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위키문헌에서의 기록이 모두 나와 있습니다. 로그 종류, 계정 이름, 문서 이름을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5월 5일 (화) 14:09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개정대비표를 사용한 개정방식에 대하여(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ader | title =개정대비표를 사용한 개정방식에 대하여(안) | author =일본 내각법제국 | section = | previous =법률 | next...)
- 2020년 5월 5일 (화) 12:45 Gminky 토론 기여님이 분류:신구조문대비표방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빈 문서를 만듦)
- 2019년 10월 26일 (토) 04:39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조선어 신 철자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옛한글}} {{머리말 |제목 = 조선어 신 철자법 |다른 표기 = 조선어 신철자법 |저자 = 조선 어문 연구회 |역자 = |부제 = |부제 다른 표기 = |이...)
- 2019년 10월 23일 (수) 16:05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국한문 시작/styles.css 문서를 사용자:Gminky/국한문 시작/sanitize.css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19년 10월 23일 (수) 16:02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국한문 알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ssagebox" style="width:100%;" |- | 150px|link= | style="text-align: center;vertical-align:auto;" | 이 문서는 w:옛 한...)
- 2019년 10월 23일 (수) 15:51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국한문혼용/styles.css 문서를 사용자:Gminky/국한문 시작/styles.css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19년 10월 23일 (수) 15:47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국한문혼용/styles.c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ughanmun { font-family: '함초롬돋움 LVT','HCR Dotum LVT','함초롬바탕 LVT','HCR Batang LVT','본명조','Source Han Serif K','본명조 KR','Source Han Serif KR','思源...)
- 2019년 10월 23일 (수) 15:45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국한문 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div></onlyinclude>)
- 2019년 10월 23일 (수) 15:41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국한문 시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templatestyles src="사용자:Gminky/국한문혼용/styles.css" /><span class="jamocomposed_block" {{#if:{{{style|{{{스타일|{{{모양|}}}}}}}}}|style="{{{style|{{{...)
- 2019년 10월 16일 (수) 13:28 Gminky 토론 기여님이 국문연구정의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국문연구정의안 |지은이 = |역자 = |부제 = 國文硏究定議案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알림}} {{옛한글 처음}} =...)
- 2019년 6월 18일 (화) 22:57 Gminky 토론 기여님이 틀:틀데이터 상단/설명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from 한국어 위키백과)
- 2019년 6월 18일 (화) 22:55 Gminky 토론 기여님이 틀:틀데이터 상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v class="templatedata-header">{{#if:{{{상단숨김|{{{noheader|}}}}}}| |다음은 시각편집기 및 다른 도구를 위한 백:틀데이터|틀데이...)
- 2019년 6월 18일 (화) 11:00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정리된 철자법에 의한 성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整理된綴字法에依한聖經 朴勝燾 序言 近日에 한글式新綴字法이流行되며 過渡期의一時的現象으로 各出版物이 그것을 흉내내랴는 狀態...)
- 2019년 6월 18일 (화) 07:30 Gminky 토론 기여님이 한글식 신철자법 반대성명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한글式 新綴字法 反對聲明書 | 저자 = 朝鮮文記寫整理期成會 }}한民族의言語와文字는 그民族의生活에至大한關係가잇는...) 태그: 시각 편집
- 2019년 1월 6일 (일) 03:01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개정한 한글 마춤법 통일안 (한글 판) 문서를 개정한 한글 마춤법 통일안 (한글 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부록2 빼고 완성하였기에)
- 2018년 12월 27일 (목) 09:05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개정한 한글 마춤법 통일안 (한글 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한글 마춤법 통일안 (한글판) |다른 표기 = |저자 = |역자 = |부제 = |부제 다른 표기 = |이전 = |다음 = |설명 = }} ==한글 판...)
- 2018년 12월 18일 (화) 15:49 Gminky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Gminky/Edittool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 id="edittools_wikimarkup" style="margin-top:0.25em;border-width:1px;border-style:solid none;border-color:#ccc;padding:0.25em;font-size:90%">'''マークアップ:''' "<charinsert>|...)
- 2018년 12월 18일 (화) 13:38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例 발 팔 경성(鏡城) 但 行文에서는 長音 符號를 特別히 表示하지 아니함을 原則으로 하고、 다만 外來語나 模倣語等을 特別히 表示할...)
