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규범집 (1987)/문장부호법
보이기
이 문서는 {{머리말}} 정보가 없습니다. 도움을 주시려면 토론 문서에 의견을 남기거나, 문서를 편집하여 "{{머리말 필요}}"를 다음과 같이 바꾸고 최소한 제목과 저자 변수를 작성하세요.{{머리말 | 제목 = | 부제 = | 저자 = | 이전 = | 다음 = | 설명 = }} |
문장부호법
[편집]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단어형태를 고정시키는 문제는 아마 남북이 통일된 다음에 해결해야 할것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부터 잘 연구해두는것이 좋습니다. 지금과 같은 네모글자를 가지고라도 어느 정도 풀릴수 있을것 같습니다.》(《김일성저작집》18권, 24페지)
총 칙
- 현대조선말의 문장부호는 문장들, 문장안의 각 단위들을 뜻과 기능에 따라 갈라주기 위하여 친다.
제1항. 우리 글에서 쓰는 부호의 종류와 이름
. 점 ! 느낌표 : 두점 - 이음표 , 반점 ― 풀이표 ; 반두점 … 줄임표 ? 물음표 〈 〉 거듭인용표 ○○○, ×××, □□□ 숨김표 ( ) 쌍괄호 〃 같음표 〔 〕 꺾쇠괄호 ∼ 물결표
제2항. 점(.)
- 1) 문장(감탄문과 의문문 제외)이 끝났을 때 문장끝의 오른편 아래쪽에 친다.(이 부호의 이름은《끝점》이라 할수 있다.)
- 례: 우리 시대는 위대한 주체시대이다.
- 2) 략자나 줄임말임을 보여주기 위하여 오른편 아래쪽에 친다.
- (1) 년, 월, 일을 줄인 경우에는 그 수의 오른편 아래쪽에 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1985. 10. 10 1948. 9. 1945. 1985―1986.
- (2) 략자나 달과 날의 수자가 합쳐서《명사화》되였거나 그뒤에 자립적인 단어가 올 때에는 그 말마디의 사이에 친다.
례: ― 《ㅌ.ㄷ》 ― 4.25 축구팀 민족최대의 명절 4.15 9.9절 ― 레. 브. 똘스또이
- 3) 대목이나 장, 절을 가르는 표식에 괄호나 동그라미가 없을적에 그뒤에 친다.
례: ― 제1장. 제1절. 제1조. 제6항. ― I. 1. 3. ㄱ. ― 그림 1. 모내는 기계의 구조 그림 2. 꿀벌의 구조
-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점을 치지 않는다.
례: 도표 1 - 2 그림 2 - 1 1 - 씨, 2 - 잎, 3 - 꽃
제3항. 두점(:)
- 1) 뒤에 설명을 보라는것을 밝히는 단어나 말마디 뒤에 친다.
례: ― 례: ― 믈음: 대답: ― 김은덕동무의 토론: ― 주의: 순이의 야무진 말: 비고: ― 열매의 종류: ― 실험조건:
- 2) 한 문장이 대체로 끝나면서 뒤에 오는 말들이 앞문장을 설명하거나 보충할 때 그 앞문장의 끝에 칠수 있다.
례: ○ 장내는 바야흐로 흥성거렸다: 손님들이 밀려들고 아이들이 뛰놀고 풍악소리가 들리고 하면서… ○ 우리 공장에서는 여러가지 제품들을 만들고있다: 옷장, 책장, 걸상, 신발장, 밥상 등
제4항. 반두점(;)
- 한 문장안에 이미 반점(,)으로 구분된 말이 여러개 잇달아있고 다음에 다른 측면에서의 말이 련달아 을 때 더 크게 묶어지는 단위를 구분하기 위하여 칠수 있다.
례: ― 상점에는 무우, 배추, 시금치, 쑥갓 등과 같은 남새; 물고기, 미역, 젓갈 등과 같은 갖가지 수산물; 그리고 여러가지 과실들이 차있었다. ― 공장에서는 종업원들의 기술기능수준을 높이는데 많은 힘을 돌렸다. 로동자들의 기술적 자질, 생산장성, 공장의 발전전망 등을 고려하여 이 사업을 계획성있게 끌고나갔으며; 직종, 소질, 작업조건 등을 잘 타산하여 양성반을 조직하여 운영하였으며; 기능이 높고 낮은 로동자들을 잘 배합하여 개별전습을 잘하도록 하였다.
제5항. 반점(,)
- 1) 복합문에서 이음토가 없이 문장들이 이어질 때 단일문들사이에 친다.
례: 나는 로동자, 너는 농장원.
- 2) 어떤 문장이나 말마디가 련결되거나 맺음토로 끝났다 하더라도 뒤의 문장이나 말마디와 밀접히 련관되여 있을적에는 그 맺음토의 뒤에 친다.
