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제보언해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武藝諸譜目錄

棍譜

牌譜

筅譜

長鎗前譜

長鎗後譜

鈀譜

劒譜

許遊擊答問
籌海重編交戰法 武藝諸譜
大棒製

長七尺重三斤八兩刃長二寸有中鋒一面起脊一 面有血漕磨精重四兩

기ᄅᆡ 닐곱 자히오 므긔 서 斤근 여ᄃᆞᆲ 兩냥이오 ᄂᆞᆯ 기ᄅᆡ 두 치니 가온댄 ᄂᆞᆯ 이시니 ᄒᆞᆫ녁킈ᄂᆞᆫ ᄆᆞᄅᆞ 셔게 ᄒᆞ고 ᄒᆞᆫ녁킈ᄂᆞᆫ 골지게 ᄒᆞ여 ᄀᆞ라 精졍케 홀디니 므긔 넝 兩냥이라 法中一打一刺而棒無刃以何爲刺今加一刃長則

棒頭無力不能壓他棒只可二寸形如鴨嘴打則利 於棒刺則利於刃矣

法법 가온대 ᄒᆞᆫ 번 티고 ᄒᆞᆫ 번 디ᄅᆞ게 ᄒᆞ여시니 막대예 ᄂᆞᆯ히 업ᄉᆞ니 므서ᄉᆞ로ᄡᅥ 디ᄅᆞ리오 이제 ᄒᆞᆫ ᄂᆞᆯᄒᆞᆯ 더ᄋᆞ거니와 다믄 ᄂᆞᆯ히 길면 막댄 머리 힘 업서 잘뎌 막대ᄅᆞᆯ 지조로디 몯ᄒᆞᆯ 거시니 다만 可가히 두 치만 ᄒᆞ고 얼구리 올ᄒᆡ 부리 ᄀᆞᆺ게 홀디니 틸 제ᄂᆞᆫ 막대예 됴코 디ᄅᆞᆯ 제ᄂᆞᆫ ᄂᆞᆯ해 됴ᄒᆞ리라
棍譜

兩人持棍對立作扁身中攔勢各進一足甲擧棍撞 乙棍作大當勢乙又以棍撞甲棍爲大當甲又以棍 撞乙棍爲大當乙又以棍撞甲棍爲大當仍以棍剪 甲棍作大剪勢旋以棍打甲棍【當把握處下同】作大吊勢進 一步當胸一刺

