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예술·스포츠·취미/무 용/한국의 무용/한국무용의 종류
한국무용의 종류〔개설〕
[편집]韓國舞踊-種類〔槪說〕
한국무용은 궁중무용·민속무용·가면무용·의식무용·신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의 궁중무용
[편집]韓國-宮中舞踊 궁중무용은 정재(呈才)라고도 한다. 정재란 어휘는 재조(才操)를 드린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말은 옛날에 궁중에서만 통용되던 술어이다. 궁중무용은 사회제도가 군주국가의 형태로 되면서 국가기관에 예속되어 거기에서 보호를 받으면서 오랜 세월 동안 계속된 무용이다. 군주정치가 계속되는 동안은 나라의 경사, 궁중의 향연, 외국 국빈을 위한 연회와 왕후장상(王侯將相)들의 완상(玩賞)거리로 쓰였고, 심지어 지방 관아(官衙)에까지 전파되었던 이 궁중무용은 민간 대중과는 관계가 없이 오늘날까지 전해 오고 있으며 그 종류는 53종이다. 이 53종을 시대별로 발생된 수효를 보면 신라시대 4종, 고려시대 13종, 조선시대 36종이다. 이상 53종이나 되는 무용에 대해서 고찰하면 ① 국가와 왕가의 경사를 축하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 ② 조상 또는 선왕(先王)의 공적을 추모하고 찬양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 ③ 군왕의 위업과 업적을 송축(頌祝)하고 고취·선양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 ④ 외국에서 수입된 것, ⑤ 민간에서 발생되어 궁중으로 들어온 것, ⑥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것, ⑦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것으로 외국의 악곡이나 무용의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 것, ⑧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것으로 외국무용의 형식으로 구성된 것, ⑨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것으로 연희되는 용도에 따라서 이름이 달라진 것, ⑩ 기타 발생된 경위가 정확하지 않은 것 등이 있다.
한국의 민속무용
[편집]韓國-民俗舞踊 민속무용은 원시 민간신앙의 잔재인 각종 행사(天神祭·地神祭·日月神祭·山神祭·落祭·堂祭·島嶼와 浦口의 龍神祭 등)와 서민대중이 즐겨하는 세시풍속(歲時風俗) 중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싹트고 움터서 그때부터 민중과 결부·밀착되어 민중과 호흡을 같이 하고, 서민대중의 생활환경 속에서 뿌리를 박고 오랫동안을 성장·발육되어 온 춤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민속무용은 어떠한 격식이나 일정한 법도(法度)가 필요치 않고 서민들의 정서와 소박한 감정을 적나라(赤裸裸)하게 표출(表出)한다는 데에 생명이 있다 하겠다. 현재 남아있는 민속무용으로는 ① 농악무(農樂舞), ② 승무(僧舞), ③ 강강수월래, ④ 한량무(閑良舞), ⑤ 남무(男舞), ⑥ 살풀이춤, ⑦ 안동(安東) 놋다리 밟기춤, ⑧ 무당춤, ⑨ 무동(舞童)춤 ⑩ 장고춤 등이 있다.
한국의 가면무용
[편집]韓國-假面舞踊 가면무용은 원시적인 신앙행사나 세시풍속의 행위에서 발생되었다고 할지라도 특정된 지역에 기반을 두고 그 지방에 뿌리를 박고 토착화 되어서, 오랫 동안을 그 지역의 범위 안에서만 성행하고 성장되어 현재까지 전해진 춤을 말하는 것이다. 현재 각 지방에 남아 있는 탈춤(가면무용)들은 전체적으로 내용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하지만, 노는 형태에 있어서나 춤가락면에 있어서는 각각 그 지방대로의 특징이 있다.이 춤들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지역별로 보면 ① 중부형(中部型), ② 경남형(慶南型), ③ 해서형(海西型), ④ 기타지역 등 크게 네 가지 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의 의식무용
[편집]韓國-儀式舞踊 의식무용은 불교의 재의식(齋儀式)과 문묘(文廟)·종묘(宗廟)의 제사에서 추는 춤이다. 이외에도 과거에는 원구단, 사직단(社稷壇-地神) 제사에서도 노래와 춤이 있었으나, 오늘날은 제사마저 폐지되었기 때문에 춤은 소멸되었다. 먼저 불교계통의 무용은 5종이 있는데 ① 나비춤, ② 바라춤, ③ 법고(法鼓)춤, ④ 목어, ⑤ 타주(打柱) 등 5가지가 그것이다. 불교 재의식 절차 중에는 '식당작법(食堂作法)'이라고 하는 순서가 있어서, 반드시 상기 5종의 춤을 추는 대목이 있다. 5종의 춤은 불경(佛經)의 범음(梵音)과 북·징·장고·호적 등이 반주로 사용된다. 이외에 문묘(文廟)와 종묘(宗廟)에서 추는 일무(佾舞)가 있다.
신작무용
[편집]新作舞踊
신작무용은 전통무용의 형식이나 현대무용의 형식을 토대삼아 창작되는 새로운 무용을 말하는 바, 이런 의미의 신작무용은 많이 창작된다.
<金 千 興>
한국의 궁중무용
[편집]신라시대의 궁중무용
[편집]新羅時代-宮中舞踊
고대에 있어서는 어느 사회에서도 1년에 1·2차의 제천대회(祭天大會)가 열려 제천과 아울러 부족의식을 연마하며 가무백희가 연행(演行)되었는데, 이때의 가무백희의 구체적인 모습에서는 무용이나 음악이나 기타의 놀이가 확연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었다.
신라시대의 무용의 경우에 대해서는 신라악(新羅樂)을 통해서 그 모습을 엿볼 수밖에 없다. <고려사> <악지(樂志)>에는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에 신라의 가악(歌樂)으로 6종을 들고 있으나, <문헌비고(文獻備考)> <속악부>에는 신라악으로 30여 종을 들고 있어, 7세기 후반에 이르러 삼국을 통일한 신라가 전대의 악을 집성하여 후세에 전함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문헌에서 '백희'라는 성어(成語)가 처음 보이는 것은 <삼국사기> 권1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9년(32)의 '가배조(嘉俳條)'일 것이다. 여기에서 보이는 '가무백희'가 상세치 않으나, 대개 중국에서의 각저희 즉 산악백희의 영향을 많이 입은 것 같다.
아무튼 신라무용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종목으로는 검무(劒舞)·무애무(無▩舞)·처용무(處容舞)·5기(五伎)·도솔가무 등을 들 수 있을 것 같다.
고려시대의 궁중무용
[편집]高麗時代-宮中舞踊
고려시대의 무용은 먼저 향악무(鄕樂舞)와 당악무(唐樂舞)의 두 계통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이것은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중의 <정재홀기(呈才笏記)>가 속악정재(俗樂呈才)와 당악정재(唐樂呈才)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속악정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것이요, 당악정재는 외국에서 수입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궁중악(宮中樂)에 있어서 당악과 속악으로 구분되는 이유와 다를 것이 없다. 속악무는 <고려사> <악지> <속악정재홀기>에 3종이 기록되어 있고, 또 <악학궤범(樂學軌範)>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에도 3종이 수록되어 있다. 그래서 향악무 6종이 고려 때 시작된 것이고, 당악무는 <고려사> <악지> <당악정재홀기>에는 5종으로 나와 있으며, 역시 <악학궤범> <시용당악정재도의> 속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고려사> <악지>에 나와 있는 5종 외에 6화대(六花隊)란 춤이 첨가되어 있어서 당악정재도 6종이 된다.
