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Gminky/한글 마춤법 통일안(6판 한자판)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附錄 一 標準語

[편집]

三. 用言이 活用할적에는 그 語幹의 끝 音節의 홀소리가 ㅏ나 ㅗ일적에는 바침이 있거나 없거나 그 副詞形 語尾는 「아」로、 過去 時間辭는 「았」으로 定하고 그 홀소리가 ㅓ ㅜ ㅡ ㅣ ㅐ ㅔ ㅚ ㅟ ㅢ일적에는 「어」나 「었」으로만 定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1)

나아 나았다 나어 나었다
막아 막았다 막어 막었다
보아 보았다 보어 보었다
돌아 돌았다 돌어 돌었다

(2)

저어 저었다 저아 저았다
주어 주었다 주아 주았다
그어 그었다 그아 그았다
피어 피었다 피여 피였다
개어 개었다 개여 개였다
베어 베었다 베여 베였다
되어 되었다 되어 되었다
쉬어 쉬었다 쉬여 쉬였다
의어 의었다 의여 의였다

四、 語幹의 끝 音節이 닿소리 ㅅ ㅈ ㅊ의 바침으로 끝났을적에는 語尾의 ㅡ 소리가 ㅣ로 나는 일이 있으나、 이것은 모두 ㅡ로 統一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갖은 갖인
있으니 있이니
좇으니 좇이니
앉으니 앉이니
궂은 궂인

五、 漢字語나 純 朝鮮語나를 勿論하고 副詞의 끝 音節이 「이」나 「히」로 混同될적에 限하야 그 말이 語源的으로 보아 「하다」가 붙을수가 있는것은 「히」로 하고、 그러ㅎ지 아니한것은 「이」로 한다。

히-심히  자연히  감히  심심히  덤덤히
이-헛되이  반가이

[附記 1] 分明히 「이」나 「히」로만 나는 것은 나는대로 적는다。

이-적이
히-극히  작히

[附記 2] 分明히 「히」나 「이」의 두가지가 다 있는 것은 上記 規則에 맞는 것을 原則으로 하고、 그러ㅎ지 아니한쪽의 말은 許容한다。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도 許容한다)

답답히 답답이
똑똑히 똑똑이

六、 「이요」는 接續形이나 終止形이나 全部 「이요」로 하고、 「지요」는 「지요」로 統一한다。

이요-이것은 붓이요、 저것은 먹이요、 또 저것은 소요。
지요-갈 사람은 가지요。

七、 다음의 말은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을 許容하고 丙을 버린다。

삭이다 삭히다
시기다 시키다 식히다
박이다(使役) 박히다
박히다(被動) 박이다

[注意] 단순한 能動 「박다」의 뜻으로 「박이다」 「박히다」들을 씀은 認定하지 아니한다。

八、 다음의 말들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甲만 取하고 그 밖의 말들은 다 버린다。 (甲欄의 並記 括弧는 許容을 뜻하고、 下記 括弧는 註釋을 뜻한다) (音順)