扁身中攔圖
大當圖
大剪圖
大吊圖 乙轉身向後以棍挑甲棍作滴水勢退一足仍回身

進一足以大當撞甲棍甲又以大當撞乙棍乙又以 大當撞甲棍甲又以大當撞乙棍便以大剪剪乙棍 旋以大吊打乙棍進一步當胸一刺

滴水圖

甲轉身向後以滴水挑乙棍退一足仍回身進一足 以大當撞乙棍乙又以大當撞甲棍甲又以大當撞 乙棍乙又以大當撞甲棍便以大剪剪甲棍旋以大 吊打甲棍進一步當胸一刺

乙轉身向後以滴水挑甲棍退一足仍回身進一足 以大當撞甲棍甲又以大當撞乙棍乙又以大當撞 甲棍甲又以大當撞乙棍便以大剪剪乙棍旋以大 吊打乙棍進一步當胸一刺

甲轉身向後以滴水挑乙棍退一足仍回身進一足 起棍向乙頭上打去乙進一足作仙人捧盤勢以當 之又打乙亦以仙人捧盤當之便以大剪向左剪甲 棍旋以大吊打甲棍進一步當胸一刺

仙人捧盤圖 乙轉身向後以滴水挑甲棍退一步仍回身進一足

起棍向甲頭上打去甲進一足以仙人捧盤勢當之 乙又打甲亦以仙人捧盤當以大剪向右剪乙棍旋 以大吊打乙棍進一足當胸一刺

甲轉身向後以滴水挑乙棍退一步仍回身進一足 起棍向前以作齊眉殺勢仍以棍向下打去乙便作 倒頭勢以當之仍進一足作下穿勢揭甲棍旋以大 吊打甲棍進一足當胸一刺

齊眉殺圖
倒頭圖
下穿圖 乙轉身向後以滴水挑甲棍退一步仍回身進一足

起棍向前爲齊殺仍以棍向下打去甲便爲倒頭 以當之仍進一足以下穿揭乙棍旋以大吊打乙棍 進一足當胸一刺

兩人俱翻身揮棍作閃腰剪勢仍作下接勢甲以下 穿揭乙棍旋以大吊打乙棍進一足當胸一刺

閃腰剪圖
下接圖 兩人俱翻身揮棍爲下接乙以下穿揭甲棍旋以大

吊打甲棍進一足當胸一刺

兩人俱翻身揮棍爲下接甲以下穿揭乙棍旋以大 吊打乙棍進一足當胸一刺

兩人俱翻身揮棍爲下接乙以下穿揭甲棍旋以大 吊打甲棍進一足當胸一刺

乙退一足作直符送書勢甲持棍轉身向前相當而 退乙追趕打去【且追且打】退至三步甲便回身進一步作 走馬回頭勢又進一步以大剪剪乙棍旋以大吊打 乙棍進一步當胸一刺

直符送書圖
走馬回頭圖 甲退一足爲扁身中攔兩人俱進一足作上剃勢畢
上剃圖
棍勢總圖

扁身中欄【大當·大當·大當·大當】大剪大吊—一刺○滴水—【大當·大當·大當·大當】大剪大吊—一刺

滴水—【大當·大當·大當·大當】大剪大吊—一刺○滴水—【大當·大當·大當·大當】大剪大吊—一刺

滴水—仙人【棒盤·棒盤】大剪大吊—一刺○滴水—【仙人棒盤·仙人棒盤】大剪大吊—一刺

滴水—齊眉殺倒頭—下穿大吊—一刺○滴水—齊眉殺倒頭—下穿大吊—一刺

閃腰剪下接下穿大吊—一刺○下接下穿大吊—一刺

下接下穿大吊—一刺○下接下穿大吊—一刺

直符送書—走馬回頭—大剪大吊—一刺 扁身中攔—上剃畢

棍곤 니기ᄂᆞᆫ 譜보
두 사ᄅᆞᆷ이 棍곤을 자바 마조 셔셔 扁편身신中듕攔난勢셔ᄅᆞᆯ ᄒᆞ고 各각各각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셔 甲갑이 棍곤을 드러 乙을의 棍곤을 다이저 大대當당勢셔ᄅᆞᆯ ᄒᆞ고 乙을이 ᄯᅩ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이저 大대當당이 되고 甲갑이 ᄯᅩ 棍곤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이저 大대當당이 되고 乙을이 ᄯᅩ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이저 大대當당이 되고 인ᄒᆞ여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ᄇᆞ리텨 大대剪젼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둘러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텨【손으로 자븐ᄃᆡ라】 大대吊뎍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가ᄉᆞᆷᄞᅦ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며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을 ᄠᅱ오텨 滴뎍水슈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을의 棍곤을 대

잇고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甲갑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며 滴뎍水슈勢셔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ᄠᅱ오텨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ᄒᆞᆫ 발 나오혀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갑이 ᄯᅩ 大대當당으로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甲갑의 棍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여 滴뎍水슈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거ᄅᆞᆷ 나오혀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갑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갑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곳 大대剪젼

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甲갑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야 滴뎍水슈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ᄒᆞᆫ 발 나오혀고 棍곤 니ᄅᆞ혀 乙을의 머리 우ᄒᆞᆯ 向향ᄒᆞ야 텨ᄃᆞᆫ 乙을이 ᄒᆞᆫ 발ᄅᆞᆯ 나오혀 仙션人인捧봉盤반勢셔ᄅᆞᆯ ᄒᆞ야 ᄡᅥ 밧고 ᄯᅩ 텨ᄃᆞᆫ 乙을이 ᄯᅩ 仙션人인捧봉盤반으로 밧고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왼녁크로 向향ᄒᆞ야 甲갑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발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야 滴뎍水슈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발 나오혀고 棍곤을 니ᄅᆞ혀 甲갑의 머리 우ᄒᆞᆯ 向향ᄒᆞ야 텨ᄃᆞᆫ 甲갑이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仙션人인捧봉盤반勢셔로ᄡᅥ 밧고 乙을이 ᄯᅩ 텨ᄃᆞᆫ 甲갑이 ᄯᅩ 仙션人인捧봉盤반으로 밧고셔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

야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ᄂᆞ
甲갑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야 滴뎍水슈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ᆡ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발 나오혀고 棍곤을 니ᄅᆞ혀 앏흐로 向향ᄒᆞ야 ᄡᅥ 齊졔眉미殺살勢셔ᄂ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棍곤으로ᄡᅥ 아래 다히로 티거ᄃᆞᆫ 乙을이 곳 倒도頭두勢셔ᄂᆞᆯ ᄒᆞ야 ᄡᅥ 막고 인ᄒᆞ야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下하穿쳔勢셔ᄂᆞᆯ ᄒᆞ야 甲갑의 棍곤을

들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며 滴뎍水슈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고 棍곤을 니ᄅᆞ혀 앏ᄒᆞᆯ 向향ᄒᆞ야 齊졔眉미殺살이 되고 인ᄒᆞ야 棍곤으로ᄡᅥ 아래 다히로 티거든 甲갑이 곳 倒도頭두勢셔 되여 막고 인ᄒᆞ야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막고 下하穿쳔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들티고 겨레 大대滴뎍을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

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두 사ᄅᆞᆷ이 ᄒᆞᆷ긔 몸을 휜두ᄅᆞ티며 棍곤을 둘러 閃셤腰요剪젼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下하接졉勢셔ᄂᆞᆯ ᄒᆞ고셔 甲갑이 下하穿쳔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겨레 大대滴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ᄂ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두 사ᄅᆞᆷ이 ᄒᆞᆷᄭᅴ 몸을 휜두ᄅᆞ티며 棍곤을 둘러 下하接졉이 되고 乙을이 下하穿쳔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겨레 大대滴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내혀 그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두 사ᄅᆞᆷ이 몸을 ᄒᆞᆷᄭᅴ 휜두로티고 棍곤을 둘러 下하接졉이 되고 甲갑이 下하穿쳔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들티고 겨ᄅᆡ 大대滴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내혀며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ᄒᆞᆫ 바ᄅᆞᆯ 믈러 直딕符부送송書셔勢셔ᄂᆞᆯ ᄒᆞ며셔 甲갑 棍곤을 잡고 몸을 누로티며 앏흐로 向향ᄒᆞ야 서ᄅᆞ 마ᄀᆞ며 므ᄅᆞ거든 乙을이 ᄠᅡ로며셔 텨ᄃᆞᆫ【ᄯᅩᄒᆞᆫ ᄠᅡ로며 ᄯᅩᄒᆞᆫ 티라】 믈러 세 거ᄅᆞᆷ의 니ᄅᆞ러 甲갑이 곧 몸을 로혀며 ᄒᆞᆫ 거ᄅᆞᆷ을 나아드러 走주馬마回회頭두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나아드러

