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합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유합(류합, 類合) (1913)
저자: 저자 미상

유합은 한자를 처음배우는 학습자가 한자의 형태, 의미, 음 등을 익힐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한자입문서이다. 여려 출간본이 존재하며, 원간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1527년 간행된 《훈몽자회》에 유합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한글 창제와 1527년 사이에 처음으로 원간본을 만든 것으로 보이며, 조선에서만 통용되는 한자 속자가 실린 것으로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판본은 1913년 신구서림에서 간행한 것이다.

76510저자 미상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ᄒᆞᆫ 일 두 이 셕 삼 넉 ᄉᆞ 다ᄉᆞᆺ 오 여ᄉᆞᆺ 륙

닐곱 칠 여ᄃᆞᆲ 팔 아홉 구 열 십 일ᄇᆡᆨ ᄇᆡᆨ 일쳔 쳔

일만 만 일억 억 능ᄒᆞᆯ 능 ᄉᆞᆯ필 찰 글ᄌᆞ ᄌᆞ 획 획

처엄 초 알 지 솀 쥬 수구숨 수 올을 가 ᄉᆞᄆᆞᄎᆞᆯ 달

하ᄂᆞᆯ 텬 더플 부 ᄯᅡ 디 시를 ᄌᆡ 하ᄂᆞᆯ 건 ᄯᅡ 곤

ᄂᆞᆫ흘 분 벼ᄉᆞᆯ 위 동녁 동 西셔녁 셔 남녁 남 북녁 북

웃 샹 아ᄅᆡ 하 가온ᄃᆡ 즁 밧 외 욀 좌 올을 우

압 젼 뒤 후 ᄀᆞᆺ 변 모 우 속 리 안 ᄂᆡ

날 일 ᄃᆞᆯ 월 비쳘 죠 림ᄒᆞᆯ 림 별 셩 별 진

벌 ᄉᆞᆷ 벌 렬 봄 츈 여름 하 ᄀᆞ을 츄 겨을 동

더울 염 서를 량 ᄎᆞᆯ 한 더울 열 박휘 륜 구을 젼

골희 환 돌 회 버금 ᄎᆞ ᄎᆞ뎨 뎨 ᄯᆡ 시 ᄆᆞᄃᆡ 졀

낫 쥬 밤 야 아ᄎᆞᆷ 죠 졔녁 셕 새볘 효 밤 쇼

이ᄐᆞᆫ날 익 어제 작 아ᄎᆞᆷ 져믈 모 새볘 신 어두울 혼

열흘 슌 보롬 망 그믐 회 초ᄒᆞ로 삭 갤 쳥 ᄇᆡᆨᄇᆡᆨᄒᆞᆯ 밀

ᄇᆞᆯ글 명 어두을 암 사괼 교 베플 션 ᄀᆞᆯᄆᆞ드릴 딜 지을 쟉

ᄇᆞ람 풍 비 우 서리 상 이슬 로 어름 빙 눈 셜

ᄡᆞᆯ눈 션 무뤼 박 내 연 노을 하 구름 운 안ᄀᆡ 무

울에 뢰 번ᄀᆡ 뎐 벽력 벽 벽력 력 무지게 홍 무지

흙비 ᄆᆡ ᄀᆞ믈 한 긔운 긔 긔운 후 고칠 ᄀᆡ 밧골 역

그늘 음 볏 양 서르 샹 ᄀᆞᆯᄆᆞ드릴 ᄃᆡ ᄒᆡ 셰 ᄒᆡ 년

이를 셩 ᄎᆡᆨ력 력 푸를 쳥 누를 황 블글 젹 흰 ᄇᆡᆨ

푸를 벽 푸를 록 가ᄆᆞᆯ 현 거믈 흑 블글 쥬 푸ᄅᆞᆯ ᄎᆔ

(블)글 홍 (블)글 ᄌᆞ (빗)날 휘 (빗)쵤 영 (뭇) 즁 (빗) ᄉᆡᆨ

뫼 산 내 쳔 시내 계 시내 간 뫼부리 봉 뫼부리 만

언덕 구 언덕 안 바회 암 나모 슈 수풀 림 ᄉᆡ암 쳔

골 동 골 곡 못 지 못 연 들 교 들 야

못 ᄐᆡᆨ 밧 뎐 두던 원 이랑 규 이랑 묘

믈 슈 블 화 ᄌᆡ 회 틔글 진 모래 사 돌 셕

즌흙 니 흑 토 바다 ᄒᆡ 셤 도 물 강 물 호

믈ᄀᆞᆺ 뎡 믈ᄀᆞᆺ 쥬 믈ᄀᆞᆺ 져 ᄀᆡ 포 밀믈 죠 믈결 랑

믈결 파 믈결 도 니을 련 부ᄐᆞᆯ 졉 아득ᄒᆞᆯ 표 아득ᄒᆞᆯ 묘

풀 초 나모 목 새 됴 긜즘ᄉᆡᆼ 슈 각 각 이실 유

일홈 명 일홈 호 지초 지 란초 란 원초리 원 국화 국

마 (셔) 먀 (여) 게유목 (목) 게유목 (슉) 모란 (모) 불글 (단)

