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음악/서양음악의 종류/성악·창법
성악
[편집]聲樂 음악은 사람의 목소리로 나타내는 것(성악)과 악기로 나타내는 것(기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성악은 사람의 목소리로 나타내는 음악의 총칭이다. 16세기 이전의 음악은 성악이 그 중심이었고, 17세기 이후의 바로크기(期)에 이르러서도 대체로 성악과 기악은 양적으로 동등하였다. 기악이 성악을 능가하게 된 것은 18세기 후반부터이며, 현대까지도 그 경향이 강하다. 성악은 종교적인 것(종교음악)과 비종교적인 것(세속음악)으로 구별할 수 있다. 세속음악이란 종교음악 이외의 전부를 말하는 것이나, 고대에서는 음악과 종교의 유대가 밀접 불가분이어서 순수한 세속음악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기원후 크리스트교의 세력이 강해짐에 따라 종교음악은 교회음악으로 체계화되고 조직화되었지만, 세속음악은 소박한 연가나 지방적인 춤곡 형태로 남았다. 종교음악에 대하여 세속음악이 명확한 존재를 주장하게 되기는 중세 중엽 이후 미네젱거나 트루바두르라고 하는 음유시인(吟遊詩人)들이 서사시적 전설이나 일상적인 희로애락을 노래 또는 이야기로 전하게 되면서부터이다. 바로크기 이후 기악의 대두가 현저하였고, 성악을 능가하면서 오늘에 이른 것은 이미 말한 바이며, 이 경향은 세속음악에서 현저하였는데 특히 낭만파 이후에는 종교음악과 세속음악의 구별도 재차 불명료해지고 있다. 한편 성악으로 된 종교음악에는 오라토리오·미사곡·수난곡 등의 종류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세속음악에는 오페라·가곡·민요 등이 있다.
발성법
[편집]發聲法 발성법이라 함은 성악적으로 발성할 때 이에 관여하는 성대, 폐, 횡격막 등의 여러 기관을 어떻게 훈련하고 컨트롤하는가 하는 기술의 총칭이다. 호흡법과 발음법은 각기 독립된 테크닉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발성법 중에 포함된다.
발성
[편집]發聲 음악적인 목소리를 낼 경우 폐에서 보내진 공기가 성문(聲門)을 통과할 때에 성대를 진동시켜 성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발성은 다음과 같은 여러 기관이 서로 관련해서 된다. (1) 성대와 그 주변의 근육으로 구성되는 발성기관 (2) 발성기관에 호기(呼氣)를 보내는 폐와 기관(氣管)을 중심으로 한 호흡기관 (3) 어음(語音)을 내는 혀, 입술, 이 등의 발음기관 (4) 성음의 공명체로 중요한 일을 하는 흉강, 구강, 비강, 인후강 등의 공명기관
호흡법
[편집]呼吸法 발성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성악적인 발성에는 보통 어깨숨이라고 하는 흉식호흡(胸式呼吸)은 절대로 피하고 반드시 횡격막으로 하는 복식호흡(腹式呼吸) 또는 횡격막호흡(橫膈膜呼吸)으로 해야 한다. 가창할 때 호기(呼氣)의 지속·중단 등은 모두 복근(腹筋)으로 컨트롤되는데, 이것은 불가결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가창하는 도중에 목소리가 뒤집히는 것은 횡격막호흡을 충분히 마스터하지 않았기 때문에 복근에 의한 소리의 뒷받침이 특히 높은음넓이(高音域)에서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초심자는 우선 입과 코로 공기를 들이마시고 2-3초 숨을 죽였다가 입을 작게 벌려서 조용히 중단되지 않도록 공기를 내보낸다. 호흡 훈련은 너무 지나치지 말아야 하며, 1일 2-3회, 1회에 5분 정도가 적당하다고 한다.