- 2018년 12월 18일 (화) 13:38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7 「」 二重 引用을 나타낼적에 쓴다。 8 ! 感歎을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9 ? 疑問을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10 =...)
- 2018년 12월 18일 (화) 13:37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하늘||하날||하매||함애 |- |하랴(反問)|| ||하므로('하다'의 接續形)||함으로 |- |하루||하로||(하는)데||대 |- |합니다||함니다||행여||행혀...)
- 2018년 12월 18일 (화) 13:37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여덟||여듧||자주||자조 |- |여우||여호||자취||자최 |- |오늘||오날||저희(저의 복수)||저의 |- |오줌||오좀||전혀||전여 |- |오직||오즉||절...)
- 2018년 12월 18일 (화) 13:37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사슴||사심||숯(炭)||숫 |- |싸우다||싸호다||숱(量)||숫 |- |삯||삭||심다(植)|| |- |살갗(皮膚)||살갓||(시므다)|| |- |샅(股間)||삿||아래||아...)
- 2018년 12월 18일 (화) 13:36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모두||모다||벼(稻)||베 |- |몫(配分)||목||뼈(骨)||뻬 |- |뭍(陸)||뭇||볏(鏵)||볃 |- |밑(底)||밋||볕(陽)||볏 |- |바늘||바눌||보리(麥)||버리 |- |...)
- 2018년 12월 18일 (화) 13:36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데치다||뎃치다||(맘)|| |- |도루||돌오||마저||마자 |- |도리어||도로혀||마주||마조 |- |동곳(男簪)||동곧||마춤법(綴字法)||마침법 |- |돛(...)
- 2018년 12월 18일 (화) 13:35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고루(均)||고로||너희||너이 |- |고저||고자||넋||넉 |- |골고루||골고로||놓치다||노치다 |- |곳(處)||곧||다음||다암 |- |꽃(花)||꼿||(담)|| |-...)
- 2018년 12월 18일 (화) 13:35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6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注意] 단순한 能動 「박다」의 뜻으로 「박이다」 「박히다」들을 씀은 認定하지 아니한다。 八、 다음의 말들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 2018년 12월 18일 (화) 13:35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9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則으로 하고、 그러ㅎ지 아니한쪽의 말은 許容한다。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도 許容한다) 例 {| class="wikitable" !甲!!乙 |- |답답히||답답이 |...)
- 2018년 12월 18일 (화) 13:34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갖은||갖인 |- |있으니||있이니 |- |좇으니||좇이니 |- |앉으니||앉이니 |- |궂은||궂인 |} 五、 漢字語나 純 朝鮮語나를 勿論하고 副詞의...)
- 2018년 12월 18일 (화) 13:34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돌아||돌았다||돌어||돌었다 |} (2) {| class="wikitable" !colspan="2"|甲 !colspan="2"|乙 |- |저어||저었다||저아||저았다 |- |주어||주었다||주아||주...)
- 2018년 12월 18일 (화) 13:34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附錄 一 標準語 === 一、 무릇 어떠한 品詞를 勿論하고 한가지 뜻을 나타내는 말이 두가지 以上 있음을 特別한 境遇에만 認定한다。...)
- 2018년 12월 18일 (화) 13:33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열어보다||열어 보다 |- |잡아보다||잡아 보다 |- |보아오다||보아 오다 |- |견뎌내다||견뎌 내다 |} 但 對立의 境遇에는 띄어 쓴다。 (甲...)
- 2018년 12월 18일 (화) 13:32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第七章 띄어쓰기 === 第六一項 單語는 각각 띄어 쓰되、 토는 웃 말에 붙여 쓴다。 (一) 名詞와 토 例 (1) 사람은。 밥으로만。 (2)...)
- 2018년 12월 18일 (화) 13:32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第五八項 「시 지 치」로 끝난 語幹에 「어」가 와서 소리가 줄어 音節이 줄어질적에는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을 許容한다。 例 {| class="w...)
- 2018년 12월 18일 (화) 13:32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그리어||그려 |} 第五六項 語幹의 끝 音節 「하」의 ㅏ가 줄어질적에는 ㅎ을 中間에 놓기를 原則으로 하고、 또 우의 音節에 바침으...)
- 2018년 12월 18일 (화) 13:31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기쁘어||기뻐 |- |건느었다||건넜다 |- |크었다||컸다 |- |기쁘었다||기뻤다 |} 第五五項 홀소리로 끝난 語幹의 밑에 「이 아 어」가 와...)