大대剪젼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ᄅᆡ 大대滴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나아드러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甲갑이 ᄒᆞᆫ 발ᄅᆞᆯ 므ᄅᆞᄃᆞ라 扁편身신中듕攔난이 되고 두 사ᄅᆞᆷ이 ᄒᆞᆷᄭᅴ ᄒᆞᆫ 발식 나오혀 上샹剃뎨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藤牌製

老粗藤如指用之爲骨藤蔑纏聯中心突向外內空 以藤爲上下二環以容手肱執持每兵執一牌一腰 刀閣刀手腕一手執鏢擲去彼必應急取刀隋牌殺 入

늙고 머트러온 藤등 손ᄀᆞ락 ᄀᆞᄐᆞ니ᄅᆞᆯ ᄡᅥ셔 소글

ᄒᆞ고 藤등 거플로 얽고 가온대 두두록이 밧글 向향ᄒᆞ야 브러나게 ᄒᆞ고 안ᄒᆞᆯ 뷔게 ᄒᆞ야 藤등으로ᄡᅥ 우 아래 두 골ᄒᆡᄅᆞᆯ ᄒᆞ야 ᄡᅥ 손과 ᄑᆞᆯ 구ᄇᆡᄅᆞᆯ 容용납ᄒᆞ야 잡게 ᄒᆞ고 每ᄆᆡ兵병이 牌패 ᄒᆞ나콰ᄎᆞᆯ 환도 ᄒᆞ나ᄒᆞᆯ 자밧다가 환도ᄅᆞᆯ 손 구ᄇᆡ예 연ᄭᅩ ᄒᆞᆫ 손애 鏢표槍창을 자바 더디면 뎨 반ᄃᆞ시 應응ᄒᆞᆯ 거시니 ᄲᆞᆯ리 環환刀도ᄅᆞᆯ 자바셔 牌패ᄅᆞᆯ 조차 드리ᄃᆞᄅᆞᆯ디니라
牌譜

初作起手勢以劒從頭上一揮旋作躍步勢仍以劒 循牌一揮作低平勢起立作金鷄畔頭勢仍以劒循 牌一揮進一步爲低平起立爲躍步又以劒循牌一 揮進一步爲低平起立翻身作滾牌勢以劒循牌一 揮進一步爲低平起立作仙人指路勢

起手圖
躍步圖
低平圖
金鷄畔頭圖
滾牌圖
仙人指路圖

退一步作埋伏勢又退一步爲埋伏起立飜身爲滾 牌又以劒循牌一揮退一步爲埋伏起立爲仙人指 路退一步爲埋伏起立飜身爲滾牌又以劒循牌一 揮退一步爲埋伏起立爲躍步

埋伏圖

擧一足繞足揮劒向右邊轉一步作斜行勢畢

斜行圖
牌勢總圖

進起手躍步—低平金鷄畔頭—低平躍步—低平滾牌—低平仙人指路 [1]

退—埋伏—埋伏滾牌—埋伏仙人指路—埋伏滾牌—埋伏躍步斜行

藤등牌패 니기ᄂᆞᆫ 譜보
처어믜 起긔手슈勢셔ᄅᆞᆯ ᄒᆞ고 칼로ᄡᅥ 머리 우ᄒᆞᆯ 조차 ᄒᆞᆫ 번 두ᄅᆞ고 겨ᄅᆡ 躍약步보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둘러 低뎨平평勢셔ᄅᆞᆯ ᄒᆞ고 닓더셔 金금鷄계畔반頭두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둘러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低뎨平평 되고 닓더셔 躍약步보 되고 ᄯᅩ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低뎨平평 되고 닓더셔 몸을 휜두ᄅᆞ텨 滾곤牌패勢셔ᄅᆞᆯ ᄒᆞ고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低뎨平평 되고 닓더셔 仙션人인指지路로勢셔ᄂᆞᆯ ᄒᆞ라
ᄠᅴ여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믈러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몸 두ᄅᆞ텨 滾곤牌패 되고 ᄯᅩ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仙션人

인指지路로 되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몸을 휜두ᄅᆞ텨 滾곤牌패 되고 ᄯᅩ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躍약步보 되ᄂᆞ니라
ᄒᆞᆫ 바ᄅᆞᆯ 드러 바ᄅᆞᆯ 둘러 칼ᄒᆞᆯ 두ᄅᆞ고 올ᄒᆞᆫ녁 겨ᄐᆞ로 ᄒᆞᆫ 거ᄅᆞᆷ을 옴겨 드ᄃᆡ여 斜샤行ᄒᆡᆼ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筤筅製

長一丈五尺重七斤有竹鐵二種附枝必九層十層 十一層尤妙筅鋒重半斤以上亦可附枝除近手二 層外餘俱用倒鉤冠其杪根後要粗重手執于中 前後相稱寧後重毋前重

기ᄅᆡ ᄒᆞᆫ 丈댱 다ᄉᆞᆺ 자히오 므귀 닐곱 斤근이라 대과 쇠 두 가지 이시니 브ᄐᆞᆫ 가지 반ᄃᆞ시 아홉 層층

을 홀디니 열 層층 열ᄒᆞᆫ 層층이 더 妙묘ᄒᆞ니라 筅션ᄂᆞᆯ 므귀 半반斤근으로ᄡᅥ 우히 ᄯᅩ 올ᄒᆞ니라 브ᄐᆞᆫ 가지ᄅᆞᆯ 손 갓가온 두 層층 말고 밧긔 나믄 ᄃᆡᄂᆞᆫ 다 갓곤 미ᄂᆞᄅᆞᆯ ᄡᅥ 그 그ᄐᆡ 스이라 밋 뒤다히ᄅᆞᆯ 모로미 크고 므겁게 홀디니 손으로 가온대ᄅᆞᆯ 자바 모로미 압뒤히 서ᄅᆞ 맛게 호ᄃᆡ ᄎᆞᆯ하리 뒤히 므겁게 ᄒᆞ고 앏피 므겁게 말라
筅譜

