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 아동용/권1/9. 고려 2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왕실의 쇠퇴로 금나라에 복속되다[편집]

인종(仁宗) 【제17대】 때, 안으로는 외척들이 정권을 농단하여 왕실이 차츰 쇠약해졌으며, 밖으로는 금(金)나라를 섬겨 신하로 칭했다.

무인의 발호[편집]

인종이 죽자 의종(毅宗) 【제18대】 이 등극했다. 왕은 품행을 바르게 하지 않고, 정치를 소홀히 하여, 나라의 세력이 점차 쇠약해졌다. 또한 당시의 조정 신하들 가운데 문관(文官)과 무관(武官)이 다툼을 일으켰다. 왕은 무관을 천하게 여겼으므로, 무인들이 병력을 동원하여 왕을 사로잡아 유배시켰으며, 수많은 문관들을 살해했다. 이 일이 있은 후로 무관들이 점차 득세했다.

몽고에 복속되다[편집]

고종(高宗) 【제23대】 때, 몽고가 처음으로 조선반도를 침입했다. 몽고는 중국 북부에서 일어난 강국으로서, 고려는 이 나라에 대항할 힘이 없자, 한때 도읍을 강화(江華)로 옮겨 가 재난을 피했는데, 곧 이어서 속국이 되었다.

몽고와 고려 및 일본의 관계[편집]

몽고는 그 세력이 대단히 강해져, 이미 고려를 굴복시키고, 다시 일본도 항복시키려고 대군을 일으켰으며, 고려와 함께 우리의 규슈(九州)에 침입해 온 것이 두 번이지만, 헛되이 패하여 돌아갔다. 이 무렵 몽고는 국호를 원(元)이라고 바꿨으므로, 일본에서는 이들을 원구(元寇)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