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작문과 문법/국어 문법/말소리(음운론)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음성과 음운[편집]

발음 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물리적이고 구체적인 소리를 '음성(音聲)'이라 하고, 머릿속에서 동일하게 인식하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소리를 '음운(音韻)'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음성이 같은 소리일지라도 사람에 따라 또는 소리를 낼 때마다 다른 소리로 인식된다면, 음운은 다른 음성으로 여러 사람이 발음한다 해도 결국 같은 소리로 인식되는 것이다.국어의 음운은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나뉘며, 자음은 19개, 단모음 10개, 이중 모음 11개 등 총 40개의 음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어떤 음성들이 서로 다른 자리에 나타나서 발음상 차이는 있지만 뜻을 구별짓지 못하는 음성을 한 음운의 '변이음(變異音)'이라 한다.



음성과 음운의 비교 


음          성


음          운


발음 기관을 통하여 발음되는 물리적이고 실제적인

소리


머릿속에 기억되는 심리적인 소리 


발음에 따라 달라지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소리


같은 소리값으로 인정하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소리


말의 뜻과는 상관 없이 발음 현상에만 관계하는

소리


말의 뜻과 상관이 있어 뜻이 구별되는 소리


시대 및 나라와 관계가 없는 일반적인 소리


시대 및 나라의 일정한 음운 체계와 관계가

있는 소리

자음[편집]

자음(子音)이란 발음할 때 혀·구강·이·입술 등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장애를 받아 나는 소리로, 한글에서는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등 단자음 14개와 'ㄲ·ㄸ·ㅃ·ㅆ·ㅉ' 등 복자음(複子音) 5개를 합하여 19개의 자음이 있다.



자음의 분류 


소리를 내는 자리

소리를

내는 방법


두 입술


윗잇몸, 혀  끝


경구개, 혓바닥


연구개, 혀  뒤


목청

사이











파열음


예사소리

된 소 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된 소 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소 리


 





 


 




 


울림

소리


비    음




 



 


유    음


 



 


 


 

조음 기관[편집]

調音器官

말소리를 만들어 내는 기관으로 공기의 흐름이 막힌다든가 좁혀지는 자리를 조음 위치라고 한다. 자음은 조음 위치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뉜다.

소리내는 자리에 따른 분류[편집]

입술소리[편집]

아랫입술이 윗입술에 작용하면서 나는 소리. ㅁ·ㅂ·ㅃ·ㅍ 등.

혀끝소리[편집]

혀끝이 윗잇몸과 작용하여 나는 소리. ㄷ·ㄸ·ㅌ·ㅅ·ㅆ·ㄴ·ㄹ 등.

연구개음[편집]

연구개와 혀뿌리(혀의 뒷부분) 사이에서 나는 소리. ㄱ·ㄲ·ㅋ·ㅇ 등.

경구개음[편집]

경구개와 혓바닥 사이에서 나는 소리. ㅈ·ㅉ·ㅊ 등.

목청소리[편집]

목청 사이에서 나는 소리. ㅎ.

소리내는 방법에 따른 분류[편집]

파열음[편집]

후두 위에 있는 발음 기관 중 어느 한 부분을 막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릴 때 나는 소리. ㄱ·ㄲ·ㅋ·ㄷ·ㄸ·ㅌ·ㅂ·ㅃ·ㅍ 등.

파찰음[편집]

파열과 마찰이 잇따르며 나는 소리. ㅈ·ㅉ·ㅊ 등.

마찰음[편집]

입 안이나 목청 사이를 좁혀 공기가 통과할 때 마찰하여 나는 소리. ㅅ·ㅆ·ㅎ 등.

비음[편집]

입 안을 막고 코로 나오는 숨으로 발음하는 소리로, 콧소리라고도 한다. ㄴ·ㅁ·ㅇ 등.

유음[편집]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잇몸에 댄 채 양옆으로 공기를 흘려보낼 때 나는 소리. ㄹ.

소리내는 힘의 정도에 따른 분류[편집]

예사소리[편집]

예사로 숨쉴 때 나는 소리. 평음. ㄱ·ㄴ·ㅂ·ㅅ·ㅈ 등.

된소리[편집]

되게 발음되는 소리. 경음. ㄲ·ㄸ·ㅃ·ㅆ·ㅉ 등.