샤약 쟉 샤약 약 쟝미 쟝 쟝미 미 쳑죡 죡

파쵸 파 파쵸 쵸 창포 챵 창포 포 대 황 대 쥭

ᄀᆞᆯ 위 ᄀᆞᆯ 로 련 련 련 하 말암 빈 말ᄋᆞᆷ 조

등 등 츩 갈 ᄶᅩᆨ 남 엿괴 료 인ᄉᆞᆷ ᄉᆞᆷ 삽쥬 츌

잇기 ᄐᆡ 잇기 션 디복ᄡᅳ 봉 ᄡᅮᆨ 에 명화 려 비름 현

가지 지 올이 됴 ᄲᅮᆯ의 근 줄기 경 ᄭᅩᆺ 화 닙 엽

번셩ᄒᆞᆯ 번 영화 영 솔 숑 잣 ᄇᆡᆨ 椿츈나모 츈 계슈 계

신나모 풍 ᄲᅩᆼ나모 상 괴화 괴 전나모 회 머귀 오 머귀 동

버들 양 버들 류 ᄌᆡ목 ᄌᆡ ᄡᅳᆯ 용 ᄀᆞᄌᆞᆯ 비 ᄀᆞᄌᆞᆯ 구

복쇼아 도 ᄉᆞᆯ고 ᄒᆡᆼ ᄇᆡ 리 밤 률 외얏 리 ᄆᆡ화

감ᄌᆞ 감 귤 귤 유ᄌᆞ 유 셕류 류 벗 내 감 시

ᄀᆞ래 츄 개암 진 대쵸 조 비ᄌᆞ 비 렬 챡 아ᄃᆞᆯ ᄌᆞ

(ᄃᆞᆯ) 감 (싈) 산 여름 과 (념글) 실 만ᄒᆞᆯ 다 가지 반

벼 도 기장 셔 피 직 조 속 보리 모 밀 ᄆᆡᆨ

ᄑᆞᆺ 두 콩 슉 움 묘 ᄲᅡ일 튜 공셰 셰 니글 슉

니를 위 갈 지 수 화 곡식 곡 파 총 ᄉᆡᆼ강 강

마ᄂᆞᆯ 션 부ᄎᆡ (ᄒᆡ) 아혹 규 토란 우 쉰무우 쳥 겨ᄌᆞ 개

부드러을 유 고사리 궐 보ᄃᆞ라울 던 듁슌 슌 향긔 향 취 소

풍셩 풍 버슷 균 가지 가 외 과 미나리 근 슌 슌

ᄂᆞ믈 ᄎᆡ 머글 식 향긔 방 새 신 새 봉 새 난

븡됴 븡 새 곡 ᄀᆞᆯ며기 구 ᄒᆡ오라비 로 한새 관 다오기 목

기러기 홍 기러기 안 오리 부 학 학 비들기 구 굇고리 ᄋᆡᆼ

져비 연 ᄎᆞᆷ새 쟉 매 응 매 요 쇼로기 치 수리 츄

ᄃᆞᆰ 계 ᄭᅯᆼ 티 가ᄆᆞ괴 오 가치 쟉 부헝이 휴 부헝이 류

올바미 호 바ᄅᆞᆷ가비 익 창경 창 창경 경 볍새 볍새 료

깃드릴 소 깃드릴 셔 사ᄭᅵ 추 알 란 수 웅 암 ᄌᆞ

ᄇᆡᆯ 잉 나흘 산 ᄂᆞᆯ개 익 ᄂᆞᆯ 비 부리 ᄎᆔ 조을 탁

이에 내 일ᄏᆞᄅᆞᆯ 칭 짓 우 결에 족 긔린 긔

곰 웅 범 호 무쇼 셔 코키리 샹 일히 랑 표범 표

노로 쟝 鹿사슴 록 젼나비 원 젼나비 후 ᄉᆞᆰ 리 물ᄀᆡ 달

여호 호 토ᄭᅵ 토 쇼 우 말 마 약대 락 약대 타

마야지 구 소야지 독 나귀 려 로새 라 념쇼 고 양 양

