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 표기법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1장 총칙[편집]
- 제1항 목적
- 제주어 표기법(이하 ‘이 표기법’)의 목적은 한글 맞춤법의 취지에 따라 제주 사람들이 쓰는 말의 표기 방법을 정하는 데 있다.
- 제2항 원리 및 방법
- 이 표기법은 형태소의 본디 꼴(원형)을 밝혀 적는 경우와 바뀐 꼴(변이형)을 적는 경우를 구별한다.
- 표기가 이미 굳어진 것은 그대로 허용한다.
- 제3항 범위
- 이 표기법에서는 통합성과 포괄성을 기준으로 삼아서 제주어를 적는다.
- 제4항 자모
- 이 표기법에서는 제주어의 음소와 아래의 자모들이 일치하도록 하여 제주어를 적는다.
ㄱ | ㄲ | ㄴ | ㄷ | ㄸ | ㄹ | ㅁ | ㅂ |
ㅅ | ㅆ | ㅇ | ㅈ | ㅉ | ㅊ | ㅋ | ㅌ |
ㅎ |
ㅏ | ㅐ | ㅑ | ㅒ | ㅓ | ㅔ | ㅕ | ㅖ |
ㅘ | ㅙ | ㅚ | ㅛ | ㅜ | ㅝ | ㅞ | ㅟ |
ㅡ | ㅢ | ㅣ | ㆍ | ᅟᆢ |
- 다만, ‘ㅇ’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의 초성 글자로도 쓰고, ‘ᅟㅚ, ㅢ’는 한자 형태소를 적을 때에만 쓴다.
- 제5장 합자
- 자음은 초성 글자와 받침 글자로 적고, 모음은 중성 글자로 적는다.
- 제주어는 초성 글자와 중성 글자, 받침 글자를 모아서 적는다.
- [붙임] 필요한 경우 자모의 결합도 사용할 수 있다.
제2장 본디 꼴을 적는 것[편집]
- 제6항 된소리
- 하나의 형태소 안에서 나는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으로 적는다.
-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ᄉᆞ끼 | 어따/아따 | 나쁘(~다) | 마씀/마씸/마씨 | 주짝/조짝/쭈짝/쪼짝 |
- /ㄴ, ㄹ, ㅁ, ㅇ/ 뒤에서 나는 된소리
빈찍/핀찍 | ᄉᆞᆯ짝 | ᄂᆞᆷ삐 | 덩싹덩싹 |
- 다만, 하나의 어미 안에서 /ㄹ/ 뒤에 오는 된소리는 평음 글자로 적는다.
-을디/-을지 | -을수룩/-을수록 |
- [붙임]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지 않는 /ㄱ, ㅂ/ 뒤의 된소리는 평음 글자로 적는다.
녹대 | 역불로 | 덕석 | 낙지 | 겁데기 | 놉새 | 납작 |
- 제7항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
-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것은 같은 자모로 적는다.
꼿꼿ᄒᆞ다 | 딱딱ᄒᆞ다 | 뻣뻣ᄒᆞ다 | 쑥쑥 | ᄀᆞᆸᄀᆞᆸᄒᆞ다/ᄁᆞᆸᄁᆞᆸᄒᆞ다 | 눅눅ᄒᆞ다 |
닥닥 | 밋밋 | 식식 | 족족 | 독닥불미/똑딱불미 |
- 제8항 속음
- 한자 형태소의 소리가 위치와 관계없이 본음에서 바뀐 것은 바뀐 대로 적는다.
곡석/곡ᄉᆞᆨ[穀食] | 공치새[功致辭] | 궨당[眷黨] | 농시[農事] |
당췌[當初] | 동세[同壻] | 모냥[模樣] | 멘장[面長] |
포[褓] | 벵/펭[甁] | 삼춘[三寸] | 손지[孫子] |
웬수[怨讐] | ᄌᆞ석/ᄌᆞᄉᆞᆨ[子息] | ᄌᆞᆷ녜[潛女] |
- 제9항 파생어
-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접두사와 어근을 밝혀 적는다.
홀아방 | 홀어멍 | 핫아방 | 핫어멍 | 할아바지/할아부지 | 할애비 |
- ‘-이’나 ‘-음’ 또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어근과 접미사를 밝히고 구별하여 적는다.
다듬이 | 엇이/읏이 | 굳이 | |
끗들이 | 살렴살이 | 절룩발이 | ᄂᆞ직이 |
빙색이/벵삭이 | 높이다 | 쌓이다 | |
ᄃᆞᆯ음박질 | ᄌᆞᆸ음 |
돋구다 | 벗기다/벳기다 | 울리다 | 짚숙(~ᄒᆞ다) |
좁작(~ᄒᆞ다) | 앉지다/앚지다 | 높직(~이) | ᄂᆞᆽ추다 |
받후다 | 굳히다 |
- [붙임] ‘-이’나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어근과 접미사를 구별하여 적지 아니한다.