거센소리[편집]

거센숨을 따라서 나는 소리. 격음. ㅊ·ㅋ·ㅌ·ㅍ 등.

울림소리, 안울림소리[편집]

비음 'ㄴ·ㅁ·ㅇ'과 유음 'ㄹ'처럼 발음할 때 목청이 떨리어 나는 소리를 울림소리라 하고 나머지 열다섯 소리는 안울림소리라 한다. 유성음(有聲音), 무성음(無聲音).

모음[편집]

모음(母音)이란 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입술·코·목구멍의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나오는 울림소리로, 한글에서는 'ㅏ·ㅓ·ㅗ·ㅜ·ㅡ·ㅣ·ㅐ·ㅔ·ㅚ·ㅟ' 등 10개의 단모음과 'ㅑ·ㅕ·ㅛ·ㅠ·ㅒ·ㅖ·ㅘ·ㅝ·ㅙ·ㅞ·ㅢ' 등 11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단모음[편집]

(單母音) 발음하는 동안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모음을 말한다.



단모음의 분류 


분류 기준


분  류


특    징


보    기


성 질


양성 모음


어감이 밝고 가벼운 모음


ㅏ·ㅗ·ㅐ


음성 모음


어감이 어둡고 무거운 모음


ㅓ·ㅜ·ㅣ·ㅔ


혀의 위치


전설 모음


혀의 앞쪽에서 나는 소리


ㅣ·ㅔ·ㅚ·ㅐ


중설 모음


혀의 중간쯤에서 나는 소리


ㅡ·ㅏ·ㅓ


후설 모음


혀의 뒤쪽에서 발음


ㅜ·ㅗ


혀의 높이


고 모 음


혀가 위로 올라가 발음


ㅣ·ㅡ·ㅜ·ㅟ


중 모 음


혀가 중간쯤 있으면서 발음


ㅔ·ㅚ·ㅓ·ㅗ


저 모 음


혀가 아래로 내려가 발음


ㅐ·ㅏ


입술 모양


원순 모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린 상태에서 내는 소리


ㅟ·ㅚ·ㅜ·ㅗ


평순 모음


입술을 오므리지 않고 펴서 내는 소리


ㅣ·ㅔ·ㅐ·ㅡ·ㅓ

·ㅏ


입이 열린

정도


개 모 음


입을 크게 열고 내는 소리



반 개 모 음


입을 조금(반 정도) 열고 내는 소리


ㅐ·ㅓ


반 폐 모 음


입을 약간 오므려 내는 소리


ㅔ·ㅚ·ㅗ


폐 모 음


입을 좁혀서 내는 소리


ㅣ·ㅡ·ㅜ

반모음, 이중 모음[편집]

半母音, 二重母音

소리를 내는 도중에 혀가 위치를 옮겨가면서 발음되는 소리를 반모음이라 하며,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된 것을 이중 모음이라 한다. 반모음은 온전한 모음이 아니므로 반달표(˘)를 하여 'ㅗ·ㅜ·ㅣ'로 나타낸다. 이중 모음에는 'ㅑ·ㅕ·ㅛ·ㅠ·ㅒ·ㅖ·ㅘ·ㅙ·ㅝ·ㅞ·ㅢ' 등이 있다.

모음 삼각도[편집]

母音三角圖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위치와 입의 벌린 각도에 따라 생기는 음색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림. 한글의 경우 혀와 구개(口蓋)가 접근하는 부분 중에서 'ㅣ·ㅜ·ㅏ' 등 세 모음이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룬다.

성질에 따른 분류[편집]

양성 모음[편집]

어감이 밝고 가벼운 모음. ㅏ·ㅗ·ㅐ 등.

음성 모음[편집]

어감이 어둡고 무거운 모음. ㅓ·ㅜ·ㅣ·ㅔ 등.

혀의 위치에 따른 분류[편집]

전설 모음[편집]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혀가 앞쪽에 있을 때 나는 소리. ㅣ·ㅔ·ㅚ·ㅐ 등.

중설 모음[편집]

혀가 중간쯤에 있을 때 나는 소리. ㅡ·ㅏ·ㅓ 등.

후설 모음[편집]

혀가 뒤쪽에 있을 때 나는 소리. ㅜ·ㅗ 등.

