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동동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동동(動動)
저자: 저자 미상

저자와 저작 연대 미상의 고려 가요. 민간에서 송도체(頌禱體)의 가요로 구전되다가 조선 시대에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채집되어 수록되었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묘정(廟庭)에서 아박[牙拍, 무구(舞具)의 하나.]과 함께 불렸다. 조선 중종 때에〈정읍사〉와 함께 음사라고 하여 폐지되고 신제악장(新制樂章)으로 대치되었다. 내용은 일년 열두달의 자연 정경에 빗대어 남녀의 애정을 읊은 것이다.

1798저자 미상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德으란 곰ᄇᆡ예 받ᄌᆞᆸ고
福으란 림ᄇᆡ예 받ᄌᆞᆸ고
德이여 福이라 호ᄂᆞᆯ
나ᅀᆞ라 오소ᅌᅵ다
아으 動動다리

正月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ᄒᆞ논ᄃᆡ
누릿 가온ᄃᆡ 나곤
몸하 ᄒᆞ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ᅀᅵ샷다
아으 動動다리

三月 나며 開ᄒᆞᆫ
아으 滿春 ᄃᆞᆯ욋고지여
ᄂᆞᄆᆡ 브롤 즈ᅀᅳᆯ
디녀 나샷다
아으 動動다리

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錄事니ᄆᆞᆫ
녯 나ᄅᆞᆯ 닛고신뎌
아으 動動다리

五月 五日애
아으 수릿날 아ᄎᆞᆷ 藥은
즈믄 ᄒᆡᆯ 長存ᄒᆞ샬
藥이라 받ᄌᆞᆸ노ᅌᅵ다
아으 動動다리

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ᄇᆞ룐 빗 다호라
도라 보실 니믈
젹곰 좃니노이다
아으 動動다리

七月ㅅ 보로매
아으 百種 排ᄒᆞ야 두고
니믈 ᄒᆞᆫᄃᆡ 녀가져
顧을 비ᅀᆞᆸ노ᅌᅵ다
아으 動動다리

八月ㅅ 보로ᄆᆞᆫ
아으 嘉俳나리마ᄅᆞᆫ
니믈 뫼셔 녀곤
오ᄂᆞᆯ낤 嘉俳샷다
아으 動動다리

九月 九日애
아으 藥이라 먹논 黃花
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ᄒᆞ얘라
아으 動動다리

十月애
아으 져미연 ᄇᆞᄅᆞᆺ 다호라
것거 ᄇᆞ리신 後에
디니실 ᄒᆞᆫ 부니 업스샷다
아으 動動다리

十一月ㅅ 보ᇰ다ᇰ 자리예
아으 汗杉 두퍼 누워
슬ᄒᆞᆯᄉᆞ라온뎌
고우닐 스싀옴 녈셔
아으 動動다리

十二月ㅅ 분디남ᄀᆞ로 갓곤
아으 나ᅀᆞᆯ 盤ᄋᆡᆺ 져다호라
니믜 알ᄑᆡ 드러 얼이노니
소니 가재다 므ᄅᆞᅀᆞᆸ노ᅌᅵ다
아으 動動다리

라이선스

[편집]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미국을 포함하여 저자가 사망한 후 10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저작물이 미국에서도 자유 라이선스 또는 퍼블릭 도메인인 이유를 별도로 명시하여야 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