初作中平勢旋擧一足作閘下勢仍作架上勢一刺 又一刺卽進一步爲閘下以架上一刺又進一步爲 閘下以架上一刺又進一步爲閘下以架上一刺又 一刺

中平圖
閘下圖
架上圖

退一步作拗步退勢爲閘下以架上一刺又以拗步 退退一步爲閘下以架上一刺

拗步退圖

仍向右邊轉一步作鉤開勢向右邊轉一步爲閘下 以架上一刺還向右轉一步爲鉤開向左邊轉一步 爲閘下以架上一刺又一刺

鉤開圖 又以拗步退退一步爲閘下以架上一刺又以拗步

退退一步爲閘下以架上一刺

頓一足進一步作騎龍勢畢

騎龍圖
筅勢總圖[2]

進 中平【架上閘下·架上閘下】 架上閘下 閘下架上 【閘下架上·閘下架上】

退 拗步退閘下架上 拗步退閘下架上 進 拗步退閘下架上 鉤開 拗步退閘下架上 鉤開 拗步退閘下架上 退 拗步退閘下架上 拗步退閘下架上 騎龍畢

筤낭筅션 니기ᄂᆞᆫ 譜보
처엄의 中듕平평勢셔ᄅᆞᆯ ᄒᆞ고 겨레 ᄒᆞᆫ 바ᄅᆞᆯ 드러 閘압下하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架가上샹勢셔ᄅᆞᆯ ᄒᆞ야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번 디ᄅᆞ고 즉시 ᄒᆞᆫ 거ᄅᆞᆷ을 낫드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拗뇨步보退퇴勢셔ᄅᆞᆯ ᄒᆞ고 閘

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拗뇨步보退퇴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라
인ᄒᆞ야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鉤구開ᄀᆡ勢셔ᄅᆞᆯ ᄒᆞ고 왼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도로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鉤구開ᄀᆡ 되고 왼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ᄯᅩ 拗뇨步보退퇴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拗뇨步보退퇴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발 구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騎긔龍룡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長鎗製

長鎗桿長一丈五尺北方乾燥竹不可用木桿可用 東南竹木皆可通用後手要粗可盈把從根起漸漸 細直至頭而止鎗頭不可過四兩

長댱鎗창 ᄌᆞᄅᆞᆺ 기ᄅᆡ ᄒᆞᆫ 丈댱 대자 히니 北븍方방은 ᄆᆞᄅᆞ니 대ᄅᆞᆯ 可가히 ᄡᅳ디 몯ᄒᆞ고 나모 ᄌᆞᄅᆞᆯ 可가히 ᄡᅳᆯ 거시니라 東동南남은 대과 남글 可가히 通통ᄒᆞ여 ᄡᅳᆯ디니라 뒷 손의ᄂᆞᆫ 모로미 커 可가히 줌에 ᄎᆞ게 ᄒᆞ고 미ᄐᆞ로셔 시작ᄒᆞ여 漸졈漸졈 ᄀᆞ

ᄂᆞ라 그ᄐᆡ 니ᄅᆞ러 그치라 鎗창 그티 可가히 넉 兩냥의 넘디 몯홀디니라
長鎗前譜

初作太山壓卵勢旋作美人認針勢仍作鐵飜竿勢 抽鎗作四夷賓服勢便作滴水指南針兩勢卽連足 進一步又以滴水指南針連進二步便作鐵牛耕地 勢旋作十面埋伏勢一刺

太山壓卵圖
美人認針圖
鐵飜竿圖
四夷賓服圖
滴水圖
指南針圖
鐵牛耕地圖
十面埋伏圖

以滴水指南針退一步又以滴水指南針退一步立 原地

以滴水指南針進一步又以滴水指南針兩勢連進 二步便爲鐵牛耕地以十面埋伏一刺

又爲滴水指南針仍作邊攔勢急轉身回鎗退一步 作白猿拖刀勢又退一步立原地作騎龍勢

邊攔圖
白猿拖刀圖
騎龍圖

又以滴水指南針進一步卽爲鐵牛耕地以十面埋 伏一刺

仍爲滴水指南針以鐵飜竿點鎗作太公釣魚勢畢

太公釣漁圖
長鎗前譜諸勢總圖[3]

進 太山壓卵【美人認針·鐵飜竿】四夷賓服【滴水·指南針)】 【滴水】 【指南針】 鐵牛耕地十面埋伏

退 滴水指南針 滴水指南針 退至原地

進 滴水指南針 【滴水】 【指南針】 鐵牛耕地十面埋伏

退 【滴水指南針】 邊欄 白猿拖刀 騎龍【退至原地】 滴水指南針 【鐵牛耕地·十面埋伏】 【滴水·指南針】 鐵飜竿太公釣漁【畢】

長댱鎗창 니기ᄂᆞᆫ 前젼譜보
처엄의 太태山산壓압卵난勢셔ᄅᆞᆯ ᄒᆞ고 겨레 美미人인認잉針침勢셔ᄒᆞ고 인ᄒᆞ야 鐵텰飜번竿간勢셔ᄅᆞᆯ ᄒᆞ며셔 鎗창을 ᄲᅢ 그어 四ᄉᆞ夷이賓빙