돗 졔 돗 시 개 견 개 구 괴 묘 쥐 셔

굽 뎨 톱 조 ᄲᅳᆯ 각 ᄭᅩ리 미 바ᄃᆞᆯ 슈 날 ᄉᆡᆼ

구빌ᄒᆞᆫ 구 다를 이 울 명 즈즐 폐 ᄃᆞᆯ릴 치 ᄃᆞᆯ을 분

ᄯᅩ 역 ᄀᆞᆯ 왈 터럭 모 무리 군 미리 룡 거복 귀

고기 어 기 ᄒᆡ 시유 하 됴개 합 금됴개 신 쇼라 라

비릴 셩 비ᄂᆞᆯ 괴이ᄒᆞᆯ 괴 형상 상 슬ᄒᆞᆯ 염 도망 도

갈구리 구 그믈 망 벌 봉 나뷔 뎝 ᄆᆡ야비 션 반ᄃᆡ 형

귓도라미 실 귓도라미 솔 ᄌᆞᆫ자리 쳥 ᄌᆞᆫ자리 뎡 ᄇᆡ얌 샤 디룡이 인

둑ᄭᅥ비 졈 개고리 와 모긔 문 ᄑᆞ리 승 차채 확 귓도라미 공

거믜 쥬 뉴에 참 가얌이 의 ᄃᆞᆯ팡이 와 벼록 조 니 슬

져글 미 버레 츙 를 어 모ᄃᆞᆯ 졔 뭇 셔 무리 륜

오직 유 사ᄅᆞᆷ 인 님 쥬 베플 쟝 나라 국 집 가

님군 군 신하 신 구의 공 벼ᄉᆞᆯ 경 션ᄇᆡ ᄉᆞ ᄇᆡᆨ셩 민

아ᄃᆞᆯ 남 겨집 녀 를글 로 어릴 유 ᄋᆞᄒᆡ ᄋᆞ ᄋᆞᄒᆡ 동

할아비 옹 할아비 수 손 빈 손 ᄀᆡᆨ 使부릴 ᄉᆞ 도을 개

벗 붕 벗 우 스승 ᄉᆞ 스승 부 즁 승 겨집쥬 니

무당 무 의원 의 무리 동 다ᄅᆞᆯ 별 노플 존 ᄂᆞ즐 비

집 궁 殿집 뎐 집 궐 집 우 벼슬 관 마ᄋᆞᆯ ᄉᆞ

창고 창 고 고 신령 신 집 당 부텨 불 졀 ᄉᆞ

길 도 길 로 재 셩 ᄃᆞ리 교 ᄃᆞ리 뎨

ᄀᆡ쳔 구 ᄀᆡ쳔 거 리문 려 우물 졍 니웃 린 ᄆᆞ을 리

셔울 경 고을 쥬 고올 현 ᄆᆞᄋᆞᆯ 촌 역 역

집 관 원 원 ᄇᆡ 쥬 ᄇᆡ 션 돗ᄃᆡ 범 돗ᄃᆡ 즙

바틸 공 부셰 부 퍼기 총 모ᄃᆞᆯ 집 이 ᄎᆞ 그 기

녜 고 이제 금 님금 뎨 님금 왕 모ᄃᆞᆯ 도 고을 읍

아비 부 어미 모 ᄆᆞᆺ 형 아오 뎨 지아비 부 안ᄒᆡ 쳐

올아비 남 누의 ᄆᆡ 할아비 조 손ᄌᆞ 손 아자비 슉 족하 질

싀아비 구 싀어미 고 며ᄂᆞ리 부 사화 셔 죵 노 죵 비

쳡 쳡 죵 복 다 ᄀᆡ 나 오 권쇽 권 부틸 쇽

머리 두 니마 뎡 머리 슈 니마 ᄋᆡᆨ 눈셥 미 눈 안

귀 이 눈 목 ᄂᆞᆺ 안 ᄂᆞᆺ 면 입 구 코 비

목구멍 후 셔 셜 입시울 슌 니 치 귀밋 빈 터럭 발