례: ― 왔고나, 왔고나, 혁명이 왔고나. ― 바람이 세다, 창문을 주의해라. ― 어제도 좋았고, 오늘도 좋고, 래일은 더욱 좋을 우리 생활!
- 3) 죽 들어 말한 단어들사이를 갈라주기 위하여 친다.
례: ― 도시와 농촌에서, 일터와 마을에서, 학교와 가정에서 생활은 약동하고있다. ― 우리는 영화에서 높은 혁명성, 당성, 계급성, 인민성의 본보기를 충분히 받아안았다.
- 4) 문장의 첫머리나 가운데에 들어있는 부름말, 끼움말, 느낌말 같은것을 구분하기 위하여 친다.
례: ― 동무들아, 이 기세로 굳게 뭉치여 인민경제계획을 승리로 맺자. ― 우리는 그때에도, 다시말해서 전쟁때도 책을 놓지 않았다. ― 아, 우리 조국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 5) 제시어뒤에 친다.
례: ― 당, 그가 있음으로 하여 오늘의 승리가 있다. ― 혁명적 예술인이 되는것, 이것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문화예술을 창조하는 작가, 예술인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임무로 된다. ― 우리 당의 령도밑에 민족간부, 그가운데서도 기술간부가 많이 자랐다.
- 6) 동격어뒤에도 칠수 있다.
례: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7) 문장성분의 차례를 바꾸어 한 부분을 특별히 힘주어 나타낼 때에는 그 힘준 말뒤에 친다.
례: ― 나가자, 판가리싸움에 나가자, 유격전으로
- 8) 하나의 피규정어에 동시에 관계하는 두개이상의 규정어가 잇달을 때 그것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친다.
례: ― 한데 뭉친, 아무도 꺾을수 없는 우리 인민의 힘 ― 인민들이 살기 좋은, 번영하는 새 조선을 건설하기 위하여 투쟁하였다.
- 9) 문장에서 단어들의 관계가 섞갈릴수 있을 경우에는 그것을 구분하기 위하여 찍는다.
례: ― 세계 혁명적 인민들은, 새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인류에게 헤아릴수 없는 참화를 들씌우며 새로 독립한 나라들을 내부로부터 와해시키고 책동하는 미제국주의를 반대하여 견결히 싸워나가야 한다. ― 그는 재빨리, 달리는 차를 잡아탔다. ― 인민들의 정성이 깃든, 사랑의 위문품을 가득 실어왔다.
제6항. 물음표(?)
- 1) 물음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친다.
례: ―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에서 청년들이 하여야 할 임무는 무엇인가? ― 차는 몇시에 떠났어?
- 2) 의심쩍거나 망설이게 됨을 나타낼 때 친다.
례: ― 박선생이 왔다?
- 【붙임】《수사학적 물음》으로 된 문장이 끝났을 때에는 점을 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동무가 그래서 되겠는가. 대오의 앞장에 서야 할 동무가 말이요.
제7항. 느낌표(!)
- 1) 느낌을 나타내는 문장끝에 친다.
례: ― 여기에 한 당원의 충성의 기록장이 있다! ― 아, 금강산은 참말 아름답구나!
- 2) 부름말, 느낌말, 제시어 등이 센 감동적 어조를 가지고있을 때 그뒤에 칠수 있다.
례: ― 동무들! 우리의 생활이 행복할수록 남녘땅 형제들을 잊지 맙시다. ― 백두산! 너는 혁명의 뿌리가 내린 조종의 산, 조선의 넋이여라.
제8항. 이음표(-)
- 두개이상의 단어가 어울리여 하나의 통일된 개념을 나타낼 때 칠수 있다.
례: ○ 조선-꾸바친선협회 맑스-레닌주의 ○ 굳은-넓은잎나무 구조-문법적 특성 ○ 물리-화학적 성질
- 1) 같은 종류의 문장성분들과 그것에 대한 묶음말사이에 친다.
례: 벼, 보리, 밀, 강냉이―이런 알곡들은… 이런 알곡들―벼, 보리, 밀, 강냉이 등은…
- 2) 동격어의 뒤에 칠수 있다.
례: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렬사들이 걸어온 길―혁명의 길은 간고하고도 영예로운 길이였다.
- 3)《에서―까지》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칠수 있다.
례: 평양―신의주, 아침―점심
- 4) 제시어의 뒤에 칠수 있다.
례: 우리 생활―그것은 곧 예술이다.
- 5) 서로 맞서거나 대응하는 관계를 나타낼 때 칠수 있다.
례: 공대―의대 축구경기
- 6) 특수한 글에서 주어와 술어가 토없이 맞물렸을 때 그사이에 칠수 있다.