그리고 <무용종류기록철>에만 들어 있는 광수무(廣袖舞)는 무원의 수 및 반주악곡이 <풍경지곡(豊慶之曲)>이라고만 기록되어 있을 뿐 기타 기록에서는 광수무에 대해서는 찾아 볼 수 없으므로, 현재로서 광수무는 재연(再演) 불가능한 명칭만 있는 춤이다.
다음에 고려시대에 생긴 향악무와 당악무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향악무로는 ① 무고(舞鼓), ② 무애무(舞▩舞), ③ 동동무(動動舞), ④ 향발무, ⑤ 아박무(牙拍舞), ⑥ 학무(鶴舞) 등이 있으며 당악무로는 ① 수연장무(壽延長舞), ② 포구락(抛球樂), ③ 헌선도무(獻仙桃舞), ④ 5양선(五羊仙), ⑤ 6화대무(六花隊舞), ⑥ 연화대무(蓮花臺舞) 등이 있다.
이상 6종에 대해서는 <고려사> <악지> <당악정재홀기>와 <악학궤범> <시용당악정재도의> <무용종류기록철> 등을 보면 외국에서 발생되어 고려시대에 수입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다만 어느 때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인지에 대하여는 전혀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전기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을 참고하여 고려 때 발생된 춤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무용
[편집]朝鮮時代-舞踊
조선시대의 무용은 신라시대의 무용과 고려시대에 발생한 무용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조선시대야말로 궁중무의 요람기요 전성기였다고 말할 수 있고, 이때에 궁중무가 창작 또는 발생된 것이 무려 36종에 달하기 때문에 한국무용 총수효의 53종에 비하면 36종이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무용의 명칭과 유형(類型)을 열거하면, ① 몽금척무(夢金尺舞), ② 수보록무, ③ 근천정무(覲天庭舞), ④ 수명명무(受明命舞), ⑤ 하황은무(荷皇恩舞), ⑥ 하성명무(賀聖明舞), ⑦ 성택무(聖澤舞), ⑧ 곡파무(曲破舞)와 같은 것이 있다.
이상 8종의 무용은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제작된 춤인데도 불구하고 <악학궤범(樂學軌範)> <시용당악정재도의(時用唐樂呈才圖儀)> 중에 삽입돼 있는 것을 보면 당시에는 당악정재로 취급되어 오지 않았나 하는 의심을 불러 일으키게도 한다. 그러나 춤의 내용이나 부르는 노래의 가사들이 조선조에 창작된 것일 뿐 아니라, 그 내용이 선왕(先王) 또는 왕가의 융성을 축원하고, 왕업(王業)의 번영을 축하하는 뜻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악학궤범> <시용당악정재도의>에 수록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것을 당악무로 간주할 수 있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 다만 창작적인 면에서 당악무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을는지는 모르나, 전기한 무용 8종에 죽간자(竹竿子)·인인장(引人丈)·황개(黃盖)·정절(旌節)·용선(龍扇)·봉선(鳳扇)·작선(雀扇)·미선(尾扇) 등의 의물(儀物)이 들어있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런 무구(舞具)가 삽입·나열되는 것이 당악무의 법식인지의 여부는 좀더 연구가 필요한 점이다.
다음으로 조선시대에 발생되어 <악학궤범> <시용향악정재도의>에 기록된 것을 보면 ① 문덕곡무(文德曲舞), ② 봉래의무(鳳來儀舞) 등이 있고, <정재홀기>와 <무용종류기록철>에 기록된 것에 ① 초무(初舞), ② 첨수무(尖袖舞), ③ 공막무(公莫舞), ④ 춘앵전, ⑤ 경풍도무(慶豊圖舞), ⑥ 첩승무(疊勝舞), ⑦ 최화무(崔花舞), ⑧ 항장무(項莊舞), ⑨ 사자무(獅子舞), ⑩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등이 있다.
그리고 비록 <무용종류기록철>에는 조선시대에 발생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정재홀기>가 보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저히 재연(再演)할 수 없는 것으로, ① 망선문(望仙門), ② 영지무(影池舞), ③ 춘광호(春光好), ④ 연화무(蓮花舞), ⑤ 춘대옥촉(春臺玉燭)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 발생된 것으로 되어 있으면서도 한편으로 외국에서 발생되었다고 부기되어 있는 것이 있는데, 이 기록이 춤으로서 우리나라에 수입된 것인지, 춤의 이름이 있는 것을 그 이름만 옮겨 왔는지, 그렇지 않으면 외국의 악곡명을 춤이름으로 사용했는지 등등에 대해서는 전혀 분명치 못한 감이 있다. 그 종류를 들어보면, ① 보상무(寶相舞), ② 만수무(萬壽舞), ③ 헌천화무(獻天花舞), ④ 박접무(搏蝶舞), ⑤ 심향춘(沈香春), ⑥ 향령무(響鈴舞), ⑦ 제수창(帝壽昌), ⑧ 무산향(舞山香), ⑨ 고구려무(高句麗舞), ⑩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⑪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등 11종이다.
검무
[편집]劍舞
검기무(劍器舞)라고도 한다. 검무의 원초적인 발생은, 원시 부족사회에서 부족과 부족, 마을과 마을끼리 싸워서 승리한 후에 군중들의 환성 속에서 즐겁게 춤을 춘 데서 생겨진 소위 전쟁무용(戰爭舞踊)과, 수렵시대에 수렵으로 수획한 동물을 가지고 돌아오면서 즐거움을 표현한 수렵무용(狩獵舞踊)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검무는 신라시대(서기 667년경)에 어린 소년 황창랑(黃昌郎)이 지은 것이라고 <동경잡기(東京雜記)> <풍속조(風俗條)>에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첨(李詹)은 동서(東書) <관창조(官昌條)>에 보이는 황창(黃昌)은 반드시 관창(官昌)이 잘못 전해진 것이라 했고, 또 이유원(李裕元)의 시에도 관창이 오전(誤傳)되어서 황창랑으로 되었다고 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검무는 관창이 지은 것으로 보는 것이 당연하고, 그 춤의 발생연대는 서기 667년경으로 정하는 것이 옳다. 그리고 그 뒤 신라 백성들이 나라를 위해 죽어간 관창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관창의 가면을 만들어 쓰고 추었다고 했으니까, 처음에는 검무가 가면무로 시작된 것이고, 한편 관창의 죽은 혼을 위무(慰撫)한다고 한 것을 미루어 생각해 보면, 민속적인 행사의 하나인 부락제(部落祭)나 동중(洞中)에서 공동으로 거행되는 당굿에서도 무격(巫覡)들에 의해서 추어졌다고 상상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검무가 서민 속에서 생장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춤이 궁중무로 변화된 사실에 있어선 여태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연희되었고, 각 지방 관아에까지도 전파되어서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다. 1300년의 긴 세월을 흘러 내려오는 동안에 처음 발생 때의 살벌하고 잔인한 모습은 찾아볼 수가 없고, 다만 유연하고 미려(美麗)한 동작으로 추게 되었다.
이 춤의 무원의 수에 대해서는 기록된 것이 없다. 그런데 조선조에 내려와서는 4인이 춘 것으로서 <정재홀기>에는 4검무로 되어 있다.
그 후 조선왕조 영조 때 첨수무(尖袖舞)와 공막무(公莫舞)라는 새로운 이름이 생기게 되었다. 그 연유는 첨수무(尖袖舞)는 외연(外宴)인, 즉 남성들만 모이는 연회에서 추게 하고, 공막무(公莫舞)는 여자들을 위주로 한 잔치에서 추게 되어서 연희하는 용도가 분리되었는데, 외연용인 첨수무는 무동(舞童)이 담당했으며, 내연용(內宴用)인 공막무는 기녀(妓女)인 여자들이 추었던 것이다. 무원(舞員)도 검무는 4명이던 것이 2명씩으로 감축되어 있다.