혀의 높이에 따른 분류[편집]

고모음[편집]

혀가 위로 올라가 있을 때 나는 소리. ㅣ·ㅡ·ㅜ·ㅟ 등.

중모음[편집]

혀가 중간쯤에 있을 때 나는 소리. ㅔ·ㅚ·ㅓ·ㅗ 등.

저모음[편집]

혀가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을 때 나는 소리. ㅐ·ㅏ 등.

입술 모양에 따른 분류[편집]

원순 모음[편집]

입술을 둥글게 하여 내는 소리. ㅟ·ㅚ·ㅜ·ㅗ 등.

평순 모음[편집]

입술을 오므리지 않고 펴서 내는 소리. ㅣ·ㅔ·ㅐ·ㅡ·ㅓ·ㅏ등.

입이 열린 정도에 따른 분류[편집]

개모음[편집]

입을 가장 크게 벌리고 내는 소리. ㅏ.

반개모음[편집]

입을 약간 벌리고 내는 소리. ㅐ·ㅓ 등.

반폐모음[편집]

입을 약간 오므리고 내는 소리. ㅔ·ㅚ·ㅗ 등.

폐모음[편집]

입을 좁히고 내는 소리. ㅣ·ㅡ·ㅜ 등.

긴소리와 짧은소리[편집]

한 음절을 길게 발음하느냐 짧게 발음하느냐에 따라 단어의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긴소리나 짧은소리는 자음이나 모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긴소리는 보통 단어의 첫 음절에서 나타나며, 그 음절이 뒤쪽에 오면 짧은소리가 되는 경향이 크다.

예)

말ː〔言〕→ 우리말ː→ 우리말

말〔馬〕〔斗〕

눈ː〔雪〕→ 함박+눈ː→ 함박눈

눈〔眼〕

음절[편집]

음절의 뜻[편집]

音節-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하나의 소리를 '음절'이라 하며, 한 음절은 한 글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즐겁다'라는 말은 '즐·겁·다'라는 3개의 음절(글자)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어이다. 음절은 말소리의 단위로서 그 자체가 뜻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며,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발음의 단위이다. 하지만 하나의 음절이 하나의 단어를 이루기도 한다.

음절의 형태[편집]

-形態

하나의 음절은 첫소리(초성, 初聲)·가운뎃소리(중성, 中聲)·끝소리(종성, 終聲)로 이루어지는데, 가운뎃소리는 반드시 모음으로 되어 있다. 가운뎃소리는 음절을 이루는 데 반드시 필요하지만, 첫소리나 끝소리는 없어도 음절이 성립된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가운뎃소리/첫소리·가운뎃소리만으로 이루어진 2음절의 단어이고, '산'은 첫소리·가운뎃소리·끝소리로 이루어진 1음절의 단어이다.

음운의 변동[편집]

하나의 형태소가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變動)'이라 한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편집]

(音節-規則) 국어에서 음절의 끝소리가 되는 자음은 'ㄱ·ㄴ·ㄷ·ㄹ·ㅁ·ㅂ·ㅇ' 등 일곱 소리뿐이다. 따라서 이 일곱 소리 이외의 자음이 음절 끝에 오면 이 중 하나로 발음된다. ① 받침 'ㅍ'은 'ㅂ'으로 소리난다. 예) 높다 → 놉따, 앞 → 압 ② 받침 'ㅅ·ㅆ·ㅈ·ㅊ·ㅌ·ㅎ'은 'ㄷ'으로 소리난다. 예) 옷 → 옫, 있다 → 읻따, 낮 → 낟, 꽃 → 꼳, 팥 → 팓 ③ 받침 'ㄲ·ㅋ'은 'ㄱ'으로 소리난다. 예) 밖 → 박, 동녘 → 동녁 ④ 'ㄺ·ㄻ·ㄼ·ㄿ·ㅄ·ㄵ·ㄳ' 등의 겹받침은 하나만 소리난다. 예) 읽다 → 익따, 앎 → 암, 밟다 → 밥따, 읊다 → 읍따, 값 → 갑, 삯 → 삭



음절의 끝소리 규칙 


받침수


받  침


대표음


보         기


하나일 때




ㅅ, ㅆ, ㅈ

ㅊ,

ㅌ, ㅎ




 



 


잎「입」, 앞「압」, 높「놉」

낫「낟」, 옷「옫」, 있「읻」

낮「낟」,

꽃「꼳」, 낯「낟」, 팥「팓」


ㄲ, ㅋ



밖「박」, 동녁「동녁」


둘일


ㅄ, ㄳ

ㄽ,

ㄾ, ㄵ


첫째 자음이 남음.


