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제주어 표기법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제주어 표기법 (제주어 어문규범)
제주특별자치도 고시 제2014-115호
제정기관: 제주어보전육성위원회
시행: 2014.07.18.
제정: 2014.07.18.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일러두기

[편집]

1. 제주어 표기법은 제주 사람들이 쓰는 말의 표기 방법을 정함으로써 일정한 원리에 따라 제주어로 표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제주어의 적극적 사용과 보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제정 목적을 둠.

2. 제주어 표기법을 구성하는 용어 중 ‘제주어’는 ‘제줏말’, ‘제주방언’ 등과 동일한 의미로, ‘표기법’은 ‘표기 방법’, ‘표기 지침’의 의미로 사용함.

3. 여기에 사용한 부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음.

(1) 한자, 한자어 표시에 사용하는 부호

( ) (소괄호) 예시 어휘와 그에 병기한 한자, 한자어의 음이 같을 때 씀.

<예> 시(市)

〔 〕 (대괄호) 예시 어휘와 그에 병기한 한자, 한자어의 음이 다를 때 씀.

<예> 삼춘〔三寸〕

(2) 그 밖의 부호

/ / (양쪽 빗금) 음소 표시에 씀.

‘ ’ (작은따옴표) 형태 표시에 씀.

- (붙임표) 접사나 어미 등 의존형태소를 나타낼 때 씀.

<예> -음, -을디

~ (물결표) 소괄호 밖의 요소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소 및 형태소의 결합형을 표시할 때 씀.

<예> 나쁘(~다), 좁작(~ᄒᆞ다)

/ (빗금) 지역적․사회적으로 다른 제주어나 그 밖에 대응되는 것을 나란히 적을 때 씀.

<예> 엊치냑/엊ᄎᆞ냑

( ) (소괄호) 고유어 어간이나 어근 뒤에 씀.

<예> 숫(~구락)

제1장 총칙

[편집]
제1항 목적
  • 제주어 표기법(이하 ‘이 표기법’)의 목적은 한글 맞춤법의 취지에 따라 제주 사람들이 쓰는 말의 표기 방법을 정하는 데 있다.
제2항 원리 및 방법
  • 이 표기법은 형태소의 본디 꼴(원형)을 밝혀 적는 경우와 바뀐 꼴(변이형)을 적는 경우를 구별한다.
  • 표기가 이미 굳어진 것은 그대로 허용한다.
제3항 범위
  • 이 표기법에서는 통합성과 포괄성을 기준으로 삼아서 제주어를 적는다.
제4항 자모
  • 이 표기법에서는 제주어의 음소와 아래의 자모들이 일치하도록 하여 제주어를 적는다.
ᅟᆢ
  • 다만, ‘ㅇ’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의 초성 글자로도 쓰고, ‘ᅟㅚ, ㅢ’는 한자 형태소를 적을 때에만 쓴다.
제5장 합자
  • 자음은 초성 글자와 받침 글자로 적고, 모음은 중성 글자로 적는다.
  • 제주어는 초성 글자와 중성 글자, 받침 글자를 모아서 적는다.
  • [붙임] 필요한 경우 자모의 결합도 사용할 수 있다.