가까스루 가까스로 (가)
가로(橫) 가루 거꾸루 거꾸로
가루(粉) 가로 거두다 걷우다
가슴 가심 (걷다)
가로되 가르대 거든 거던
가만히 가마니 겉(表)
가운대 가온데 겨우 겨오
가진(各色) 가즌 곁(傍)
갈모 갓모 계시다 게시다
갓(邊) 계집 게집
고루(均) 고로 너희 너이
고저 고자
골고루 골고로 놓치다 노치다
곳(處) 다음 다암
꽃(花) 꼿 (담)
구름 구룸 닻(錯)
끝(末) 더니 드니
나누다 노느다 더라 드라
(논다) 더라도 드라도
낟(穀) 더러 다려
낯(顔)
낱(個) 덮치다 덥치다
너무 너모 대(處)
(넘어) 데리고 다리고
데치다 뎃치다 (맘)
도루 돌오 마저 마자
도리어 도로혀 마주 마조
동곳(男簪) 동곧 마춤법(綴字法) 마침법
돛(帆) 마침(適) 마츰
돝(猪) 만나다 맛나다
되우(심히) 되오 맏(昆)
든지 던지 매우 매오
뜻(志) 머리맡(枕邊) 머리맛
려(보러 가다) 먼저 몬저
마땅히 맞당이 며느리 며누리
마디 마듸 며칠(幾日) 몇일
마음 마암 몇(幾)
모두 모다 벼(稻)
몫(配分) 뼈(骨)
뭍(陸) 볏(鏵)
밑(底) 볕(陽)
바늘 바눌 보리(麥) 버리
배우다 배호다 비다(空) 뷔다
밭(田) 비로소 비롯오
비추다(他動) 빛우다
뻐선 보선 비취다(被動) 빛외다
뻗치다 뻐치다 비치다(自動) 빛이다
벗(友) 빗(梳)
베다(枕) 비다 빚(債)
베다(斬) 버히다 빛(光)
베(布) 사뢰다 살외다
사슴 사심 숯(炭)
싸우다 싸호다 숱(量)
심다(植)
살갗(皮膚) 살갓 (시므다)
샅(股間) 아래 아레
새로 새루 아뢰다 알외다
서다(立) 스다 아버지 아바지
섬기다(事) 성기다 아직 아즉
세로(縱) 세루 어디 어듸
소금 소곰 어머니 어마니
소서 쇼셔 어찌 으찌
송곳(錐) 송곶 얼굴 얼골
솥(鼎) 없다 읎다
여덟 여듧 자주 자조
여우 여호 자취 자최
오늘 오날 저희(저의 복수) 저의
오줌 오좀 전혀 전여
오직 오즉 절루 절로
오히려 오이려 젓(醢)
외다(誦) 오이다 젖(乳)
옻(漆) 종이(紙) 조희
위(上) 처음 처엄
(우) (첨)
읍니다 음니다
(습니다) 키(높이)
이루 이로 팥(豆)
자루(柄) 자로 하는 하난
하늘 하날 하매 함애
하랴(反問) 하므로('하다'의 接續形) 함으로
하루 하로 (하는)데
합니다 함니다 행여 행혀
홀로 홀루 혹여 혹혀

附錄 二 文章 符號

[편집]

文章에 쓰는 重要한 符號는 大畧 다음과 같이 定한다。


1 。 文章의 끝난것을 나타낼적에 그 끝에 쓴다。

2 ・ 西洋의 同一 人名이나 地名 사이에 쓰기로 한다。

3 、 停止하는 자리를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4  : 大體로 對等의 말을 並列할적에 그 사이에 쓴다。

5  ; 한 文章이 끝났으나 다음 文章과 意味上 連絡이 있을 境遇에 그 사이에 쓴다。

6 『』 引用을 나타낼적에 쓴다。

7 「」 二重 引用을 나타낼적에 쓴다。

8  ! 感歎을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9  ? 疑問을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10 = 單語의 中絶된것을 나타낼적에 쓴다。

11 ― 「곧」(卽)의 意味로 쓴다。

12 - - 우의 말을 다시 解釋하고 넘어갈적에 쓴다。

13 …… 말은 끝내고 뜻을 말 밖에 나타낼적에 쓴다。

이 밖에도 ( ) [ ] { } 等 符號를 쓴다。

14 固有名詞를 表示하고저 할적에는 縱書에서는 左傍에 單線을 긋고, 橫書에서는 下線을 긋는다。

15 疊用을 表示할적에는 筆記에 限하야 쓰되、 縱書에는 〻를 쓰고、 橫書에는 〱[1]를 쓰기로한다。

16 長音票는 두 點을 글자의 왼쪽에 찍되、 다만 字典이나 聲音論 같은대에 聲音 符號로만 쓴다。

발  팔  경성(鏡城)

但 行文에서는 長音 符號를 特別히 表示하지 아니함을 原則으로 하고、 다만 外來語나 模倣語等을 特別히 表示할 必要가 있을 境遇에는 홀소리를 거듭 쓴다。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1. 또한 원문에서는 왼쪽에 90도 회전한 자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