ᄲᅡᆷ 시 떡 이 손 슈 손바닥 쟝 주머귀 권 손가락 지

날옷 슈 날옷 염 목 항 등 ᄇᆡ 가ᄉᆞᆷ 흉 겨드랑이 ᄋᆡᆨ

엇게 견 ᄑᆞᆯ 비 졋 유 ᄇᆡ곱 졔 허리 요 ᄇᆡ 복

볼가 둔 물롭 슬 다리 각 발 족 ᄉᆞᆯ 긔 ᄉᆞᆯ 부

ᄲᅧ 골 힘 력 간 간 애 쟝 피 혈 ᄆᆡᆨ ᄆᆡᆨ

ᄯᆞᆷ 한 츰 연 눈물 루 코몰 뎨 이 ᄉᆞ 나 아

몸 신 몸 톄 마로 방 방 다락 집 각

집 ᄃᆡ 집 실 뎡ᄌᆞ 뎡 쟝막 막 ᄯᅱ 모 집 옥

기와 와 집 ᄐᆡᆨ 녈 판 사립 비 분 분 바ᄅᆞᆷ 벽

집ᄆᆞᄅᆞ 동 히ᄀᆞ리 연 들보 량 기동 쥬 란간 헌 란간 함

창 창 지개 호 문 문 ᄯᅳᆯ 뎡 섬 계 섬 ᄎᆡ

부역 쥬 부억 조 측간 측 마구 구 담 쟝 울셥 리

방하 ᄃᆡ 방하공이 져 모훌 총 ᄒᆞᆯ 위 살 거 곳 쳐

기즑 인 삿 뎜 돗 셕 요 욕 발 렴 쟝 쟝

병풍 병 족ᄌᆞ 족 상 상 ᄉᆡ렁 가 막대 쟝 겨지 극

도마 궤 셔안 안 등 등 촉 쵹 거문고 금 비파 슬

비파 비 비파 파 뎌 ᄉᆡᆼ 뎌 뎍 바독 긔 판 국

빗 소 거울 경 벼개 침 부ᄎᆡ 죠희 지 먹 묵

붓 필 벼로 연 글월 문 글월 셔 ᄎᆡᆨ ᄎᆡᆨ 권 권

이실 ᄌᆡ 도라볼 고 흘려볼 면 쇠 금 은 은

구리 동 주셕 셕 구슐 쥬 구술 옥 흘 규 구술 벽

비단 금 슈 슈 깁 릉 깁 라 면쥬 쥬 뵈 포

깁 쵸 사 사 ᄌᆡ물 ᄌᆡ 돈 젼 보ᄇᆡ 진 보ᄇᆡ 보

필 필 비단 ᄇᆡᆨ 아ᄅᆞᆷ다올 미 됴흘 호 모시 져 삼 마

실 ᄉᆞ 綿소음 면 가족 피 가죡 혁 담 담 담 젼

기름 지 기름 고 기름 유 ᄭᅮᆯ 밀 누룩 국 밀 랍

갓플 교 휘 칠 ᄡᆞᆯ 미 가로 면 량식 량 료 료

엇디 긔 아닐 비 가장 최 종요 요 발이 발 잔 샹

잔 ᄇᆡ 사발 완 술 시 져 저 뱐 반 잔 잔

술준 준 병 호 항 항 독 옹 병 병 분 분

쥬조 조 통 통 솟 뎡 가마 확 시로 증 가마 부

휘 곡 평목 펵 되 승 말 두 ᄇᆡ 표 체 ᄉᆞ

틀 긔 뵈북 사 숫 탄 화로 노 쇠 텰 학 구

롱 롱 장 장 궤 궤 기 긔 고리 광

샹ᄌᆞ 샹 샹ᄌᆞ ᄉᆞ 도긔 부 삿 겸 돕 거 ᄭᅳᆯ 착

송곳 츱 바늘 침 칼 도 자 쳑 활 궁 살 젼