처용무
[편집]處容舞
처용무(處容舞)의 '처용'이라는 명칭이 기록되어 있는 문헌은 <삼국유사(三國遊史)>를 필두로 해서, <동경잡기(東京雜記)> <익재난고(益齋亂藁)> <소악부(小樂府)> <용재총화>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경도잡지(京都雜志)> 등에서 볼 수 있고, 또한 시작된 연대에 있어서도 신라시대(875-886)에 발생된 춤으로 되어 있다. 처음에는 한 사람이 검은 도포를 입고 흑사모에 흑대(黑帶)를 두르고 추었던 것으로, 고려에서는 가무백희 중에 연희하였고, 그 뒤 조선조로 내려와서는 더욱 발전을 보아, 성종(成宗) 때에는 나례(儺禮)에 출연하게 되었다. 그리고 5방처용무(五方處容舞)로 발전, 일대 무용극화하여 합설·학춤(鶴舞)·처용무·연화대무(蓮花臺舞)로 크게 변천되었으며 궁중나례와 향연에서는 의례 연희되어 궁중무용에서는 대표적인 춤이다. 이 춤의 발생과 아울러 용(龍)의 설화, 시가(詩歌)의 발생, 불사(佛寺)의 창건, 음악의 발생, 제액(除厄), 역신(疫身)을 막는 습속 등이 파생했다. 5행설(五行說)에 의거하여 방위(方位)에 다른 5색(靑·紅·黃·白·黑)의 의상을 입는 것이 이 춤의 특색이다.
선유락
[편집]船遊樂 이 춤이 발생한 연대와 제작자는 미상이다. 다만 <정재홀기(呈才笏記)>에 기록된 내용을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채선(彩船)을 색줄로 매어 가운데에 두고, 배 위엔 닻과 노를 잡은 어린 무희(舞姬) 2명이 외향(外向)하고 양편에 앉아 있다. 배 주위에는 무희 10명이 두 손으로 줄을 잡고 안쪽에 서고, 밖에는 32명의 무희가 두 손으로 줄을 잡고 서 있다.
이 춤의 특이한 점은 첫째, 집사(執事)의 지휘 아래 춤이 진행되는 것, 둘째, 취고수(吹鼓手)가 사용하는 북·호적·나팔·나각(螺角)·제금(提琴) 등이 음악에 동원되는 것, 셋째, 집사가 왕에게 품고(稟告)한 후에 나수, 징수(鉦手) 또는 여러 무희(舞姬)들에게 명령하여 춤을 진행하는 것, 넷째, 무희가 '어부사(漁夫詞)'를 부르면서 춤을 추는 것 등이다.
무원(舞員)은 집사(執事) 2명, 집범(執帆) 1명, 집정(執政) 1명, 안줄 무희 10명, 외줄 무희 32명, 집박(執拍) 1명, 악사(樂師) 7명으로 총계 54명이다.
4선무
[편집]四仙舞
4선무는 <무용종류기록철>에 조선조 순조(純祖) 때 발생된 것으로 되어 있고, 또 <비고란>에는 신라 때 발생된 것이라 하고, 4선악부(四仙樂部)에서 비롯된 것이라 되어 있는 춤이다.
당악무와 향악무
[편집]唐樂舞-鄕樂舞
신라(新羅) 통일 이후 고려(高麗)에 걸쳐서 당(唐)나라의 음악이 수입됨으로써 전부터 내려오던 음악과 양립하게 되었고, 당시(唐詩)가 들어옴으로써 향가(鄕歌)라는 말이 생겼으며, 당악(唐樂)의 대칭으로 향악(鄕樂)이라 하게 되었다. 원래 악(樂)이라 함은 곡(曲)과 창(唱), 희와 무(舞)를 총칭하는 것이다. 당악에 향악의 이름이 사용됨으로써 정재(呈才)나 관악기에 있어서도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당악기와 향악기라는 구별법이 생겼고, 따라서 당악에 반드시 따르게 되어 있는 춤을 당암구(唐樂舞)라 하고, 향악과 함께 하는 춤을 향악무(鄕樂舞)라 하며, 좌(左)와 우(右)로 구별하기 위하여 이를 양부악(兩部樂)이라고도 했다. 일본(日本)에서 당(唐)나라의 음악(音樂)을 좌방악(左坊樂), 고려(高麗)음악을 우방악(右坊樂)이라고 흔히 부르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좌는 당악, 우는 향악을 가리켜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당악은 반드시 당나라 음악만을 가리킨 것이 아니고 중국 계통의 속악(俗樂)을 통틀어 호칭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당나라 계통의 음악과 송나라에서 들어온 교방악(敎坊樂)과 허다한 사악(詞樂)까지 합한 총칭이다. 향악이라면 엄격한 의미에서 볼 때 고대(古代)로부터 계승되어 오던 한국의 재래음악 즉 민속악(民俗樂)을 가리킨다고 하겠으며 이것은 곧 당악과의 대칭이라 할 것이다.
수연장무
[편집]壽延長舞
고려 성종(成宗) 때 지은 춤이다. 죽간자(竹竿子) 2명, 무원(舞員) 8명으로 이루어진 이 춤은 임금의 수(壽)를 축원하는 내용이다. 먼저 죽간자가 나아가 구호를 부르고 난 다음 원무(元舞) 8명이 나아가서 미전사(尾前詞)·단운영채색(丹蕓映彩色)을 외면 춤은 그제야 본격화 한다.
죽간자의 마지막 구호가 끝나고 죽간자와 원무가 처음 자리로 물러서면 음악이 그치고 춤도 함께 끝맺는다.
포구락
[편집]抛毬樂 중국 송(宋)나라로부터 전해 온 여자 군무로, 고려 제11대 문종 때 초영(楚英)이라는 여령(女伶)으로부터 비롯한 것으로 전한다. 죽간자 2인이 마주 서 있고 포구문(抛毬門)의 동쪽과 서쪽에 봉필(蓬筆)과 봉화(奉化)가 서 있으며, 원무 12인이 좌우 여섯 쌍으로 갈라선 다음에 채구(彩毬:공)를 풍류안(風流眼)에다 넣는 재미있는 놀이로 되어 있다.
좌1, 우2, 좌2 등의 순서로 한쌍씩 차례로 마주서서 주악(奏樂)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다가, 오른손에 갖고 있는 채구를 던져서 용안(龍眼)으로 나가게 하는 것이다.채구를 풍류안(구멍)에다 넣으면 상으로 꽃 한 가지를 주고, 만약 넣지 못하면 벌로 얼굴에다 먹점을 찍는 것이다. 옛날에는 꽃을 주는 대신에 공 문에다 무명베(白木)를 걸쳐서 상으로 주었던 것이다.
헌선도무
[편집]獻仙桃舞
서왕모(西王母)가 목왕(穆王)에게 드렸다는 중국의 고사(故事)를 무용화한 것인데, 선도는 3천년에 한번씩 연다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열매로서 헌선도는 당(唐)나라 때 있어 온 이 이름에 고려 때 최충헌(崔忠獻)이 다시 지은 것으로 전한다. 죽간자 2명, 선모(仙母) 1명, 협무 2명으로 구성되며, 선도를 올리면서 세세태평(歲歲太平)할 것을 축원하는 노래로 추는 춤이다.
5양선
[편집]五羊仙
고려 때 송에서 전래한 중국무용의 하나이다. 당(唐)의 이군옥(李群玉)의 <창포간시(菖蒲澗詩)>에 '오선기오양 하대강자향(五仙騎五羊何代降玆鄕)'이라 했고, 그 주(註)에 <환우기>를 인용하여 고고(高固)가 초(楚)의 재상이 되자 어디선지 선인이 5색의 양을 타고 내려와서 벼이삭을 고을 사람들에게 주었다 하였다. 이로써 5양선을 삼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7명이 추는 이 5양선은 왕조의 서기(瑞氣)를 노래하며 춤춘다. 특히 이 춤에서 주목되는 바는 송악(宋樂)의 하나로서 지금까지 전해오는 '보허자령(步虛子令)'을 반주음악으로 쓴 점에 있다.
