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중세사회의 발전/귀족사회와 무인정권/무인의 집권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무인의 집권〔槪說〕[편집]

문치주의에 입각한 고려의 귀족정치는 무신의 사회적 몰락을 초래했다.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열세에 놓여 있던 무신들에 대한 천대는 의종(毅宗) 때 극에 달했다. 그 때문에 일찍이 최질(崔質)·김훈(金訓) 등의 무신이 주동이 되어 쿠데타를 일으킨 일까지 있었다. 생활상으로도 크게 곤란을 받던 무신들의 불만은 5병수박희(五兵手縛戱)를 계기로 폭발하였다.무신의 난은 의종 24년(1170)에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이고(李高) 등에 의하여 일어났다. 이 반란의 성공으로 무신들은 의종을 폐위시키고 명종(明宗)을 옹립하였으며, 많은 문신을 살육했다. 그 뒤 김보당(金甫當)이 의종 복위 운동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많은 문신들이 공모 혐의로 죽임을 당했다. 이 후 조위총(趙位寵)의 거병(擧兵) 등 무신에 대한 항거가 많았으나 모두 실패했다. 무신들은 중방(重房)을 중심으로 정권을 장악하고 관직의 독점, 사전의 확대를 통하여 정치적 지위와 경제적인 실력까지도 차지하게 되었다. 이제 문벌을 존중하고 문신들이 지배하던 고려사회는 변질되어, 실력 유무가 정권장악 여부를 결정하는 무신사회가 되었다. 이리하여 쉴새없이 같은 무신 사이에서 정권이 교체되었다. 즉 이의방은 이고를 죽이고, 딸을 태자비(太子妃)로 삼아 권세를 부리다가 정균(鄭筠)에 의하여 제거되었다. 그 후 홀로 득세하여 위세를 떨치며 방자한 행동을 자행하던 정중부가 경대승(慶大升)에 의해 살해되자, 이에 무신들은 경대승을 전체의 적으로 돌리려 했다. 여기에 위험을 느낀 경대승은 신변보호를 위해 도방(都房)을 설치했으나 병사하였으며 이의민(李義旼)이 권력을 누렸다. 그러나 그도 최충헌(崔忠獻)·최충수(崔忠粹) 형제에 의해 살해되었다.20여 년의 짧은 기간 동안 수차례 정권이 교체됨에 따라 일어난 사회적 혼란을 수습하고, 정권의 안정을 가져온 것이 곧 최충헌이었다. 그는 모든 적대세력을 차례로 억압하고 독재 정권의 수립에 성공했다. 그는 문벌·전통에 대한 사회의 강한 집착 때문에 왕권을 존속시키기는 했으나 왕위를 마음대로 폐위하고 옹립하였다. 또한 그의 실력으로 사원 세력을 제거하고 농민과 노비의 난을 진압하여 최씨 정권의 기초를 마련했다.

정중부[편집]