칼 검 살 시 호뮈 셔 삽 삽 ᄯᅡ부 뢰 보십 ᄉᆞ

ᄉᆈ북 죵 북 고 ᄌᆡᆼ ᄌᆡᆼ 경ᄌᆞ 경 므릇 범 니를 운

섯길 잡 글읏 긔 술 쥬 漿ᄯᅳ물 쟝 밥 반 쥭 쥭

회 회 젹 젹 ᄯᅥᆨ 병 고기 육 ᄀᆡᆼ ᄀᆡᆼ 국 시

소곰 념 쟝 쟝 밥지을 ᄎᆔ ᄯᅵᆯ 증 ᄉᆞᆯ믈 ᄑᆡᆼ 비즐 양

버릴 ᄇᆡ 베플 셜 이바ᄃᆞᆯ 공 칠 양 반찬 찬 차반 션

이믜 긔 아ᄅᆞᆷ다올 가 차 다 ᄭᅳᆯ을 탕 겸ᄒᆞᆯ 겸 이바ᄃᆞᆯ 향

옷 의 갓옷 구 옷 포 젹삼 삼 즁의 군 치마 샹

잘 침 니불 금 관 관 ᄯᅴ ᄃᆡ 사모 모 갓 립

보션 말 신 혜 훠 화 ᄋᆡᄒᆡ신 길마 안 굴에 륵

술ᄅᆡ 거 더플 걔 채 편 홀 홀 인 인 쟈로 ᄃᆡ

칼집 쵸 쥬머니 낭 빈혀 잠 빈혀 챠 니불 복 ᄭᅮ밀 식

빗 광 빗ᄂᆞᆯ 화 얼굴 용 얼굴 모 ᄆᆞᄋᆞᆷ 심 ᄒᆡᆼ길 ᄒᆡᆼ

ᄯᅳᆺ 지 ᄯᅳᆺ 의 텬셩 셩 ᄯᅳᆺ 졍 소ᄅᆡ 셩 소ᄅᆡ 음

소ᄅᆡ 운 소ᄅᆡ 향 자최 죵 자최 젹 얼굴 형 그림자 영

ᄌᆡ조 ᄌᆡ 큰 덕 슬긔 지 날ᄂᆡᆯ 용 례돗 례 올흘 의

효도 효 공경 경 말ᄉᆞᆷ 어 말ᄉᆞᆷ 언 말잘ᄒᆞᆯ 변 말ᄉᆞᆷ 담

볼 견 드르 문 볼 시 드를 텽 벼ᄉᆞᆯ 직 직함 함

셩 셩 각시 시 복 복 祿록 록 목숨 슈 목숨 명

어질 현 일릴 우 어질 션 모질 악 ᄉᆞᆯ질 비 여읠 수

굿셀 강 약ᄒᆞᆯ 약 가암열 부 귀ᄒᆞᆯ 귀 가난 빈 쳔ᄒᆞᆯ 쳔

샤치 샤 샤치 치 검박 검 슌박 박 븨을 증 ᄉᆞ랑 ᄋᆡ

은혜 은 원슈 원 깃글 희 셩ᄂᆡᆯ 노 근심 우 즐길 락

안즐 좌 누을 와 닐 긔 셜 립 나아을 진 退물너갈 퇴

날 츌 들 입 오를 등 ᄂᆞ릴 강 구불 부 울얼 앙

ᄭᅮᆯ 궤 업딀 복 졀 ᄇᆡ 읍ᄒᆞᆯ 읍 ᄃᆞ를 주 거름 보

ᄠᆞᆯ을 츄 ᄧᅩᄎᆞᆯ 츅 ᄯᅱᆯ 쵸 ᄂᆞᆯ 등 ᄇᆞᆯ블 쳔 ᄇᆞᆯ블 답

놀애 가 춤출 무 ᄑᆞᄅᆞᆷ 쇼 을플 영 슬플 비 슬플 ᄋᆡ

울 뎨 울 읍 조을 슈 조을 면 ᄭᅮᆷ 몽 잘 ᄆᆡ

머글 긱 마실 음 ᄡᅵ블 쟉 숨드릴 흡 부를 호 부를 챵

부를 환 부를 쇼 불 ᄎᆔ 불 허 ᄉᆞᆷ킬 ᄐᆞᆫ 비ᄋᆞ틀 토