발음법
[편집]發音法 발음기관에서 발생한 성음이 발음기관에 의하여 어음으로 조성되는 것을 발음이라고 하며, 발음에 따른 기술을 발음법이라고 한다. 어음에는 모음과 자음이 있다. 모음은 성음이 발음 제기관의 조정작용에 의한 공명(共鳴)으로 특정한 음빛깔을 발생한 것으로서, 우리말에는 10개의 단모음과 12개의 복모음이 있다. 자음은 여기에 입술·혀·이 등에 의하여 막히기도 하고 좁혀지기도 할 때 조음이 섞인 것이다. 모음과 자음은 각국의 언어에 따라 각기 복잡미묘한 차이가 있으며, 더욱이 일상회화와 가창에서는 다른 점이 많아 숙달하는 데 많은 곤란을 겪는다.
성구
[편집]聲區 음계를 아래에서 위로 불러 올라가면 어느 높이에서 갑자기 소리가 잘 안 나오게 되기도 하고 음빛깔이 돌변하는 것을 경험한다. 이 목소리의 음빛깔이 변하는 부분을 환성구(換聲句)라고 하며, 환성구보다 아래인 소리를 흉성, 위의 소리를 두성이라 한다. 사람의 목소리는 일반적으로 위에서 말한 2개의 성구를 가진 것으로 생각되며, 환성구는 남성·여성을 불문하고 절대음(實音)이어서 1점 E와 F 사이에 있다. 이것은 바리톤이나 베이스로는 소리넓이(聲域)의 최상단이 되고, 테너로는 상반역이지만 소프라노나 알토 등 여성(女聲)에서는 하반역에서 최하단이 된다. 또 여성은 다시 옥타브상에 환성구가 인정되기 때문에 중간의 성구를 중성구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최고 성구는 소질을 타고난 사람이 웬만큼 훈련을 하지 않고는 아름답게 발성하지 못한다.
흉성
[편집]胸聲 환성구에서 아래의 음넓이 소리를 말한다. 성대의 전역이 진동하고, 발생한 성음의 대부분이 흉강에 공명하기 때문에 흉성의 호칭이 생겼다. 음향이 매우 풍부하고 힘이 있다.
두성
[편집]頭聲 환성구에서 위의 음넓이 소리를 말한다. 성대의 가장자리가 주로 진동하고 구강이나 비강 등 머리에 가까운 기관의 공명이 많아지므로 두성이라 한다. 흉성에 비하면 배음(倍音)이 적고 다소 예리하며 빛난다.
중성
[편집]中聲 여성(女聲)에는 환성구가 2개 있다. 이 2개의 환성구 사이에 있는 중간성구의 소리가 중성이다. 따라서 중성 또는 중성구는 원칙적으로 말하여 여성에만 있는 것이지만, 남성(男聲) 중에서 특히 테너의 두성을 거짓소리라고 하여 여성의 두성과 구별하는 일이 있다. 이는 여성이 두성일 때 성대의 진동방식이 남성의 방식과 조금 다르고 부분진동일 뿐만 아니라 성대의 진동부분의 길이에 미묘한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 견해대로라면 남성에는 진짜 두성은 없고 중성구가 최고 소리넓이로 되며 흉성과 중성으로 전소리넓이(全聲域)를 구성하게 된다.
거짓소리
[편집]假聲 팔세트(falsett) 또는 뒷소리(裏聲)라고도 하며, 남성의 환성구에서부터 위의 소리, 즉 남성의 두성(頭聲)을 말한다.
창법
[편집]唱法 발성법과 병행하는 성악상의 가장 중요한 테크닉이다. 착실한 발성기초 위에서만 가능한 창법이다. 창법 또는 창가법에는 광의와 협의의 뜻이 있다. 광의로는 발성법, 호흡법, 발음법 등 가창상의 기술 모든 것을 포괄한 이른바 '창법'이며 협의로는 강약법이나, 레가토·스타카토 등 실제상의 세세한 테크닉을 말한다.
