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상/서양의 사상/고대의 사상/창성기의 사상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창성기의 사상

[편집]

創成期-思想

유럽 문명에는 두 조류가 있다. 하나는 그리스 사상이며 다른 하나는 유대 그리스도교 사상이다. 따라서 유럽에 있어서 모든 학문은 합리적인 기초를 그리스 사상에 두었고, 또 유럽인에 있어서 종교적 신념의 원천은 그리스도교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광대한 두 사조는 서구인의 피요 살이다.

이 두 사상에는 유사한 기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신화적 우주관(宇宙觀)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 우주관은 그리스에서는 오르페우스신의 계보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神統記)>, 헤브라이에서는 구약성서의 <창세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세계는 어떻게 생성되었는가를 말해 주는 일종의 세계창조설이며 발생설이다. 그리하여 창성기의 사상이라고 말할 경우에는 그 어느 것과 관련을 갖게 된다.

그러나 그리스 사상의 시원(始原)에 있어서는, 종교적 사색의 변천과 보다 많은 자연철학의 성립을 의미한다. 즉 헤시오도스의 세계발생설에서부터 이오니아 학파 형성까지의 추이이고, 더 나아가서 그리스 철학에서의 우주론 시대, 결국 '소크라테스 이전'까지를 창성기의 사상에 포함시킬 수가 있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700년경의 사람으로 보에오티아의 아스크라에 살던 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삶의 노고와 환경의 중압을 체험하였고 호메로스에게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쾌활하다기보다 착실한 시인으로, 그의 시는 교훈시(敎訓詩)였다. 시작(詩作)의 동기는 그가 양을 몰고 있을 때에 여신 뮤즈가 나타나서 우아한 노래를 가르쳐, 진실 그 자체를 부여(附與)하였다고 한다. <신통기>는 그것의 결정이라 하겠다. "먼저 카오스(混沌)가 있었다. 다음으로 가슴팍 넓은 가이아(地)가, 더욱 어둠침침한 황천이, 그리하여 또 에로스(愛)가 …" 이렇게 시작되는 <신통기>의 중요성은 철학적 우주론의 선구가 되었다. 그 선구라고 하는 것은 유일의 근원에서 에로스를 위시한 것들을 끌어낸다고 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에서, 신의 발생설로부터 세계발생설이 분리되려 하고 있다. 여기에 이오니아 철학의 관심과 탐구의 방향이 중복되는 면이 있다.

기원전 6-7세기에는, 그리스 문화의 발전에 있어 개인적 의식의 해방이 진전되고 있었던 시대라고 말한다. 그 지역은 그리스 본토가 아닌 소아시아의 에게해에 면한 이오니아 지방이었다. 무역에 의한 부(富)의 증대는 생활의 순화(醇化)와 정신화를 초래하였고, 상업의 발달은 빈부의 차이와 새로운 계급을 만들고 있었다. 그것에 수반되어 격렬한 정치투쟁이 일어났고, 개인의 능력은 고개를 쳐들었으며, 위대한 인물은 개성을 발휘하려 했다. 그리하여 신변의 사정에 예민한 눈과 마음을 활동시켰으며, 그것도 신화의 형식에 속박되지 않고 경이와 의문을 마음껏 풀어 나갔다. 자유롭게 묻고 자유롭게 답변하는 개념적인 사고가 싹트기 시작하였다.

비로소 그리스 학문은 창성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그것이 자연철학으로, 격동하는 밀레투스에서 탄생되었다는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밀레투스 학파

[편집]

Miletus 學派

그리스 최초의 철학파이다. 중심지는 밀레투스로서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지방에 있는 상업도시이다. 학파의 명칭은 그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이 학파의 기원을 이룬 사람은 밀레투스의 탈레스이고 다시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로 이어진 세 사람이 대표자이다.

그들을 둘러싼 자연은 그들에게 경이로 다가섰고, 그 경이를 합리적으로 설명하려 했다. 여기에 탐구를 주로 하는 철학정신 최초의 특색이 있다. 이 정신은 자연을 설명할 수 있는 아르케(原理)에 부딪침으로써 일단락을 짓는다. 변화무쌍한 현상(現象)의 근저(根底)에는 항상 존재하여 없어지지 않는 것이 있지 않을까. 이 물음이 제1원인에 이르는 길을 촉진시켰다. 탈레스는 물을, 아낙시만드로스는 드 아페이론(혼돈된 原物質로서 無限者)을, 아낙시메네스는 공기를 제1원리라 하였다. 여기에 오직 물질만이 만물의 근원이라고 하는 철학이 탄생한다.