服복勢셔ᄅᆞᆯ ᄒᆞ고 곧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 두 勢셔ᄅᆞᆯ ᄒᆞ고 즉시 밧측을 다혀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ᆺ고 ᄯᅩ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 ᄡᅥ 連년ᄒᆞ야 두 거ᄅᆞᆷ 낫ᄃᆞ라 곧 鐵텰牛우耕경地디勢셔ᄅᆞᆯ ᄒᆞ며 겨러 十십面면埋ᄆᆡ伏복勢셔ᄅᆞᆯ ᄒᆞ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고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셔라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ᄯᅩ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 두 勢셔로 連년ᄒᆞ여 두

거ᄅᆞᆷ 낫ᄃᆞ라 곧 鐵텰牛우耕경地디ᄅᆞᆯ ᄒᆞ며셔 十십面면埋ᄆᆡ伏복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ᄯᅩ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을 ᄒᆞ며셔 인ᄒᆞ야 邊변攔난勢셔ᄅᆞᆯ ᄒᆞ고 急급히 몸을 두로티며 鎗창을 도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白ᄇᆡᆨ猿원拖타刀도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셔셔 騎긔龍룡勢셔ᄅᆞᆯ ᄒᆞ라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곧 鐵텰牛우耕경地디 되여 十십面면埋ᄆᆡ伏복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야 滴뎍水슈指지南

남針침이 되여 鐵텰飜번竿간으로ᄡᅥ 鎗창을 點뎜ᄒᆞ고 太태公공釣됴魚어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長鎗後譜

初作朝天勢旋作蒼龍擺尾勢進一步作伏虎勢又 進一步爲伏虎又進一步作堆山塞海勢一刺

朝天圖
蒼龍擺尾圖
伏虎圖
堆山塞海圖

退一步作鋪地錦勢又退一步作琵琶勢

鋪地錦圖
琵琶圖

進一步作鶉子撲鵪鶉勢又進一步作靈猫捉鼠勢 又進一步作靑龍獻爪勢

鷂子撲鵪鶉圖
靈猫捉鼠圖
靑龍獻爪圖 退一步作𩤔劒勢又退一步作闖鴻門勢
𩤔劒圖
闖鴻門圖 進一步作夜叉探海勢畢
夜叉探海圖
長鎗後譜諸勢總圖[4]

進 朝天蒼龍擺尾 伏虎 伏虎 堆山塞海 退 鋪地錦 琵琶 進 鶉子撲鵪鶉 靈猫捉鼠 靑龍獻爪 退 𩤔劒 闖鴻門 夜叉探海【畢】

長댱鎗창 니기ᄂᆞᆫ 後후譜보
처엄의 朝됴天텬勢셔ᄅᆞᆯ ᄒᆞ고 겨레 蒼창龍룡擺파尾미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伏복虎호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伏복虎호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推퇴山산塞ᄉᆡᆨ海ᄒᆡ勢셔ᄅᆞᆯ ᄒᆞ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鋪포地디錦금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琵비琶파勢셔ᄒ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鶉요子ᄌᆞ撲박鵪암鶉슌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靈녕猫묘捉착鼠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靑쳥龍룡獻헌爪조勢셔ᄒ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𩤔엄劒검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闖틍鴻홍門문勢셔ᄒ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夜야叉차探탐海ᄒᆡᄅᆞᆯ ᄒᆞ야 ᄆᆞᄎᆞ라

鎲鈀製

長七尺六寸重五斤柄杪合鈀口根粗一寸至杪漸 漸細正鋒與橫股合爲一柄中鋒必高二寸且兩股 平平加以架火箭

기ᄅᆡ 닐곱 자 여ᄉᆞᆺ 치오 므긔 닷 斤근이니 ᄌᆞᄅᆞᆺ 그티 鈀파 어귀예 맛게 ᄒᆞ고 밋 몸ᄑᆡ ᄒᆞᆫ 치니 그ᄐᆡ 니ᄅᆞ히 漸졈漸졈 ᄀᆞᄂᆞ라 正졍ᄂᆞᆯ히 빗긴 가지로 더브러 아오라ᄒᆞᆫ ᄌᆞᆯ리 될 디니 가온댄 ᄂᆞᆯ히 반ᄃᆞ시

두 치오 ᄯᅩ 두 가지 平평平평ᄒᆞ여 可가히 ᄡᅥ곰 火화箭젼을 언ᄭᅦ ᄒᆞ라
鈀譜

初作朝天勢旋作中平勢一刺進一步作進步勢以 中平一刺又進一步爲進步以中平一刺又進一步 以中平一刺仍作伏虎勢進一足作騎龍勢進一足 爲中平一刺

朝天圖
中平圖
進步圖
伏虎圖
騎龍圖

退一步爲伏虎以中平一刺又退一步爲伏虎以中 平一刺又退一步爲伏虎以中平一刺仍爲爲伏虎 進一足爲騎龍連足進一步作拿鎗進一足作架鎗 勢進一足爲騎龍連足進一步爲拿鎗進一足爲架 鎗仍爲伏虎進一步以中平一刺

拿鎗圖
架鎗圖 退 一步爲伏虎一刺又退一步爲伏虎一刺又退一

步爲伏虎一刺仍爲伏虎

向右邊轉進一步以騎龍畢

鈀勢總圖[5]

進 朝天中平 進步【中平】 進步【中平】 進步【中平】 伏虎【騎龍】 中平

退 伏虎 伏虎 伏虎伏虎

進 騎龍 拿鎗 架鎗 騎龍 拿鎗 架鎗伏虎 中平

退 伏虎 伏虎 伏虎 騎龍【畢】

鎲당鈀파 니기ᄂᆞᆫ 譜보

처엄의 朝됴天텬勢셔ᄅᆞᆯ ᄒᆞ고 겨레 中듕平평勢셔ᄅᆞᆯ ᄒᆞ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進진步보勢셔ᄅᆞᆯ ᄒᆞ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進진步보 되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야 伏복虎호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騎긔龍룡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中듕平평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여 伏복虎