6화대무
[편집]六花臺舞
고려 때 비롯한 춤으로, 옥색(玉色)·초록(草綠)·자적(紫的)·진홍(眞紅)·양람(洋藍)·분홍색의 여섯 가지 꽃들과 그 꽃의 중심되는 중예와 따로 죽간자(竹竿子) 9명으로 구성된다. 그 중 6명이 3명씩 나뉘어서 각각 홍(紅)과 남(藍)으로 차려입고 추는데 먼저 죽간자가 화심가(花心歌)를 부르면 중심무(中心舞)가 그 답사(答詞)를 섬긴다. 다음 원무 일동이 차례로 한명씩 1념시(一念詩)·2념시(二念詩)·3념시(三念詩)의 화심(花心)을 읊고, 또 그것을 노래로 옮겨 부른 다음 화사한 꽃춤을 보이는 것이다.
연화대무
[편집]蓮花臺舞
두 여자아이가 고운 의모(衣帽)에 금방울을 흔들며 추는 춤인데, 처음에는 연꽃에 숨었다 꽃을 꺾고 나타난다. 무원(舞員) 32명이 보허자(步虛子)와 그 밖의 세 곡조의 반주에 따라 춤을 추며, 두 개의 연화관(蓮花冠)을 중심으로 4인의 여기(女妓)가 상대(相對)·상배(相背) 또는 도약(跳躍) 등으로 춤을 추면, 협무(挾舞)는 이에 따라 추고, 왕화(王花)인 연꽃의 정(精)이 나타나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춘다.
무고
[편집]舞鼓
고려 제25대 충렬왕 대에 시중(侍中) 이혼(李混)이 영해(寧海)에서 귀양살이를 하다 바다 위에서 부사(浮査)를 얻어 이로써 큰 북을 만들었는데, 성음(聲音)이 굉장히 컸으므로 이 북을 두드리고 춤을 추었다는 데서 이름이 생겼다고 전한다. 춤은 북을 가운데 놓고 원무(元舞) 4명, 그 뒷줄에 협무(挾舞) 4명이 처음에는 빈손으로 춤춘 다음에, 원무는 북채를 두 손에 들고 시종 북을 에워싸며 마치 꽃봉오리 위에 하늘거리는 나비 모양으로 어르고 두드리며 도는 동안, 협무(挾舞)는 3지화(三枝花)를 두 손에 들고 그 둘레에서 춤을 춘다.
무애무
[편집]舞▩舞
신라 때부터 전해 오는 춤의 하나로 원효(元曉)의 무작(舞作)이라 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면 원효(元曉)가 실계(失戒)를 하고 설총(薛聰)을 낳은 후, 속복(俗服)을 입고 스스로 호(號)를 소성거사(小性居士)라고 하였는데, 우연히 광대가 가지고 춤추던 표주박을 얻어 그 모양을 본받아서 도구를 만들고 <화엄경(華嚴經)>의 '일체무애인(一切無碍人) 일도출생사(一道出生死)'로써 이것을 무애라 이름하여 노래를 지어서 세상에 전하였다 한다. 또 원효는 일찍이 이것을 가지고 마을로 돌아다니며 노래하고 춤추어 화영(化詠)하였다고 하는데, 이것은 원효가 불교를 유포하는 수단으로 부처의 이역(利役)을 노래하고 춤으로 중생의 귀의(歸依)를 바랐던 데서 나온 것이라 한다. 무원(舞員) 12명 중에서 2명이 두손에 표주박을 들고 춤을 추면 다른 사람들은 그 둘레를 돌면서 춤을 춘다.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는 동안 불교적인 내용의 노래가 왕가의 번영을 송축하는 노래로 바뀌었다.
동동무
[편집]動動舞 고려 때 궁중의 잔치 때에 추던 춤의 한 가지. 맨처음 여기(女妓) 두사람이 나와서 북향(北向)으로 나란히 서서 염수(斂手)와 족도(足蹈)를 하며 절하고 다시 꿇어 앉아 아박(牙拍)을 들고 '동동사(動動詞)'의 첫구절을 부르면 다른 여기들이 따라서 부른다. 이때 악관(樂官)은 그 곡조를 아뢴다. 두 여기는 앉아서 아박을 띠에 꽂고 곡조가 끝나면 일어서고, 둘째곡조가 끝나면 염수하고 무도하며, 셋째 곡조가 끝나면 아박을 빼어들고 주악(奏樂)의 절차를 따라 무도한다. 주악이 끝나면 처음과 같이 몸을 구부렸다가 일어난다.율령체(律令體)로 이루어진 '동동사'는 다음과 같다.덕(德)으란 곰배에 받잡고복(福)으란 림배에 받잡고……덕이여 복이라 흐날나아라 오소서아으 동동(動動) 다리정월(正月) 나릿므른아으 어져 녹져 하논대 누릿 가온대 나곤몸하 하울로 널셔아으 동동(動動) 다리
향발무
[편집]고려시대부터 전해온 춤으로, 나이 어린 여기(女妓) 8명(혹은 2·4·6·10·12명으로도 구성됨)을 가려 향발이라는 작은 타악기를 두 손의 모지(母指)와 장지(長指)에 붙들어 매고 장단에 맞추어 두 번 또는 세 번씩 엇바꾸어 치면서 대무(對舞)·배무(背舞) 등으로 추는 재미있는 춤이다. 마치 에스파냐의 '캐스터네츠'를 치면서 추는 서양춤을 연상케 하는 춤이다.
아박무
[편집]牙拍舞
상아(象牙)로 만든 작은 박(拍:打樂器)을 두 손에 들고 이것을 치면서 추는 춤인데, 무기(舞妓) 2명이 좌우로 갈라 서고, 나아가서 꿇어 앉아 아박을 들어다 놓은 다음, 일어나 염수(斂手)·족도(足蹈)하면서 '동동만기(動動慢機)'를 아뢴다. 이어 두 기녀(妓女)가 이 음악에 맞추어서 '동동사(動動詞)'의 첫 구절을 노래한다. 다시 아박을 허리띠 사이에 꽂고 족도한 다음 동동중기에 맞추어 동동 2월사(詞) 이하 12월사까지 노래 부르고, 북향무(北向舞)·대무(對舞)·배무(背舞) 등의 차례로 '매월사(每月詞)'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춤이 변하는 것이다.
학무
[편집]鶴舞
고려 때부터 전해오는 춤이다. 보허자령(步虛子令)의 주악(奏樂)에 여러 기녀들이 노래를 부른 다음, 청학(靑鶴)·백학(白鶴)이 지당(池塘) 앞에 동서로 갈라 서서 북쪽으로 향한다. 박자에 따라 몸을 흔들어 북을 친 다음 족도(足蹈)하여 걸어 나가 학의 온갖 짓을 흉내내고, 다시 연통(蓮筒)을 주둥이로 쪼다가 안에서 두 동녀(童女)가 머리를 들고 나오면, 두 학이 놀라 뛰어나가는 것으로 이 춤은 끝난다.
몽금척무
[편집]夢金尺舞
조선조 정종(定宗) 때 비롯하였으며, 태조(太祖) 수명(受命)의 상(象)을 무용화한 것이다. 태조가 아직 잠저(潛邸) 하였을 때 꿈에 신인(神人)이 금척(金尺)을 받들고 하늘에서 내려와, 태조의 바탕이 문무를 겸하고 민망(民望)이 있다 함을 이르면서 금척을 주었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즉 천의(天意)로써 나라를 이룩했다는 것을 춤으로 꾸민 것이다.