탈레스는, 만물은 신(神)들로 충만해 있다고도 말하였다. 물질 자체에 생명이 있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가령 쇠를 잡아당기는 자력(磁力)이 그에게는 불가사의한 것이다. 물질 속에는 힘이 있고 생명이 있다. 이것이 근세의 자연과학으로 겨우 제거된 물질관, 즉 '물활론(物活論)'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법은 밀레투스 학파의 한 사고방식을 특징짓고 있다. 또 '질료(質料)'와 '생명'이라는 두 단어에서 만들어진 근세의 용어이다.

탈레스

[편집]

Thales(전 640-전 546)

그리스의 철학자. 밀레투스 출신으로, 밀레투스 학파의 창시자이며 서양철학의 개조(開祖).

별의 관측에 열중하여 샘에 빠졌을 정도였고, 일식(日蝕)을 예언하였다. 올리브를 매점(買占)하여 돈을 벌었다는 등 에피소드가 많은 인물로, 이집트에도 건너갔던 것 같다.

만물은 왜 이렇게 있고 그렇게 되어 있는가를 추구하였다. 그리하여 물을 근원으로 앞서 한 질문에 대해 설명하였고 물을 아르케(원인·원리)라 하였다. 무릇 모든 것은 물에서 나와 물로 형성되고 물로 돌아간다. 근본적 물질의 자기운동(自己運動)이 인정될 수 있고 신화적(神話的) 우주관은 학적(學的) 세계관으로 전환되었다. 종교에서 과학으로 향해 가는 깊은 자연철학으로서 출발하게 되었다. 특히 탈레스는 비아스(전 6세기), 피타코스(전 650경-전 570경), 솔론(전 638경-전 559경) 등과 더불어 그리스 일곱 현인(賢人)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한 권의 저서도 남기지 않았다.

아낙시만드로스

[편집]

Anaximandros (전 611-전 546 이후)밀레투스 사람으로 그리스의 철학자인데, 탈레스보다 젊었으나 친구였고 제자였다.

<자연(自然)에 관하여>라는 최초의 철학적 저서를 썼다고 하나, 단 하나의 문장만이 남아 있다. 수학·천문학·지리학에도 뛰어나서 지도를 만들고 성도(星圖)도 그렸으며, 해시계도 발명하였다. 또한 그는 식민지 건설도 지도하였다고 한다.

학설은 독창적이었고, 만물의 시원을 '무한한 것(apeiron)'이라고 생각하였다. 그것은 처음도 끝도 없다. 모든 것은 거기서 일어나 거기로 사라진다. 그것은 단순한 개념과 같은 것이 아니다. 더구나 이것 혹은 저것이라고 한정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물질적인 것이지 정신적인 것은 아니다. 영원히 스스로 움직이는 것으로 거기에서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의 대립이 생겨나고, 반드시 그렇게 되지 않으면 안 되는 필연성에 따르면서 소멸하여 다시 시원으로 돌아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아낙시메네스

[편집]

Anaximenes (전 585-전 528경)

밀레투스 출신으로 아낙시만드로스의 제자이며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달은 태양에 의해서 빛난다고 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고 전하며 유성(遊星)을 항성(恒星)과 구별하였다. 특히 그는 만물의 시원을 공기라고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호흡 관찰이 이러한 설(說)을 생각해낸 동기였던 것 같다. 원리는 '농후(濃厚)'와 '희박(稀薄)'이라 하여 모든 것은 공기에서 생기고 공기로 해체된다. 그 과정에서 흙·물·불·바람 등이 생긴다는 것이다. "우리들의 영혼은 공기(空氣)이며, 그것이 우리를 통괄하고 있는 바와 같이 불어서 나는 입김과 공기가 전세계를 포옹하고 있다" 라고 말했다. 이오니아 정통파(正統派)의 철학자로서 큰 영향을 끼쳤다.