례: ○ 나―《갈매기》호 선장, ○ 철호―통신병 ○ 순이―간호원
제10항. 줄임표(…)
- 1) 문장 또는 문장안의 일부 말마디가 줄어진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그 줄어진 부분이 석점을 찍는다.
례: ― 《…갑문건설에서 또다시 조선사람의 본때를 보입시다.》 ― 그때 박동무가 있기는 했습니다만…
- 【붙임】인용하는 글에서 번호 한개, 단어 하나, 문장이나 단락 하나, 표현의 일부를 줄여도 석점(…)으로 표시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 2) 제목이나 차례의 뒤에 보충하는 설명을 붙일 때 칠수 있다. 이때의 점의 수는 제한이 없다.
례: ― 머리글……편집위원회 ― 《우리 말 강좌》……언어학연구소 ― 학계소식……편집부
제11항. 인용표(《 》)
- 1) 이미 이루어진 말이나 대화를 인용할 때 그 문장의 앞뒤에 친다.
례: 《야, 백두산이 보인다!》 박동무는《내가 이겼지.》라고 힘주어 말하였다.
- 2) 어떤 말마디나 표현을 특별히 드러내서 나타낼적에 그것의 앞뒤에 친다.
례: ― 《김일성저작집》 《영화예술론》 ― 《80년대속도》 혁명소설《백두산기슭》
- 3)《이른바》라는 뜻을 가지고 따온 일반적인 말마디나 부정 적인 표현의 앞뒤에 친다.
례: | ― | 《바다의 왕》이라는 고래 |
《하늘의 독수리》라는 비행사 | ||
― | 미제는《원조》를 미끼로 남의 나라를 침략한다. |
제12항. 거듭인용표(〈 〉)
- 인용한 말 안에 또 다른 인용표안에 들어간 말이 인용될 때에 친다.
례: ― 《열철동무는〈하자고 결심만 하면 못할 일이 없습니다.〉라고 하면서 계획된대로 내밀자.》고 토론했다. ― 《우리 분조에는〈천리마〉호가 3대나 배정되였습니다.》―분조장의 말
- 그리고 인용표안에 들어가는 모든 인용표는 거듭인용표를 친다.
례: 《우리의 투쟁목표는〈다시한번〈평양속도〉를 창조하자.〉이것입니다.》그는 힘있게 말하였다.
제12항. 쌍괄호와 꺾쇠괄호(( ),〔 〕)
- 1) 본문을 보충하기 위하여 붙인 말의 앞뒤에 쌍괄호(( ))를 친다.
례: ― 내가 대학에 입학하던 해였다. (그해도 풍년이 들었었다.) 어머니는 집을 떠나는 나에 게 훌륭한 농업전문가가 되여 돌아오라고 당부하였다. ― 밀영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난것이 분명했다. (무슨 일일가?) ― 전보미동무(로력영웅이다.)는 오늘도 자기 계획을 2배로 넘쳐하였다.
- 2) 인용하는 말이 나온곳을 밝히는 말마디의 앞뒤에 쌍괄호(( ))를 친다.
례: ― 《인적드문 심산유곡에 구차한 생을 도모하고있는 이 늙은 백성이 오매불망 그리워하던 장군님의 존안을 이렇게 문득 뵈옵게 되니 황송하기가 그지 없습니다.》(총서《불멸의 력사》중 장편소설《고난의 행군》에서)
- 3) 괄호안에 또 다른 괄호 또는 쌍괄호나 인용표가 있을 때 바깥것은 꺾쇠괄호(〔 〕)로 묶는다.
례: 《근대철학의 큰 기본문제는 존재에 대한 사유의 관계여하의 문제이다.》〔《루드위히 프이에트바흐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에프. 엥겔스) 조선로동당출판사 1957년판, 25페지〕
- 【붙임】꺾쇠괄호는 여러가지 형태로 쓸수 있다.
례: | 〔 〕,【 】, … |
제14항. 인용표와 괄호 안에서의 부호사용법
- 1) 인용표나 괄호안의 말이 문장인 경우에는 거기에 해당한 부호를 친다.
례: ― 《올해도 거름을 많이 냅시다! 정당 20톤은 문제없습니다.》라고 분조장은 신이 나서 말한다.》고 토론했다. ― 우리는 매우 긴장한 투쟁을 하고 있었다. (상반년계획을 4.15전으로 끝내야 했었다.)
- 【붙임】《〈…〉라고》로 끝나는 경우에《라고》의 뒤에는 해당한 부호를 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50톤은 문제없습니다.》라고, 《빨리 서둘자요!》라고… 《번개》라고?
- 2) 인용표나 괄호 안의 말이 문장이 아닐 때에는 아무 부호도 치지 않는다.
례: ― 다시한번《80년대속도》를 창조하자! ― 학생들(다섯사람)은 노래부르며 마을앞을 지나갔다.
