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페이지는 아직 교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 ㅂᄂᆞᆫ 입시울쏘리니 彆벼ᇙ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 쓰면 歩뽕ㆆ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ㅍᄂᆞᆫ 입시울쏘리니 漂표ᇢㅸ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ㅁᄂᆞᆫ 입시울쏘리니 彌밍ㆆ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ㅈᄂᆞᆫ 니쏘리니 卽즉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慈ᄍᆞᆼㆆ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ㅊᄂᆞᆫ 니쏘리니 侵침ㅂ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ㅅᄂᆞᆫ 니쏘리니 戌슈ᇙ〮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邪썅ㆆᄍᆞᆼ 처ᅀᅥᆷ 펴아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ㆆᄂᆞᆫ 목소리니 挹ᅙᅳᆸ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ㅎᄂᆞᆫ 목소리니 虛헝ㆆ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 洪ᅘᅩᇰㄱ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ㅇᄂᆞᆫ 목소리니 欲욕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ㄹᄂᆞᆫ 半혀쏘리니 閭령ㆆ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ᅀᄂᆞᆫ 半니쏘리니 穰ᅀᅣᇰㄱ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 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
- ᆞᄂᆞᆫ 呑ᄐᆞᆫㄷ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ㅡᄂᆞᆫ 卽즉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ㅣᄂᆞᆫ 侵침ㅂ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ㅗᄂᆞᆫ 洪ᅘᅩᇰㄱ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ㅏᄂᆞᆫ 覃땀ㅂ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ㅜᄂᆞᆫ 君군ㄷ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ㅓᄂᆞᆫ 業업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ㅛᄂᆞᆫ 欲욕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ㅑᄂᆞᆫ 穰ᅀᅣᇰㄱ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ㅠᄂᆞᆫ 戌슈ᇙ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ㅕᄂᆞᆫ 彆벼ᇙ字ᄍᆞᆼ 가온ᄃᆡᆺ 소리 ᄀᆞᄐᆞᄂ라
- 乃냉終쥬ᇰㄱ 소리ᄂᆞᆫ 다시 처소리ᄅᆞᆯ ᄡᅳᄂᆞ니라
- ㅇᄅᆞᆯ 입시울쏘리 아래 니ᅀᅥ 쓰면 입시울 가ᄇᆡ야ᄫᆞᆫ 소리 ᄃᆞ외ᄂᆞ니라
- 첫 소리ᄅᆞᆯ 어울워 ᄡᅮᇙ디면 ᄀᆞᆯᄫᅡ쓰라 乃냉終쥬ᇰㄱ 소리도 ᄒᆞᆫ가지라
-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와란 첫 소리 아래 브텨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와란 올ᄒᆞᆫ 녀긔 브텨쓰라
- 믈읫 字ᄍᆞᆼㅣ 모로매 어우러ᅀᅡ 소리이ᄂᆞ니 왼 녀긔 ᄒᆞᆫ 點뎜을 더으면ᄆᆞᆺ 노ᄑᆞᆫ 소리오 點뎜이 둘히면 上쌰ᇰ聲셔ᇰ이오 點뎜이 업스면 平뼈ᇰ聲셔ᇰ이오 入ᅀᅵᆸ聲셔ᇰ은 點뎜더우믄 ᄒᆞᆫ 가지로ᄃᆡ ᄲᆞᄅᆞ니라
- 中듀ᇰ國귁 소리예 니쏘리ᄂᆞᆫ 齒칭頭뚜ᇢ와 正져ᇰ齒칭왜 ᄀᆞᆯᄒᆡ요미 잇ᄂᆞ니 ㅈㅊㅉㅅㅆ字ᄍᆞᆼᄂᆞᆫ 齒칭頭뚜ᇢㅅ 소리예 ᄡᅳ고 ㅈㅊㅉㅅㅆ字ᄍᆞᆼᄂᆞᆫ 正져ᇰ齒칭ㅅ 소리예 ᄡᅳᄂᆞ니 엄과 혀와 입시울와 목 소리옛 字ᄍᆞᆼᄂᆞᆫ 中듀ᇰ國귁 소리예 通토ᇰ히 ᄡᅳᄂᆞ니라
- 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
이것이 맨 처음 만들은 때의 글씨요, 소리 적는 법(綴音法)이엇읍니다。 이 것은 원문대로 쓰되, 다만 왼쪽에 사성(四聲)을 표하는 점찍은 것만 없이 한 것입니다。
二. 훈몽자회 난 때의 고치어짐
훈민정음이 발표된지 八십一년 뒤인 중종(中宗) 二십二년 정해(丁亥 서역 一五二七)에 최세진(崔世珍)이 어린 아이들에게 처음 배우게 할 교과서로 「훈몽자회」(訓蒙字會)를 만들엇는데, 한문 글씨 밑에마다 훈민정음으로 그 뜻과 음(音)을 달앗음으로, 그 훈민정음 적는 법을 쉽게 하노라고, 세종 때 발표된 법보다 많히 고치게 되엇읍니다。 그 책의 첫머리 범녜(凡例)에 다음과 같이 그 고친 법을 말하엿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