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음악/서양음악가와 작품감상/에스파냐
사라사테
[편집]Pablo de Sarasate(1844-1908) 파가니니의 재현이라고 하는 대바이올리니스트인 사라사테는 파가니니의 사후 4년 되던 해 에스파냐 북부 팜플로나에서 태어났다. 군악대장인 아버지에게 바이올린을 배워 7세 때 라 코르냐에서, 12세 때에는 마드리드의 왕실극장에서 리사이틀을 가졌다. 그리하여 파리로 가서 콘셀바드왈에 입학하여 바이올린을 알라르에게, 화성학을 르베르에게 배워 모두 수석으로 졸업하였으며 이후 독주가(獨奏家)로서 구미(歐美)를 순회연주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다. 초기에는 자신이 편곡한 오페라의 발췌곡 등 전적으로 기교를 과시하는 곡을 많이 연주하였으나 1870년경부터는 예술적인 고도의 곡을 연주하였다. 또 그를 위해 대작곡가인 랄로, 생상스, 브루흐 등이 작곡을 헌정하였고 그것들은 지금 바이올린의 중요한 연주곡목이 되어 있다. 그는 2개의 악기(스트라디바리우스 제작)를 사용하였다. 그 중 하나는 어릴 때 이사벨 여왕으로부터 받은 것이며 이것들은 파리와 마드리드의 음악원에 보존되어 있다. 그의 생애는 연주여행과 대성공의 연속이었다. 뛰어난 음악성과 초인적인 기교를 다하여 그의 우아한 자태가 청중을 매혹시켰던 것이다. 또 그는 고국 에스파냐의 향토 무용의 멜로디를 바탕으로 많은 작곡을 남겼다(<로망스 안달루사>, <사파테아드>, <말라게냐>, <하바네라> 기타).
치고이네르바이젠
[편집]Zigeunerweisen 사라사테 작곡. 작품 20 <집시의 멜로디>는 기교적인 유명한 곡이나 에스파냐의 집시의 곡은 아니며 헝가리 집시풍의 슬프고 이국적인 멜로디이다. 곡은 3개의 부분으로 되었으며 1부는 애수에 찬 다(C)단조 4분의 4박자, 2부는 조금 느린 감미롭고 감상적인 4분의 2박자, 3부는 활기에 넘친 급속조의 4분의 1박자로 점점 고조되어 끝난다.
알베니스
[편집]Isaac Albeniz(1860-1909) 에스파냐의 근대 피아노음악의 대작곡가이며 피아니스트인 알베니스는 동북부의 카탈로니아에서 태어났으나 남부 안달루시아의 민족음악에 매혹되어 그 풍물을 묘사하다가 서(西)피레네의 피서지 칸보에서 별세하였다. 그는 누나에게 피아노를 배웠고 4세 때 바르셀로나의 로메아극장에서 독주회를 가졌고 7세 때 작곡한 파소도프레를 시(市)의 군악대가 연주했다는 천재이다. 알베니스는 어릴 때는 물론 청년시절에 심한 파란을 겪었고 만년은 영예에 빛나는 호사한 일생이었다. 6세 때 파리에서 마루몽텔에게 배우고 8세 때 마드리드로 옮겨 음악원에서 멘디사발에게 배웠다. 이 때 쥬루 베르누이 과학소설을 탐독하고 모험에 흥미를 느낀 끝에 가출하여 단신으로 에스파냐 북부를 연주여행하였으나 사몰라에서 그 당시의 명물인 산적을 만났고, 한편 누나의 사망으로 부득이 귀가하였다. 그러나 얼마 안 있어 다시 집을 뛰쳐나와 남에스파냐를 여행하였으며 이 때 본 풍물과 민족음악이 소년 알베니스를 매혹시켜 이것이 후년 많은 걸작을 낳게 하였다. 카디스의 시장으로부터 "부모에게 돌아가지 않으면 체포하겠다"는 통고를 받고 항구에서 배를 타고 남미로 건너가 각지로 연주여행하면서 쿠바로 갔을 때 우연히 아바나의 세관에 근무하는 아버지를 만났으나 알베니스는 이미 경제적으로 독립된 13세의 음악가였으므로 아버지의 허락을 받고 여행을 계속하였다. 뉴욕에 왔을 때는 가진 돈이 없어 항구의 화물 운반 인부로 또는 바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끼니를 이었다. 