수보록무
[편집]당악무(唐樂舞)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때의 궁중무용의 하나로, 보록을 받고 이서(異書)를 얻은 일을 내용으로 한 것이다. 즉 태조가 아직 잠저(潛邸)해 있을 때 지리산(智異山) 석벽(石璧) 속에서 얻었다고 이서를 헌상(獻上)한 사람이 있었다. 그 뒤 임신년(壬申年)에 그 말이 맞았다고 하여 이 일을 춤으로 꾸며 '수보록'이라 이름했음이 <악학궤범> 권4 <수보록조>에 나타나 있다.
근천정무
[편집]覲天庭舞
당악무(唐樂舞)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때의 춤이다. 봉족자(奉簇子) 1명, 죽간자(竹竿子) 2명, 선모(仙母) 1명, 협무(挾舞) 2명으로 구성된다. 오운개서조(五蕓開瑞朝) 주악리에 봉족자와 봉죽간자가 함께 발을 들어 앞으로 나아가 구호를 하고, 박(拍)이 울리면 다시 제자리에 돌아와 좌우로 분립(分立) 한 다음에 선모와 좌우 협무가 앞으로 조금 나아가서 염수(斂手)와 족도(足蹈)를 한 뒤 치어(致語)를 부르고 금전악령(金殿樂令)을 아뢰면 근천정사를 노래한다. 이어 대무(對舞)·배무(背舞) 등의 무용이 있은 뒤에 끝 구호를 부른 다음, 처음 음악의 악절(樂節)에 따라 춤을 끝낸다.
수명명무
[편집]受明命舞
당악무(唐樂舞)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때 지어진 춤이다. 봉족자, 선모 각 1명, 봉죽간자 2명, 좌우 협무 각 4명으로 구성된다. 회팔선(會八仙)을 아뢰면 족자와 죽간자가 앞으로 나아가, 선구호(先口號)하고 물러나와 좌우로 나누어 선 다음, 선모와 협무가 절화무(折花舞)를 추며 나아간다. 다시 박(拍)이 울리면 선모는 가운데 서서 돌며 춤추고 협무는 회선(回旋)한다. 그리고 치어(致語) '수명명사(受命命詞)'를 노래한 다음, 광수무(廣手舞)·첨렴수(尖斂手)·4수무(四手舞)·8수무(八手舞)의 순서로 춤춘 다음, 후구호(後口號)를 부르고서 차례로 퇴장한다.
하황은무
[편집]荷皇恩舞
당악무로서, 조선조 태종이 부왕의 명을 받아 국사를 권섭(權攝)하고, 또 천명(天明)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었다는 기쁨에 넘치는 춤이다. 무원(舞員)은 10명이며,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 등의 반주에 맞춘다.
하성명무
[편집]賀聖明舞
당악무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때 비롯한 것으로 성명(聖明)을 경축하고 서응(瑞應)을 송축한 춤이다. 15명이 <장춘불로지곡> 등의 반주에 맞추어 춘다.
성택무
[편집]聖澤舞
당악무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때 조정의 사신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은 춤이다. 족자 1명, 죽간자 2명, 선모 1명, 무원 8명 등 열두 사람이 성군(聖君)의 은덕으로 노래하고 춤출 수 있는 태평한 세월을 만난 데 대한 감은(感恩)의 뜻을 표현한 내용의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는 것이다.
곡파무
[편집]曲破舞
당악무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때 비롯한 춤이다. 죽간자 2명, 무원 2명. 회팔선(會八仙)의 주악리에 죽간자 2명이 족도(足蹈)하며 나아가 좌우로 나누어 선 다음, 전구호(前口號)를 부른다. 이어 무원 2명이 손을 들고 앞에 나가면 석노교(惜奴嬌)를 아뢰고 무작(舞作)하다가, 창사(唱詞)가 끝나면 여러 가지 주악에 따라 대무(對舞)·배무(背舞)하고, 혹은 무진(舞進)·무퇴(舞退)하며, 후구호(後口號)를 마지막으로 춤이 끝난다.
보상무
[편집]寶相舞
한(漢)나라의 반무(盤舞)와 진(晋)나라의 배반무(杯盤舞)에 영향을 받아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에 비롯한 춤이다. 보상반(寶相盤)이라고 하는 둥근 상 옆에 기녀 2명이 꽃과 붓을 받들고 각각 섰으며, 춤으로는 둘씩 짝을 지어 세 패로 벌려서서 먼저 제1대가 음악에 맞추어서 앞으로 나아가 앉아 채구(彩毬)를 들고 일어나 가사를 왼 다음, 미리 준비하여 놓은 반상 가운데에다 채구를 던진다. 채구를 반상에다 제대로 넣으면 상으로 꽃을 주고, 넣지 못하면 벌로 뺨에다 먹칠을 한다. 이런 방법으로 뒤를 이어서 춤을 추는 것이다.
만수무
[편집]萬壽舞
향악무(鄕樂舞)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지은 춤이다. 다섯 사람이 향당교주(鄕唐交奏)에 일제히 무진(舞進). 중무(中舞)는 조금 더 나아가 '만수서일홍(萬壽瑞日紅)'의 창사를 부른다.
어저 만재(萬載)여 만재에 억만재(億萬載)로다.
만재에 억만재하니 억만재에 또 억억만재로다.
저 뿌리 깊은 나무는 가지가 많고 근원(根源) 먼 물은 흐름이 길도다.
이런 노래를 부르고 난 뒤 추는 상대(相對)·상배(相背)·수수(垂手)·회선(回旋)·복렬(複列)의 무용은 다른 정재(呈才)의 사위와 별로 다름이 없다.
헌천화무
[편집]獻天花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비롯한 춤이다. 선모(仙母) 1명, 협무(挾舞) 2명, 집당기(執幢妓) 2명의 5인무(五人舞)로서, 선녀가 하늘의 꽃을 왕에게 드리는 축복의 춤이다.
박접무
[편집]撲蝶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비롯한 것이나, 당나라 때 있었던 춤의 영향을 받은 춤이다. 무원은 6명. '함녕지곡(咸寧之曲)' 그 밖의 두 곡조에 의하여 반주된다.
심향춘
[편집]沈香春
향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비롯한 춤이다. 두 사람의 대무로서, 화병(花甁)을 가운데 두고 꽃을 어르고 꺾고 하는 그 춤사위는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을 방불케 한다.
향령무
[편집]鄕鈴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비롯한 춤으로, 당대 연악(燕樂)의 하나인 동발상화지락과 비슷한 춤이다. 여섯 사람이 둘씩 품자(品字) 모양으로 벌려 서서, 각각 두 손에 방울을 들고 가곡계악(歌曲界樂)에 맞추어 노래 부르며 방울을 흔들고 뿌리면서 춘다. 대여음(大餘音)에 나아가고, 초장(初章)부터 5장까지 부르는 사이에 수수쌍불(垂手雙拂)·좌소전(左小轉)·우소전(右小轉)·합선(合蟬) 등의 춤을 춘다.
제수창
[편집]帝壽昌
당악무로서, 성명(聖明)을 송하(頌賀)한 내용의 춤으로 조선조 순조 때 비롯한 것이다. 족자(簇子) 1명, 죽간자(竹竿子) 2명, 무동(舞童) 8명, 선모(仙母) 1명, 합하여 12명이 추는 춤이다.
무산향
[편집]舞山香
향악무로서 춘앵전과 같이 혼자 추는 춤으로서 대모반(玳瑁盤)을 놓고 그것을 중심하여 왕래하면서 춘다. 의상이며 춤사위는 춘앵전과 많이 비슷하다.
