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근대사회의 태동/종교의 새 기운/19세기 전반의 한국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19세기 전반의 한국〔槪說〕[편집]

19세기 초의 조선은 전대(前代)를 답습한 동양적 봉건제의 전제군주국가적 체제가 표면상으로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사회의 여러 현상이 분화 변천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체제상의 파탄이 이미 걷잡을 수 없는 사실로 전개되고 있던 시기였다.이 시기에는 오랜 당쟁의 여파와 왕권의 쇠미(衰微)에 따라 족벌정치(族閥政治)가 자행되는데, 이는 국가권력의 천이(遷移)·횡점(橫占) 현상의 하나요, 이것이 집권적인 봉건제하에서 세도 권문(權門)의 전체주의적인 지배 형태로 나타났다. 왕명(王命)을 체찰(體察)하는 어사(御史)가 일개 지방관인 세도 재상의 외손에 의해 도주하는 사태가 일어난 것도 당시의 권력구조를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왕조 일대를 명분상으로 관류해온 사류(士類)의 공론(公論)·공도(公道) 관념이 거의 무너져 경외(京外)를 막론하고 관장(官長)·이속(吏屬) 할 것 없이 지배체제의 전체 성원(成員)이 대개 사리사욕에 몰두하여, 국가나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을 몰각하고 있었다. 이리하여 재정 궁핍이 극도에 달하고 과거의 협잡과 관직의 매매가 공공연해졌다. 여기에 수백 년 간 조장되어 온 지벌(地閥)·문벌(門閥)·당파의 이질성은 마침내 1811년 조선 초유의 대규모 민란으로 폭발하였는데, 홍경래의 난은 이후 수십 년 간 산발적으로 일어나는 대소(大小) 민란의 효시를 이루게 되었다.경제적 측면에서는 생산관계의 발전이 일반적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즉 농업경영에 있어서는 계속되는 자작농의 성장이 주목할 만하거니와, 생산면에서도 도작(稻作)의 이앙법(移秧法)이 점차 보편화해가고 있었으며, 또한 도(稻)·맥(麥)의 이모작(二毛作)이 널리 보급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을 몰이해한 국가는, 수천 년에 걸쳐서 내려온 인습 그대로 고식적인 보존책에 매달려 백년을 미루어온 양전(量田)의 논의를, 그것도 재정의 확보에 주안을 두어 진행시켜본 정도요, 변화나 발전의 어떠한 형태도 거듭 억누르고 있었다. 한편 상업상으로도 이미 18세기말 사상(私商)의 자유 영업을 인정한 통공(通共) 조처 이후 난전(亂廛)·도고(都賈)로 대표되는 사상(私商)의 발전이 도시와 생산지를 연결하면서 적극 진행되고 있었으나, 이 새로운 영리를 독점 농단하려는 궁방(宮房)·관속(官屬)·양반·토호(土豪)의 봉건적인 강제 또한 거세었으며, 이들 지배층의 사상화(私商化) 경향에 따른 지배체제의 변질현상도 심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계속되는 금령(禁令)에도 불구하고 인삼의 잠상(潛商)으로 대표되는 국제 사무역도 성했다. 나아가 조선 후기에 이질적인 생재수단(生財手段)으로 등장한 화폐는 주조 소재의 부족과 재정상의 궁핍 때문에 조악전(粗惡錢)의 남발이 심해 물가고를 재촉하는 결과가 되었는데, 관련 산업으로는 대체로 각지 광산의 개발이 조건부로 허용되어가는 추세였다.그러나 보다 큰 변화는 사회적인 면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1801년에는 국사상 최초로 내사노비(內寺奴婢)의 혁파가 단행되는데, 이는 이들 중앙관서 소속의 천민들에 대한 직접적인 인력의 수취보다 독립생계를 토대로 하는 물력(物力)의 수취가 지배기구에 더욱 유익하기 때문에 취해진 조치였다. 또 수백 년 금고(禁錮)해온 서얼소통의 논의가 신분질서의 명분을 중시해온 유생(儒生)들에 의해 대대적으로 발의되고, 국가가 그 구체적인 절목(節目)을 작성하여 마침내 1850년대에는 일부 실현을 보게 되었으니, 이 양자는 조선왕조 초유의 일로 부분적인 사회질서의 재편성이 단행되었음을 뜻한 것이다. 홍경래의 난에 참여한 주동들이 단순한 발악이 아닌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보인 것도 이러한 변질의 일환이라 할 수 있겠거니와, 이후 각지에서 산발적으로 일어나는 민란, 조직적인 규모의 도적의 횡행, 국체에 관계되는 흉서사건(凶書事件) 등 모두가 봉건적 집권체제의 몰락과 새로운 사회관계의 태동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인도·중국을 떠돌아온 괴질(怪疾)의 만연, 계속적인 흉년과 기근 등이 이를 한층 더 촉진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후기 사회에 들어온 천주교의 신앙활동이 이 때 급속히 확대되자 드디어 정치 문제화돼 신유사옥(辛酉邪獄)·기해사옥(己亥邪獄) 등의 교난(敎難)을 통해 수백 명씩의 순교자를 내었는가 하면, 서세(西勢)의 제국주의적 진출이 육박해와서, 마침내 서남 해안에는 영(英)·불(佛) 전초 거함(巨艦)의 사찰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백 년에 걸친 주자학의 지도이념이 퇴색되고, 그에 편승했던 지배체제가 이들 변천에 대응할 탄력을 상실하게 되자 민중들 속에서는 새로운 생활이념인 동학이 자라났다. 민중들의 불만은 민란으로뿐만 아니라 종교운동으로도 전개되었던 것이니, 동학은 철종 때에 최제우(崔濟愚)가 제창하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 후 동학은 단순한 종교운동에 그친 것이 아니라 농민을 중심으로 하여 현실을 개혁하려는 사회적 성격을 나타내었다. 이에 조정에서도 동학을 위험시하였으며, 최제우는 혹세무민(惑世誣民)의 도(道)라 하여 사형당했다. 이 때문에 교도들은 산속으로 숨어 그 교세가 일시 약해졌으나 동학이 자라는 온상이 된 민중들의 불안이 여전하였으므로 뒤에 다시 교세를 회복해 갔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