피타고라스 학파

[편집]

Pythagoras 學派

그 명칭이 나타내듯이 이 학파는 피타고라스를 기원으로 하여 출발한 학파이다. 또는 그 학설과 신조를 신봉하는 이른바 피타고라스의 교단(敎團)을 뜻하기도 한다. 피타고라스 자신은 '피타고라스의 제자'와 '피타고라스 주의자'를 구별하였다. 그리하여 '피타고라스의 제자'를 정통적인 후계자로 정하였다고 전한다. 그 제자들 가운데는 이론과 실천을 결부시킨 테베의 필로라오스(전 5세기), 탈라스의 아르키타스 등을 꼽고 있다.

이 학파의 교설은 수학과 종교이며 나아가서 가족·생활법·음악·의술·정치·조화(調和)·우주생성론에 이르고 원리가 물질이 아닌 사고물(思考物)로 되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즉 "만물의 원리는 수(數)이며 만물은 수를 모방한다"라고 말하였다.

윤회(輪廻)·전생(轉生)을 신봉하고 재산을 공유로 공동생활을 영위하며 살생을 피하고, 조화적 생활을 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이 학파는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기원전 1세기에는 신(新)피타고라스파라고 불리었다.

피타고라스

[편집]

Pythagoras (전 583경-전 497경)

그리스의 철학자·수학자. 보석 세공사의 아들로, 사모스 섬에서 출생하였다. 페레키데스와 헤르모다모스에게 사사하였다고 한다. 이탈리의 크로톤에서 20년간을 지냈으며 그 곳에서 법률을 제정하고 제자들과 더불어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특히 피타고라스 교단을 조직하여 의술(醫術)로써 육신을 닦고 음악으로 마음을 닦는다는 지론을 몸소 실천하였다. 후에 메타폰타온으로 이주하여 80세 혹은 9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엘레아 학파

[편집]

Elea 學派

이 학파의 진정한 창시자는 파르메니데스(Parmenides)인데 콜로폰의 크세노파네스(Xenophanes)라고 하는 설도 있다. 중심지는 남이탈리아 소도시인 엘레아(Elea)이며 후계자로서는 엘레아의 제논(Zenon), 사모스의 멜리소스(Melissos, 전5세기) 등이 있다.

이 학파는 그때까지의 우주론적(宇宙論的) 사색을 반성하여 형이상학적인 사색을 전개해 나갔다. 유일한 것으로서 변화하지 않는 존재를 추구하였고, 영원의 유전(流轉)을 존재로 하는 헤라클레이토스와는 대조적인 입장이었다. 파르메니데스의 제자인 멜리소스는 원리를 불생(不生)·불멸(不滅)이라 하였다. 영원과 무한(無限)을 주장하고 더욱이 존재자(存在者)는 유일(唯一)의 것으로서 무형(無形)이라고 하였다. 이 학파의 특색은 논증(論證)과 설득이라는 학(學)의 방법에 기여한 것이다.

크세노파네스

[편집]

Xenophanes (전 565-전 480)

그리스의 시인·철학자.

소아시아의 콜로폰에서 출생하였다. 페르시아군의 침입을 받자 엘레아로 망명했고, 생활을 위하여 자작(自作)한 시를 읊으면서 방랑하였다. 그는 80세가 넘도록 장수하였다고 한다.

<자연에 관하여>란 교훈시가 있으며, 시형(詩型)은 서사시로서 애가조(哀歌調)이다. 그는 전통적 종교에 대한 통렬한 비판자로서,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까지도 공격을 하였다. 그들이 인간의 도둑질·악덕·간음 등의 업(業)을 만들어 내고는 그것을 신(神)에게로 돌렸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의 철학은 자연철학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고 시와 반성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탈레스나 피타고라스와는 반대의 입장을 취한다. 즉 신이란 태어난다든지 죽는 것이 아니고, 신은 불변부동하여 하나이면서 동시에 일체인 것이며 비물체적인 것이다. 생성(生成)하는 것은 흙과 물이며, 모든 것은 흙에서 나와 또다시 흙으로 돌아간다. 일자론자(一者論者)이며 그리스 철학사를 일보 전진시켰다고 보겠다.

파르메니데스

[편집]

Parmenides (전 515경-전 445경)

그리스의 철학자.

엘레아 출신으로 크세노파네스의 제자이다. 그러나 그의 스승을 크세노파네스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가난하였지만 훌륭한 아메이니아스(Ameinias)와 사귀어 그의 지론을 신봉하였고 조용한 생활을 보냈다. 플라톤(Platon)의 저서 <파르메니데스>에 의하면 기원전 515년에 출생했으리라고 추정되며, 적어도 65세 이상은 살았다고 여겨진다.

