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한국지리의 개요/한국의 인구와 생활/한국의 인구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한국의 인구조사

[편집]

韓國-人口調査

조선시대 및 그 이전

[편집]

朝鮮時代-以前

인구조사는 인류의 역사와 같이 오래 전부터 행해졌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고조선(古朝鮮) 시대부터 호구조사(戶口調査)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고려조(高麗朝)에 들어와서는 건국 이래 엄격한 호구조사를 시행함과 아울러 호적 취급자에 대한 제재 규정을 설정하는 등, 제도면에서 크게 개선된 흔적이 뚜렷하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호적제도는 면목을 일신하였는데, 특히 성종(成宗) 때에는 그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자(子)·묘(卯)·오(午)·유(酉)의 식년(式年)마다 호구를 조사하여 호적을 개정하였다. 그러나 현종(顯宗) 때까지는 여자와 16세 미만 및 60세 이상의 남자는 호구조사에서 제외되었으며, 정조(正租) 때에 이르러 비로소 남녀의 성별(性別) 인구가 계상(計上)되었다. 세종(世宗)에서 인조(仁祖)에 이르는 약 200년 간의 호구조사는 결여되었다. 이후 숙종(肅宗) 때부터 일반화하여 대략 조선시대 말까지 계속됨으로써, 전후 59회의 호구조사를 한 셈이다. 또 조선시대 말에는 일본인 기관에 의한 인구조사가 몇 차례 행해졌다.

광복 전

[편집]

光復前

경술국치 후는 매 연말 현주인구(現住人口)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여 광복 전까지 계속되었으나, 이는 센서스 인구에 비하면 50∼100만 내외의 과소로 나타났다. 1925년 10월 1일을 기하여 우리나라의 최초의 인구 센서스가 행해졌다. 이후 1930년, 1935년, 1940년, 1944년 등 광복 전에 모두 5회의 인구 센서스가 행해졌으며, 1944년만은 5월 1일자로 행해졌으나, 조사 집계(集計)가 이루어지기 전에 광복됨으로써 그 결과는 속보 발표에 그쳤으며, 그 외의 것은 국제조사 결과표로서 일반에 발표되었다. 또, 1938년 이후 인구동태 조사가 행해졌는데, 그 신빙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광복 후

[편집]

光復後

광복 이후에도 연말 현주인구 조사는 계속되고 있으며, 1960년 이후는 연말 상주(常住)인구 조사로 바뀌어졌다. 한편 센서스는 1949년, 1955년, 1960년, 1966년, 1970년, 1975년, 1980년, 1985년, 1990년, 1995년에 실시되었다. 조사기일은 1949년은 5월 1일, 1955년은 9월 1일, 1960년은 12월 1일이고, 1960년 이후는 10월 1일이다. 또, 1960년 이후는 종전의 현주인구 조사에서 상주인구 조사로 바뀌어졌다. 이 외에 대체로 1960년대 후반부터 경제활동인구, 전출·전입 등의 인구이동 조사가 행해지고 있다.

한국의 인구성장

[편집]

韓國-人口成長

조선시대

[편집]

朝鮮時代호구조사가 비교적 일반화된 현종 10년(1669)의 인구는 약 500만, 숙종 47(1721)년 약 680만, 순조(純組) 7년(1807) 약 760만, 광무(光武) 10년(1906) 약 580만으로 조선시대 중엽 이래 200여 년간의 인구는 500만 대에서 700만 대를 오르내렸으며, 해에 따른 인구의 증감이 현저했고, 특히 조선시대 말에는 인구의 격감을 보이고 있다. 한발을 비롯한 각종 천연 재해의 빈발, 생산성의 정체, 질병의 만연 등으로 인한 자연 증가의 저조(低調), 평균 수명의 단축 및 인구조사의 누락(漏落) 등이 그 원인이 되었다고 하겠으며, 조사 누락을 감안한다면 조선시대 중엽 이후의 인구는 1천만대에 머물렀을 것으로 추측된다.1910년 우리나라의 인구는 약 1,330만으로 추계되었으나, 이 후 인구는 격증하여 1925년에는 2천만에 육박하였고, 광복 직전인 1944년에는 거의 2,600만에 달하였으며, 이 중 일본인 약 70여 만, 중국인 약 6만이 포함되어 있다. 자연증가는 해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으나, 인구 동태조사가 비교적 잘 이루어졌던 1938∼42년의 평균 출생률은 3.4%, 사망률 1.7%, 자연증가율 1.7%였다. 이를 현재와 비교하면 출생률·사망률은 모두 높은 편이고 자연증가율은 현재와 큰 차가 없다. 이는 주로 높은 사망률, 특히 유아사망률이 그 원인이 되었으며, 당시의 인구 동태는 대표적인 다산다사형(多産多死型)이었다.

