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아시아 문학/일본 문학/고대 전기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일본 문학의 맹아

[편집]

日本文學-萌芽

일본문학 발생의 시대는 분명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원시사회에서 조형예술(造形藝術)·무용예술에 비해서 문학의 발달은 늦다고 하는데, 그것은 문학의 발달에는 언어나 사고의 발달이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바꾸어 말해서 아무리 원시적 사회라 할지라도 언어생활이 이루어지는 사회에서는 문학의 싹이 숨쉬고 있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원시 일본어(語)의 기원은 아직 분명치 않다.

기재문학(記載文學)에 들어가기 전에 오랜 구송문학의 시대가 있었다는 것은 인정하나 이 역시 연대를 고찰할 수 없으며, 문학이 싹튼 과정은 현재로서는 역사적·사회적 배경에서 상정(想定)할 수밖에 없다.

오랜 구송문학의 시대에서 기재문학으로 전환하게 된 것은 문자의 전래와 습숙(習熟)에서 비롯되었다. 한자(漢字)의 본격적인 전래는 4세기 후반부터 한반도(韓半島)와의 교류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7세기 초까지에 걸친 귀화인(歸化人)과 한자가 이룩한 역할은 매우 크다.

귀화인의 기록관리(記錄管理)와 지도 아래서 식자층은 상류귀족을 중심으로 확대되어 한문을 정식 문장으로 습숙하는 한편, 일본어의 어법(語法)을 살린 와슈(和習) 한문도 생기게 되었다. 나아가서 일본어를 표기하는 데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은, 이른바 만요 가나(萬葉假名)도 일찍부터 연구되었다. 일본어는 성질을 달리하는 중국의 언어·문자문화와 접촉하면서 2-3백 년 사이에 그것을 훌륭히 익혀서 한자에 의한 일본어 표기에 성공한 것이다.

이리하여 기재문학의 시대가 도래했는데, 식자층이 야마토조정(大和朝廷)의 중앙귀족 중심이라는 점으로 보아 서민이나 지방, 그리고 귀족층의 심부(深部)에서도 오랫동안 구송문학의 시대가 병행되었으리라 짐작된다. 고대 전기문학(前期文學) 전체를 살펴보더라도, 교양을 구사하는 한시문(漢詩文)을 제외하고는 구송문학의 흔적을 깊숙이 남기고 있는 것뿐이다.

고대문학의 개화

[편집]

古代文學-開花

고대사회에서는 모든 생활과 행동이 원시종교의 주술(呪術)에 지배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언어의 위력은 대단해서 언어 속에 있는 영력(靈力)으로 원망(願望)을 실현시키고자 했다. 이것이 고토다마(言靈) 신앙이다. 좋은 언어를 존경하고 소중히 여기는 태도는 표현·수사(修辭)의 발달을 촉구했다. 마쿠라코토바(枕詞)·속담·가요 등도 대부분 신성한 주문이었다고 한다.

신화도 주술이나 제의(祭儀)와 깊은 관계가 있다. 각 씨족에 의해 전승되어 오던 신화나 전설이 한자의 수입, 표기의 습숙에 의해서 문헌으로 기록된 것이 7세기에서 8세기 초에 이룩된 <고지키(古事起)> <니혼쇼키(日本書紀)> 등이다.

고대인에게 있어서의 우타(歌)는 '노래하는' 것이었다. 악기·행동을 곁들여 집단생활 속에서 불리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고대가요는 <고지키> <니혼쇼키>를 중심으로 <만요슈(萬葉集)> <후도키(風土記)> <고고슈이(古語拾遺)> <긴카후(琴歌譜)> 등에서 볼 수 있는데 기재문학으로서 한문시의 영향을 받아서 발달된 '읽는' 노래. 즉 와카(倭歌=和歌)와는 성질을 달리한다. 6 내지 7세기경에 5·7조(調)의 정형(定型)을 확립한 와카는 후지와라쿄(藤原京), 헤이조쿄(平城京) 시대에 전성기를 자랑하여 가키노모토 히토마로(枾本人麻呂)를 비롯, 다케시 쿠로히토(高市黑人), 야마베 아카히토(山部赤人), 오토모 다비토(大伴旅人), 야마노우에 노쿠라(山上憶良), 다카하시 무시마로, 오토모 야카모치(大伴家持) 등의 가인(歌人)을 배출했다.

남성 귀족간에 한시문이 성행하게 된 것은 7세기부터이다. 주로 중국 육조시(六朝詩)의 영향을 받은 오언시(五言詩)로서, 8세기 중엽의 편집인 <가이후소(懷風藻)>가 남아 있는데, 한시문은 귀족 지식계급의 공적 필수 교양이 되었다.