이 때 바에서 연주할 당시 그는 피아노를 뒤로 등지고 양손을 뒤집어 여러 가지 곡을 연주하였다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 뒤 영국에서 독일로 건너와 야다스존과 라이네케에게 배우고, 귀국하여 국왕의 보조로 브뤼셀 음악원에서 배워 18세 때 우등으로 졸업하였으며 그 뒤에 리스트에게 배워 대피아니스트 안톤 루빈스타인과 함께 연주여행을 하여 20세로 세계 일류의 피아니스트가 되었으나 이것으로 그의 연주활동은 그쳤고 그 뒤로는 작곡에만 전념하였다. 23세 때 베들레르한테 배운 뒤 그의 작곡은 일변하여 안달루시아의 민족음악(세간에서 말하는 플라멩코라고 하는 향토민요 춤곡)의 형식과 정신을 바탕으로 한, 개성적인 불멸의 피아노 작품을 수없이 남겼다. 전기의 작품 <에스파냐의 노래>(5곡), <에스파냐 모음곡>(8곡), <여행의 추억>(6곡), <붉은 색의 탑>, <탱고> 등은 모두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후세에 남은 명곡이나, 이 시기의 곡 중에서는 <에스파냐의 노래> 중의 한 곡 <코르도바>가 최고작이라 할 수 있다. 후기의 작품에는 보다 고도의 <카탈로니아>, <베가>, <아스레포스>, <이베리아 4권 12곡> 등이 있다. 특히 <이베리아>는 그가 만년에 파리에서 고국을 회상하며 각지의 인상을 묘사한 것으로, 안달루시아의 민족음악의 요소를 예술적 형성 속에 자유롭게 이상화시킨 걸작이다. 민족음악의 형식과 에스프리를 소재로 한 모음곡이 이와 같이 고도로 예술화된 것은 매우 드물며, '브람스 이후의 최고의 피아노 문학'이라 하고 있다.
그라나도스
[편집]Enrique Granados(1867-1916) 에스파냐의 근대 피아노음악의 대작곡가이며 피아니스트인 그라나도스는 카탈로니아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음악을 배워 많은 에스파냐 음악가들과 같이 파리 음악원에 입학을 지망하여 그 곳에 왔으나 병으로 입학 연령이 넘어 수석 교수인 베리오에게 배웠다. 그리하여 파리와 에스파냐 각지를 연주여행하여 1889년 바르셀로나에 정주하였으나 이 무렵 이미 유명한 <에스파냐 춤곡> 12곡 중에서 몇 곡이 작곡되었다. 후에 페드렐에게서 배워 에스파냐 음악의 본질과 전통에 눈을 떠 작곡방향이 정해졌다. 그는 알베니스나 파리아와 달라 다른 방향에서 예술의 이상을 추구하였다. 우아하고 고결하고 게다가 순에스파냐적(카스티소)인 것을 구하여 독특한 수법으로 마드리드의 정서를 묘사하였다. 그것도 현대의 마드리드가 아니며 천재화가인 고야가 그린 것, 극작가인 라몬 데 라 크루스 시대의 기사도가 한창이었던 무렵의 마호 또는 마하(당시의 모범 남녀)들이 사랑에 열중하고 있던 시대의 다운타운의 정서를 묘사한 것이다. 마치 우리 나라의 구한말 때의 서울의 정서라고나 할 회고 취미이지만, 그러나 그 작품은 세련(洗練)된 유니버셜한 음악형식의 근대감각에 넘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에스파냐 춤곡 12곡>(특히 제5번 <안달루시아>가 유명하다)과 <고예스카스>의 피아노곡집이 유명하다. 특히 후자는 그의 취미인 고전의 우아와 근대미를 겸비한 걸작이며 알베니스의 <이베리아>와 함께 에스파냐의 피아노 작곡 중에서 두 개의 정점을 이루는 것이다. 이것들은 후에 오페라로 다시 편곡되어 그 초연은 처음에는 파리의 오페라 코미크 극장이 예정 장소였으나 제1차대전 중이어서 뉴욕의 메트로폴리탄으로 변경되었다. 그라나도스는 여행을 싫어하였으며 특히 배여행을 싫어하였지만 처음으로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리하여 예정에 없던 저 유명한 <간주곡>을 새로 작곡하여 대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귀국길에 기선 서섹스가 독일 잠수함에게 격침되어 부인과 함께 영·불해협에서 일생을 마쳤다.