제2장 본디 꼴을 적는 것

[편집]
제6항 된소리
  • 하나의 형태소 안에서 나는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으로 적는다.
  •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ᄉᆞ끼 어따/아따 나쁘(~다) 마씀/마씸/마씨 주짝/조짝/쭈짝/쪼짝
  • /ㄴ, ㄹ, ㅁ, ㅇ/ 뒤에서 나는 된소리
빈찍/핀찍 ᄉᆞᆯ짝 ᄂᆞᆷ삐 덩싹덩싹
다만, 하나의 어미 안에서 /ㄹ/ 뒤에 오는 된소리는 평음 글자로 적는다.
-을디/-을지 -을수룩/-을수록
[붙임]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지 않는 /ㄱ, ㅂ/ 뒤의 된소리는 평음 글자로 적는다.
녹대 역불로 덕석 낙지 겁데기 놉새 납작
제7항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
  •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것은 같은 자모로 적는다.
꼿꼿ᄒᆞ다 딱딱ᄒᆞ다 뻣뻣ᄒᆞ다 쑥쑥 ᄀᆞᆸᄀᆞᆸᄒᆞ다/ᄁᆞᆸᄁᆞᆸᄒᆞ다 눅눅ᄒᆞ다
닥닥 밋밋 식식 족족 독닥불미/똑딱불미
제8항 속음
  • 한자 형태소의 소리가 위치와 관계없이 본음에서 바뀐 것은 바뀐 대로 적는다.
곡석/곡ᄉᆞᆨ〔穀食〕 공치새〔功致辭〕 궨당〔眷黨〕 농시〔農事〕
당췌〔當初〕 동세〔同壻〕 모냥〔模樣〕 멘장〔面長〕
포〔褓〕 벵/펭〔甁〕 삼춘〔三寸〕 손지〔孫子〕
웬수〔怨讐〕 ᄌᆞ석/ᄌᆞᄉᆞᆨ〔子息〕 ᄌᆞᆷ녜〔潛女〕
제9항 파생어
  •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접두사와 어근을 밝혀 적는다.
홀아방 홀어멍 핫아방 핫어멍 할아바지/할아부지 할애비
  • ‘-이’나 ‘-음’ 또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어근과 접미사를 밝히고 구별하여 적는다.
다듬이 엇이/읏이 굳이
끗들이 살렴살이 절룩발이 ᄂᆞ직이
빙색이/벵삭이 높이다 쌓이다
ᄃᆞᆯ음박질 ᄌᆞᆸ음
돋구다 벗기다/벳기다 울리다 짚숙(~ᄒᆞ다)
좁작(~ᄒᆞ다) 앉지다/앚지다 높직(~이) ᄂᆞᆽ추다
받후다 굳히다
  • [붙임] ‘-이’나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어근과 접미사를 구별하여 적지 아니한다.
귀마구리 꼬락사니 ᄉᆞ래기 ᄉᆞ타귀/사타귀 이파리
지동/지둥/지붕
  • 다만, ‘ㄹ’로 끝나는 어근에 접미사 ‘-ㅁ’이 붙어서 파생된 말은 어근을 밝혀 적지 아니한다.
ᄀᆞ뭄 구뭄/그뭄 수눔 ᄌᆞ늠
제10항 체언과 조사
  •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여 소리가 바뀌지 않거나, 바뀌더라도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있는 것은 체언과 조사의 본디 꼴을 적되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ᄃᆞᆨ〔鷄〕: ᄃᆞᆨ이 ᄃᆞᆨ을 ᄃᆞᆨ도 ᄃᆞᆨ만
논〔畓〕: 논이 논을 논도 논만
ᄆᆞᆯ〔馬〕: ᄆᆞᆯ이 ᄆᆞᆯ을 ᄆᆞᆯ도 ᄆᆞᆯ만
ᄂᆞᆷ〔他人〕: ᄂᆞᆷ이 ᄂᆞᆷ을 ᄂᆞᆷ도 ᄂᆞᆷ만
ᄋᆢᄃᆞᆸ〔八〕: ᄋᆢᄃᆞᆸ이 ᄋᆢᄃᆞᆸ을 ᄋᆢᄃᆞᆸ도 ᄋᆢᄃᆞᆸ만
꼿〔花〕: 꼿이 꼿을 꼿도 꼿만
고장〔花〕: 고장이 고장을 고장도 고장만
자리〔蓆〕: 자리가 자리를/자릴 자리도 자리만
제11항 어간과 어미
  •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여 소리가 바뀌지 않거나, 소리가 바뀌더라도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있는 것은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낚다〔釣〕: 낚안 낚으민 낚으곡 낚나 낚는
넘다〔越〕: 넘언 넘으민 넘곡 넘나 넘는
막다〔墇〕: 막안 막으민 막곡 막나 막는
묻다〔埋〕: 묻언 묻으민 묻곡 묻나 묻는
살다〔生〕: 살안 살민 살곡 사는
안다〔抱〕: 안안 안으민 안곡 안나 안는
잇다〔連〕: 잇언 잇으민 잇곡 잇나 잇는
잡다〔把〕: 잡안 잡으민 잡곡 잡나 잡는
좇다〔從〕: 좇안 좇으민/좇이민 좇으곡/좇이곡 좇나 좇는
ᄎᆞᆽ다〔索〕: ᄎᆞᆽ안 ᄎᆞᆽ으민/ᄎᆞᆽ이민 ᄎᆞᆽ곡 ᄎᆞᆽ나 ᄎᆞᆽ는