鄭仲夫

고려 의종 때의 무장. 본관은 해주(海州). 처음 주(州)의 군적(軍籍)에 올랐다가 상경하여 인종 때 견룡대정(牽龍隊正)이 되었다. 그때 내시(內侍) 김돈중(金敦中:재상 김부식의 아들)이 촛불로 중부의 수염을 불사르니 중부가 대로하여 돈중을 묶어 놓고 욕을 보였다. 부식이 이를 듣고 중부를 고문하려 했으나 왕이 모면케 해주었다. 이로부터 중부는 돈중을 비롯한 모든 문관에 대한 원한이 싹트기 시작했다. 의종 초에 교위(校尉)가 되고 상장군(上將軍)으로 승진했다.당시 왕은 정사를 돌보지 않고 문신들과의 출유(出遊)가 잦았던 바 1170(의종 24) 화평재(和平齋)에 행차하여 문신들과 늦도록 시주(詩酒)를 즐기니 호종한 무신들은 배가 고파 견딜 수가 없었다. 견룡행수 산원(牽龍行首散員) 의의방(李義方)·이고(李高) 등이 이 같은 차별대우에 대한 불평을 중부에게 털어놓으니 중부 역시 쌓였던 원한이 폭발, 드디어 이의방·이고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흉모를 꾸미게 되었다. 다음날 왕이 보연원(普賢院)에 행차할 때 무신 이소응(李紹膺)이 문신 한뇌(韓賴) 등에게 모욕을 당함을 계기로 정중부·이의방·이고 등 호종 장병들이 호종한 대소 문신을 대량으로 죽인 후 내직(內直)의 벼슬아치 및 문신들을 죽이고 드디어 왕을 폐하고는 거제(巨濟)로, 태자를 진도(珍島)로 각각 쫓고 왕의 동생 익양공(翼陽公) 호(皓) 명종을 옹립하고 정권을 잡았다. 이로부터 무단정치(武斷政治)를 단행, 스스로 참지정사가 되고 이어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使), 다시 문하평장사(門下平章使)가 되어 다음해 서북면 병마·판행영마병(西北面兵馬判行營馬兵) 겸 중군병마판사(中軍兵馬判使)가 되었다. 1173년(명종 3)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김보당(金甫當)은 장순석(張純錫) 등과 함께 중부·의방을 치고 의종을 다시 세우려고 왕을 거제에서 경주로 모셔왔으나 실패하여 모두 피살되었고 왕도 살육당하였다. 뒤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되었다가 치사(致仕)하자 장군경대승(慶大升) 등에게 아들·사위와 함께 잡혀 죽었다.

정중부의 난[편집]

鄭仲夫-難

1170년(고려 의종 24) 정중부·이의방(李義方)·이고(李高)를 중심으로 일으킨 무신(武臣) 쿠데타. 일명 무신의 난, 또는 경인(庚寅)의 난. 고려 초기 이래 숭문억무(崇文抑武)의 정책으로 인해 쌓였던 무신들의 불평은 의종 때에 와서 왕의 무신에 대한 학대와 문신들의 무신에 대한 천대·모욕 등으로 마침내 폭발하게 된 것이다. 즉 의종은 정사를 돌보지 않고 문신들과 더불어 연락(宴樂)을 계속하더니 1170년(의종 24) 4월 화평재(和平齋)에서 왕은 문신들과 밤 늦도록 시주(詩酒)를 즐기니 호종한 이의방·이고는 정중부에게 ‘문신은 배부르게 취하여 뛰노는데 무신은 배 고프고 피곤만 하니 이를 참을 수 없다’ 하자 중부 역시 일찍 문신 김돈중(金敦中)에게 수염을 그슬린 분노를 품고 있던 터라 드디어 함께 음모를 꾸미게 되었다. 이해 8월 30일 왕은 전날의 놀이에 이어 보현원(普賢院)으로 행차하게 되자 중부 등은 드디어 거사를 결행키로 했다. 이날 왕은 보현원으로 가는 도중 오문(五門) 앞에서 무신들로 하여금 오병수박희(五兵手博?:5명이 함께 하는 擧法)를 하게 했더니 대장군 이소응(李紹膺)이 노쇠하여 이기지 못하고 달아나자 문관 한뇌(韓賴)는 소응의 뺨을 치는 등으로 모욕을 주었다. 이에 격분한 중부 등은 왕이 보현원에 이르렀을 무렵, 모든 문관이란 문관은 빠짐없이 죽이고, 10월 2일에는 왕을 거제(居濟), 태자를 진도(珍島)로 추방하고 왕제(王弟) 익양공(翼陽公) 호(皓)를 왕으로 영립(迎立)한 후 정권을 잡음으로써 오랫동안의 울분을 씻게 되었다. 그러나 이 난은 당시의 실정을 개혁하지 못하고 무신 상호간의 다툼과 횡포로 일관하였다.

김보당[편집]

金甫當 (?

