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민족의 독립운동/신문화운동과 3·1운동/일본의 민족말살 정책
일본의 민족말살 정책
[편집]日本-民族抹殺政策
대륙침략을 위한 병참기지화 정책과 병행하여 일제는 무력탄압을 강화하면서 우리 민족을 일본 국민으로 동화시키기 위해 민족말살 정책을 추진하였다. 한국인의 독립정신을 무너뜨리지 않고서는 그들의 병참기지화 정책이 뜻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기만적인 ‘문화통치’의 탈을 벗어 던지고 노골적인 파시즘이 시작된 것이다.파쇼체제의 강화는 군사력과 경찰력의 증강에서 시작되었다. 1931년 만주침략 이후 종래 2개사단이던 병력을 3개사단으로 증파하고 그 후 계속 군대를 증파하여 1941년에는 3만 5천여 명, 태평양전쟁 말기에는 약 23만명의 군대가 주둔하였다. 한편, 경찰관서와 경찰요원도 대폭 늘어나 1923년에 2만여 명이던 경찰관이 1941년에는 3만 5천여 명으로 증가하였다.특히 경찰 보조기관인 경방당(警防團) 등을 두어 우리 민족의 일거수일투족까지도 물샐틈 없이 감시하였다. 결국 철저한 정보망이 거미줄처럼 짜여졌고,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검거·투옥·학살당하였다.또한 1937년에는 ‘조선중앙정보위원회’를 두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1938년에는 ‘조선방공협회(朝鮮防共協會)’를 조직하여 공산주의자 박멸에 나섰으며, 같은해 사상전향자들의 단체인 ‘시국 대응전선 사상보국연맹(時局對應戰線思想報國聯盟)’을 조직하여 항일인사들의 탄압에 앞장서도록 강요하였다.태평양전쟁을 준비할 무렵에는 시상보국연맹을 확대하여 ‘대화숙(大和塾)’(1941. 1)을 전국 각지에 설치하고 이른바 ‘사상범’으로 지목된 인사들의 전향을 강요했다. 1939년에 조직된 ‘문인협회(文人協會)’도 친일단체 가운데 하나였다.일제는 전시체제를 빙자해 일반 주민생활도 철저히 통제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주민생활통제의 중심기구로 1938년 8월 ‘국민정신 총동원 조선연맹’을 총독부 보익기관으로 설치하였는데, 이 단체는 도(道)에서 말단 이(里)에 이르기까지 전국의 지방조직을 망라하고 그 밑에 10호 단위의 애국반(愛國班)이라는 것을 두어 정기적으로 반상회(班常會)를 열고 총독부 시책을 따르도록 강요하였다. 이 연맹은 각 직장단위로도 조직되었다. 일제는 1940년 10월 이 연맹을 ‘국민총력조선연맹(國民總力朝鮮聯盟)’으로 개편하고 총독이 총재로 취임하여 관의 통제를 한층 강화했다.전국민을 물샐틈 없는 파쇼체제로 묶어 놓은 일제는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여 완전한 일본인으로 동화시키기 위한 이른바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우선 1938년부터 모든 주민들로 하여금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라는 것을 일본어로 외우게 하였는데,
“우리들은 대일본제국의 신민(臣民)이다. 우리들은 마음을 합하여 천황폐하에게 충의(忠義)를 다한다”는 것이 요지였다. 그런가 하면 일본 천황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서 천황의 궁성을 향해 절을 하도록 강요하기도 하였다.또한 학교교육과 관공서에서 우리말 사용이 금지되고 일본어를 국어로 부르게 하며, 일본어만을 사용하게 하였다(1938). 우리말을 공용어로 쓰지 못하게 한 일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1939년부터 우리의 성(姓)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이른바 창씨개명(創氏改名)을 단행하였다.성과 이름은 한국인에게 있어서는 가족 및 친족의 결속과 자존심을 심어 주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나, 이를 일본이름으로 바꾸지 않으면 학교입학이나 공문서발급이 금지되고, 식량과 물자의 배급에서 제외되었으며, 우편물도 전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때문에 부득이 창씨개명에 응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전체 국민의 약 20%는 끝까지 이를 거부하는 한국민의 기개를 보여 주었다.