값「갑」, 삯「삭」, 외곬「외골」,

핥「할」,

앉「안」


ㄻ, ㄿ


둘째 자음이 남음.


젊다「점따」, 읊다「읍따」


ㄺ, ㄼ


첫째 자음이나 둘째 자음이 남음.


흙과「흑꽈」, 넓다「널따」, 닭「닥」,

맑다「막따」,

밟다「밥따」

두음 법칙[편집]

頭音法則

두음(음절의 첫소리)에 'ㄹ·ㄴ'이 오는 것을 꺼리는 현상을 말한다.

① 'ㄹ'이 단모음 앞에서 'ㄴ'으로 소리난다.

예) 로정(路程) → 노정, 락원(樂園) → 낙원

② 'ㄹ·ㄴ'이 'ㅑ·ㅕ·ㅛ·ㅠ·ㅣ' 앞에서 소리나지 않는다.

예) 남녀(男女) → 여자(女子)

모음 조화[편집]

母音調和

양성 모음(ㅏ·ㅗ)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ㅓ·ㅜ·ㅡ)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을 말한다. 의성어나 의태어, 어간과 어미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예) 찰랑찰랑, 울렁울렁, 고와, 더워

※ 단, 가깝다 → 가까워, 괴롭다 → 괴로워 등의 예외도 있다.

모음 동화[편집]

母音同化

모음이 서로 접속할 때 한 모음이 다른 모음에 동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앞 음절의 'ㅏ·ㅓ·ㅗ·ㅜ'가 뒤 음절의 'ㅣ' 모음에 영향을 받아 'ㅐ·ㅔ·ㅚ·ㅟ'로 변하는 현상이다.

예) 아기 → 애기, 어미 → 에미, 고기 → 괴기

자음 동화[편집]

(子音同化) 음절 끝의 자음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소리가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예) 밥물 → 밤물, 종로 → 종노, 신라 → 실라



자음 동화의 여러 가지 


구분    종  류


특   징


보   기


방향


순행 동화


뒷소리가 앞소리를 닮는 것


강릉「강능」, 칼날「칼랄」


역행 동화


앞소리가 뒷소리를 닮는 것


천리「철리」, 국물「궁물」


상호 동화


앞소리와 뒷소리가 서로 닮는 것


격려「경녀」, 독립「동닙」


정도


완전 동화


앞소리와 뒷소리가 완전히 같아지는 것


신라「실라」, 꽃나무「꼰나무」


불완전 동화


앞소리와 뒷소리가 비슷하게 닮는 것


앞날「암날」, 학문「항문」

구개 음화[편집]

口蓋音化

앞 음절의 끝소리가 'ㄷ·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태소와 만나면 구개음인 'ㅈ·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 굳이 → 구지, 해돋이 → 해도지, 같이 → 가치

음운의 축약[편집]

音韻-縮約

두 음운이 하나로 합치거나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여기에는 자음 축약과 모음 축약이 있다.

예) 놓다 → 노타, 쌓다 → 싸타, 사이 → 새, 되어 → 돼

음운의 탈락[편집]

音韻-脫落

말을 쉽고 빨리 하기 위하여 자음이나 모음을 줄여서 발음하는 현상을 말한다. 여기에는 자음 탈락과 모음 탈락이 있다.

예) 아들님 → 아드님, 종용히 → 조용히, 가아서 → 가서,

선수이다 → 선수다

된소리되기[편집]

예사소리 'ㄱ·ㄷ·ㅂ·ㅅ·ㅈ'이 된소리 'ㄲ·ㄸ·ㅃ·ㅆ·ㅉ'으로 바뀌어 소리나는 현상을 말한다. 경음화 현상.

예) 결승 → 결씅, 낮잠 → 낮짬

사잇소리 현상[편집]

두 개의 낱말이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면 사이시옷을 넣어 적는다.

예) 초+불(촛불) → 초뿔

밤+길(밤길) → 밤낄

배+사공(뱃사공) → 배싸공

시내+가(시냇가) → 시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