작은 마루이다. 3면은 낮은 대벽(臺壁)으로 둘러싸여져서 그 위에 이름높은 6개의 여상(女像) 기둥이 고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보아 여상이 무거운 들보를 지탱하는 것은, 부자연스러워 안정감이 결여된 듯하다. 그러나 여기서는 엔태블러처를 낮고 좁게 하여, 중압감(重壓感)을 될수록 적게 하는 구조로써 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불안한 느낌도 거의 없다. 더구나 각 상(像)의 교묘한 구성으로 전체의 균형을 잘 보전하고 있다.

기원전 4세기에는 순 이오니아식의 대건축이 소아시아에 있어서 부흥했다. 에페소스의 신(新) <아르테미스 신전>은 구(舊) <아르테미스 신전>의 광대한 규모를 모방하여 설계되고, 또 밀레토스 부근의 디디마이온은 소아시아에 있어서 최대의 신전을 축조할 의도 아래 시작되었다. 이 대신전의 건축가는 파이오니오스와 다포니스였다고 전해진다.

파이오니오스는 에페소스의 신 <아르테미스 신전>의 건축가이기도 하여 그 신전의 특질이 디디마이온에도 반영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둘 다 이중열주당(二重列柱堂=주위의 기둥이 모두 이중으로 되어 있는 신전)이며, 특히 신<아르테미스 신전>은 외관도 장려(壯麗)함이 극한 건축답게 당시 세계의 7대 불가사의(不可思議)의 하나로 꼽히고 있었다. 이에 비교하면, 프리에네의 아테나 폴리아스 신전은 면적이 작다. 그러나 여기에도 이오니아적 전통이 훌륭하게 배어 있는 것이다. 이 신전은 기원전 334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헌납한 것으로서, 건축가는 피테오스였다. 피테오스는 이에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축조에 협력하여 명성을 떨쳤다. 마우솔레움은 카리아의 왕 마우솔로스의 분묘 건축이다. 기원전 353년 마우솔로스가 죽은 후 곧 피테오스가 사티로스와 협력하여 이것을 세웠다.

코린트식 건축[편집]

Corinthian 建築

기원전 5세기 중엽부터 4세기 중엽에 걸쳐서 코린트 양식도 생겨났다. 코린트 양식은 이오니아 양식의 일종의 변형(變形)이라고 보아도 좋다. 코린트식 기둥머리의 유품(遺品)으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바사이의 아폴론 신전 유적(遺跡)에서 발견된 한 보기이다. 이 기둥머리는 정규의 아칸투스 잎의 꾸밈이 아니다. 그러나 의심할 것 없이 코린트식 기둥머리이다. 기원전 400년 경에 세워진 델포이의 원당(圓堂)은 그 외부에는 20개의 도리아식 기둥이 있고, 내부에는 10개의 코린트식 기둥을 세우고 있었다. 유물에 의하여 복원(復元)된 코린트식 기둥머리를 보면 바사이의 선례(先例)와 비슷하다. 거꾸로 세운 종 모양의 형태의 중심에 빈 곳이 많고, 애버커스 바로 밑에 커다란 팔메트가 장식되어 있다. 마주보는 두 소용돌이 모양은 바사이의 경우와 같아 낮은 위치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델포이의 기둥머리에 있어서는 소용돌이 모양이 재차 감아 올려지고, 애버커스의 모퉁이를 떠받치는 고사리 모양의 소용돌이에 연결하고 있다. 코린트식 기둥머리가 충분히 발전한 형식은 에피다우로스의 원당(기원전 360∼330년?)이나 아테네의 유명한 리시크라테스의 기념비(기원전 334년경)에 더욱 잘 나타나 있다. 전자는 그 주위에 26개의 도리아식 기둥이 둘러싸고, 내부에 14개의 코린트식 기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코린트식의 기둥머리는 밧사이나 델포이의 보기와 달라서, 화려한 형성과 정교한 기술을 보이고 있다. 리시크라테스 기념비는 현존하는 코린트식 기념비 중에서 가장 오래 되었고 또 가장 아름답다.