일본은 한국인의 민족정신을 근원적으로 말살하기 위하여 일본인과 한국인이 같은 조상에서 나왔다는 이른바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강조했다.이 주장은 이미 1880년대부터 나오기 시작한 것이지만, 침략전쟁 이후로는 ‘내선일체(內鮮一體) 및 동조동근론(同祖同根論)’으로 바꾸어, 두 나라 주민에게 민족도 하나고, 국민도 하나라는 일체감을 심어주려고 하였다. 1936년 새로 부임한 미나미(南次郞) 총독이 이러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의 조상신인 천조대신(天照大神, 아마데라스 오미카미)을 신앙하는 신도(神道)를 국가종교로 승격시켰는데, 일본천황의 조상신을 한국인의 조상신으로 떠받들도록 강요하였다.이를 위해 서울의 남산신궁(南山神宮)을 비롯하여 각 학교와 면마다 신사(神社)를 세우고, 각 가정에서도 일본 시조신의 신주를 걸어 놓고 예배하도록 강요하였다.말과 이름을 빼앗기고, 종교마저 자유롭지 못하게 된 한국인은 신사참배에도 거부반응을 보였는데, 평양의 기독교학교인 숭실·숭의학교는 신사참배를 거부하다가 나중에 가서는 학교가 폐쇄되는 비운을 맞이하기도 하였다.일본은 한국인의 민족정신을 말살하는 데 광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인을 전쟁터로 몰아 넣어 일본을 위해 싸우게 하였다. 처음에는 군대 보충을 위해 ‘지원병제도’(1938)를 실시했으나, 뒤에는 ‘징병제도’(1943)로 바꾸어 패전할 때까지 약 20만명의 청년을 징집했으며, ‘학도지원병제도’(1943)를 실시하여 약 4,500명의 학생들을 전쟁터로 끌고 갔다.이 밖에도 일본은 1939년부터 ‘모집’ 형식으로, 1940년부터 ‘알선’ 형식으로, 1944년부터는 ‘징용’ 형식으로 일제말기까지 1백만명 이상의 한국인을 전쟁을 위한 노동자로 끌고 갔다. 이들은 탄광·비행장·군수공장·철도 등의 공사장에 군대식으로 편제되어 강제수용된 가운데 노예처럼 혹사당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평양의 미림비행장, 쿠릴열도(사할린), 그리고 오키나와로 끌려간 노동자의 대부분이 무참하게 학살당하였는데, 그 수효는 7천명이 넘었다.한편, ‘근로동원’이라 하여 어린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을 군사시설 공사에 끌어들이는가 하면, 여성들에 대해서도 ‘근로보국대’라는 이름으로 토목공사에 끌어들이고, ‘애국부인회’라는 어용단체를 만들어 충성을 강요했다. 그리고 전쟁 막바지에는 악명높은 ‘여자정신대근무령(女子挺身隊勤務領)’(1944. 9)이라는 것을 만들어 12세에서 40세까지의 배우자 없는 여성 20만명을 강제동원하기도 했다.이들은 일본과 조선내의 군수공장에서 일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상당수 인원을 중국과 동남아지역의 전쟁터로 보내 군인 상대의 위안부(慰安婦)가 되게 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들 중 살아남은 이들은 광복 후에도 정신적·육체적으로 황폐화되어 정상적인 생활을 누릴 수 없었다.민족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언론·결사에 대한 탄압도 병행되었다. 당시 언론인 중에는 항일운동의 수단으로 언론활동을 전개한 이가 적지 않았으므로, 민족의식을 고취하던 『조선중앙일보』가 1937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1940년에 차례로 폐간되는 비운을 맞이했다. 동시에 모든 집회와 결사를 허가제로 바꾸어 국내의 조직적인 민족해방운동이 원천봉쇄되었다. 일본의 침략전쟁과 그로 인한 한국인의 고통은 말할 수 없이 큰 것으로서 그 후유증은 광복 후 민족국가건설에 크나큰 장애요인이 되었다. 더욱이 일본은 한국인의 저항을 무마하기 위해 이름 높은 지식인들을 회유하거나 협박하여 수많은 친일단체를 조직하고, 일본의 황국신민화정책과 침략전쟁을 동조·찬양하는 일에 앞장서게 하였다.