호 되여 ᄒᆞᆫ 발 낫ᄃᆞ라 騎긔龍룡 되고 바ᄅᆞᆯ 連년ᄒᆞ여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拿나鎗창勢셔ᄅᆞᆯ ᄒᆞᆫ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架가鎗창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騎긔龍룡 되고 바ᄅᆞᆯ 連년ᄒᆞ여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拿나鎗창되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架가鎗창 되고 인ᄒᆞ야 伏복虎호 되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中듕平평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믈러 伏복虎호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여

伏복虎호 되여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을 옴겨 낫ᄃᆞ라 騎긔龍룡으로ᄡᅥ ᄆᆞᄎᆞ라

長刀製

刃長五尺後用銅護刃一尺柄長一尺五寸共長六 尺五寸重二斤八兩此自倭犯中國始有之彼以此 跳舞光閃而前我兵已奪氣矣倭一躍丈餘刀長五 尺我兵遭之者身多兩斷今如獨用則無衛惟鳥銃 手賊遠發銃賊至近身則此刀可以兼用

ᄂᆞᆯ 기ᄅᆡ 대자히오 뒤ᄒᆡ 구리로ᄡᅥ ᄂᆞᆯᄒᆞᆯ ᄲᆞ기ᄅᆞᆯ ᄒᆞᆫ

자만 ᄒᆞ고 ᄌᆞᄅᆞᆺ 기ᄅᆡ ᄒᆞᆫ 자 다ᄉᆞᆺ 치라 대되 기ᄅᆡ 예자 다ᄉᆞᆺ 치오 므긔 두 斤근 여ᄃᆞᆲ 兩냥이니 이ᄂᆞᆫ 예 中듕國국을 犯범ᄒᆞ므로브텨 비로소 이시니 뎨일올ᄡᅥ ᄠᅱ며 뒤져겨 비치 번득번득 ᄒᆞ여 나아오면 내 兵병이 ᄇᆞᆯ셔 氣긔운을 아이ᄂᆞ니라 예 ᄒᆞᆫ 번 丈댱 나마 ᄠᅱ고 ᄂᆞᆯ 기ᄅᆡ 대 자히리 내 兵병 만나ᄂᆞᆫ 者쟈 몸미 만히 둘ᄒᆡ 그처 디ᄂᆞ니 이제 만일 혼자 ᄡᅳᆫ則즉 ᄭᅳ릴 거시 업ᄉᆞ니 오직 鳥됴銃츙手ᄉᆔ도 ᄌᆞ기 머러신 제ᄂᆞᆫ 銃츙통 노코 도ᄌᆞ기 니ᄅᆞ러 모ᄆᆡ 니ᄂᆞᆫ 則즉 이 칼ᄒᆞᆯ 可가히 兼겸ᄒᆞ여 ᄡᅳᆯ디니라

劒譜

負劒正立以左手持劒柄旋作見賊出劒勢進一步 以劒從頭上一揮作持劒對賊勢進一足作向左防 賊勢又進一足作向右防賊勢轉身跳進一步作向 上防賊勢回身進一足作向前擊賊勢一擊又進一 步以向前擊賊勢向左一擊又進一步以向前擊賊 勢向右一擊

見賊出劒圖
持劒對賊圖
向左防賊圖
向右防賊圖
向上防賊圖
向前擊賊圖

轉身作初退防賊勢退至原地

初退防賊圖

回身進一步爲進前殺賊勢一擊仍轉身作持劒進 坐勢卽作拭劒伺賊勢還退一步作閃劒退坐勢起 立更進一足爲進前殺賊勢一擊又進一足爲向上 防賊勢卽進一足爲進前殺賊勢一擊仍作揮劒向 賊勢以此連進三步更進一足以進前殺賊勢一擊 又進一足爲向上防賊勢進一足以進前殺賊勢一 擊又進一步一刺

進前殺賊圖
持劒進坐圖
拭劒伺賊圖
閃劒退坐圖
揮劒向賊圖 轉身以劒三揮而退仍作再退防賊勢以此退至原

再退防賊圖 回身進一足爲向上防賊勢又進一足爲向前擊賊

勢一擊仍轉身爲持劒進坐勢卽爲拭劒伺賊勢回 身進一足以左手持劒向前以右手更把仍爲向左 防賊勢進一足爲向右防賊勢轉身進一步爲向上 防賊勢回身進一步爲向前擊賊勢一擊又進一步 以向前擊賊勢向左一擊又進一步以向前擊賊勢 向右一擊

轉身作三退防賊勢以此退至原地

三退防賊圖

回身進一足以向前擊賊勢又進一步以向前擊賊 勢一擊轉身爲持劒進坐勢卽爲拭劒伺賊勢回身 作藏劒賈勇勢畢

藏劒賈勇圖
劒勢總圖[6]