- 2018년 12월 18일 (화) 13:31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5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第五三項 토만이나 또는 토와 名詞가 함께 줄어진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例 {| class="wikitable" !본말!!준말 |- |나는||난 |- |나를||날 |- |너는...)
- 2018년 12월 18일 (화) 13:31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9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목근(木槿)||모과(木瓜) |} === 第五章 略語 === 第五二項 말의 끝 音節의 끝 홀소리가 줄어지고 닿소리만 남은것은 그 우의 音節에 바...)
- 2018년 12월 18일 (화) 13:30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기능(技能)||기릉 |} 第五〇項 漢字音이 連發될적에 ㄴㄴ이 ㄹㄹ로도 나는 것은 本音을 原則으로 하고、 ㄹㄹ도 許容하되、 ㄴㄹ로...)
- 2018년 12월 18일 (화) 13:29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취미(趣味)||츄미 |- |인쇄(印刷)||인솰 |- |부모(父母)||부무 |} 第四八項 두 홀소리 사이에서 (1) ㄴ이 ㄹ로만 나는 것은 ㄹ로 적고、 (2...)
- 2018년 12월 18일 (화) 13:29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질탕(佚蕩)||딜탕 |} 第四六項 「텨 툐 튜 톄」의 字音은 「처 초 추 체」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 class="wikitable"...)
- 2018년 12월 18일 (화) 13:29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구릉(丘陵)||강릉(江陵)||거래(去來)||왕래(往來)||지뢰(地雷)||낙뢰(落雷) |} 또 漢字의 代表音은 本音으로 한다。 例 {| class="wikitable" |...)
- 2018년 12월 18일 (화) 13:28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하류(下流)||급류(急流)||도리(桃李)||행리(行李)||사례(謝禮)||혼례(婚禮) |} 또 漢字의 代表音은 本音으로 한다。 例 {| class="wikitable" |...)
- 2018년 12월 18일 (화) 13:28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例 {| class="wikitable" |남녀(男女)||부녀(婦女)||직뉴(織紐) |} 또 漢字의 代表音은 本音으로 한다。 例 {| class="wikitable" |계집녀(女) |} 第四三...)
- 2018년 12월 18일 (화) 13:27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취객(醉客)||ᄎᆔᄀᆡᆨ |} 例外 {| class="wikitable" |수연(晬宴)||ᄉᆔ연 |} ==== 第二節 닿소리만을 變記할것 ==== 第四二項 「냐 녀 뇨 뉴...)
- 2018년 12월 18일 (화) 13:26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붕우(朋友)||븡우 |- |품질(品質)||픔질 |} 第三九項 「의 희」의 字音은 本音대로 내는것을 原則으로 삼는다。 例 {| class="wikitable" |의...)
- 2018년 12월 18일 (화) 13:26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4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연몌(連袂)||련메 |} 例 (2) {| class="wikitable" !甲!!乙 |- |세계(世界)||셰계 |- |제도(制度)||졔도 |- |체류(滯留)||쳬류 |} 第三七項 ㅈ ㅊ ㅅ...)
- 2018년 12월 18일 (화) 13:25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39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장안(長安)||쟝안 |- |정중(鄭重)||졍즁 |- |조선(朝鮮)||죠션 |- |중심(中心)||즁심 |- |차륜(車輪)||챠륜 |- |처자(妻子)||쳐ᄌᆞ |- |초부(樵...)
- 2018년 12월 18일 (화) 13:25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3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매일(每日)||ᄆᆡ일 |- |색채(色彩)||ᄉᆡᆨ채 |- |애석(愛惜)||ᄋᆡ석 |- |재능(才能)||ᄌᆡ능 |- |책자(冊子)||ᄎᆡᆨᄌᆞ |- |태모(胎母)||...)
- 2018년 12월 18일 (화) 13:24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3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字 字典에 規定된 子音을 아래와 같이 고치기로 한다。 ==== 第一節 홀소리만을 變記할것 ==== 第三三項 ㆍ字 音은 죄다 ㅏ로 적는다。 (甲...)
- 2018년 12월 18일 (화) 13:24 Gminky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pdf/3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 |- |조팝||좋밥 |- |안팎||않밖 |} ==== 第八節 原詞와 接頭辭 ==== 第三十二項 接頭辭와 語根이 어울려서 한 單語를 이룰적에는 소리가 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