팔랴
[편집]Manuel de Falla(1876-1946) 에스파냐 근대음악의 최고 작곡가. 카디스에서 태어나 어릴 때 어머니로부터 피아노를 배워 마드리드 음악원에 다녔고 한편으로 국민음악파의 지도자 페드렐의 가르침을 받았다. 28세 때 오페라 <허무한 인생>을 작곡하여 인정받았고 31세 때 파리에 유학하여 드뷔시, 뒤카, 라벨, 알베니스 등과 친교를 맺어 7년에 걸친 면학으로 그의 음악사상을 현저하게 높임과 동시에 페드렐의 가르침을 받고부터 계속 지니고 있던 에스파냐 음악의 올바른 존재의식을 더욱 굳히게 되었다. 그것은 에스파냐 민족의 생기와 정열이 넘쳐흐르는 고도의 예술음악을 만드는 일이었다. 그리하여 <사랑은 마술사>, <에스파냐의 장원의 밤>, <삼각모자>, <클라브생 콘체르 토>, <페드로의 인형극>, <라 아틀란티나>, <7개의 에스파냐 민요> 등의 불멸의 작품을 남겼다. 그 작품수는 대작가로서는 결코 많은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모두가 걸작이다. 그의 작품은 연찬을 거듭한 것이어서 악보는 음 하나도 부족함이 없고 지나침도 없다. 그 기법은 대체로 단순화되어 있지만 그것은 외면의 허식을 버린 내면의 풍부한 높은 예술을 희구하는 그의 작곡이념인 것이다. 그는 작곡의 소재로 고향 안달루시아 지방에 예로부터 전해오는 민족음악의 요소를 취하였다. 즉 그 민족의 피와 정신이 팔랴의 높은 음악사상에 의하여 예술적으로 표현된 걸작이라고 하겠다. 또한 그는 역경에 처해 있는 디아길레프 무용단을 위하여 <삼각모자>를 작곡하여 파산상태에 있던 친구 막스 에시그에게 전작품의 출판을 맡기는 등 인정미가 두터운 사람이기도 하였다. 제2차대전 발발과 동시에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 거기서 별세하였다. 그의 유해는 에스파냐 군함에 의하여 출생지 카디스로 옮겨져 카테드랄에 안장되었다.
사랑은 마술사
[편집]-魔術師 팔랴 작곡(1914). 이 뛰어난 무용극의 모음곡은 팔랴가 파리에서 귀국하여 곧 유명한 집시의 여류 무용가 바스트라 인페리오의 의뢰로 작곡하여 1915년 마드리드의 라라극장에서 그녀의 주역으로 초연되었고 뒤에 관현악곡으로도 편곡되어 널리 애호를 받고 있다. 집시의 요기(妖氣)가 감도는 저주받은 사랑의 이야기로서, 젊은 집시의 소녀 칸데라스가 그녀를 괴롭히는 죽은 연인의 악령(惡靈)을 물리치려고 추는 '불의 춤'은 피아노곡으로 된 '공포의 춤'과 함께 유명하다.