뎌 피 나 여 스ᄉᆞ니 ᄌᆞ 다를 타 너 이 너 여

누구 슈 아모 모 한가 한 심촉ᄒᆞᆯ 망 ᄀᆞᆺ불 로 편안 일

ᄎᆔᄒᆞᆯ ᄎᆔ ᄭᅡᆯ 셩 주릴 긔 ᄇᆡ브를 포 들넬 훤 우ᄉᆞᆷ 쇼

ᄌᆞᆫᄎᆡ 연 놀 유 쏠 샤 산양 렵 낙글 어 락시 됴

밧갈 경 농ᄉᆞ 농 시믈 ᄌᆡ ᄡᅵ 죵 뷜 애 묵글 속

ᄯᅵ을 용 두ᄃᆞ릴 도 가질 졔 가질 지 도라갈 귀 도라올 반

거ᄂᆞ릴 솔 니르 지 거ᄂᆞ릴 령 니를 도 목욕 목 목욕 욕

씨슬 셰 씨슬 탁 탈 탄 ᄯᅥ칠 불 ᄲᅮ릴 쇄 쓸 소

ᄇᆡ흘 학 니길 습 닐글 독 외릴 숑 ᄀᆞᄅᆞ칠 교 ᄀᆞᄅᆞ칠 회

ᄀᆞᄅᆞ칠 훈 인도ᄒᆞᆯ 도 진뎡 진 뎡ᄒᆞᆯ 뎡 마글 방 마글 어

닷글 슈 지을 영 비ᄅᆞ슬 챵 지을 조 건널 졔 건널 증

구ᄒᆞᆯ 구 사를 활 붓들 부 호위 호 도을 좌 도을 죠

놀날 경 늣길 감 슬플 차 탄식 탄 ᄉᆡᆨ각 ᄉᆞ ᄉᆡᆼ각 샹

그릴 련 ᄉᆞ모 모 은혜 혜 베플 시 갑플 보 갑플 ᄎᆡ

병 질 병 병 구을 구 병됴흘 료 ᄎᆞ믈 인 ᄎᆞ믈 ᄂᆡ

ᄆᆡ올 고 쓸 신 맛볼 샹 시험 시 험ᄒᆞᆯ 험 막힐 조

괴을 디 기울러딜 경 기울 보 이즈러딜 결 니을 쇽 ᄭᅳᆫ츨 단

이을 계 ᄭᅳᆫ츨 졀 어엿불 련 근심 민 근심 환 금심 슐

즐길 환 즐길 오 깃글 흔 깃글 열 귀발글 총 안닐 블

기틸 유 니즐 망 원ᄒᆞᆯ 원 긔약 긔 졍셩 셩 간졀 졀

ᄆᆡᆼ셔 ᄆᆡᆼ ᄆᆡᆼ셔 셔 빌 긔 빌 츅 ᄌᆡ계 ᄌᆡ 졔ᄉᆞ 졔

쵸례 쵸 졔ᄉᆞ ᄉᆞ 드릴 슈 드릴 납 쳔거 쳔 드릴 헌

밧들 봉 모실 ᄇᆡ 모실 시 호위 위 저ᄒᆞᆯ 공 저ᄒᆞᆯ 구

저ᄒᆞᆯ 외 의심 의 붓그릴 참 붓그릴 괴 붓그릴 슈 붓그릴 티

쟈랑 긍 쟈랑 과 ᄯᅱᆯ 용 ᄯᅱᆯ 약 ᄉᆞ양 겸 ᄉᆞ양 양

ᄉᆞ양 ᄉᆞ 피ᄒᆞᆯ 피 업더딜 젼 것구러딜 도 ᄂᆞᆯ회 셔 느즐 완

ᄃᆞᆯ릴 표 미틸 광 의의 엄 ᄌᆞᆷᄌᆞᆷ 묵 ᄉᆡᆼ각 념 몬져 션

긔록 긔 늘글 고 푸물 회 녜 구 ᄉᆡᆼ강 억 녯 셕

상고 고 무를 문 ᄎᆞᆷ 진 거즛 위 밀 츄 ᄀᆞᆯ힐 변

고불 곡 고ᄃᆞᆯ 직 갈 왕 도라올 환 갈 거 올 ᄅᆡ

디ᄂᆞᆯ 경 디ᄂᆞᆯ 과 머물 류 머물 쥬 조츨 죵 긜 위

