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산도가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한산도가(閑山島歌)
저자: 이순신

작품의 배경이 한산도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작자가 임진왜란 때 전라좌도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가 되어 한산도에서 군진을 치고 있을 때의 착잡한 심회와 충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인다.

46413한산도가이순신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한문

[편집]

閑山島月明夜上戍褸 (한산도월명야상수루)
撫大刀深愁時 (무대도심수시)
何處一聲羌笛更添愁(하처일성강적갱첨수)

옛 한글

[편집]

閑山셤ᄃᆞᆯᄇᆞᆯ근밤의戍樓에혼자안자
큰칼녀픠ᄎᆞ고기픈시ᄅᆞᆷᄒᆞᄂᆞᆫ적의
어듸셔一聲胡笳ᄂᆞᆫᄂᆞᆷ의애ᄅᆞᆯ긋ᄂᆞ니

현대어

[편집]

한산도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 앉아
큰 칼을 옆에 차고 깊은 시름할 적에
어디서 한 가락 피리 소리는 남의 애를 끓는 것인가

라이선스

[편집]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미국을 포함하여 저자가 사망한 후 10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저작물이 미국에서도 자유 라이선스 또는 퍼블릭 도메인인 이유를 별도로 명시하여야 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