삼각모자
[편집]三角帽子 팔랴 작곡(1919). 알라르곤의 명작소설 <시장과 물방아지기의 아내>를 각색한 무용음악. 주책없는 호색의 늙은 시장과 아름답고 현명한 물방아지기의 아내를 주역으로 하여 전개되는 남에스파냐의 전원적인 명랑하고 유머러스한 무용극이다. 1919년 런던에서 디아길레프 무용단에 의하여 초연되었으며 안무(按舞)는 대무용가 마시인, 배경은 피카소가 맡았다. 곡 중에 몇 개의 오랜 민요가 교묘하게 채택되고 있지만, 유명한 물방아지기의 춤 '팔르카', '판당고', 피날레의 현란한 '호타'는 팔랴의 창작으로, 전체에 걸쳐 기타적인 수법을 써서 효과를 나타냈다.
7개의 에스파냐 민요
[편집]七個-民謠 팔랴 작곡(1922). 그의 작품 중 가곡은 매우 적으나 이는 세계의 현대가곡 중에서 가장 뛰어난 가곡의 하나이며, 각지의 민요를 취택하여 참신한 수법으로 반주부를 붙여 그 화성이나 전조는 개성적인 독자 형식의 예술가곡이다. 각 곡마다 각기 원민요의 형식을 지니고 있으나 '호타'는 아라곤 지방의 민요를 모방하고는 있지만 대부분이 그의 창작이라고 할 수 있다. '나나'(자장가)는 안달루시아 지방에 옛날부터 전해 오는 나나의 원형에 가깝고 그가 요람 속에서 어머니로부터 듣던 것에 지나지 않는다.
라 아틀란티다
[편집]L'Atlantida 팔랴 작곡. 1928년에 작곡하기 시작했으나 미완성인 채 남겨진 야심적인 대작으로 독창·합창 및 관현악의 칸타타이다. 시(詩)는 가타란 사투리로 된 콜럼버스의 이야기로 아직 어린 콜럼버스가 표류하여 고도에 이른다. 그러자 성당의 수도사가 나타나 아틀란티다(태고에 대서양에 가라앉은 전설의 섬 아틀란티스)에 관해 이야기한다. 콜럼버스는 마침내 이사벨 여왕의 후원으로 미지의 나라를 향하여 배로 떠난다. 이러한 흥미진진한 작품이지만 팔랴는 20년이라는 긴 세월을 보냈으나 완결하지 못하고 별세하였다. 이것은 뒤에 그의 제자이며 뛰어난 작곡가 에르네스트 알프텔에 의하여 완성되어 1961년 11월 바르셀로나의 리세오극장에서 빅토리아 데 로스 안헤레스 주연으로 초연되어 절찬을 받았다.
투리나
[편집]Joaquin Turina(1882-1949) 에스파냐의 근대 작곡가 투리나는 세비야에서 태어나 그 곳 가르시아 트레스에게, 그리고 마드리드에서 호세 트라고에게 피아노를, 파리에 가서 모슈코프스키와 반생 댕디에게 작곡을 배웠다. 알베니스, 팔랴에 다음가는 안달루시아 악파의 대작곡가인 동시에 음악원 교수, 왕실극장 감독, 음악평론가이며 또한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다. 그 작품은 교향곡, 실내악, 극장음악, 피아노곡, 가곡 등 모든 부문에 걸쳐 천여곡에 이르며, 그 가운데서 특히 유명한 것은 <로시오의 행렬>, <세비야 교향곡>, <투우사의 기도> 등이며, 또한 피아노곡에 그의 개성적인 걸작이 많다. 그는 파리에서 알베니스와 사귀어 그의 권고로 그의 작곡이념은 일변하였고 고국인 안달루시아 지방색을 묘사하는 데 시종일관하였다. 특히 출생지 세비야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표제곡이 많은데, 이것들은 파리에서 연마된 서정미 넘쳐흐르는 음악감상에 따라 표현된 근대 에스파냐의 걸작이다.
로시오의 행렬
[편집]Rocio-行列 투리나 작곡(1912). 세비야의 봄에 열리는 로시오 축제의 풍경, 성당의 성가나 종소리, 티피컬한 투리아나 거리 사람들의 기쁨에 찬 웅성거리는 정경을 그리는 멜로디가 이 지방의 민요 춤곡인 페데넬라, 파루, 카세기딜랴 등의 리듬에 실려 들려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