進 見賊出劒 持劒對賊【向左防賊】向右防賊【向上防賊】向前擊賊 上仝【左擊】 上仝【右擊】

退 初退防賊—退至原地

進 進前殺賊【持劒進坐·拭劒伺賊】【向上防賊】 進前殺賊—揮劒向賊—上仝—上仝—進前殺賊【向上防賊】進前殺賊 一刺閃劒退坐【進前殺賊】

退再退防賊 退至原地

進 【向上防賊】向前擊賊【持劒進坐·拭劒伺賊】 【向左防賊】向右防賊【向上防賊】向前擊賊 上仝 上仝

退 三退防賊 退至原地

【向前擊賊】向前擊賊—【持劒進坐·拭劒伺賊】 藏劒賈勇【畢】

劒검 니기ᄂᆞᆫ 譜보
칼ᄒᆞᆯ 지고 正졍히 셔셔 왼손으로ᄡᅥ 칼ᄌᆞᆯᄅᆞᆯ 자바셔 겨레 見견賊적出츌劒검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칼로ᄡᅥ 머리 우ᄒᆞ로 ᄒᆞᆫ 번 둘러 持디劒검對ᄃᆡ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와 向향左좌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발 나오와 向향右우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두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발 나오혀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발 나오텨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왼녁 도라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 올ᄒᆞᆫ녁 도라 ᄒᆞᆫ 번 티라
몸을 두로텨 初초退퇴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니ᄅᆞ라
몸을 도로혀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ᄒᆞᆫ 번 티고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持디劒검進진坐좌勢셔ᄅᆞᆯ ᄒᆞ고 즉시 拭시劒검伺ᄉᆞ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도로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閃셤劒검退퇴坐좌勢셔ᄅᆞᆯ ᄒᆞ고 닓더 셔셔 다시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텨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발 낫ᄃᆞ라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卽즉시 ᄒᆞᆫ 발 낫ᄃᆞ라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ᄒᆞᆫ 번 티고 인ᄒᆞ야 揮휘劒검向향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일로ᄡᅥ 連년ᄒᆞ야 세 거ᄅᆞᆷ을 낫들고 곳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로ᄡᅥ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발 나오혀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ᄒᆞᆫ 번 디ᄅᆞ라
몸을 두로텨 칼로 세 번 저어 믈러 인ᄒᆞ야 再ᄌᆡ退퇴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일로ᄡᅥ 므ᄅᆞᄃᆞ라 제자

ᄒᆡ 니ᄅᆞ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와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와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持디劒검進진坐좌勢셔ᄅᆞᆯ ᄒᆞ여셔 卽즉시 拭시劒검伺ᄉᆞ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티며 왼손으로ᄡᅥ 칼ᄒᆞᆯ 둘러 앏플 向향ᄒᆞ야 올ᄒᆞᆫ손으로 다시 잡아셔 인ᄒᆞ야 向향左좌防방賊적勢셔 되고 ᄒᆞᆫ 발 나와 텨 向향右우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 되여셔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ᄒᆞ야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왼녁크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올ᄒᆞᆫ녀ᄏᆞ로 ᄒᆞᆫ 번 티라
몸을 두로텨 三삼退퇴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일로ᄡᅥ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니ᄅᆞ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낫ᄃᆞᄅᆞ며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ᄒᆞᆫ 번 티고 몸을 두로텨 持

디劒검進진坐좌勢셔ᄅᆞᆯ ᄒᆞ여셔 卽즉시 拭시劒검伺ᄉᆞ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혀 藏장劒검賈고勇용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技藝質疑

韓嶠問於許遊擊曰技擊之妙可得聞歟

答曰此技至粗理入至精其手法足法身法之妙 爲將者必親身學之乃知其妙必積以日月乃得 其精一時言之無益也非秘之也實立談之下難 言難言

又問精微之妙固難遽聞但以至粗禀臺下

答曰粗者不過一膽二力三精四快而已

又問戚子著書揭圖而長鎗有二十四勢無非防 賊殺賊自不容已之勢也似不可闕一竊見今日 敎師之所傳只是十二勢欠了一半何也

答曰二十四勢一勢之變耳推之可至百勢奚止 二十四約之則進退剛柔一勢盡之連十二勢亦 多也

又問易六十四卦是亦一卦之變也聖人定之以 六十四則一卦減不得矣戚子就歷代流來鎗勢 刪其煩冗爲二十四其意有在豈可容易去取乎 故小生嘗於敎師所傳十二勢之外又以其餘十 二勢作別譜而連習之然後戚子所定鎗勢始得 完備而無欠缺矣所敎十二勢亦多雖聞命矣但 戚子作圖必至於二十四故連習恐無妨未知妄 料太支離否

答曰非支離也道本一體散爲萬殊如碁之勢多 多萬萬精得百勢可稱國手

又問所謂大門小門是左右耶前後耶

答曰大門前也小門後也前卽左後卽右

又問所謂陰陽手何謂也

答曰凡器械以手向下執者謂之陰向上執者謂 之陽陽以提起殺去陰以打去皆自然如此

他日請益 答曰日因都爺西旋愁悶無聊未知朝鮮安危如 何我軍班師何日食不下咽唯撫枕長嘆而已承 問兵技無心以對夫楚之技擊齊之節制有人可 興無人可亡今熟者忽去新者未來孰主張是孰 綱維是雖學一夫之敵將安用之但旣來一番可 同我掌號官便就千摠事一習之