광복 후

[편집]

光復後

광복 직전 남한의 인구는 약 1,620만, 북한의 인구는 약 890만이었다. 1949년 남한의 인구는 2천만을 돌파했고, 1960년에는 2,500만, 1975년에는 약 3,500만으로 그 간 약 30년간에 2배 이상의 인구증가율을 가져왔다. 광복 직후의 인구 격증은 광복과 국토 양단에 따르는 다수의 해외 거주자 및 북한에서의 남하 인구에 의한 사회증가가 그 주요원인이 되었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또다시 북한에서 많은 인구가 남하하였으나, 인구의 손모(損耗)가 컸고, 또 개성·연백·옹진 지구의 인구 조밀 지역이 제외되었기 때문에 인구증가는 매우 저조하였다. 휴전 직후의 급격한 인구증가는 이른바 베이비 붐(baby boom)에 기인하며, 1960년대 후반 이후의 인구증가의 문화는 가족계획의 성과가 크게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리하여 1960년의 출생률 4.2%, 사망률 1.4%, 자연증가율 2.9%에서 1975년에는 각각 2.4%, 0.7%, 1.7%로 대폭 저하함으로써 남한은 바야흐로 소산소사(少産少死)의 이른바 인구혁명에 돌입했다고 하겠다. 한편 평균수명은 광복 전 남자 45세, 여자 49세에서 1960년에는 각각 54세, 58세로 연장되었고, 1985년에는 다시 66세, 72세로 연장됨으로써 광복 직전에 비하면 약 30년 간에 20세나 연장되었다. 이는 최근 경제발전에 따르는 소득의 증대, 교육수준의 향상, 의학의 발달과 보급, 생활환경의 개선 등에 힘입은 결과라 하겠다. 한편 북한의 인구는 광복 직전 약 890만이었으나 한국전쟁으로 많은 인구를 상실한 결과 한때 인구의 격감을 가져왔으나, 그 후 증가를 거듭하여 1999년에는 약2,208만 명으로 추산된다. 또한 최근 북한의 출생률은 1.5%, 사망률 0.8%, 자연증가율 2.3%로, 남한에 비하여 출생률·사망률·자연증가율이 모두 높은 편이다.

한국의 인구분포

[편집]

韓國-人口分布

2000년(통계청 발표) 우리나라의 인구는 남한이 약 4,614만, 북한이 약 2,218만으로 도합 약 6,832만이고, 그 외 약 300만의 해외교포를 합치면 약 7,132만에 달하여 세계의 약 150개국 중 제13위를 차지하는 대인구국이다. 한편 1㎢ 에 대한 인구밀도는 남한이 400인을 넘고, 북한은 160인 이상으로 전국의 인구밀도는 약 270인에 달하여 세계의 인구조밀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남한은 방글라데시·바레인·대만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하여 영국·독일·일본 등을 능가하고 있다. 또 경지 1㎢에 대한 인구밀도는 남한의 경우 1,500인 이상에 달하여 영국·일본 등과 같이 세계의 최고수준에 있다.인구밀도는 1㎢ 당 458명으로 방글라데시와 대만에 이어 세계 3위의 고밀도 국가이다. 인구밀도는 경지의 분포와 근대산업의 발달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같은 경지의 경우도 전작지대와 답작지대, 단작지대와 다모작지대간에, 또 순농지역과 도시지역 간에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경인지방을 비롯한 부산·대구·평양 등의 대도시권, 아산만연안·호남평야·나주평야·김해평야 및 남해 연안지방이 우리나라의 인구 집적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지역을 제외한 이들 평야지역 및 남해 연안지방의 인구밀도는 1㎢ 에 대하여 500명 내외를 차지하는 반면에 산지가 많은 개마고원·태백 산맥 및 소백산 지구는 50명 내외를 차지할 뿐이다. 한편 경지 면적에 대한 인구밀도는 평야지대보다 오히려 산악지역 및 해안지역이 월등하게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들 지역의 경지당 인구밀도는 실로 2천명을 넘는 실정이다. 인구분포의 특징으로 남아선호로 인해 셋째 아이 이후의 출산이 늘어 인구 1천 명당 출생률이 90년 15.3명에서 94년 16.5명으로 늘어났다. 또한 1996년 한 해 동안 출생아 수는 72만 5,400명으로 하루 평균 1,987명이 태어났으며 하루 평균사망자 681명에 비해 1,306명이 매일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어촌은 인구가 줄고 대도시의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의 인구구조