한국의 병참기지화
[편집]韓國-兵站基地化
일본자본가들의 과잉자본을 조선에 투자하고, 전쟁에 필요한 필수품 조달을 위해 군수공업을 위주로 하는 공업화 정책이 추진되었다.따라서 ‘농공병진(農工竝進)’이라는 그럴 듯한 슬로건이 내걸어졌다. 풍부한 공업원료와 수력자원 그리고 값싼 노동력이 일제의 공업화 정책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1930년대에 일본의 중요 독점기업인 미쓰이(三井)·미쓰비시(三菱)·노구치 등이 들어와 공업과 광업 등 여러 분야들을 지배하게 되었는데, 수력발전은 노구치, 섬유·방직·술·제분·화약은 미쓰이, 맥주는 미쓰비시가 각각 담당하였다.공업화 정책의 결과, 한반도에는 새로운 공업지대가 형성되었다. 함경도 흥남을 중심으로 한 북부공업지대(금속·화학), 진남포·신의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공업지대(금속·화학), 서울·인천을 연결하는 경인공업지대(기계·방직)가 그것이다. 한반도 북부에 공업지대가 많은 것은 지하자원과 수력자원(압록강 수풍발전소, 부전강발전소, 장진강발전소)이 풍부한 여건도 있었지만, 국토의 균형적 발전보다는 일본독점자본의 이득을 위한 배려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었다.1930년대에는 외형상 공업화가 급속히 진전되었지만, 소수의 일본인 공장이 방직·금속·화학·유업 등 중요 분야의 70·80%를 생산하는 파행적인 집중현상을 가져왔다.이에 따라 경공업에 치중하고 있던 조선인 자본은 일본 대재벌과의 경쟁에서 열세하여 해가 갈수록 도산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1942년에는 총독부의 기업정비령에 의해 강제로 문을 닫거나 기업활동을 정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조선기업인이 참여하는 경공업 분야는 정미소(精米所)와 양조장이 가장 많았고, 그 밖에 고무·면직물·메리야스·실크·인쇄업 정도가 있었다. 그러나 일부 조선인 자본가 중에는 일본 독점재벌과 연계하여 발전해 가는 경우도 있었다. 조선석유주식회사(김연수·박흥식), 한강수력전기주식회사·조선제철주식회사(김연수)·조선공작주식회사(김연수·박흥식·한상룡·민규식)·조선비행기주식회사(박흥식) 등이 그것이다. 조선의 공업화는 결과적으로 일본 독점재벌이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오늘날 일본 굴지의 대기업이 바로 이때 급성장하였다. 조선인 노동자들은 단순 노동에 참가하여 고도의 기술습득이 불가능하였다.8·15광복 후 조선에서 성장한 미쓰이·미쓰비시 등 대재벌은 전후 일본경제를 이끌어가는 주역이 되었고, 기형적인 식민지적 공업의 유산을 물려받은 우리나라는 그나마 남북이 분단되면서 북부의 공업지대를 상실함으로써 한층 어려운 여건에 놓이게 되었다.