그리스 건축에 관한 한, 코린트 양식은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 양식은 그리스가 로마의 지배 아래에 속하기까지는 충분한 발전을 이룩하지 못했다. 기원전 4세기 말경, 마케도니아의 위세 아래에 이오니아에 있어서 코린트 양식이 비교적 자유로이 응용되었다고 해도, 이 양식만으로 된 중요한 신전의 건축은 드물다. 코린트 양식은 로마인에게 계승되어서 그들의 호사스런 취미에 맞추어 다시 화려하고 매우 정교한 것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아테네의 올림피에이온(제우스 올림피오스 신전)이 로마의 건축가 코스티우스에 의하여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의 옛 부지(敷地)에다 다시 건축될 때에 새로운 코린트 양식이 쓰였다. 공사가 시작된 것은 기원전 176∼기원전 165년경이다. 그러나 작업이 중단되어 완성을 보는 데에 이르지 못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재차 공사를 계속했으나, 완성된 것은 기원후 120∼130년경, 즉 하드리아누스 황제 때의 일이다.

극장[편집]

劇場

그리스인이 공회(公會)를 위하여 사용한, 지붕이 없는 갖가지 건조물 중에 특히 중요한 것은 극장이다. 정규의 그리스 극장은 큰 원형(圓形)의 오케스트라(舞踊場)와 보통 반원(半圓)보다 약간 큰 관람석(테아트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케스트라의 중앙에는 디오니소스에게 제사지내는 제단이 있고, 합창대는 이 제단을 둘러싸고 노래하면서 춤을 춘다. 관람석은 일반적으로 구릉의 경사진 변을 차지한다. 그런데 배우들은 등장과 퇴장이 쉬우면서도 의상이나 분장을 바꾸기에 용이한 몇 개의 건물을 필요로 했다. 그래서 스케네(skene)라고 불리는 분장실 역할을 하는 것이 붙어 있었다. 스케네는 그리스어로는 본래 천막이나 허술한 가옥(假屋)을 의미한다. 애당초 작은 집 앞에 낮은 무대를 설치하여, 배우가 이 무대 위에서 합창대에 대한 회답을 한 것인 듯하다. 후의 무대는, 이러한 가옥 및 무대에서 유래한다. 관람석과 양끝의 무대와의 사이에 통로(parodos)가 있고, 합창대는 이곳으로 입장하고 퇴장을 하도록 꾸며져 있다. 처음 무대는 오케스트라와 거의 같은 높이였으나, 차차 높이를 늘려 열주(列柱)로 세우게 되었다. 이전에는 목조였으나, 그 동안에 석조 건축으로 바뀐 것이다. 이 발전의 여러 단계에 대해서는 많은 의론을 자아내고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그리스 극장은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의 남쪽 경사면을 차지하고 있는 이오니소스 극장이다. 그 건조(建造)는 기원전 5세기였다. 그러나 현존하는 유적은 여러 시대, 주로 리코르고스 시대(기원전 4세기 후반)나 로마 제정(帝政) 시대에 개조된 것이 전해지고 있다. 관람석을 보면 일반석은 높이 33cm의 낮은 계단에 지나지 않지만, 앞줄(前列)의 고관석은 등과 팔꿈치걸이를 설비, 부조(浮彫)로 꾸며져 있다.

스타디온[편집]

stadion

그리스의 스타디온(徒步競技場)은 극장처럼 언덕 혹은 골짜기의 경사면에 설치되었다. 자연의 경사지를 관람석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다. 형태는 가늘고 길다. 그래서 끝이 둥글게 되어 있는 경우와 직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때로는 출발선과 결승선이 잔존, 그것으로써 주행로(走行路)의 정확한 길이도 알아낸다. 주행로는 600피트에서 700피트(182.88m∼213.36m)이다.