又請益

答曰此技必身法腰法手法足法徒識其名無益 於用生在此作文書公移稿且三日不進飮食乞 歸在卽無心講武 武藝交戰法

籌海重編曰嘗較藝兵中見狼筅手俱弄花步無進 法因召鎗筅敎師問曰筅與鎗敵孰勝鎗好勝筅筅 好勝鎗曰非也鎗豈能勝筅哉由筅之不精耳因取 鈀法大當小當大壓小壓爲守法又取劒經所云一 聲響處直千金彼失隄防我便嬴爲進法授之筅敎 師與鎗敎師較十較而十勝有老兵跪曰處州筅原 如此後人失其傳耳客曰然則通營何不俱用筅曰 筅何足恃也筅當以藤牌勝之盖牌法勢險節短一 挨入則筅爲贅物矣此以捷勝鈍也客曰然則通營 何不俱用牌曰牌何足恃也牌以兪家棍勝之兪家 棍着力用陰陽轉一殺則牌自顚仆矣此以實擊虛 也客曰然則通營何不俱用棍曰何足恃也當以楊 家鎗勝之盖棍短而鎗長以長擊短必爲所勝矣客 曰然則通營何不俱用鎗曰鎗則筅可勝之鎲可勝 之矣故五兵之利長以衛短短以救長不可陷之盾 與無不陷之矛均不可缺推此而制陳之方火器籍 兵器而無恐兵器籍火器而取勝形格勢禁使之無 所顧有所恃如淮陰背水陳法此一二名將所陰用 而不言於人而人當自悟也 竊伏惟念筅鎗鈀棍劒及鳥銃弓矢之技 雖有遠近之殊其所以殺賊一也近技之不可 施於遠遠技之不得用於近是皆理勢之所必 然者也遠技近技之不可闕一也不亦較然矣 乎兵不雜則不利司馬法豈欺我哉然有弓矢 則有習射之法有鳥銃則有習放之法至於牌 筅鎗鈀棍劒亦莫不習有習用之法習之不以 其法而能善其技者天下無是理也故項羽學 劒楊氏習梨花鎗二十年欲善其技而不由其 法則何異却步而圖前乎惟我 國家偏處海外從古所傳只有弓矢一技至於劒 鎗則徒有其器顧無習用之法馬上一鎗雖用 於試場而其法亦未詳備故劒鎗之爲棄器久 矣故與倭對陳倭輒敢死突進我軍雖有持鎗 而帶劒者劒不暇出鞘鎗不得交鋒束手而盡 衄於兇刃皆由於習法之不傳故也世之訾薄 是法者以爲弓砲則必須習其射放至如劒鎗 臨陣自可擊刺何待肄習而後能之是則有不 然者夫我 國人則喫飯用匙而 中國人則乃以箸試令 中國以匙而我 國以箸則各不無生疎之患由習與不習故也匙 箸之用尙然況劒鎗乎夫弓矢雖爲我 國之長技烏可習其一而廢諸技哉今因 天朝將士留駐我 國始見鳥銃及牌筅鎗鈀習用之法又得紀效新 書按圖而證正之然後凡銃手擊打之法及武 藝諸勢殺賊之法皆可得以追究矣歲在甲午 春 特命訓練都監飜譯殺手諸譜於其時適忝郞僚 承提調指揮專管是事而第緣材識昏劣莫能 尋其端緖乃使振作武藝迅掃妖氛之 盛意不能速見效於斯世罪大矣嘗見紀效新書 習鈀法下文云如今所製鈀譜入他爲妙以此 推之其他諸藝亦必皆有其譜而今莫之見矣 新書中所載者則只是諸勢之圖贊明各勢之 文而止耳至於諸勢連習之譜則無可考据不 得已抄率殺手偏質於 天朝將士非止一二而風回電轉進銳退速之間某 勢某法有難摸捉矣況 天朝將士其於諸勢亦多習而不察何從而考問乎 抑長鎗有二十四勢敎師之所傳只有十二勢 欠却一半乙未年殺手譜飜譯之時以其所 欠十二勢作爲別譜附於其下使士卒連習之 羣疑滿腹尙未歸一以此殺手諸技迄無其譜 學之者徒信其手試之者徒信其目故正法日 廢而花法作矣去夏臣又因提調指揮以鎗勢 大段疑處及陰陽手大小門就正於許遊擊【國 威】然後更爲撰次飜譯而其所答問者亦皆詳 錄又以籌海重編各藝對戳之法附諸卷末冒 昧 進獻伏顧 一賜覽觀繼自今其所試藝一依此譜則雖或不中 亦必不遠花正由此而可辨庶不爲虛套之所 欺矣臣無任惶恐戰慄之至謹昧死以 聞 萬曆二十六年十月 日禦侮將軍行龍驤衛 司正臣韓嶠誠惶誠恐謹以撰次飜譯之意詳 錄于卷末云 五兵之用長短相須其不可廢一正 若五行之生克相成也而我 國自 昔但習弧矢雖有刀槍莫曉其用况 於銃牌筅棒之後出者乎萬曆壬辰 天兵征倭其中多荊楚奇才善技擊 盖傳戚少保遺法云遊擊將軍駱尙 志力勸我兵學習砲手殺手之藝此 訓局之所以創設而此譜之印行於 其時也至今百有餘年砲手幾遍一 國而短兵之用殆廢獨訓局有殺手 六哨他軍門廑有數十人雖以時試 藝譜亡不傳敎師之相口授多失其 舊法近有人得此譜於金化縣者余 亟請訓局大將李侯基夏重刻而壽 其傳又欲其校殺手之藝以復其舊 李侯樂聞而鋟梓今示以新本仍請 余識其事顧余未嘗學軍旅何能論 此譜得失然曾見他軍門操塲賊迫 陣前弓銃難施則砲手荷銃疊出空 手徒喊益知遊擊之盡敎諸藝訓局 之並置殺手深得五兵相須之意也 李侯今獲舊譜果能復正其坐作擊 刺之法以壯環衛之勢庶幾無負天 將當日之心矣嗚呼此譜初成於甲 午之歲重刻於再周之今年疑若有 數存焉固已興感於今昔而天將之 敎我兵習藝何可復見也遂撫卷流 涕而題其後歲甲午仲秋大匡輔國 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李頤命跋

각주[편집]

  1. 맨 앞의 進자를 제외하고 활자가 뒤집혀 조판되었다
  2. 뒤집힌 글자가 있음
  3. 뒤집힌 글자가 있음
  4. 뒤집힌 글자가 있음
  5. 뒤집힌 글자가 있음
  6. 뒤집힌 글자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