강약법
[편집]强弱法 강약법은 성악뿐 아니라 모든 음악의 발상(表情붙임)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성악에서 강약법을 연습하는 데 주의해야 할 것은 반드시 메조포르테 정도의 세기로 해야 하며 급히 포르테나 피아니시모로 연습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유는 발성기관에 무리한 긴장을 하게 되어 올바른 발성의 폼을 그르치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강약변화는 어디까지나 레가토(부드럽게)하게 해야 하며, 그 사이에 음정이나 음빛깔이 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레가토
[편집]legato 음과 음의 사이에 단락(스텝)을 느끼지 않도록 부드럽게 연결하는 것으로, 이렇게 노래부르는 방식을 레가토 창법이라 한다. 창법의 기본이 되는 가장 중요한 테크닉이다. 기보상으로는 슬러로 표시한다.
포르타멘토
[편집]portamento 같은 모음으로 높이가 다른 음을 아주 부드럽게 연결하는 창법을 포르타멘토 창법이라 한다. 레가토의 극한적인 것으로 생각하면 되며, 음과 음과의 사이는 음정이 연속(슬라이드)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사람의 소리 이외로는 현악기에서 이 주법이 가능하며 관악기로도 트롬본 같은 것은 때때로 포르타멘토를 사용한다.
마르카토
[편집]marcato 음을 한음 한음씩 강조를 하는 것. 스타카토와 같이 음을 중단하지 않고 악센트를 붙일 필요가 있다.
스타카토
[편집]staccato 음을 하나 하나 완전히 끊어 날카롭게 연주하는 연주법이다. 즉 왼쪽의 그림과 같이 음부의 시가가 2분의 1로 되어 그 몫만큼 휴지부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목소리의 경우는 그 때마다 발성기관을 이완시키지 않고 그대로의 자세로 호흡근이나 횡격막으로 호기(呼氣)를 절단하도록 해야 한다.
비브라토
[편집]vibrato 하나의 음을 상하로 좁은 진폭으로 진동시키는 주법이다. 분명한 음정을 가진 2음 사이를 급속히 왕복하는 트릴과는 명확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목소리일 경우 진폭과 속도가 과도해지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트릴
[편집]trill 반음 또는 2도의 음정 사이를 될 수 있으면 급속히 연속해서 왕복하는 주법. 사람의 목소리에선 특수한 능력을 지닌 것 이외는 불가능하다.
벨 칸토
[편집]bel canto 창법 중의 한 테크닉으로 알면 잘못이다. 벨 칸토라는 가창법은 없다. 벨 칸토라는 것은 '아름다운 노래'라는 뜻으로, 특별한 기교로 화려하였던 18세기경의 이탈리아 인기가수들의 노래에 붙은 명칭이다.
성종과 소리넓이
[편집]聲種-聲域 사람의 목소리에는 크게 나누어서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의 6가지 성종(聲種)이 있다. 앞의 3종은 여성, 뒤의 3종은 남성이다.
소프라노
[편집]soprano 인성(人聲)의 최고 음넓이를 지닌 성종이다. 이 표준 소리넓이(성음의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다. 소프라노에는 소리의 질이나 소리넓이로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리릭 소프라노·드라마틱 소프라노·보이 소프라노·소프라노 수브레토·메조 소프라노 등으로 분류된다.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편집]coloratura soprano 소프라노 중에서 가장 높은 소리넓이를 가지며, 높은음넓이(高音域)에서는 플루트나 피콜로와 같은 기악적 음빛깔로 장식적으로 부를 수가 있다.
리릭 소프라노
[편집]lyric soprano 서정적인 소프라노. 가장 일반적인 소프라노이다.
드라마틱 소프라노
[편집]dramatic soprano 극적인 박력을 갖춘 소프라노이다. 고음역은 강인하고 빛나게, 중저음역은 풍부하게 노래해야 한다.
소프라노 수브레토
[편집]soprano subretto 가벼운 코믹한 표현을 특기로 하는 소프라노이다.
보이 소프라노
[편집]boy soprano 보통의 여성 소프라노와 달리 변성기 전의 소년으로 소프라노의 음빛깔을 가진 것. 비브라토가 적은 청징(淸澄)한 음빛깔을 가진 것.