고대가요

[편집]

古代歌謠

고대에 문자로 적는다든지 읽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노래로 불린 '우타(歌)'의 총칭. 상대가요(上代歌謠)라고도 한다. 기키가요(記紀歌謠)를 지칭하는 일이 많은데 광의로는 <부소쿠세키(佛足石)> <조구쇼토쿠호오데이세쓰(上宮聖德法王帝說)> <후도키(風土記)>의 노래를 비롯, 헤이안(平安) 시대의 저서 <쇼쿠니혼기(續日本紀)> <고고슈이> <니혼레이이키(日本靈異記)> <쇼도쿠타이시덴랴쿠(聖德太子傳曆)> <고타이진구우기시키쵸(皇太神宮儀式帳)> <아쓰다타이진우엔기(熱田太神宮緣起)> <토오다이지요로쿠(東大寺要錄)> <혼초 게쓰레이(本朝月令)> 등의 노래와 <킨카후(琴歌譜)>의 노래, 나아가서 고대 후기의 가요도 포함된다.

고대가요가 행해진 것은 헤이안 말기까지인데 그 제작은 상당히 이전이라고 믿어진다.

기키가요

[편집]

記紀歌謠

<고지키> <니혼쇼키>에 수록된 노래의 총칭. 대체로 <고지키> 113수, <니혼쇼키> 127수. 그 중 공통되는 노래 52수이다.

내용은 장면으로 보아 민요·예요(藝謠)·궁정가요·이야기가요 외에 동요와 요오카(謠歌=와자우타) 등으로 나누어지며, 소재(素材) 면에서는 연애·전투·제사·주연의 노래로 나누어진다.

만요슈

[편집]

萬葉集

가집(歌集). 편자 미상. 20권으로 되어 있으며 노래수는 약 4천 500수이다. 가체(歌體)는 장가(長歌)·단가·세도우카(旋頭歌)·붓소쿠세키가타이카(佛足石歌體歌)·연가(連歌)로 나누어지며 약간의 한시문도 포함된다. 작품의 시대는 5세기 초부터 759년까지 약 350년에 걸쳐 있다.

전부가 한자로 기술되어 있으며 제사(題詞)·좌주(左註)·서(序) 등은 한문, 노래는 만요가나(萬葉假名)이다. 작자층도 다채롭다. 계층·직업적으로는 천황(天皇)·황후·황자·황녀·귀족·관리·농민·어민·걸인(乞人)·유녀(遊女) 등 모든 범위에 걸쳐 있고, 남녀노소도 뒤섞여 있다. 가풍(歌風)은 인간의 삶을 직접 표백(表白)하여 주아적(主我的)이며 진실한 감동과 건강한 격조에 차 있다. 전체의 흐름에서 본다면 시대에 따라 소박한 풍조에서 섬세·우미한 풍조로 옮겨졌다고 하겠다.

가키노모토 히토마로

[편집]

枾本人麻呂 (생몰년 미상)

하급 관인(官人)으로 '만요슈' 제2기의 가인. <만요슈>에 장가 16수, 단가 57수가 수록되어 있다. 가풍은 웅대·장중(莊重)하며, 파동적인 성조(聲調) 속에 침통한 울림을 담고 있다. 야마토우타(倭歌)는 히토마로의 등장에 의하여서 남성의 풍격과 문장어로서의 위용(偉容)을 갖게 되었다.

오토모 야카모치

[편집]

大伴家持 (717 ?-785)

일본 나라(奈良) 시대 말기의 관리, '만요슈' 제4기의 가인. <만요슈>에는 장가 46수, 단가 431수 등이 수록되어 가장 많다. 다한(多恨)한 인생 경험을 통하여 그것을 심화시키고 자연을 단순히 감각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심정(心情)의 상징으로 다루어 근대적 가풍(歌風)을 개척했다.

고지키

[편집]

古事記 (712)

일본의 역사·신화(神話)·전설·설화(說話). 오노야스 마로(太安萬侶) 편저.

그는 히에다 아레이(稗田阿禮)가 송습(誦習)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한자의 훈에 따른 표기와 음(音)에 따른 표기를 섞었고, 알기 어려운 말에는 주(註)를 달았다.

국가 통치의 기본을 확립할 의도에서 작성된 것으로 사서(史書)로서의 일면도 있으나, 또한 신화·전설·가요 등 문학성이 풍부한 내용을 가진 일본 문학사의 최초를 장식한 뛰어난 작품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