고구려무
[편집]高句麗舞
향악무로서, 중국 수대(隋代)의 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멀리 고구려 때부터 전해 오는 유서깊은 춤이다. 현재의 고구려무는 조선조 순조 때 내용을 많이 더하고 춤가락도 번화하게 고친 것이다. 본래는 무동(舞童) 6명이 3대(三隊)로 나뉘어 상대하여 추었다. 일찍부터 중국에 알려져 이백(李白)의 제시(題詩)까지 전하고, 뒤에 그것을 춤추면서 병창(竝唱)하였다.
장생보연지무
[편집]長生寶宴之舞
당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29년(1829)에 익종예제(翼宗睿製)로서 중국 송대(宋代)의 기성절(基聖節)에 쓰던 같은 이름의 춤의 영향을 받았다. 죽간자(竹竿子) 2명, 원무(元舞) 5명. 먼저 죽간자가 나가고 다음에 원무 5명이 나아가 바로 늘어서고 보허자(步虛子)에 맞추어 수악절(隋樂節) 창사(唱詞)를 일제히 부른다. 이어 상대무·수수무·상배무·산작화무(散作花舞)·3전무(三轉舞)·5방무(五方舞)·대전무(大轉舞)·4선무(四仙舞)·회선무(回旋舞) 등 춤이 아홉번 변하는 것도 그렇거니와, 창사를 보허자의 악절(樂節)에 따라 부르는 것도 이 춤만이 갖는 특색이다.
가인전목단
[편집]佳人剪牧丹
향악무로서, 중국 송태조(宋太祖) 때 도곡(陶穀)이라는 한림학사(翰林學士)가 조칙(詔勅)을 받들어 지은 것에 이 춤이 있는데, 그것을 본받아 조선조 순조 때 효명세자(孝明世子:追尊 翼宗)가 새로 지은 것이 곧 가인전목단이다. 원래는 무동대(舞童隊)와 여제자대가 함께 어울려서 추었지만, 요즈음은 때에 따라 따로 추고 있다. 만발(滿發)한 모란꽃 통을 무대 중앙에 놓고서 10인의 무원(舞員)이 금봉관(金鳳冠)을 쓰고 색옷을 입고 2대가 편을 짜서 교선무(交旋舞)·원화무(圓花舞)·회선무(回旋舞)·복렬무(複列舞)의 순서로 춤을 추며 꽃을 꺾고 즐기는 춤이다.
문덕곡무
[편집]文德曲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때 생긴 춤이다. 태조 창업의 문덕(文德)을 송축하는 가사를 부르며, 다섯 사람이 나아가서 치어(致語)가 끝나면 이내 문덕곡을 부르며, 개언노장(開言路章)을 노래하고, 주악에 따라 여기(女妓) 4명이 북쪽으로 향하여 염수(斂手)·족도(足蹈)하고, 보공신장(保功臣章)·정경계장(正經界章)·정례악장(定禮樂章)을 순차로 노래한 다음, 악절(樂節)에 좇아 끝을 여민다.
봉래의무
[편집]鳳來儀舞 조선조 세종 때 이룩된 춤에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시가를 많이 부르는 것이 특색이다. 주악으로서는 향악과 당악을 섞어서 연주하나, 치화평무(致和平舞)와 취풍형무(醉豊亨舞)로 변할 때에는 향악만 연주한다. 남악(男樂)과 여악(女樂)이 있으며, 봉죽간자(奉竹竿子) 두 명과 무기(舞妓) 여덟 명이 나와서 춤을 추는 데, 무기 여덟 명은 가로 두줄로 늘어서서 주악과 박(拍)의 소리에 맞추고, 절차를 따라서 구호와 '용비어천가'를 부르며 족도(足蹈)·대무(對舞)·배무(背舞)·회무(回舞)를 하다가 치화평무로 바꾼다.
초무
[편집]初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숙종(肅宗) 때 생긴 것으로 두 사람이 본령(本令:일명 太平春之曲)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이 춤에는 창사(唱詞)가 없는데, 두 무동(舞童)이 북향(北向)하여 서서 두 손을 번갈아 바꾸어 이마에 대면서 춤을 춘다.
첨수무
[편집]尖袖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영조(英祖) 때 비롯한 춤이다. 원래는 검기무(劍器舞)를 추기 전에 추던 것으로, 공막무(公莫舞)가 내연(內宴)에만 쓰이는데 대하여 이첨수무는 그 외연(外宴)에만 쓰였다.
공막무
[편집]公莫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영조(英祖) 때 비롯한 것으로, 원래는 검기무(劍器舞)를 춘 후에 추던 춤이다. 무원(舞員)은 2명으로 주로 내연(內宴)에만 쓰였다.
춘앵전
[편집]향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효명세자(孝明世子)가 어느 봄날 아침 버들가지에 지저귀는 꾀꼬리 소리를 듣고 이를 무용화한 것이라고 한다. 무동(舞童)이 추기도 하나 대개 여기(女妓)의 춤인데 무동일 때는 복건(幅巾)에 앵삼(鶯衫)을 입고 여기(女妓)면 화관(花冠)에 앵삼을, 그 밖에 하파(霞波)·수대(繡帶)·한삼(汗衫) 등은 서로 같으며 앵삼은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랑빛을 쓴다. 단아(端雅)하고 여성적인 독무(獨舞)이다. 처음에는 임금의 만수무강을 송축하는 노래를 부르고 난 다음, 일어서서 느릿느릿한 평조회상(平調會相:일명 柳初新之曲)에 맞추어 추는데, 이 춤만은 특히 화문석(花紋席) 위에서만 추게 된 것이다.
경풍도무
[편집]慶豊圖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비롯한 것으로, 선모(仙母)와 5명의 무원(舞員)이 풍년을 하송(賀頌)하는 춤이다. 먼저 선모가 경풍도를 들고 나아가 탁자 위에 놓고 나면, 협무(挾舞) 5명이 가곡편에 맞추어 다음과 같은 창사(唱詞)를 부른다.
올도 풍년(豊年), 내년도 풍년(豊年)이라.
연중풍년(年中豊年)이니 만민(萬民)이
장재풍년중(長在豊年中)이로다.
선인(仙人)이 봉옥함(奉玉函)하니 1폭(一幅)
경풍도(慶豊圖)로다.
가화구수(嘉禾九穗)니 송아왕덕(頌我王德)이샷다.
다음에 선모와 그를 따르는 5명이 상대(相對)·진퇴(進退)·회선(回旋) 등의 무용을 계속한다.
첩승무
[편집]疊勝舞
향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부터 전해 온 춤이다. 여섯 사람이 추며, 궁중의 화려하고 태평한 모습을 칭송하는 내용이다. 제1첩에서 제10첩까지의 창사(唱詞)를 각기 다른 동작의 춤 사이사이에 부르며 함녕지곡(咸寧之曲) 등이 반주된다.
최화무
[편집]崔花舞
당악무로서, 원래 중국 송(宋)대에 생긴 것으로 조선조 순조(純祖) 때 고쳐 꾸민 것이다. 여덟 사람이 춤을 추며, 꽃피는 봄을 부르는 내용을 가진 춤이다. 음악에는 염양춘(艶陽春) 등이 반주된다.
항장무
[편집]項莊舞
향악무로서, 평북(平北) 선천(宣川) 지방에서 연행되던 잡극(雜劇)이던 것이 한말 고종(高宗) 계유년(癸酉年)에 처음 궁중에 받아들여졌다.