메조 소프라노
[편집]mezzo soprano 소프라노보다 약간 낮은 소리넓이를 가지며, 다소 탁하기는 하지만 표현능력은 폭이 넓고 풍부한 박력있는 중음역에 특색을 둔다. <카르멘>은 메조 소프라노의 대표적인 캐릭터이다.
알토
[편집]alto '높다'를 뜻하는 이탈리아어로, 본래 어원에 가까운 뜻으로는 높은 음계를 내는 남성(男聲, 콘트랄토)을 가리킨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여성(女聲)의 최저음넓이를 지닌 성종으로 쓰이는 외에 현악기의 비올라를 알토라고 부르기도 한다. 탁하기는 하지만 따뜻한 맛이 있는 풍만함과 때로는 어둡고 침울한 박력마저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콘트랄토는 알토와 같은 뜻이다.
테너
[편집]tenor 남성 중에서 최고넓이를 갖는다. 환성구가 소리넓이의 최상단으로부터 3분의 1정도에 있는 특수한 성종이다. 상기한 이유에서 완전한 테너의 성질과 소리넓이를 갖춘 것은 다른 성종에 비하여 절대 수가 적다. 그러나 환성구로부터 위의 높은음넓이는 독특한 빛을 띤 매력적인 것이다. 테너엔 드라마틱 테너·리릭 테너·테노레 부포(코믹한 표현에 알맞는 테너)·헬덴 테너(바그너의 악극에만 등장) 등의 종류가 있다.
바리톤
[편집]baritone 여성의 메조 소프라노에 상당하는 것이 바리톤인데 가곡의 가창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이다. 테너만큼 화려하지는 않으나, 드라마틱한 힘과 남성적 매력에 찬 것. 바리톤 중 음역의 넓이가 넓은 것은 하이바리톤.
베이스
[편집]base 사람의 목소리 중에서 가장 낮은 소리넓이를 가진 성종이다. 깊숙하고 포용력이 있는 표현과 더불어 코믹한 맛을 살리는 것이 큰 특색이다. 바리톤과 같이 이지성(理知性)이 요구되는 가곡에 많이 쓰인다. 베이스 중에서 높은음넓이(高音域)가 넓은 것을 베이스 바리톤이라 한다.
성악곡
[편집]聲樂曲 성악곡이라 함은 사람의 목소리로 노래되는 악곡의 총칭이다. 16세기 이전의 음악은 성악이 중심이며, 여러 종류의 성악곡이 있었다. 이는 종교곡과 비종교곡(세속곡)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으나, 오늘날 많이 연주되고 있는 세속적 성악곡에는 오페라(가극)·가곡·민요 등의 종류가 있다.
가곡
[편집]歌曲 가곡의 역사는 오래이며 고대까지 거슬러올라갈 수가 있지만, 일단 가곡의 정의를 "시에 곡을 붙인 음악의 형식"이라고 한다면 6-7세기 이후의 그레고리오 성가 등에서 그 근원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물론 종교가(宗敎歌)이며, 세속적인 가곡은 역시 12, 13세기 이후의 음유시인(吟遊詩人)인 미네젱거나 트루바두르의 출현을 기다려야 한다. 그 이후에 가극은 리트(독일)·칸초네(이탈리아)·샹송(프랑스) 등의 명칭으로 급속한 발달을 보았다. 낭만주의 음악가인 19세기 이후에는 통속적인 가곡, 즉 오늘날 말하는 유행가나 파퓰러 송이 융성하여 칸초네와 샹송의 명칭을 쓰게 되었다. 이리하여 종래의 가곡은 통속가곡에 대하여 예술가곡이라 구별하게 되었고, 각각 로망스, 멜로디라는 별칭을 가지게 되었다. 가곡을 좀더 자세히 역사적으로 관찰하면, 가곡이 정돈된 음악형식으로 일단 완성을 본 14세기 이후 르네상스 음악기까지 프랑스에서는 발라드나 샹송, 이탈리아에서는 마드리갈의 형으로 크게 발전하였으며 자느캥, 팔레스트리나, 몬테베르디 등의 대가들이 활약하였다. 또한 바로크 음악기 이후가 되면 고전주의 음악기인 18세기경까지 가곡은 일시 쇠퇴한 듯하다. 