그리스의 가장 오래된 스타디온은 올림피아에 있는 것이다. 그 유적이 후대(전 5세기 및 전 4세기)의 건조물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이곳의 주행로는 정확히 1스타디온, 즉 고대 그리스의 길이 단위로 600피트(182·88m)의 길이를 가지며, 경기장이 그 때문에 스타디온이라고 불린 것이다. 주행로는 직선 코스이며 이 주행로를 왕복했다. 출발선과 결승선에는 두 줄기의 나란한 홈을 판 부석(敷石)이 사용되었다. 최초는 세 측면에만 제방이 있으며 스타디온과 신역(神域) 사이에는 구분이 없었다. 스타디온을 제우스의 제단 및 신전에서 분리시키는 서쪽의 제방이 쌓여진 때는 기원전 4세기 중엽 이후이다.

오데이온[편집]

odeion

아테네의 디오니소스 극장에 인접하여 페리클레스의 감독 아래 오데이온, 즉 음악당이 건조되었다. 이 건물은 옛 화폐에 나타난 도안 등에서 원형의 것이라고 상상되어 있었다. 그러나 발굴의 결과, 이것은 네모꼴의 건조물로서 몇 줄의 기둥이 지붕을 지탱하고, 동쪽과 서쪽, 그리고 다분히 남쪽에도 현관과 함께 회랑(回廊)이 있었다. 페리클레스 시대의 이 건물은 주로 목재를 재료로 했다.

헤로데스 아티크스에 의하여, 기원후 161년경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의 남쪽 경사면에 세워진 오데이온은 보존 상태가 좋다. 형태는 작은 극장과 흡사하다. 혹은 그리스 극장의 관람석이 언제나 반원형보다 큰 데 대하여, 헤로데스 아티크스의 오데이온은 그 청중석이 로마 극장풍의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오데이온이란 명칭에도 불구하고 이 건물은 주로 연극을 위해 쓰인 듯하다.

김나지온과 팔라이스트라[편집]

gymasion­palaistra

생활의 중요한 특색의 일면을 보여 주는 것 중에 김나지온, 즉 운동경기 연습을 하는 체육관이 있다. 델포이에서 발견된 체육관 유적은 기원전 4세기에 속하는 것인데, 특히 훌륭한 일례이다. 그것은 산의 경사면을 깎아 펼친 2단의 대지(臺地) 위에 건조되었다. 상단(上段)의 대지에는 쿠시스토스(柱廊走行路) 및 거기에 평행하는 파라드로미스(노천 주행로)가 있다. 하단(下段)의 대지에는 르토론(굴입식 원형목욕실)을 포함한 체육시설이 있었다.

헬레니즘 시대가 되면, 김나지온은 한결같이 경주·도약·투창(投槍)이나 투원반(投圓盤)과 같은 옥외 운동을 위한 노천 체육장을 가리키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장소를 그리 필요로 하지 않는 권투나 반크라티온 싸움은 팔라이스트라라 불리는 부분적으로 에워싸인 건물 속에서 연습을 했다. 올림피아의 필라이스트라는 41㎡ 운동장을 도리아식 주랑(柱廊=colonnade)으로 둘러싸고, 주랑의 바깥쪽으로 크고 작은 갖가지의 방이 운동장을 중심으로 둘려 있다. 옥내 운동, 옷 갈아입는 방, 목욕실, 강화(講話)와 그 밖의 것을 위한 방들이다. 같은 모양의, 어쩌면 한층 더 공들인 구조의 팔라이스트라 델로스, 포리에네, 에피다우로스, 페르가몬 등지에서 발견되어 있다.

스토아[편집]

stoa

그리스인이 애호한 건물 중 하나로 스토아가 있다. 이것은 바깥쪽으로 열주(列柱)를 가진 회랑(回廊)식의 단순한 건물이었다. 스토아는 사람들에게 비를 피하게 하고 햇빛을 가리어 주는 장소로 제공된 데서, 사람들이 모이는 곳은 어디나 이 건물이 필요했다. 따라서 신역(神域)에도 광장(廣場=agora)에도 세워진 것이었다. 뛰어난 스토아의 유적은 사모스섬의 헤라의 신역에 잔존한다. 기원전 5세기∼4세기에 속하는 그 유적이 여러 개 현존한다. 아테네의 아고라에 있었던 <제우스의 스토아>는 요자형(凹字形) 이랑형식(二廊形式)의 것이다. 아테네의 <스토아 포이키레>는, 폴리그노토스 및 미콘이 그린 벽화로 인하여 유명하게 되었다.