1173)

고려 명종 때의 장군. 명종 3년(1173)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간의대부(諫議大夫)로 있을 때,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정중부·이의방 등을 물리쳐서 의종을 복위시키고자 이경직(李敬直)·장순석(張純錫) 등과 모의하여 동계(東界)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유인준(柳寅俊)·배윤재(裵允材)·한언국(韓彦國)이 이에 가담하여 거병하였다. 순석 등은 거제에 가서 의종을 받들고 경주로 나와 싸웠으나 이의민(李義旼)·박존위(朴存?)에게 패하고 모두 잡혀 죽었다. 보당이 죽을 때 문신으로서 이 모의에 참가하지 않은 사람이 없다고 말하여, 많은 문신이 살육되었다. 이를 계사(癸巳)의 난(亂)이라고도 한다.

조위총의 거병[편집]

趙位寵-擧兵

명종 4년(1174)으로부터 동왕 6년(1176)에 걸쳐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이 정중부·이의방을 치고자 일으킨 난. 병부상서(兵部尙書) 겸 서경유수 조위총은 왕을 폐립, 문신을 학살하여 전횡을 일삼던 무신들을 타도하고 서경 세력을 펴려 하였다. 그는 동북 양계의 여러 성(城)을 선동하여 중앙에 반기를 들었다. 연주성(延州城)을 제외한 이북 40여 성이 모두 내응하여 처음에는 정부 토벌군을 격파하고 개경에 이르렀으나, 이의방에게 패하여 서경으로 후퇴하였다. 조위총은 그 후 서경에서 항전을 계속하여 한때 이의방을 퇴각케 하기도 했다. 그러나 제2차 공격을 받고 조위총은 금에 응원군을 요청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드디어 명종 6년(1176) 서경이 함락되고 그의 거사도 실패로 돌아갔다.

경대승[편집]

慶大升 (1154

1183)

고려 명종 때의 장군. 15세에 음보(陰補)로 교위(校尉)가 되었으며, 뒤에 장군이 되었다. 그의 아버지가 불법으로 모은 재산을 군부에 바치고 청렴한 생활을 한 그는 무인 집권 후 횡포해진 무인 집권자들을 제거하기로 결심하였다. 명종 8년(1178) 허승(許升) 등과 거사하여 정중부·송유인(宋有仁) 등의 부자를 살해한 뒤 허승·김광립(金光立) 등이 공을 믿고 많은 폐단을 끼치자 이들을 잡아죽이고 정권을 장악했다. 신변보호를 위해 도방(都房)을 창설했으나 30세에 병사했다.

도방[편집]

都房

고려 무신 집권 시대의 사병 집단(私兵集團). 명종 9년(1179) 경대승이 정중부 일파를 살해한 후에 일부 무신들이 정중부를 찬양하고 자기에게 적의를 나타내자, 신변의 위협을 느낀 경대승은 집에 백여 명의 결사대를 모아 함께 침식·행동케 하며 불의의 변을 막게 한 데서 도방이 비롯되었다. 동왕 13년(1183) 경대승이 죽은 뒤 그 무리는 섬에 유배되고 도방도 해체되었다. 최충헌(崔忠獻)이 집권한 뒤 그에 대한 음모가 연발하자 경대승의 경우와 같이 신변 경호를 목적으로 신종 3년(1200) 또다시 도방을 설치했다. 이때의 도방은 전보다 광범위하고 조직적이어서 문무관·한량(閑良)·군졸들 중에 강력한 자를 모아 6번(六番)으로 나누어 교대로 근무케 했다. 이로부터 도방은 근위대(近衛隊) 성격을 띠면서 최씨(권력 유지)의 지주(支柱)가 되었다. 최우(崔瑀)에 이르러서는 최우의 가병(家兵)을 내도방(內都房), 최충헌의 도방(六番都房)을 외도방(外都房)이라 하여 조직을 확장 강화했다. 그 후 최항(崔沆)의 집권 때는 내·외도방을 합하여 36번으로 확장 강화하였고, 임연(林衍) 부자의 전횡시대(專橫時代)에 다시 6번으로 개편, 원종 11년(1270) 왕정 복구 때 폐지되었다.

이의민[편집]

李義旼 (?