- 【붙임】그러나 인용표나 괄호 안의 말이 여러 마디일적에는 그것들사이에 구별하는 부호를 친다.
례: ― 《견주다, 겨누다, 겨루다》는 소리가 비슷하나 뜻이 다른 딴 단어들이다.》고 토론했다. ― 같이 있던 네사람(작업반장, 분조장, 태식아바이, 성숙)이 달려왔다.
- 3) 괄호안의 말이 전체 문장의 끝에 있는 경우는 괄호뒤에 아무 부호도 치지 않는다.
례: ― 공든 탑이 무너지랴? (속담) ― 우리는 몹시 기뻤다. (분기계획을 넘쳐수행한것으로 하여) ― 눈접방법(그림 5)
- 4) 인용표안에 있는 문장의 끝에서 전체 문장도 끝나는 경우는 끝맺는 부호를 다음과 같이 친다.
례: ― 《얘, 주의해.〈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 가 듣는다.〉》 ― 《속담에도 있지만〈때지 않은 굴뚝에서 연기날가?〉》 ― 《동무들!〈생산도 학습도 생활도 항일유격대식으로!〉》
제15항. 밑점(……)
- 문장안에서 특별히 중점을 두고 힘주어말하는 부분이나 읽는 사람의 주의를 끌기 위한 부분에 찍되 점의 수는 글자의 수에 따른다.
례: 우리의 관심은 어디서 ,언제 그리고어떻게 [1] 이 문제가 해결되는가에 있었다.
- 【붙임】중점을 두어 강조하는 부분을 드러내기 위하여서는 밑줄( )이나 물결줄(∼∼∼) 같은것도 쓸수 있다.
제16항. 숨김표(×××, □□□, ○○○ 등)
- 문장에서 글자로 나타낼 필요성이 없을 때 그 글자수만큼 둔다.
례: 아프리가의 일부 지방에 들이닥친 무데기비로 ×××에서는 약 ○○○정도의 재산피해를 보았다.
- 【붙임】숨김표는 출판물의 성격에 따라 동일한것을 쓸수도 있고 서로 다른것을 쓸수도 있다.
- 숨김표의 구체적인 이름은 다음과 같다.
가위숨김표 ××× (가위 가위 가위) 네모숨김표 □□□ (네모 네모 네모) 동그라미숨김표 ○○○ (공 공 공)
- 같은 말이나 같은 표현이 겹쳐나올 때 두번째부터의 그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쓸수 있다.
례: | 제1작업반 반장 |
제2 〃 〃 | |
제3 〃 〃 | |
제6 〃 부반장 |
- 【붙임】때에 따라서는 같음표를《―〃―》로도 표시할수 있다.
례: 평양시인민위원회 지도원 남포시 ――――― 〃 ―――――
제18항. 물결표(∼)
- 1)《내지》라는 뜻으로 쓰되 단위를 나타내는 말은 마지막 수자에만 붙인다.
례: ― 10∼12시 ― 5∼8월 ― 100∼150명 5∼6개 ― 10만∼15만개
- 2) 단위가 되풀이되면서 그 일부를 줄일 때 쓴다.
례: 체육 ∼가 ∼하다
제19항. 제목글에서의 부호사용법
- 1) 제목글에서 느낌문, 물음문의 경우는 문장의 끝에 해당한 부호를 치고 서술문의 경우에는 끝점을 치지 않을수 있다.
례: 우리식으로 꾸려놓으니 보기도 좋다! 누가 이겼을가? 모내기를 끝냈다
- 2) 신문, 잡지 등의 제목글이 명명문이거나 또는 맺음토없이 끝난 문장인 경우는 부호를 치지 않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충성의 구감 한 간호원에 대한 이야기
- 【붙임】그러나 특별히 감정의 색채를 뚜렷이 하기 위하여 해당한 부호를 칠수도 있다.
례: 인간에 대한 지극한 사랑! 《힘장수》?
제20항. 대목이나 장, 절, 문단 등을 가르는 부호와 그 차례 (그 이름도 다음과 같이 통일하여 부르기로 한다.)
― | I, II, III …… 로마수자 일, 이, 삼 |
1, 2, 3 …… 아라비아수자 일, 이, 삼 | |
1), 2), 3) …… 반괄호 일, 이, 삼 | |
(1), (2), (3) …… 쌍괄호 일, 이, 삼 | |
― | ㄱ …… 그 |
ㄴ …… 느 | |
ㄷ …… 드 | |
― | ①, ②, ③ …… 동그라미 일, 이, 삼 |
― …… 풀이표 | |
○ …… 동그라미 | |
・ …… 풀이점 | |
※ …… 참고표 | |
…… 꽃표 |
- ↑ 원문에서는 점이 문자밑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