즉, 이탈리아는 17세기 초부터 점차 오페라의 나라가 되었고, 프랑스에서도 오페라나 발레만큼 가곡은 화려한 존재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독일, 오스트리아에서는 모차르트, 베토벤이 활약하고, 19세기의 낭만주의 음악기에 이르면 슈베르트가 나와 가곡의 주도권을 완전히 잡았다. 근대로부터 현대에 걸쳐 가곡은 다시 각국에서 꽃피어 드뷔시, 라벨, 프랑크, 메시앙 등이 프랑스에, 이탈리아에는 레스피기와 말리피에로 등이, 독일에서는 쇤베르크, 힌데미트, 헨체 등이 나왔다. 그 밖에 쇼스타코비치와 하차투리안(구소련), 그라나도스, 아르베니스와 프야리야(에스파냐), 데리아스와 브리덴(영국), 바르토크와 고다이(헝가리) 등이 중요 작품을 남기고 있다.
통작가곡
[편집]通作歌曲 시의 각 절마다 다른 멜로디가 붙은 가곡이다. 슈베르트의 <마왕>은 그 좋은 예이다. 이는 시 전체가 하나의 이야기풍의 구성으로 되어 있을 때에 가장 적합한 가곡형식이다.
유절가곡
[편집]有節歌曲 시의 각 절을 모두 같은 멜로디로 반복하는 형식의 가곡이다. 가곡의 대부분은 이런 형식을 취한다.
연작가곡
[편집]連作歌曲 엄밀한 의미로는 작곡의 형식이 아니므로 통작가곡이나 유절가곡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에서 보듯이, 일련의 정돈된 시집에 연속적으로 곡을 붙인 가곡으로서, 음악적으로도 하나의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
민요
[편집]民謠 예술가곡과 쌍을 이루는 존재이나 대체로 긴 역사적 배경과 작곡자가 반드시 명확하지 않은 점에서 유행가 및 파퓰러 송과 구별되는 통속가(通俗歌)의 총칭이다. 민요는 각 나라나 지방의 색채가 짙고 민족성이나 음악적 특징이 단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 매우 흥미롭다. 오랜 것은 정확한 기보 없이 구전(口傳)으로 전승되어 온 점도 예술가곡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이다. 그러나 한편 그 멜로디나 리듬이 예술가곡으로 된 예도 많다. 최근에 민속음악의 연구가 왕성해짐에 따라 그 주체를 이루고 있는 민요의 발굴도 활발해져 인도를 비롯하여 이집트 등 아랍 제국에서 티베트 오지에 이르기까지 지금껏 들어보지도 못한 민요가 발굴되어 레코드 등으로도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이런 것들은 보통 우리가 잘 아는 민요만큼 음악적으로 세련되어 있지 못하므로 민요라기보다는 민속가곡이라고 하는 편이 적절하겠다. 음악적으로는 세련도가 낮고 민속적인 색채가 짙은 이러한 노래가 이른바 민요로서 통속화되기에는 어려울지 모르지만, 음악 전반이 창작 면에서나 연주 면에서 민족주의적 요소가 점차 희박해져서 세계화하고 평균화하는 경향이 보이는 오늘날, 이러한 민속적 가곡들은 민족문화의 특징을 단적으로 상징하는 귀중한 문화재로 가치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가 민요로서 친해오던 것도, 예를 들면 <오 솔레 미오>는 <오 나의 태양>이라는 제목과 같이 푸른 하늘과 빛나는 태양으로 상징되는 이탈리아 사람의 밝고 정열적인 성격을, 그리고 <등불>의 어두컴컴한 정감은 깊은 눈에 덮인 광대한 러시아를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민족적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