판아테나이아 대제(大祭)에 제논(엘레아의)과 더불어 아테네에 나타났을 때에는 이미 고령이었고, 젊은 소크라테스와 만난 적이 있었던 것이다.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 중에서 짐작하건대 모든 점에서 고귀하고 무언지 모를 심오한 것이 있었다고 소크라테스는 말하였다.

그의 철학은 철저한 존재론(存在論)이다. 이것은 <자연에 대하여>라는 서사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 시는 <진리의 길>과 <억견(臆見)의 길>로 나누어져 있으니 전자는 탐구의 길, 후자는 탐구되지 않는 길이다. 앞의 경우 그것은 있다, 그것은 있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란 바로 존재자(存在者)요, 그것에로의 길이 진리에 따르는 설득의 길인 것이다. 뒤의 경우, 그것은 있지 않다, 있지 않는 것은 필연, 없는 것은 알 수도 표현할 수도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비존재(非存在)이기 때문이요, 그것에로의 길이 억견의 길이다.

사유(思惟)란 존재와 동일한 것이다. 그것은 사유하는 것과 있는 것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필요한 것은, 있는 것만을 있다고 하고 또한 생각하는 일이다.

존재자는 불생불멸(不生不滅)하고 완전무결이며 부동(不動)의 것이다. 그것은 완전한 구체(球體)라고도 한다. 그의 철학은 그리스 존재론의 극단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논증력(論證力)을 웅변으로 말하여 준다. 그래서 그를 논리학의 시조라고 일컫는다.

제논

[편집]

(엘레아의) Zenon (전 490-전 430경)

그리스의 철학자.

엘레아 출신으로 파르메니데스의 수제자로서, 변증법(辨證法)의 발견자이다. 엘레아 학파에 속하였고 운동부정론(運動否定論)과 제논의 역설(逆說)로 유명하다.

만약 나눌 수 있는 크기를 가정한다면 그것은 한없이 작아지고 반대의 것은 한없이 커진다. 나눌 수 있었던 것이 크기를 갖지 않으면 그것이 모인 것도 크기를 가질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것이 그 역설의 한 예이다.

운동의 부정은 아킬레스(Achilles)의 논증(論證) 및 나는 화살의 정지론(飛矢靜止論)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빠른 주자(走者)도 느린 주자를 결코 앞지르지 못한다. 말하자면 느린 주자가 도달한 지점에 빠른 주자가 도달하는 동안에 느린 주자는 느린 주자대로 조금이라도 앞으로 나아갈 것이고 보면 이 일은 한없이 반복될 따름이지 결코 빠른 주자라고 하여 느린 주자를 넘어설 수 없다는 것의 반복에 불과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또한 나는 화살도 각 순간에 있어서 부동(不動)이다. 공간(空間)의 무한 분할(無限分割)과 중심의 설정 등이 그 논증의 거점(據點)이 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연속(連續)과 무한(無限)의 포착하기 어려움을 가르쳐 주고 있다. 이것은 획기적인 논증이었고, 이 문제가 극복된 것은 근대에 들어선 후의 일이었다. 헤겔은 이러한 논증을 변증법의 원리에 결부되는 것이라 하였다.

헤라클레이토스

[편집]

Heracleitos (전 540경-전 480경)

그리스의 철학자.

에페수스(Ephesus) 왕가 출신으로서 어느 누구의 제자도 되지않고, 자신(自身)을 추구하여 모든 것을 독자적인 자기 자신으로부터 배우는 길을 걸었다. 그의 절개가 고매하여 '어두운 사람(ho skoteinos)'이란 별명이 붙었다. <자연에 대하여>란 저서를 저술한 듯한데, 그것은 우주론(宇宙論)·정치론(政治論)·신학론(神學論)의 3부로 되어 있다고 전하지만 현재 단편(斷片)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만물의 유전설(流轉設), 불의 철학자, 로고스(logos) 개념의 발견자로 저명하다.