귀마구리 | 꼬락사니 | ᄉᆞ래기 | ᄉᆞ타귀/사타귀 | 이파리 |
지동/지둥/지붕 |
- 다만, ‘ㄹ’로 끝나는 어근에 접미사 ‘-ㅁ’이 붙어서 파생된 말은 어근을 밝혀 적지 아니한다.
ᄀᆞ뭄 | 구뭄/그뭄 | 수눔 | ᄌᆞ늠 |
- 제10항 체언과 조사
-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여 소리가 바뀌지 않거나, 바뀌더라도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있는 것은 체언과 조사의 본디 꼴을 적되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ᄃᆞᆨ[鷄]: | ᄃᆞᆨ이 | ᄃᆞᆨ을 | ᄃᆞᆨ도 | ᄃᆞᆨ만 |
논[畓]: | 논이 | 논을 | 논도 | 논만 |
ᄆᆞᆯ[馬]: | ᄆᆞᆯ이 | ᄆᆞᆯ을 | ᄆᆞᆯ도 | ᄆᆞᆯ만 |
ᄂᆞᆷ[他人]: | ᄂᆞᆷ이 | ᄂᆞᆷ을 | ᄂᆞᆷ도 | ᄂᆞᆷ만 |
ᄋᆢᄃᆞᆸ[八]: | ᄋᆢᄃᆞᆸ이 | ᄋᆢᄃᆞᆸ을 | ᄋᆢᄃᆞᆸ도 | ᄋᆢᄃᆞᆸ만 |
꼿[花]: | 꼿이 | 꼿을 | 꼿도 | 꼿만 |
고장[花]: | 고장이 | 고장을 | 고장도 | 고장만 |
자리[蓆]: | 자리가 | 자리를/자릴 | 자리도 | 자리만 |
- 제11항 어간과 어미
-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여 소리가 바뀌지 않거나, 소리가 바뀌더라도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있는 것은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낚다[釣]: | 낚안 | 낚으민 | 낚으곡 | 낚나 | 낚는 |
넘다[越]: | 넘언 | 넘으민 | 넘곡 | 넘나 | 넘는 |
막다[墇]: | 막안 | 막으민 | 막곡 | 막나 | 막는 |
묻다[埋]: | 묻언 | 묻으민 | 묻곡 | 묻나 | 묻는 |
살다[生]: | 살안 | 살민 | 살곡 | 사는 | |
안다[抱]: | 안안 | 안으민 | 안곡 | 안나 | 안는 |
잇다[連]: | 잇언 | 잇으민 | 잇곡 | 잇나 | 잇는 |
잡다[把]: | 잡안 | 잡으민 | 잡곡 | 잡나 | 잡는 |
좇다[從]: | 좇안 | 좇으민/좇이민 | 좇으곡/좇이곡 | 좇나 | 좇는 |
ᄎᆞᆽ다[索]: | ᄎᆞᆽ안 | ᄎᆞᆽ으민/ᄎᆞᆽ이민 | ᄎᆞᆽ곡 | ᄎᆞᆽ나 | ᄎᆞᆽ는 |
제3장 바뀐 꼴을 적는 것[편집]
- 제12항 두음법칙
- 한자 형태소가 단어의 첫머리에 와서 본디 소리와 다르게 발음되는 것은 발음되는 대로 적는다.
낙방(落榜) | 냥(兩) | 냥쭝(兩-) | 녹각(鹿角) |
니ᄉᆞ무소(里事務所) | 양펜(兩便) | 여ᄌᆞ(女子) | 열녀(烈女) |
예도(禮度) | 요소(尿素) | 용담(龍潭) | 유리(琉璃) |
이발(理髮) | ᄋᆢᆷ치(廉恥) |
- [붙임] 모음과 /ㄴ/ 뒤에 오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나열(羅列) | 비율(比率) | 분열(分裂) | 진열(陳列) |
- 제13항 합성어
-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 때 본디 소리와 다르게 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ㄹ’로 끝나는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낱말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ᄀᆞ대 | ᄄᆞ님 | ᄆᆞ날[午日] | ᄆᆞ쉬 | 소낭/소남 |
- 다른 어휘 형태소 뒤에서 어휘 형태소의 초성 /ㄱ, ㄷ, ㅂ, ㅈ/이 /ㅋ, ㅌ, ㅍ, ㅊ/으로 바뀌는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ᄉᆞᆯ퀘기 | ᄆᆞᆷ쿡 | 동카름 | 보리크르 | ᄂᆞᄆᆞᆯ팟 |
우영팟 | 조팝 | 우녁칩 | 할망칩 | 식게칩 |
- 모음으로 끝나는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적에 /ㅂ/ 소리가 덧나는 것은 ‘ㅂ’을 앞 글자의 받침 글자로 적는다.
좁ᄊᆞᆯ | ᄎᆞᆸᄊᆞᆯ |
- 제14항 파생어
- 소리만 특이하게 변한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하르방 | 하르바님 | 하리비/하르비 |
- 제15항 체언과 조사
-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여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체언이나 조사의 소리가 바뀌는 것은 바뀌는 대로 적되,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안[內]: | 안네 | 안네도 | 안네만 |
질[路]: | 질레 | 질레도 | 질레만 |
바깟[外]: | 바깟디 | 바깟디도 | 바깟디만 |
- 다만, 다른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덧나지 않기도 하는 것은 덧나지 않은 꼴로 적는다.