제3장 바뀐 꼴을 적는 것

[편집]
제12항 두음법칙
  • 한자 형태소가 단어의 첫머리에 와서 본디 소리와 다르게 발음되는 것은 발음되는 대로 적는다.
낙방(落榜) 냥(兩) 냥쭝(兩-) 녹각(鹿角)
니ᄉᆞ무소(里事務所) 양펜(兩便) 여ᄌᆞ(女子) 열녀(烈女)
예도(禮度) 요소(尿素) 용담(龍潭) 유리(琉璃)
이발(理髮) ᄋᆢᆷ치(廉恥)
  • [붙임] 모음과 /ㄴ/ 뒤에 오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나열(羅列) 비율(比率) 분열(分裂) 진열(陳列)
제13항 합성어
  •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 때 본디 소리와 다르게 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ㄹ’로 끝나는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낱말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ᄀᆞ대 ᄄᆞ님 ᄆᆞ날〔午日〕 ᄆᆞ쉬 소낭/소남
  • 다른 어휘 형태소 뒤에서 어휘 형태소의 초성 /ㄱ, ㄷ, ㅂ, ㅈ/이 /ㅋ, ㅌ, ㅍ, ㅊ/으로 바뀌는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ᄉᆞᆯ퀘기 ᄆᆞᆷ쿡 동카름 보리크르 ᄂᆞᄆᆞᆯ팟
우영팟 조팝 우녁칩 할망칩 식게칩
  • 모음으로 끝나는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적에 /ㅂ/ 소리가 덧나는 것은 ‘ㅂ’을 앞 글자의 받침 글자로 적는다.
좁ᄊᆞᆯ ᄎᆞᆸᄊᆞᆯ
제14항 파생어
  • 소리만 특이하게 변한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하르방 하르바님 하리비/하르비
제15항 체언과 조사
  •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여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체언이나 조사의 소리가 바뀌는 것은 바뀌는 대로 적되,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안〔內〕: 안네 안네도 안네만
질〔路〕: 질레 질레도 질레만
바깟〔外〕: 바깟디 바깟디도 바깟디만
다만, 다른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덧나지 않기도 하는 것은 덧나지 않은 꼴로 적는다.
내〔川〕에 시(市)에 질레에
  • [붙임] 서술격 조사 ‘이-’ 앞에서 /ㅈ, ㅍ/ 등으로 나타나는 체언의 종성은 다른 조사 앞에서도 ‘ㅈ, ㅍ’ 등으로 적는다.
낮이라도 낮이 낮을 낮도 낮만
앞이라도 앞이 앞을 앞도 앞만
제16항 어간과 어미
  •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여 꼭 바뀔 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어간이나 어미의 소리가 바뀌는 것은 바뀌는 대로 적되,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갈다〔耕〕: 갈앗저 가난 갈지도 갈게 갈아도
걷다〔步〕: 걸엇저 걸으난 걸을지도 걷게 걸어도
아프다〔痛〕: 아팟저 아프난 아플지도 아프게 아파도
올르다〔登〕: 올랏저 올르난 올를지도 올르게 올라도
조랍다〔瞌〕: 조라왓저 조라우난 조라울지도 조랍게 조라와도
제17항 준 말
  • 준 말은 준 대로 적는다.
  • 형태소 내부
(본딧말) (준말)
무엇 뭣/뭐/멋/머
그것 그거/거
다ᄉᆞᆺ
기영/그영
  • 어간과 어미의 결합
(본딧말) (준말)
ᄒᆞ여
ᄒᆞ연
좋은
ᄒᆞ엿저 헷저
  • 어미와 어미의 결합
(본딧말) (준말)
가키어 가켜
  • 조사와 조사의 결합
(본딧말) (준말)
보다는 보단
에서는/이서는 에선/이선
  • 단어와 단어의 결합
(본딧말) (준말)
어제ᄌᆞ냑 엊치냑/엊ᄎᆞ냑
저 아이 자이
그 아이 가이
이 아이 야이

제4장 굳어진 표기

[편집]
제18항 /ㄷ/ 끝소리
  • 본디부터 /ㄷ/이 아닌 음절의 끝소리는 ‘ㅅ’으로 적는다.
덧(~니) 섯(~ᄃᆞᆯ) 숫(~구락) ᄉᆞᄆᆞᆺ
웃(~옷) 쳇(~새끼) 헛(~일)
제19항 한자 형태소
  • 한자 형태소는 본음대로 적는다.
  • 표준어의 /ㅢ/가 /ㅣ/로 소리나는 것
영희(英姬) 의원(醫院) 합의(合意) 희미(稀微)
  • 표준어의 /ㅖ/가 /ㅔ/로 소리나는 것
계획(計劃) 은혜(恩惠) 폐백(幣帛) 혼례(婚禮)
  • 표준어의 /ㅚ/가 /ㅞ/로 소리나는 것
괴이(怪異) 외국(外國) 쇠약(衰弱) 죄(罪)
최(崔) 퇴비(堆肥) 회의(會議)
제20항 합성어
  • 고유어 어휘 형태소가 다른 어휘 형태소와 어울릴 때 본디 소리와 다르게 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모음과 평음 사이에서 /ㄷ/ 소리가 덧나는 것은 ‘ㅅ’을 앞 글자의 받침 글자로 적는다.
귓벵 뀃주시 댓순 수돗물
웃드르 정짓낭/정젯낭 정짓문/정젯문
  • [붙임] 자음뒤에서평음이된소리로바뀌는것은따로표기하지않는다.
ᄆᆞᆷ국 당가름 엉도 알드르 톱밥
  • 모음과 /ㅣ/ 사이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ㅅ’을 앞글자의 받침 글자로 적는다.
뀃입 농ᄉᆞᆺ일 바깟일/바꼇일/배꼇일 베갯잇 ᄎᆞ롓일

부칙

[편집]
  • 지역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다른 제주어는 모두 인정하여 적는다.
싣그다/실르다 풀/쿨 품/쿰 신짝/신착
ᄆᆞ르다/ᄆᆞᆯ르다〔乾/裁〕 첫째/첫채/첫차
ᄀᆞᆯ겡이/ᄀᆞᆯ게/ᄀᆞᆯ각지 재열/재/자/자리/잴/잘
숫구락/숫가락 -을걸/-으컬 -을디/-을티
-광/-강/-과/-가/-꽝/-깡 부터/부떠
  • 이 표기법에서 명시적으로 정하지 않은 것은 한글 맞춤법에 따른다.

(제주방언연구회)

외부 링크

[편집]

라이선스

[편집]

이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 따라 비보호저작물로 배포됩니다.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저작물이 있습니다.

  1.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3.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5.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