로고스(logos)의 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여기에 말해 둔 것은 항상 그대로 있다. 그러나 인간은 이것을 모르고 지나쳐 버린다. 비로소 그것이 들려와도 들리지 않던 전과 다름이 없다. 만물의 생성이 여기에 말해 둔 대로 행해지고 있는데도 그들은 그런 범례(範例)를 모르는 듯하다. 그러나 말에도 행동에도 그런 범례는 마땅히 있을 것이다." 만물의 근원으로서의 불. "이 세계는 신이 만든 것도 아니며 어떠한 인간이 만든 것 또한 아니다. 언제나 살아 있는 불로서 정해진 만큼 연소되고 정해진 만큼 꺼지면서 언제나 있었고 또 있으며 언제까지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유전은 "만물은 움직이고 있어서 무릇 모든 것이 머물러 있지 않는다. 사람도 두번 다시 같은 물에 들어갈 수 없을 것이다." 생성(生成)의 원리로서의 대립. "선(善)도 악(惡)도 하나인 것이다. 위로 향하는 길이나 아래로 가는 길도 다 같이 하나인 것이다. 우리 가운데에 있는 생(生)과 사(死), 각성(覺醒)과 수면(睡眠), 젊음과 늙음의 양상도 모두 같은 것이다. 이것이 전화하여 저것이 되고 저것이 전화하여 이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는 독창적인 사상가로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물론 스토아 철학에 끼친 영향은 크다. 그리고 변증법적 유물론의 싹이 그 속에서 움텄다는 설(說)도 있는 등 여러가지로 말하지만 그의 철학은 만물의 근원을 불(火)이라 하는 일원론(一元論)이며, 우주론적 사색을 벗어났다고 할 수는 없다.

다원론

[편집]

多元論

그리스 사람의 두뇌는 대체 어떻게 되어 있기에 우리에게 경이(驚異)만 안겨 주는 것일까. 그때만큼 계속해서 뛰어난 성과를 만들어 낸 시대는 일찍이 없었다. 인간을 둘러싼 현상(現象)에 대하여 철저하게 탐구함으로써 자연철학을 확립하게 되었다. 그들 학문의 세계가 강력한 원리(原理)와 로고스(언어)를 획득한 것은 너무나 명백한 일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인간 자신이 원리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는 데에 있다. 정신이라든가 사랑과 미움 등이 설명의 원리로 된다. 처음에는 질료(質料:물·불 따위)로써 일체를 설명하였고 다음에는 형상(形相:一者·로고스)으로 대체하였다. 더 나아가서 이들 상호간 대립의 지양(止揚)을 생각해 냈으며, 특히 운동이란 것이 그 요결(要訣)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빠뜨릴 수가 없을 것이다. 그리하여 안이하게 운동을 운운해서는 안 된다고 훈계하고 있다.

어쨌든 자연과 세계, 일체의 구조를 일원론이나 이원론에 묶어 둔다면 넘쳐 나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바로 여기에 그리스 철학이 다원론 시대를 맞이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질료에 내재(內在)하는 원리는 원소(元素)를 한 개 또는 두 개로 한정해 버리면 포착할 수가 없다. 무수(無數)인 것이다. 보인다, 안 보인다, 그리고 잡힌다, 안 잡힌다에 구애받지 않고 다원(多元)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아낙사고라스의 누스(Nous, 知性)도 지성물질(知性物質)이며, 엠페도클레스의 사랑과 미움은 여러 원소간에 작용하는 것이다. 더욱이 레우키포스의, 그리고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原子論)에 이르러서는 절정에 달하게 되었다.

아낙사고라스

[편집]

Anaxagoras (전 500경-전 428경)

그리스의 철학자.

소아시아의 클라조메네 명문가 출신으로 아테네에 30년간 체재하였다. "태양은 작열하는 금광(金鑛)의 덩어리"라고 말하여 고소(告訴)를 당하자 란프사코스로 떠났고, 72세로 사망하였다.

아낙시메네스의 제자이며, 누스(정신)를 물질의 상위(上位)에 둔 최초의 철학자이다. <자연에 대하여>를 저술하였는데 서두에 "모든 것이 다 같이 있었다. 그리하여 거기에 정신이 생기게 되면서 이것들에게 질서를 지어 주었다"라고 씌어 있다. 이 말에서 그는 누스의 사람이라 불리었다. 모든 것은 생기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있는 것은 오로지 혼합(混合)과 분리(分離)뿐이다. 혼합하여 되는 것에는 갖가지 스페르마타(Spermata, 종자)가 포함되어 있다. 누스는 무한하여 무엇에도 혼합되지 않고 자기 혼자만으로 선회(旋回) 운동을 지배한다고 말했다.