불레우테리온과 프리타네이온[편집]

bouleuterion-prytaneion

특수한 목적을 위한 회랑으로서는 먼저 그리스 도시의 대의원의 회의장인 불레우테리온을 들 수 있다. 특히 훌륭한 예는 올림피아의 불레우테리온이다. 경기자들이 여기에서 경기의 규정에 따를 것을 선서했다고 전해진다. 다만 이 건물의 여러 부분의 사용 목적은 확실하지 않다. 그 최종의 형태에 있어서는 두 채의 거의 같은 좌우의 날개와 작은 가운뎃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 세개의 부분은 별개의 건물이며, 건조 연대도 제각기 다른 듯하다. 북쪽 집채는 기원전 6세기, 남쪽 집채는 기원전 5세기로 여겨지며, 중앙의 건물은 경우에 따라서는 헬레니즘 시대의 것이리라. 양쪽 집채는 각각 장방형의 방으로 이루어졌다. 동으로 출입구를 내고, 서쪽 끝은 반원형의 튀어나온 방을 만들고 중앙의 건물은 정방형으로, 아마도 이와 같은 연대에 세워진 이오니아식의 주랑(柱廊)이 3채의 건물 전체의 전면에 잇달아 늘어져 있었다.

프리타네이온은 정치를 하던 관청이다. 다시 말하면 행정기관의 공식적 본부이다. 행정 사무에 종사하는 관리들의 집회 장소였을 뿐만 아니라, 관리나 공적인 방문객들이 식사를 하기도 하고 숙박도 했다. 그것은 예를 들면 프리에네에서처럼, 보통 개인 주택의 건축 형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텔레스테리온과 테르실리온[편집]

telesterion­thersilion지붕이 있는 건물로서 거의 극장과 흡사한 형식을 취한 흥미있는 건축이 있다. 먼저 가장 오래된 것은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의 끝무렵, 즉 기원전 6세기 후반에 속하는 엘레우시스의 텔레스테리온, 즉 밀의(密儀)를 하는 집의 제2차 설계이다. 엘레우시스의 밀의는 원래 데메테르와 그의 딸 페르세포네에게 드리는 농업적 제사였다. 그러나 그것이 후에 디오니소스나 오르페우스에 결합되어 밀교적(密敎的) 의식이 된 것이다. 이 밀의가 텔레스테리온 안에서 행해졌다. 이 텔레스테리온은 한 지붕 아래에 많은 참석자를 비호(庇護)하기 위하여 설계된 아마 최초의 건물일 것이다.

집회를 위해 만든 것은 모양의 건조물로서 규모가 더욱 큰 예는 기원전 4세기의 전반 메갈로폴리스에 축조된 테르실리온이다. 이것은 페리클레스의 오데이온과 같이 극장에 인접되어 있었다. 이 회당은 장방형이다. 그러나 폭이 정면에서의 깊이의 길이보다 넓다. 테르실리온은 본래 부족연합회의의 장소로 세워진 것이지만 오데이온으로서도 사용된 듯하다.

대집회를 위하여 만든 이런 종류의 건축은 헬레니즘 시대의 공통적 형(型)이었다. 여기서 프리에네의 에크클레시아스테이온 및 밀레투스의 불레우테리온을 들면 충분할 것이다. 전자는 민회(民會)의 회의장으로서 기원전 200년경 건축되고, 후자는 그보다 약 30년 후이다. 어느 쪽 건물일지라도 극장과의 구성상의 유사점이, 전기(前期)의 지붕을 갖는 어떤 건축의 경우보다도 한층 뚜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