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미술/미술의 종류/회 화/동양화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동양화

[편집]

東洋畵

우리 전래의 회화(繪畵)를 동양화(東洋畵)라고 한다. 우리의 사상과 생활이 바탕이 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화론(畵論)과 화법이 서구의 것과는 판이하다. 공간에 대한 생각이 우리 특유의 것 중의 하나인데, 화면 즉 평면 위에 먹(墨)을 주로 하는 선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되 여백을 중시하는 방법이 바로 이것이다. 화면을 그저 종이나 비단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고 무한대한 공간의 일부로 생각한다. 이곳에 선형체(線形體)를 배치내지는 구성하는 것으로 공간감(空間感)을 화면에 도입했다고 말할 수 있다. 기운생동(氣韻生動)을 그림의 지상과제로 삼는데, 이는 공간감 즉 무한감(無限感)의 구현 여부를 말하는 것이다. 이런 궁극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선으로 그린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선 형태야말로 대상 즉 사물의 재현이 다닌 작가의 심성 발로가 정확하며 공간과의 연결이 쉽도록 간격이 많아서 이를 택한다는 것이다.

동양화의 주요 특성은 이 두 가지 공간감과 선 형체인 것이다. 이는 바로 동양철학에 기본을 두었기 때문에 필연적인 동양의 회화양식(繪畵樣式) 곧 그림의 한 양식인 것이다. 대별하여 동양화에 두 개의 종파(宗派)가 있는데 하나는 남종화(南宗畵)요 또 하나는 북종화(北宗畵)이다. 흔히 남화·북화로 약칭하는 그것이다. 정신면은 물론이요 화법도 서로 다른 점이 있다.

남종화

[편집]

南宗畵

선불교(禪佛敎) 남종선(南宗禪)의 기본사상인 돈오(頓悟)가 그대로 남종화의 정신이다. 그러므로 그림의 기술보다는 휘호자(揮毫者)의 정신과 교양을 더 중시하며, 이것이 이루어진 연후에 작화(作畵)할 때 격조 놓은 작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남화는 문인·사대부(士大夫)간에 여기(余技)로 행해지는 문인화(文人畵)와 통하는 점이 많아서 문인들의 비호하는 바가 많았다. 예를 들어 '상남폄북설(尙南貶北說)' 같은 것은 명대의 동기창(董其昌), 막시룡(莫是龍) 등이 제창한 것으로 남화의 우위성을 강조한 것이다.

북종화

[편집]

北宗畵

북화(北畵)는 선(禪)의 북종(北宗)과 연관성 있는 생각으로 점오(漸悟)의 길을 걷는다. 화가가 품격 높은 그림을 이루려면 먼저 화기를 기초서부터 수련하여 점점 그 기(技)와 식견이 이루어져 세련됨을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궁극은 높은 품격의 그림을 얻자는 것이 남화의 생각과 같은 것이지만, 학화 과정(學畵過程)과 이에 임하는 정신적 태도를 좀 달리 한다.

동양화의 화법

[편집]

東洋畵-畵法

화법 또한 두 가지가 있으니 즉 구륵법(鉤勒法)과 몰골법(沒骨法)이다. 구륵은 묘사할 대상의 윤곽을 선으로 그린 후에 색을 칠하는 것이고 몰골은 담묵(淡墨)이나 채색으로 먼저 도포하듯 찍어서 그리고 마르기 전에 농도 있는 먹이나 채색으로 선적 골기(線的 骨氣)를 주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묘법을 구별해 보면 이 두 화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드물다.

화법에 있어서 남화와 북화가 다소 다른 점이 있다. 남화는 중국의 남방에서 포교된 남종선의 영향이 정신적 기조임과 동시에 남방의 기후·풍토 등이 나타난다. 남방의 산세는 온화하여 그림에 취급되는 산야 역시 유연 평온하다. 또 온난한 기후 탓으로 아교를 사용하는 채색법이 부적당하기도 하여 필세(筆勢)와 기운(氣韻)을 중시하는 선염법(渲染法)을 주로 사용한다. 묵과 선이 주가 되고 채색은 담채로서 이를 돕는 정도로 쓰인다.

북화는 북방의 험준한 산악이 그려지는 수가 많으며 천연석채(天然石彩)를 사용하는 색채화가 특징이다. 금벽산수(金碧山水)나 사녀도(仕女圖) 등이 바로 이런 것인데 그렇다고 묵 중심의 북종산수(北宗山水)가 없는 것도 아니다.

우리의 그림 역시 의취(意趣)는 이런 방향으로 이어 내려왔지만 조선 중엽의 겸재(謙齋) 정선(鄭敾)이나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등의 우리의 산수·풍속 등을 사생하여 고유한 것을 이루었다. 또 전문적인 그림 공부를 쌓지 않고 그림에 손댄 분들이 많은 데 이것은 민화(民畵)라고 전해지며 그 천진난만한 세계는 우리의 뛰어난 민족성을 잘 구현하고 있다. 이것도 모필선(毛筆線)으로 된 형태에 색을 칠한 것으로 편화(便化)한 흔적이 많은 장식적 그림들이다. 민화로 그칠 것이 아니고 이 정신을 이어 고도화할 수 있는 우리 특유의 것이다.

용구

[편집]

用具

동양화에 쓰이는 용구와 재료는 종이·붓·먹·벼루와 채색이다. 화용지(畵用紙)는 화선지(畵宣紙)가 으뜸이고 화견(畵絹) 그리고 우리 민화나 그의 고화(古畵)에 쓰인 장지(壯紙) 등이 있다. 북종 색채화에 쓰이는 것은 지본(紙本)이건 비단이건간에 침윤(浸潤)이 심하지 않은 것이 적당하다. 왜냐하면 아교로 포수(泡水)한 후 채색이나 먹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남화의 용지는 화선지와 같이 침윤이 양호하며 필획이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쓴다. 붓은 북화의 도포 위주의 그림에는 화용필로서 크게 가리는 것이 없지만 남문인화(南文人畵)의 경우는 양호장봉필(羊毫長鋒筆)을 택하며 그 운필(運筆)과 필세(筆勢)를 중히 여긴다.

먹도 청(靑)·현(玄)·흑(黑)의 3색이 있으니 화자(畵者)의 선택하는 바가 된다. 벼루는 서예(書藝)에서와 같이 마묵(磨墨)이 곱게 되고 오래도록 마르지 않는 것으로 중국의 단계연(端溪硯)을 친다. 흡연·조하연(桃河硯) 등이 다음가는 것들이다. 우리나라의 남포연(藍浦硯)이 많이 쓰이지만 연면(硯面)의 봉망(鋒芒)과 수목의 불건도(不乾度)에 있어서 단연(端硯)을 따르지 못한다. 채색은 호분(胡粉)·자토·주(朱)·인지·군청(群靑)·녹청(綠靑)·등황(藤黃) 등 천연 안료를 사용하지만 근래 불변색 인조 안료도 그 수가 많다. 필법은 서와 통하는 것으로, 그 훈련방식은 현완(懸腕)·직필(直筆)·중봉(中鋒)이 기본조건이며, 선의 생명감을 얻는 것을 중요시한다.

<朴 魯 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