[편집]

韓國-人口構造

성별·연령별 인구구조

[편집]

性別·年齡別人口構造

1995년 인구 센서스 결과에 의하면 남한의 성비(性比)는 여자 100에 대하여 남자 101.4, 1970년의 100.8에 비하면 남자의 성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지역적으로 보면 서울·부산 등의 도시지역 및 제주도가 여초(女超)를 나타내고, 그 외 지방은 모두 남초(男超)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북한은 1970년 여자 100에 대하여 남자 97.1로 1953년의 100:83에 비하면 많이 회복되었으나 아직도 여초 현상이 아물지 않고 있다. 한편, 연령별 인구는 오랫동안 다산다사의 피라미드형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남한에서는 1960년대 후반서부터 점차 소산소사형으로 바뀌어짐으로써 종래의 피라미드의 밑변이 좁아지기 시작하였다. 즉 0

14세까지의 유·소년층은 1970년 41.1%에서 1980년 33.8%로 대폭 감소되었고, 이에 대하여 15

64세까지의 생산 연령층은 54.6%에서 62.1%로, 60세 이상의 노년층은 5.5%에서 6.1%로 각각 증가하였다. 이리하여 생산 연령층과 비생산 연령층의 비율, 즉 부양률은 아직 선진 제국에 비하면 매우 높은 편이다.1962년부터 출산율이 낮아지기 시작하여 기혼여성의 1인당 출산율은 60년 6.0명에서 70년 4.2명, 90년 1.7명이 되었다. 또, 사망률도 함께 감소하여 인구 1,000명당 사망자수가 60년의 14.0명에서 91년에는 5.9명으로 낮아졌다. 따라서 65세 이상 인구비율도 계속 증가하여 60년에 3.3%였던 것이 91년에는 5.1%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이 되면 12.5%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업별 인구

[편집]

産業別人口

우리나라는 최근 수차에 걸친 경제개발5개년 계획의 추진으로 산업구조면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즉 제1차 산업인구가 매년 감소하는 한편, 제2·3차 산업인구가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높아가고 있다. 1964년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1차 산업률은 60%를 넘었고, 2차 산업률은 10% 미만, 3차 산업률은 30% 미만이었으나, 1984년에 와서는 각각 14%, 30% 및 57%의 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농경지는 국토의 약 20%에 지나지 않아 호당 경지면적은 1993년의 경우 약 1.29㏊이다. 한편, 농가수는 1966년 처음으로 50% 이하로 떨어졌고, 1984년에는 28%로 대폭 낮아졌다. 지역별로는 서울·부산의 도시지역을 빼면 경기지방이 11.5%대, 강원지방이 5.8%대, 경북지방이 17.0%대이고, 그 외 지역은 60%를 넘고 있다. 한편 1985년 우리나라의 14세 이상의 인구 약 2,851만 중 경제활동인구는 1,612만 명으로 취업률은 97.2%에 달하고, 실업률은 3.8%로 매년 취업률이 높아짐으로써 실업률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취업구조의 계절적 변화가 심하여 겨울과 여름 사이에 큰 차를 나타내며, 최근 농가·비농가를 막론하고 특히 여자의 취업률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인구이동

[편집]

韓國-人口移動

광복 전

[편집]

光復前

조선시대에는 북방 변경(邊境) 지방의 국방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남부지방의 주민을 이곳으로 이주시켰으며, 또 광복 전에도 남부지방에서 많은 인구가 북부지방으로 이동하였다. 이는 남부지방 농촌의 과잉인구가 인구밀도가 희박하고 광공업의 개발이 활발했던 북부지방으로 대량 이동했기 때문이며, 이로 말미암아 한반도의 인구중심(人口中心)은 계속 북상했다. 때때로 일어나는 남부지방의 자연재해는 이러한 남북간의 인구이동을 격화시켰으며, 이 결과 남부지방에는 광역(廣域)에 걸친 인구의 절대 감소를 초래했던 것이다.그간 북한에는 평양·청진·성진·신의주 등의 기존 도시가 크게 발전하는 한편, 흥남·나진·아오지 등의 신흥 도시가 다수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남한의 충북·전북·경북·경남지방은 상당한 인구감소를 보였다.