진(秦)나라 말의 소란에 즈음하여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은 관중으로의 선진(先陣)을 다투다가 유방이 먼저 들매 항우가 노하여 군사를 홍문(鴻門)에 머무르게 하고 그 다음날 아침을 기하여 유방을 치려 했다. 항우의 계부(季父) 항백(項伯)은 유방의 신하인 장양(張良)과 사이가 좋았던 관계로 이 계략을 말하자 유방은 그 다음날 홍문에 나와 사과하였다. 그때 항우의 신하인 범증(范增)은 항장(項莊)으로 하여금 검무를 추게 하다가 유방을 척살(刺殺)하려 들었으나 유방의 신하 번증의 변설(辨說)로 무사함을 얻었다.
항장무는 이 홍문연의 삽화를 무용화한 것으로 고종 때 성행하였다. 여기 등장인물은 항우·우미인(虞美人)·범증·진평(陣平)·패공(沛公)·장양·번증·항장·항백이며, 그 밖에 여령(女伶)·취고수(吹鼓手) 등 많은 인원이 동원된다.
사자무
[편집]獅子舞
최치원(崔致遠)의 <향악잡영(鄕樂雜詠)> 5수(五首) 가운데 산예라는 것은 서역계(西域系)의 사자무를 말한 것으로 되어 있어 더욱이 우륵(于勒)의 <소제 12곡(所製十二曲)> 중에 사자기(獅子伎)의 이름이 보이니, 외국에서 들어온 이 춤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말(韓末)의 고종 때 비로소 궁중에서 연행(演行)되었다. 그 내용은 청(靑)사자·황(黃)사자가 영산회상(靈山會相)에 맞추어 사자몸을 흔들며 뛰어 나아가, 동서로 분립한 다음 탁지(啄地)·휘미(揮尾) 등 사자의 무서운 동작을 여러 가지로 흉내내며 추는 춤이다.
연백복지무
[편집]演白福之舞
당악무로서, 조선조 순조(純祖) 때 비롯한 춤이다. 주상(主上)의 덕화(德化)가 융성함과 복록무강(復祿無疆)을 기린 것이다. 의상과 춤사위는 다른 정재(呈才)와 별차가 없다. 죽간자(竹竿子) 2명, 원무(元舞) 5명이 춘다.
한국의 민속무용
[편집]농악무
[편집]農樂舞
원시인들의 군중무용이 조선시대에 이르는 사이에 점차로 발달한 것으로, 삼한시대에는 집단무용으로서의 궤도에 올랐다. 이때에 벌써 수십명이 다체가 되어 몸을 움직이고 발을 딛는 것이 다르고 손짓·발짓도 박자에 맞추었다는 것을 <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에서 볼 수 있다. 그 뒤 고려 예종(睿宗)과 공민왕(恭愍王) 때 농악용에 적당한 태평소(太平簫)·징(鉦)·꽹과리(小金) 등이 수입됨으로써 순수한 향토악기인 소고(小鼓, 手鼓)와 합세하여 더 한층 활발하여졌다. 이로써 고려 중엽 이후로 더욱 진전을 보게 되어 단체무용으로서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그 노는 방법은 여러 형태가 있으니, 6진(六陣)·수진(水陣)과 8진법(八陣法) 등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이 법은 농악무로서, 고도로 발달되어 있는 남한지방에서 성행한다.
이 춤의 연희하는 순서는 진풀이·느진 풍류(風流)·교환(交換)·영산(靈山)·송진(送陣)·가적(歌的)·극적(劇的)·무용적(舞踊的)·해산(解散)굿 등 10여 과장(科場)으로 변화되어 있다.
농악무에 사용되는 악기는 꽹과리(小金)·징·북·장고·소고·호적 등이고, 이 춤의 진행은 상쇠(上釗)가 전담하고 소고와 북·장고 등이 보조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궁중무용이나 궁중악이 과거 봉건시대에는 왕공가(王公家)에 예속되어 일부 특권계급의 완상용(玩賞用)에 소용되었으나, 이 농악무만은 발생한 뒤부터 농민대중들이 키워오고 이끌어 내려온 것으로, 장구한 역사를 가진 호화 발랄한 민속무용이다.
농악무는 전국에 산재해 있어 지방에 따라 약간의 차이점이 있으나 대동소이하고, 농어촌에서 유일한 오락물일 뿐 아니라 또한 민속적인 세시풍속(歲時風俗)의 행사에는 반드시 참가하는 것이다.
승무
[편집]僧舞
불교가 우리나라에 수입됨과 동시에 전래한 무용으로, 불교의식·절차 중에는 작법이라고 하여 나비춤·바라춤을 추는 차례가 있고, 또 법고와 목어(木魚)를 치는 대목까지 있다. 지금까지 연희하는 승무의 법고 치는 순위를 볼 때 승무가 불교의식무용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이것이 민간으로 전파되어서 오랜 세월을 전해오는 동안에 점점 발전·향상되어, 지금은 민속무용의 정수(精粹)가 된 한국무용의 대표격인 무용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것을 체득하면 한국민속무용의 기법 전반을 대강 짐작할 수 있을만큼 중요한 예술성을 가진 춤이다.
한량무
[편집]閑良舞
이 춤의 시작은 남사당패(男寺黨牌)에서 연희한 것이다. 여기서의 한량(閑良)이란 벼슬 못한 호반(虎班)의 이름으로, 풍류를 알고 호협한 사나이의 별명이다.
춤의 내용은 한량과 별감(別監)이 기생(妓生)을 데리고 즐겁게 노는 자리에 승려(僧侶)가 나타나 이를 보고 기생에게 혹하여 멋진 춤으로 기생의 환심을 사니, 기생은 마침내 한량과 별감을 배반하고 승려에게로 가는 남녀의 관계를 그린 춤이다. 그 뒤 한량무는 광무대(光武臺)·연흥사(延興社)와 가설무대에서 연출하여 성행했었다.
남무
[편집]男舞
이 춤은 한국의 사교무(社交舞)라고 말할 수 있는 춤이다. 일반 대중화하지는 않았고, 다만 기생들에 의하여 유행되었다. 춤의 내용은 두 사람이 서로 상대하고 상배(相背)하되 포옹도 하며 교태를 부리는 것이 이 춤의 표현이다. 반주음악은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전곡이 소용된다.
살풀이춤
[편집]살풀이는 남도 굿에서 파생한 것이 분명하며, 살풀이란 곧 액(厄)을 막는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춤은 남도 살풀이곡(曲)의 멋과 흥을 자유롭게 펼쳐본 자유분방한 춤이며 굿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이다.
강강수월래
[편집]이 춤은 정월 보름날·8월 한가위날에 넓은 뜰이나 바닷가 사장에서 부녀자들이 모여 손에 손을 마주 잡고 둥글게 서서 노래부르며 춤추는 민속적인 무용이다. 이 춤은 전라남도 해안지대와 도서지방에 전파되어 있는 것으로, 처음에는 긴중모리장단으로 시작하여 굿거리로, 끝에 가서는 자진머리로 빨라지면서 춤은 고조되어 뛰면서 돌아간다. 이 춤의 발생설에 대해선 민속적인 데서 시작되었다고도 하고, 한편 임진왜란 때 이순신장군이 의병전술로서 적에게 군세를 강하게 보이기 위하여 남녀 백성들을 동원하여 곳곳마다 불을 놓고 그 주위를 돌며 노래를 부르게 한 데서 시작되었다는 설도 있다.
무당춤
[편집]巫堂舞
무당이 굿에서 추는 춤으로 삼불제석(三佛祭釋)을 그린 부채나 방울, 혹은 3지창(三枝槍)·칼 등을 들고 춘다. 처음에는 신을 부르기 위하여 느린 장단으로 천천히 추다가, 나중에는 뛰며 하는데, 이것은 신이 내렸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지방마다 각기 다르나, 춤가락은 다양하지 못하고, 부르는 무가도 지역에 따라 특색을 지니고 있다.