슌ᄒᆞᆯ 슌 거슬 역 ᄃᆞ톨 ᄌᆡᆼ 버슬 탈 싸흘 젼 싸홀 투

더플 암 막힐 격 ᄀᆞ리올 챡 에울 위 너믈 유 건널 월

건널 셥 건널 도 ᄭᅮ디즐 즐 ᄭᅮ디즐 매 ᄭᅮ디즐 가 구디즐 ᄎᆡᆨ

앗길 간 앗길 셕 부럴 션 새옴 투 엿볼 규 ᄉᆞᆯ필 ᄉᆞ

향ᄒᆞᆯ 향 기ᄃᆞ릴 ᄃᆡ 권ᄒᆞᆯ 권 경계 계 부를 쵸 달ᄂᆡᆯ 유

뉘우츨 회 ᄒᆞᆫᄒᆞᆯ ᄒᆞᆫ 부롭ᄯᅳᆯ 진 ᄲᅮᆷ을 분 ᄎᆞ질 심 ᄎᆞᄌᆞᆯ 방

모ᄃᆞᆯ 회 만날 우 응ᄒᆞᆯ 응 ᄃᆡ답 ᄃᆡ 깁플 슈 ᄃᆡ답 답

침쟉 침 부을 쟉 가질 ᄎᆔ ᄇᆞ릴 샤 즁ᄆᆡ ᄆᆡ 빙폐 빙

싀집갈 가 쟝가들 ᄎᆔ 졈복 졈 졈복 복 됴문 됴 하례 하

줄 ᄉᆞ 줄 증 부틸 긔 부틸 부 봉ᄒᆞᆯ 함 봉ᄒᆞᆯ 봉

ᄆᆡᆯ 결 ᄡᆞᆯ 과 흘릴 쥬 기를 급 저ᄌᆞᆯ 쳠 저ᄌᆞᆯ 윤

ᄉᆞᆯ울 쇼 ᄉᆞᆯ울 분 달일 울 달일 쟈 갈길 젼 마를 ᄌᆡ

단련 련 버힐 할 장식 장 ᄎᆡᄉᆡᆨ ᄎᆡ 그림 도 그림 화

ᄉᆞᆯ플 심 ᄉᆞᆯ필 셩 부즈러울 근 공녁 공 ᄌᆡ촉 최 ᄌᆡ촉 촉

게어를 ᄐᆡ 게어를 란 볼 간 듸킐 슈 볼 감 일과 과

궁ᄒᆞᆯ 궁 마ᄎᆞᆯ 료 마ᄎᆞᆯ 필 파ᄒᆞᆯ 파 맛ᄂᆞᆯ 봉 여흴 리

모ᄃᆞᆯ ᄎᆔ 흐틀 산 마즐 영 보ᄂᆡᆯ 송 젼송 젼 위로 위

홋 단 홀 독 외로올 고 져글 과 비길 빙 비길 의

의지 의 힘니블 뢰 살 ᄆᆡ ᄑᆞᆯ 매 ᄂᆡ기 도 밧글 환

구ᄒᆞᆯ 구 쳥ᄒᆞᆯ 쳥 빌 걸 ᄭᅮᆯ ᄃᆡ 더ᄒᆞᆯ 텸 더ᄒᆞᆯ 가

더ᄒᆞᆯ 증 더ᄒᆞᆯ 익 다시 ᄀᆡᆼ 다시 ᄯᅩ 우 두 ᄌᆡ

잇글 견 몰 구 ᄭᅳ을 타 인도ᄒᆞᆯ 인 멜 담 아늘 표

질 부 일 ᄃᆡ 곤ᄒᆞᆯ 곤 잇블 권 싈 휴 싈 식

니블 몽 니블 피 그를 ᄒᆡ 버슬 탈 ᄆᆞᆫ질 문 더드믈 탐

거둘 슈 주을 습 자블 반 ᄭᅥ글 졀 ᄯᆞᆯ 뎍 ᄏᆡᆯ ᄎᆡ

비븰 찬 갈 마 穿ᄯᅮ를 쳔 ᄭᅰᆯ 관 ᄃᆞᆯ 현 ᄆᆡᆯ 계

ᄭᅩ즐 삽 걸 괘 ᄯᅥ릴 진 흔들 요 ᄲᅡ힐 발 들 거

틸 격 틸 타 두를 휘 디를 ᄌᆞ 자블 뎨 잇글 휴

자블 병 자블 집 더딜 두 더딜 쳑 노흘 방 바릴 기

이 ᄌᆞ 곳 즉 인간 셰 ᄉᆞ이 간 머그믈 함 령ᄒᆞᆯ 령