내(川)에 | 시(市)에 | 질레에 |
- [붙임] 서술격 조사 ‘이-’ 앞에서 /ㅈ, ㅍ/ 등으로 나타나는 체언의 종성은 다른 조사 앞에서도 ‘ㅈ, ㅍ’ 등으로 적는다.
낮이라도 | 낮이 | 낮을 | 낮도 | 낮만 |
앞이라도 | 앞이 | 앞을 | 앞도 | 앞만 |
- 제16항 어간과 어미
-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여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어간이나 어미의 소리가 바뀌는 것은 바뀌는 대로 적되,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갈다[耕]: | 갈앗저 | 가난 | 갈지도 | 갈게 | 갈아도 |
걷다[步]: | 걸엇저 | 걸으난 | 걸을지도 | 걷게 | 걸어도 |
아프다[痛]: | 아팟저 | 아프난 | 아플지도 | 아프게 | 아파도 |
올르다[登]: | 올랏저 | 올르난 | 올를지도 | 올르게 | 올라도 |
조랍다[瞌]: | 조라왓저 | 조라우난 | 조라울지도 | 조랍게 | 조라와도 |
- 제17항 준 말
- 준 말은 준 대로 적는다.
- 형태소 내부
(본딧말) | (준말) |
무엇 | 뭣/뭐/멋/머 |
그것 | 그거/거 |
다ᄉᆞᆺ | 닷 |
기영/그영 | 경 |
- 어간과 어미의 결합
(본딧말) | (준말) |
ᄒᆞ여 | 헤 |
ᄒᆞ연 | 헨 |
좋은 | 존 |
ᄒᆞ엿저 | 헷저 |
- 어미와 어미의 결합
(본딧말) | (준말) |
가키어 | 가켜 |
- 조사와 조사의 결합
(본딧말) | (준말) |
보다는 | 보단 |
에서는/이서는 | 에선/이선 |
- 단어와 단어의 결합
(본딧말) | (준말) |
어제ᄌᆞ냑 | 엊치냑/엊ᄎᆞ냑 |
저 아이 | 자이 |
그 아이 | 가이 |
이 아이 | 야이 |
제4장 굳어진 표기[편집]
- 제18항 /ㄷ/ 끝소리
- 본디부터 /ㄷ/이 아닌 음절의 끝소리는 ‘ㅅ’으로 적는다.
덧(~니) | 섯(~ᄃᆞᆯ) | 숫(~구락) | ᄉᆞᄆᆞᆺ |
웃(~옷) | 쳇(~새끼) | 헛(~일) |
- 제19항 한자 형태소
- 한자 형태소는 본음대로 적는다.
- 표준어의 /ㅢ/가 /ㅣ/로 소리나는 것
영희(英姬) | 의원(醫院) | 합의(合意) | 희미(稀微) |
- 표준어의 /ㅖ/가 /ㅔ/로 소리나는 것
계획(計劃) | 은혜(恩惠) | 폐백(幣帛) | 혼례(婚禮) |
- 표준어의 /ㅚ/가 /ㅞ/로 소리나는 것
괴이(怪異) | 외국(外國) | 쇠약(衰弱) | 죄(罪) |
최(崔) | 퇴비(堆肥) | 회의(會議) |
- 제20항 합성어
- 고유어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 때 본디 소리와 다르게 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모음과 평음 사이에서 /ㄷ/ 소리가 덧나는 것은 ‘ㅅ’을 앞 글자의 받침 글자로 적는다.
귓벵 | 뀃주시 | 댓순 | 수돗물 |
웃드르 | 정짓낭/정젯낭 | 정짓문/정젯문 |
- [붙임] 자음뒤에서평음이된소리로바뀌는것은따로표기하지않는다.
ᄆᆞᆷ국 | 당가름 | 엉도 | 알드르 | 톱밥 |
- 모음과 /ㅣ/ 사이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ㅅ’을 앞글자의 받침 글자로 적는다.
뀃입 | 농ᄉᆞᆺ일 | 바깟일/바꼇일/배꼇일 | 베갯잇 | ᄎᆞ롓일 |
부칙[편집]
- 지역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다른 제주어는 모두 인정하여 적는다.
싣그다/실르다 | 풀/쿨 | 품/쿰 | 신짝/신착 |
ᄆᆞ르다/ᄆᆞᆯ르다[乾/裁] | 첫째/첫채/첫차 | ||
ᄀᆞᆯ겡이/ᄀᆞᆯ게/ᄀᆞᆯ각지 | 재열/재/자/자리/잴/잘 | ||
숫구락/숫가락 | -을걸/-으컬 | -을디/-을티 | |
-광/-강/-과/-가/-꽝/-깡 | 부터/부떠 |
- 이 표기법에서 명시적으로 정하지 않은 것은 한글 맞춤법에 따른다.
(제주방언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