엠페도클레스

[편집]

Empedocles (전 493경-전 433경)

그리스의 철학자.

시칠리아의 아크라가스(Akragas)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의사이며 또한 달변의 변론자였고, 예언자에다 마법을 부렸다는 말도 전해진다. <자연에 대하여>와 <청결>은 5000행에 이르렀다고 하나 그 일부만 잔존한다.

그의 설(說)에 의하면 만물은 흙·바람·물·불의 4개 원소로 되어 있다. 즉 이들은 4개의 리조마타(Rizomata, 根)이다. 더욱이 불생(不生)·불멸(不滅)인 모든 것은 사랑에 의하여 결합되고 미움에 의하여 분리된다. 따라서 존재하는 것은 4원소(元素)와 그것의 결합과 분리의 원리인 사랑과 미움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랑과 미움을, 운동이 거기에서부터 시작하는 시초로서의 운동인(運動因)이라 하였다. 엠페도클레스의 시적(詩的)인 자세는 횔덜린과 로맹 롤랑을 감격케 하여 시적인 표현에 있어서 그들에게 영향을 주게 되었다.

레우키포스

[편집]

Leucippos (전 440경)

그리스의 철학자·원자론자(原子論者).

엘레아 출신 또는 아브데라 혹은 밀레투스라 하여 일정하지 않으며, 생애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제논에게서 배웠다는 말도 있고 데모크리토스를 가르쳤다는 설도 있다.

생성(生成)도 소멸(消滅)도 부정하지 않으며, 참으로 존재하는 것이 무수히 많다는 점도 인정하고 있다. 말하자면 지각(知覺)과 일치한다고 말하였으며, 현상(現像)은 그것에 적응하여 인정하였다. 운동을 인정하고, 그 귀결점을 충실한 것과 공허한 것으로 돌렸다. 충실이란 원자를 가리키며, 있는 것은 오로지 충실한 것이다. 그 수는 한 개가 아니고 무한(無限)인데 그 뭉쳐 있는 것이 작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따름이다.

그러나 이 원자나 운동도 공허가 없으면 있을 수가 없다. 이것이 초기 원자론이다. 그 후계자는 데모크리토스로서, 원자를 그리스어로 아토몬(Atomon)이라 하였는데 원래는 '불가분(不可分)'이란 의미이다.

데모크리토스

[편집]

Democritos (전 460?-전 360?)

그리스의 철학자·원자론자.

아브데라(Abdera) 사람으로 '웃는 철학자(Ge La Sinos)'라는별명이 있었다. 아낙사고라스가 노년(老年)이었을 때에 그는 청년이었으며, 소년시절부터 천문학과 신학을 배웠다. 아테네에도 간 듯하나 그를 알아본 사람은 없었으며, 그만큼 그는 명성을 경멸하고 세상에 알려질 것을 스스로 원하지 않았다.

그 시대의 사람들 중에서 가장 많은 곳을 여행하였고 또 그만큼 많은 학자들과 사귀어 그들의 학설에 접할 수 있었으며, 그 당시 증명과 작도(作圖)에 그를 능가할 사람은 없었다.

저작은 윤리학·자연학·수학·음악·기술에까지 이르렀으나 주목되는 것은 원자론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그는 물체에 대해서 가장 학문적으로 일관된 이론을 세워서 설명한 사람이라고 하였다.

그는 요소(要素)를 원자(atoma)와 공허(空虛=kenon)라 하였으며, 원자는 형태와 배열 그리고 위치의 차이로 달라진다. 그런데 그 원자는 공허 속에서 운동한다. 공허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원자와 원자가 합하면 생성이 되고 그들이 분리하면 소멸되며 또한 그들이 접촉되면 작용한다. 한 개의 원자에서 많은 것이 생성되지는 않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1에서 다(多)가 나올 수 없다. 공허는 원자와 원자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무(無)라고 하는 존재이다.

그렇다고 하면 원자에 있어서 최초의 운동은 어떻게 하여 일어날 것인가. 이것이 원자론에 남겨진 과제였다. 그 과제를 둘러싸고 에피쿠로스(Epicouros)와 루크레티우스(Lucretius)가 나오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원자론은 근대 물리학의 선구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