1197)

고려 명종 때의 장군. 천민 출신으로 안찰사 김자양(金子陽)에게 발탁되어 경군(京軍)에 편입된 후 의종의 사랑을 받아 별장(別將)이 되었다. 그는 정중부의 난 때 공을 세워 장군에 이르렀다. 명종 3년(1173) 김보당(金甫當)이 의종 복위를 위한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이를 평정한 공으로 대장군이 되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토벌하여 상장군에 올랐다. 경대승이 정중부를 죽이고 집권하자 병을 핑계로 경주에 은둔해 있다가 경대승이 죽은 후 조정에 나가 공부상서(工部尙書)를 거쳐 판병부사(判兵部使)에 이르렀다. 참위설을 믿고 모역(謀逆)할 뜻으로 명사(名士)를 포섭, 김사미(金沙彌)·효심(孝心) 등 적도(賊徒)와도 결탁하였다. 그는 또 매관매직과 착취 등으로 재부를 축적하는 등 관기를 문란케 하다가 미타산(彌陀山) 별장에서 최충헌에게 살해되었다.

최충헌[편집]

崔忠獻 (1149

1219)

고려 후기의 권신(權臣). 초명은 난(鸞), 시호는 경성(景成), 우봉(牛峯) 출신, 상장군(上將軍) 원호(元浩)의 아들. 1174년(명종 4)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평정할 때 용명(勇明)이 있어 별도초령(別抄都令)에 등용, 뒤에 섭장군(攝將軍)이 되었다. 1196년(명종 26) 아우 충수(忠粹)와 이지영(李至榮:李義旼의 아들)과의 사감(私憾)이 동기가 되어 충수의 권유로 먼저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이의민(李義旼)을 미타산(彌陀山)에 있는 그의 별장(別莊)을 습격하여 죽인 뒤에 그 머리를 저자에 효수(梟首)케 하는 한편 군사를 모아 이의민의 아들 지순(至純)·지광(至光)이 거느린 가병(家兵)을 물리치고는 명종을 움직여 이의민의 삼족(三族)과 그 일당을 모조리 잡아 죽였다. 그의 숙청 공작은 자못 철저하여 평장사(平章使) 권절평(權節平)·손석(孫碩)·대장군(大將軍) 이경유(李景儒) 등과 참지정사(參知政使) 이인성(李仁成)·상장군(上將軍) 강제(康濟) 등 36명이 딴 뜻을 품고 있다 하여 전후해서 모두 잡아 죽였고, 또 판위위사(判衛尉使) 최광원(崔光遠)·소경(小卿) 권신(權信)·장군(將軍) 권식(權湜)·두응룡(杜應龍) 등을 귀양보냈는데, 이들은 이의민 일파들이었던 것 같다. 이와 같이 그의 정적(政敵)을 제거한 뒤에 명종에게 10조목의 봉사(奉事)를 올려 폐정(弊政)의 시정과 함께 임금의 반성(反省)을 촉구하였다. 이 봉사는 당시의 시폐(時弊)를 적절히 나타낸 것으로서 그의 이런 정치적인 식견은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이의민(李義旼) 등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가 군웅(群雄)을 물리치고 오랫동안 정권을 장악할 수 있었음도 이런 장점을 지녔기 때문이었다. 그는 정치적 기반을 굳게 한 뒤에 좌승선(左承宣)과 지어사대사(知御史臺使)를 겸하게 되었으며, 이듬해인 1197년(명종 27)에는 충성좌리공신(忠誠佐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그러나 명종은 원래 그가 세운 임금이 아니므로 신변의 위협을 받게 되자 명종을 내몰고 평량공민(平凉公旼:明宗의 母弟)을 세우니, 이가 곧 신종(神宗)이었다. 이에 그는 임금에게 말하여 다시 명종 때의 근신(近臣)들을 모두 내쫓아 정권은 완전히 최씨(崔氏) 일가에서 독차지하게 되었다. 정국공신 삼한대광 대중대부 상장군 주국(靖國功臣三韓大匡大中大夫上將軍柱國)이 되었다.충수가 그의 딸을 태자(뒷날의 熙宗)의 비(妃)로 삼으려 임금에게 강요하고 태자의 본비(本妃)를 내보내므로 그는 이에 반대, 드디어 무력 충돌에까지 이르러 충수는 살해당하였다. 이는 신종이 옹립된 다음 달의 일인데, 이로써 본래는 그의 아우 충수와 나누어 가졌던 군국(軍國)의 대권(大權)을 독점하기에 이르렀다. 1198년(신종 1)에 만적(萬積) 등이 반란을 모의하였으나, 사전에 이 계획을 알고 만적 등 백여 명을 붙잡아 강에 던져 죽였다. 만적의 난 이후에도 가끔 그를 처치하려는 음모가 자주 발생하자 경대승(慶大升)이 두었던 도방(都房)을 다시 설치하여 신변을 보호하였다. 그에 대한 살해음모사건은 그 뒤에도 계속되어 교정도감(敎定都監)을 두고 혐의자를 색출하기도 하였는데, 이 도감은 뒤에 최씨 일문이 무단정치를 함에 있어 한동안 일본의 막부(幕府)와 같은 구실을 하였다. 신종의 뒤를 이어 희종이 즉위하고는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 문하평장사 판병부 어사대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判兵部御史臺事)로 삼았으며, 그를 신례(臣禮)로써 대하지 않고 은문상국(恩門相國)이라 하였다. 얼마 뒤에 문하시중(門下侍中)·진강후(晋康候)가 되었으며, 진강군(晋康軍:지금의 晋州一帶)을 식읍(食邑)으로 받았다. 희종이 그의 권세에 눌려 항상 불안한 생활을 하게 되자 내시 왕준명(王濬明)이 중심이 되어 참지정사 우승경(于承慶)·장군 왕익(王翊) 등과 같이 그를 꾀어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이에 그는 희종과 태자를 폐하고 명종의 아들인 강종(康宗)을 맞아들이고, 문경무위향리조안공신(文經武緯嚮理安空臣)의 호를 받았다. 강종이 왕위에 있은 지 3년 만에 죽자, 태자 진(瞋)을 세우니 이가 곧 고종(高宗)이었다. 그는 이와 같이 일생중에 신종·희종·강종·고종의 4임금을 자기 마음대로 행함으로써 최씨집권의 기반을 확고히 하였다. 아들 이(怡:瑀)가 정권을 이어받았다.

