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페이지:배비장전 (신구서림, 1916).djvu/115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페이지는 아직 교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발행겸총발매소신구서림(發行兼總發賣所新舊書林) 증상연예(增像演藝) 옥중가인(獄中佳人) 전일책(全一冊) 가정(價定) 사습전(四拾錢) 우서(右書)의 내용(內容)은 일반(一般)히 지실(知悉)ᄒᆞᄂᆞᆫ바어니와 가이(可以) 열(烈)ᄒᆞ며 가이(可以) 정(貞)ᄒᆞ며 가이(可以) 숙(淑)ᄒᆞ야 오인(吾人)의 심정(心情)을 흥기(興起)케ᄒᆞᆷ이 차서(此書)에 과(過)ᄒᆞᆯ자(者)-무(無)ᄒᆞᆫ지라 연이본서(然而本書)의 진본(眞本)은 세(世)에 절무(絶無)ᄒᆞ야 구견(求見)ᄒᆞ기 난(難)ᄒᆞᆷ으로 독자(讀者)의 유(遺)ᄒᆞ던바-라 행(幸)히 고서저장(古書貯藏)ᄒᆞᆫ 문학가(文學家)에셔 차진본일책(此眞本一冊)을 멱득(覔得)ᄒᆞ야 각종춘향전(各種春香傳)의 불비(不備)을 보충(補充)ᄒᆞᆫ 차서(此書)라 기내용(其內容)을 약술(略述)ᄒᆞ면 하기(下記)와 여(如)ᄒᆞᆷ 벽담(碧潭)에 추월(秋月)갓고 녹파(綠波)에 부용(芙蓉)갓흔츈향과 낙양과객풍류호사(洛陽過客風流豪士)리도령이셔로맛나 인연ᄆᆡᆺ던 화상(畵像)이며 화란춘성(花爛春城)ᄒᆞ고 만화방랑(萬和方暢)ᄒᆞᆫᄃᆡ 월로(月姥)되든방ᄌᆞ와 재공교자(在公敎子)ᄒᆞ든 리부사의 화상(畵像)이며 다락다한(多樂多恨)ᄒᆞ고 능소능읍(能笑能泣)ᄒᆞ든 츈향모가 위규위(爲圭爲)ᄒᆞ고 경고동감(冂苦同甘)ᄒᆞ든 향단이를 ᄃᆡᄒᆞ여 츈향이가 리도령맛나놀든 일을문난 형상(形像)이며 구관사도임(舊官使道任)되고 신관사도신연(新官使道新延)ᄒᆞᆯ제 가진ᄎᆔᄐᆡ권마셩에 젼ᄇᆡ나렬긔구잇는 변사도(卞使道)의 화상(畵像)이며 신관사도도임초(新官使道到任初)에 기생(妓生)뎔고ᄒᆞ느라고 모든기ᄉᆡᆼ등ᄃᆡᄒᆞ든 화상(畵像)이며 옥(獄)에갓친춘향(春香)이 가장님불녀 문복ᄒᆞᄂᆞᆫ 화상(畵像)이며 죽장망혜(竹杖芒鞋)로나려오ᄂᆞᆫ 리어사가 농부(農夫)ᄒᆞ고 문답(問答)ᄒᆞᄂᆞᆫ 화상(畵像)이며 본관사도(本官使道)ᄉᆡᆼ일잔ᄎᆡ에 근읍수령(近邑守令)안졋다가 리어사가 금관조복(金冠朝服)에 모든 역졸(驛卒) 거나리고 어ᄉᆞ츌도ᄒᆞᄂᆞᆫ쇼ᄅᆡ 패도산(沛逃散)ᄒᆞ든 진상(眞像)이며 춘향(春香)이 어사낭군(御史郎君)맛ᄂᆞᆫ후에 등장(等狀)들든 모든과부 와부즁ᄉᆡᆼ남즁ᄉᆡᆼ녀라 어사사위죠흘시고 신이나셔 엉덩츔츄ᄂᆞᆫ 츈향모의 화상(畵像)을 삽화연의(揷畵演義)로 편성(編成)ᄒᆞ야 충분(充分)케ᄒᆞᆫ자(者)-니 문장기타정렬효행급충비(文章其他貞烈孝行及忠婢)를 효(效)코져ᄒᆞᄂᆞᆫ 인사(人士)ᄂᆞᆫ 가(可)히 독득(讀得)ᄒᆞᆯ자(者)이옵ᄂᆞ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