움ᄌᆞ긜 동 그칠 지 큰 대 저글 쇼 너블 광 조블 협

두 쌍 ᄧᅣᆨ 쳑 오로 젼 반 반 여러 루

아을 병 모ᄃᆞᆯ 합 탄ᄌᆞ 환 ᄆᆞᄃᆡ 촌 조각 편 조각 단

믈들 염 조ᄒᆞᆯ 뎡 ᄆᆞᄅᆞᆯ 간 저즐 습 ᄆᆞᆯᄀᆞᆯ 쳥 흐릴 탁

ᄎᆞᆯ ᄅᆡᆼ 더울 난 노플 고 ᄂᆞᄌᆞᆯ 뎌 기플 심 들 천

가볍야올 경 무거올 즁 두터울 후 열울 박 ᄎᆞᆯ 령 滿가득ᄒᆞᆯ 만

븰 공 븰 허 어즈러을 분 어즈러울 난 고요 젹

다를 슈 ᄀᆞᄅᆞᆯ 류 어그러질 괴 두루힐 반 모 방 둥글 원

긴 쟝 져를 단 굴글 추 가ᄂᆞᆯ 셤 클 거 ᄀᆞᄂᆞᆯ 셰

ᄒᆞᆫ가지 동 근원 원 ᄀᆞᄐᆞᆯ ᄉᆞ ᄀᆞᄐᆞᆯ 약 거츨 무 거츨 황

이올 고 禿믤 독 퓔 발 ᄲᅡ여날 슈 흐를 류 ᄯᅥ러딜 낙

멀 원 갓가올 근 친ᄒᆞᆯ 친 성긜 소 더ᄃᆡᆯ 지 ᄲᆞ

이ᄅᆞᆯ 죠 느즐 만 간난 간 가난 난 便편ᄒᆞᆯ 편 맛당 이

ᄌᆞᄌᆞᆯ 빈 ᄌᆞᄌᆞᆯ 루 드믈 회 드믈 한 리ᄒᆞᆯ 리 ᄒᆡᄒᆞᆯ ᄒᆡ

이실 죤 업슬 망 길ᄒᆞᆯ 길 흉ᄒᆞᆯ 흉 어들 득 일ᄒᆞᆯ 실

덜 졔 덜 감 노글 쇼 쇠쟌 쟌 ᄡᅡ일 퇴 ᄡᅡ일 젹

더ᄒᆞᆯ 요 넘ᄯᅵᆯ 일 나믈 잉 나믈 여 업ᄉᆞᆯ 무 하졍ᄒᆞᆯ 한

오ᄅᆡᆯ 구 길 영 구ᄃᆞᆯ 견 구ᄃᆞᆯ 고 잠간 잠 믄득 홀

ᄭᆡ틸 파 ᄇᆞᄋᆞᆯ 쇄 이즐어질 휴 업ᄉᆞᆯ 핍 심ᄒᆞᆯ 심 절믈 쇼

수믈 은 뵐 현 ᄯᅳᆯ 부 ᄌᆞᆷ길 침 빗길 횡 빗길 샤

기울 긔 기울 측 구불 굴 펼 신 맛ᄌᆞᆯ 연 쥴 츅

열 ᄀᆡ 다ᄃᆞᆯ 폐 사모ᄎᆞᆯ 통 막혈 ᄉᆡᆨ 평ᄒᆞᆯ 평 바ᄅᆞᆯ 졍

편안 안 편안 온 옴길 쳔 옴길 이 변ᄒᆞᆯ 변 될 화

ᄆᆞᄎᆞᆷ 죵 비르ᄉᆞᆯ 시 밋 본 ᄭᅳᆺ 말 쇠ᄒᆞᆯ 쇠 읏듬 원

만한ᄒᆞᆯ 만 ᄭᅡᆨ글 샥 일 ᄉᆞ 더블 여 만믈 믈 일기 야



이 저작물은 1913년에 공표되었으며, 무명이나 이명의 이유로 저자를 알 수 없습니다. 이 저작물은 미국을 포함하여 무명이나 이명으로 공표된 저작물의 저작권 보호 기간공표 이후 111년 이하인 국가와 지역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