무동춤
[편집]舞童舞
걸립패(乞粒牌)·남사당패·답교(踏橋)놀이·농악 등에서 추는 춤이다. 거의가 나이 어린 소년을 뽑아 여장(女裝)을 시켜 남자의 어깨 위에 올라서서 춤을 추는 것으로, 춤 가락은 양주산대(楊州山臺) 놀이의 소무(小巫)의 가락인 자라춤을 많이 사용한다.
소고춤
[편집]小鼓舞
농악에서 12차 장단에 맞추어 소고(小鼓)를 두드리면서 춤을 추는 소고춤은 황홀한 체기와 멋이 깃든 춤이다. 농악은 원래 풍물이라 했는데, 조선조 후기에 와서 농악이라 일컬었다. 이 춤의 모습은 농사행위(農事行爲)와 수렵(狩獵)행위나 전쟁행위로부터 생성된 돌격무진(突擊舞進)의 동작과 포위하는 동작 등이 있고, 때로는 길군악(軍樂)으로도 쓰였던 것 같다. 소고잽이를 일명 법고잽이·벗구잽이라고도 하는데, 전립대(戰笠帶)와 화관대(花冠帶)의 두 차림이 있어, 전복(戰服)에다 상모가 달린 전립을 쓰고, 자루가 달린 소고를 두드리면서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더욱 장관이라 할 것이다.
장고춤
[편집]杖鼓舞
타악기의 하나인 장고를 비스듬히 어깨에다 둘러메고 여러 가지 장단에 따라 변화시키며 추는 춤이다. 원래는 풍물(농악)놀이 등 개인놀이로서, 혼자 또는 두 사람(때에 따라 많을 수도 있음)이 추는 것인데, 요즈음에는 새로운 형태로 안무하여, 농악이 아닌 완전한 무용으로 발전, 독특하고 장쾌한 멋을 풍기고 있다.
쾌지나칭칭나네
[편집]영남 특유의 민요인 '쾌지나칭칭나네'를 제창(齊唱)하면서 그 율조(律調)에 따라 움직이는 춤이 바로 이 쾌지나칭칭나네이다. 노래가 다를 뿐이지 강강수월래와 별로 다르지 않은 형식과 율동으로 된 것이 주목된다. 이 노래와 춤의 유래가 임진왜란 때 왜장(倭將) '가토(加藤淸正)요네'가 변하여 되었다는 구전(口傳)은 무의미한 근거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강강수월래가 그렇듯이 1명이 원사(原詞)를 부르면 일동이 후렴인 쾌지나칭칭나네를 합창하는 형식이며, 처음은 느리게 나가다가 차츰 흥이 일면서 춤도 노래도 급속도로 고조된다.
한국의 가면무용
[편집]중부형 탈춤
[편집]中部型-
중부형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그 근교와 경기도 일원에서 추었던 것이다. 지금은 경기도의 양주산대(楊州山臺)놀이와 송파(松坡)의 산대놀이에만 보존되어 있다. 이 놀이들은 동일한 계통의 것이지만 아주 근소한 차이점이 있다.
경남형 탈춤
[편집]慶南型-
경남형은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草溪)의 밤마리라는 포구(浦口)에서 발생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탈춤이다. 이를 오광대(五廣大)라고 한다. 오광대란 이름은 5행설(五行說)에 의거한 것이고, 이 놀이의 구성에 있어서도 다섯 과장으로 되어 있어, 5방신장(五方神將)·5문둥이·5양반(五兩班) 등이 등장하여 연희한다. 오광대는 경남 일대의 여러 곳에 전파되어 있었다가 거의 소멸해 없어지고, 지금에는 통영시(統營市)와 고성(固城)의 두 곳에 남아 있고, 이 춤들이 약화되고 변질되어 놀이화하여, 부산 동래와 수영(水營)에 들놀이(野遊)로 남아있다.
해서형 탈춤
[편집]海西型-
해서형은 황해도 봉산군(鳳山郡)을 주축으로 삼고, 근접한 해안선 지역과 내륙지방을 포함하여 여러 곳에 산재해 있던 탈춤이다. 봉산탈춤과 강령(康翎)탈춤이 그 대표적인 탈춤으로, 같은 계통의 춤이지만 독특한 점을 지니고 있다.
기타 지역의 탈춤
[편집]其他地域-
기타지역으로는 함경도 북청(北靑)의 사자놀이와, 강원도 대관령(大關嶺) 단오제(端午祭)의 관노가면(官奴假面)놀이와, 경북 안동(安東)의 하회별신(河回別神)굿놀이에서의 탈춤 등이 있다.ㅇㅇㅇㅇ
한국의 의식무용
[편집]일무
[편집]佾舞
문묘(文廟)와 종묘(宗廟)의 제향(祭享)에서 여러 무원(舞員)들이 열을 지어 추는 춤이다. '일(佾)'은 춤의 벌여선 줄이라는 뜻으로, 8일무(八佾舞)는 한 줄에 여덟 명이 선 것이며, 4면이 여덟 줄에 여덟명씩이면 64명이 된다. 여기에 준해서 6일무는 한 줄에 6명씩 여섯 줄에 36명이 되는 것이다.
이 춤의 무원의 수는 계급과 직위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천자(天子)는 8일무, 제후(諸侯)는 6일무, 사대부(士大夫)는 4일무이다. 일무의 역사는 멀리 중국 주대(周代)에 시작된 것으로, 문묘에서 연희되는 것이 이 계통의 것이요, 종묘에서 추는 것은 조선조 세조 때에 창작된 것으로 <시용무보(時用舞譜)>에 전해져 있다.
문묘 및 종묘의 일무의 동작은 각각 다르다. 그리고 일무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의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문무는 선왕들의 문덕(文德)을 칭송한 것이요, 무무는 무훈무공(武勳武功)을 선양송축(宣楊頌祝)한 것이다. 그리고 문무를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 무무를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라고도 한다. 또한 문묘의 일무는 고려 예종 때 송에서 수입된 것으로, 조선조 초기에는 궁중무로 사용했던 기록이 있다.
사용하는 도구는 문무와 무무가 다른데, 문묘의 문무는 왼손에 약을 잡고 오른손에 적(翟)을 잡고 추며, 무무는 오른손에 간(干)을 들고 왼손에는 척(戚)을 들고 춘다.
종묘의 문무는 문묘의 문무와 똑같고, 무무에 있어서는 앞줄은 목검(木劍), 가운뎃줄은 목창, 뒷줄은 활과 화살을 갖고 춘다.
여기에서 쓰여지는 악기는 15종에 달하는데, 물론 문묘와 종묘가 각각 다른 것이 있고, 악곡도 전혀 다르며, 악기의 연주 외에도 악장(樂章)이란 노래까지 곁들여 부르게 된다.
나비춤
[편집]蝶舞
절에서 영산재(靈山齋)와 같은 의식에서 추는 불교무용의 하나. 큰 고깔을 쓰고 나비처럼 긴 소매가 달린 장삼(長衫)을 입고 연화지(蓮花枝)를 들고 춘다.
바라춤
[편집]절에서 영산재(靈山齋)와 같은 의식에서 추는 불교무용의 하나. 큰 법고(法鼓)를 세우고 장삼(長衫)을 입고, 양손에 북채를 들고 북굴레와 북통을 치면서 춤춘다. 법고무는 속화(俗化)하여 승무(僧舞)·9고무(九鼓舞)에 영향을 끼쳤다. 절에서 춤추는 원형은 반주음악이 없고, 속화된 것은 반염불(도드리)·굿거리와 같은 것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