왕규[편집]

王珪 (1142

1228)

고려 중기 사람. 자는 숙개(淑?), 시호는 장경(莊敬). 초명(初名)은 승로(承老). 문하시중(門下侍中) 왕충(王?)의 아들. 태조의 종제 영해공(寧海公) 만세(萬歲)의 7대손. 7세에 세자의 학우(學友)가 되었는데, 용모가 잘생기고 총명하였다. 의종 때에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까지 되었는데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의 난에는 마침 어머니를 뵈러 가서 현장에 없었기 때문에 목숨을 건졌다. 명종 때에는 남경유수(南京留守)로 일을 잘하여 이름이 높았다. 1173년(명종 3) 가을에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김보당(金甫當) 등이 정중부·이의방 등을 치고, 쫓겨난 의종을 모시려다가 실패하여 잡혀 죽은 일이 있었다. 왕규의 처는 이지무(李之茂)의 딸인 바 이지무의 아들 이세연(李世延)은 김보당의 매부인지라 이 통에 붙잡혀 죽었다. 이의방은 왕규도 죽여 버리고자 하였으나 정중부가 자기 집에 숨겨주어서 살아났다. 그 집에 숨어 있는 동안 마침 과부로 있던 정중부의 딸이 왕규에게 반해서 두 사람은 정을 통하게 되니 왕규는 처를 버리고 이 여자와 살림을 하였다. 이리하여 그는 정중부의 사위가 되었고 이의방이 죽은 후에 다시 벼슬에 나서서 사신으로 금(金)나라에 다녀왔다. 신종 때에 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使)까지 이르러 사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