광복 후

[편집]

光復後

우리나라는 8·15 광복과 한국전쟁으로 사상 유례 없는 인구이동을 맞이했다. 광복 후 북한에서 남하한 인구는 거의 200만에 달하였으며, 일본에서 100여 만, 만주 및 중국 본토 등지에서 약 50만 등, 도합 400여 만이 남한으로 집중되었다. 이들의 대다수는 서울 및 부산 등 대도시 지역과 경기·충남에 정착함으로써 이들 지역의 인구 격증의 계기가 되었다. 그 후 한국전쟁을 계기로 또다시 북한에서 약 100만이 남하했고, 중부지방의 대부분의 인구가 남하함으로써 부산·대구 등 남부지방의 도시지역은 피난민으로 초만원을 이루었고, 경인을 비롯한 중부지방 및 산간지대는 한때 인구의 공백지화했다. 휴전 후는 경인지방 태백산 지구 및 휴전선 근방에 인구가 집중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남부지방은 일부 도시지역 외에는 인구의 정체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영남지방에 현저하였다.

1960년대 이후

[편집]

一九六十年代以後

1962년부터 시작된 경제개발 계획의 추진으로 우리나라의 공업화와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농어촌 인구가 도시지역 및 개발지구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대도시지역의 과밀화와 농어촌지역의 과소화(過疎化) 현상을 초래하였다.이러한 현상은 1960년대 후반부터 두드러졌다. 1966∼1970년 간에 충북·충남·전북·전남 지방이 각각 인구의 절대감소를 나타냈고, 당시 남한의 140군(郡) 중 116군이 인구의 절대감소를 보였으며, 이에 대하여 도시인구는 이 기간 중 315만이 증가하여 남한 총인구 증가수 208만보다 무려 87만이나 더 웃도는 실정이었다. 또 1970

1975년간에는 강원·전남 지방이 총 138군 중 100군이 각각 인구의 절대감소를 보였고, 도시지역의 인구증가는 약 400만에 달하여 남한 총인구 증가수 325만을 80만이나 더 웃돌았다. 그간 수도 서울의 팽창이 가장 두드러졌고, 이어 수도권 주변 및 부산·대구 등의 대도시와 울산·포항 등의 신산업 도시의 성장이 주목된다.인구의 사유별 전입은 가족 이동이 가장 많고, 이어 구직·학업·혼인 등의 순이며, 계절별로는 4∼5월에 가장 많다. 1970년대에는 그린벨트를 설정하고, 일부 기관과 대학·기업체 등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등의 정책으로 전입 초과율이 낮아졌다.

해외이민

[편집]

海外移民

만주의 간도(間島) 및 시베리아 연해주(沿海州) 지방에 대한 우리 동포들의 이주는 이미 조선시대에 시작되었으며, 그 후 경술국치, 3·1 독립만세 사건을 계기로 이곳에 대한 이주는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만주지방에 대한 진출이 활발하여 1910년에는 60만, 그리고 광복 직전에는 약 220만에 달했다. 광복 후 이곳의 많은 동포가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아직 현재 약 60만이 이곳에 살고 있다. 시베리아 연해주 지방의 동포수는 경술국치 전 이미 약 5만, 1920년 약 20만에 달하였으나, 구소련 정부에 의하여 중앙아시아 지방으로 강제 이주당함으로써 현재 연해주 및 사할린 지방에 약 10만, 중앙아시아 지방에 약 30만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에 대한 이주는 경술국치 후 급속히 늘어났으며, 1939년에 100만을 돌파했고, 광복 직전에는 약 210만에 달했다. 광복 후 100여 만이 귀국함으로써 현재 60여 만이 오사카(大陂) 지방을 비롯한 케이힌(京浜) 지방 등지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한편 하와이에 대한 이민은 1903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약 1만에 달하고 있다. 광복 후 동포의 해외 이주는 특히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비교적 활발해졌다. 이민 대상국은 미국을 비롯한 남·북 아메리카 지역으로 이 중 브라질·아르헨티나·파라과이에는 주로 농업 이민으로 송출(送出)되었으며, 그 수는 약 3만에 달한다. 미국에 대한 이민은 매년 4

5만씩 늘어나, 약 80만에 달하며, 이 중 약 1/3이 캘리포니아 지방에 집중하고, 그 외에 대서양 연안과 5대호 지방의 대도시 지역에 다수 분포하여 곳곳에 한국인 시가지(Korean town)가 형성되었다. 캐나다에도 토론토를 중심으로 약 4만의 동포가 있다.한편, 유럽·아프리카·남부아시아 지역에 대한 기술자·기능공을 중심으로 한 인력수출이 활기를 띠어 특히 1970년대에 중동 지방의 건설 붐에 따른 기술자·기능공의 진출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서는 정치안정과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여건의 향상으로 해외동포가 국내로 이주해 오는 역이민 현상이 꾸준히 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