일장기 말소사건
[편집]日章旗抹消事件
1936년에 일어난 일제(日帝)의 민족 언론 탄압사건. 정치적으로 활동을 저지당한 채 일제치하의 한국청년들은 운동경기를 통하여 민족의 기개를 떨치던 중, 1936년 8월 1일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孫基禎) 선수가 1위, 남승룡(南昇龍) 선수가 3위로 마라톤에 우승함으로써 우리나라 청년의 기개를 전세계에 떨쳤다.이 대회의 기록영화가 일본 오사카 아사히(大阪朝日) 신문사에 의해 우리나라에 들어오자, 당시 민족의 울분을 대변하고 있던 『동아일보(東亞日報)』는 이 영화의 소개 기사란에 실은 손선수의 사진에서 가슴에 달리 일장기를 지워버렸다.총독부(總督府) 검열 당국에 의해 이 사실이 발각되어 동사 사회부장 현진건(玄鎭健)·사진부장 신낙균(申樂均), 사진을 수정한 화가 이상범(李相範) 등은 체포되어 40일간의 구류처분을 당했으며, 사장 송진우(宋鎭禹)·편집국장 설의식(薛義植)·운동기자 이길용(李吉用) 등은 언론계에 다시 종사할 수 없게 되는 한편 이해 8월 27일 『동아일보』는 4번째의 무기정간 처분을 당했다가 9개월 후에 복간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이외에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도 손선수의 사진에서 일장기를 지우고 신문에 실었다가, 검열 당국에 자수하고 신문을 휴간한 일이 있었다.
창씨개명
[편집]創氏改名
한국인의 성씨(姓氏)를 일본식으로 고치도록 강요한 사건. 일제는 민족문화말살정책으로 한국민에 대하여 동화정책을 썼고, 그 일환으로 1938년에 이르러서는 한국인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개명할 것을 강요하였다. 이리하여 8할 이상이 창씨개명을 하였는데 이 상태가 8·15광복 전까지 계속되었다.
징병제
[편집]徵兵制
한국의 청년들에게 일제의 병역의무까지 부과한 1942년의 병역제도. 일본은 1937년 중국과의 전쟁을 도발한 이래 전장의 확대로 병원수(兵員數)의 보충이 절실해졌다.그리하여 1938년에는 이른바 지원병제도 실시라는 형식으로 한국인 청년과 학생들을 징용해갔고, 다음해에는 또 한국인을 광산·공장·군사기지 등의 노역자로 강제동원시켰다.1940년 이후 일제는 국민총력운동을 일으켜 ‘국민총력 조선동맹’을 결성하여 각 분야에 있어서 일제 침략의 동조자·협력자가 되기를 강요하더니 1920년에는 징병제까지 실시하였다.그러나 많은 청년들은 이 제도에 대항하여 독립군에 들어가기도 했고, 혹은 연합군에 들어가 대일항전을 수행했다.
광복군
[편집]光復軍 1941년 충칭(重慶)에서 조직된 독립군. 1937년에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중국 각지에 흩어진 독립지사들과 중국군에 편입되었던 군인들이 충칭에 모여 1941년 정규군 규모로 광복군을 조직하였다. 이들은 또한 각종 정치단체의 통합과 함께 임시정부 밑에 있는 광복군으로 통합되었으며, 이후 이 광복군이 연합군과 협동하여 대일항전을 수행해 나갔다.특히 1942년에 중국 정부와 협정을 맺고, 중국군과 긴밀한 협동작전을 하게 되었다. 한편 광복군의 일부는 버마에 파견되어 영국군과도 협동작전을 하였다. 광복군의 초대 총사령관으로는 지청천이 추대되었으며, 그 조직은 8처(處)와 6개 지대(支隊)로 편성되었다. 광복 후 광복군의 일부는 귀국했고, 미군정의 해체령으로 해산되었다.
지청천
[편집]池靑天 (1888
1959)
독립운동가. 호는 백산(白山). 일명 이청천(李靑天). 서울 출신. 한말에 일본 육사를 졸업한 뒤 1919년 만주로 망명했다. 그 후 신흥무관학교에서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고 1920년에는 서로군정서를 조직했다. 청산리 전투 후 김좌진 등과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했으나 흑하사변(黑河事變) 때 만주로 탈출했다.1925년 양기탁 등과 정의부(正義府)를 조직했으며, 이 해 독립운동의 통합단체인 군민회의(軍民會議)의 군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1940년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 총사령에 임명되어 중국과 긴밀한 유대를 맺으면서 항일전을 수행하다가 광복 후 귀국했다. 그 후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을 창설하여 청년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