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멈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어야, 어야.』

하는 앞길로 지나가는 상두군 소리를 추석 준비로 놋그릇을 닦고 앉았던 할멈이 멀거니 듣다가 마루에 앉아 바느질하는 주인 아씨더러,

『아씨, 저게 무슨 소리유?』

하고 묻는다.

『상여 나가는 소리야.』

하고 고개도 안 들고 여전히 바늘을 옮기면서 대답한다.

『싸람 죽어 나가는 거유?』

할멈은 경상도 사투리로 사람을 싸람이라고 한다.

『그래.』

할멈은 이빨 하나도 없이 두 볼이 옴쏙 쪼그라진 입을 옴질옴질하며 한참 머뭇머뭇하더니,

『아씨, 나 구경 나가 보아요?』

한다. 아씨는 여전히 바느질을 하면서,

『가보게그려.』

한다. 할멈은 어저께 팔십 오전 주고 새로 사 준 고무경제화를 조심조심해 신더니, 어린애 모양으로 중문으로 뛰어 나간다. 「어야, 어야」하는 상두 군의 구슬픈 소리가 들린다.

할멈의 뛰어나가는 발자취 소리가 안 들리게 된 때에, 아씨는 고개를 돌려 건넌방에서 책을 보고 있는 서방님더러,

『여보오.』

하고 부른다.

서방님은 책에서 눈도 안 떼고,

『응?』한다.

『할멈이 어린애야.』

하고 아씨는 깔깔 웃더니,

『글쎄, 상여 나가는 구경을 뛰어나가는구려.』

하고는, 또 하하 웃는다. 서방님은 웃지는 않으나, 책을 엎어 놓고 궐련과 성냥과 재떨이를 들고 마루로 나오면서,

『시골 사람이라, 맘이 살아서…….』

하고 성냥을 그어 궐련을 붙인다. 아씨는 그 말은 들은 체도 아니하고,

『글쎄 이것 바. 그저껜가도 상여를 따라가다가, 바로 저 순포막 앞에서 집에 오는 길을 잃었다는구려. 어쩌면 거기서 길을 잃소?』

서방님은 마루 끝에 걸터앉아서 다리를 흔들더니, 아씨의 말에는 대답을 아니하고,

『여보, 저 할멈이 퍽 착하지?』

하고 물었다.

『착하고 말고, 할멈은 참 좋은 사람이야. 시골서 늙어서 좀 어리석지마는, 일 잘하고 속이지 않고, 어째 믿어지고 정이 들어서 잘못해도 밉지가 않아요. …… 그런데 추석 전에는 간대요, 집으로. 추워지면 서울서는 얼어 죽는다고, 시골 가서 따뜻한 방에서 아이들 누더기나 기워주고 있는다고. 옷도 해 주고, 어머니하고 안방에서 자고 이불도 준대도 아예 안된대. 추석에는 꼭 가야 된다니. 월급을 더 주매도 돈도 쓸데 없다는구려. 여보, 왜 그렇소? 여기 있으면 밥도 잘 먹고 돈도 벌련마는…….』

아씨는 할멈 간다는 것이 매우 걱정이 되고, 또 할멈 간다는 까닭을 알 수 없다는 듯이, 바늘을 옷에 꽂고 남편을 향하고 돌아앉으면서 묻는다. 서방님도 매우 흥미 있는 듯이,

『할멈이 간대?』

『응, 처음 올 적부터 추석에는 가노라고 그러더니, 요새에는 날마다 간대. 어저께는 며느리하고 딸하고 갖다준다고 은비녀를 사고 싶다고 그러기에, 야시에 데리고 가서, 비녀 한 개를 일원 팔십전이라고 했더니, 그러면 스무 냥째 두 냥 없다고 이달 월급으로 비녀 두 개 사면, 원주까지 내려갈 노자도 못 남겠다고 그래, 한참이나 생각을 하더니, 못 사겠다고, 어서 가 자고 그래서 왔어요. 어떻게 우스운지. 아마 은비녀 한 개에 십전이나 이십 전이나 하는 줄 알았던 게야.』

하고 한참 멀거니 앉았더니, 감동 많은 듯한 낯으로,

『참 불쌍하지, 죽도록 벌어서 그래도 딸 며느리 무엇 사다 주겠다고…….』

『아들은 무엇하누?』

『아들이 아주 못된 놈이래요. 일은 하기 싫어하고…… 글쎄 양식이 다 퍼 내다가 팔아먹는다구려. 그래 서울 올 때에도 아들더러는 간단 말도 안 하고 왔다는데…… 그러면서 한 이십리나 오도록은 연방 뒤를 돌아보았다고, 혹시나 그녀석이 따라오나 혹시나 그녀석이 따라오나 하고 행여나 따라와서 「어머니 웬 일이요, 갑시다」하면 가려고 했노라고 그러다가, 하루 길을 다 와도 오는 기색이 없으니깐, 눈물이 나더래요……글쎄 어쩌면 자식이 그렇담, 자식도 다 쓸데 없어!』

『그러면 집도 없겠구려?』

『집은 조그만 것 하나 있대요. 영감이 죽을 적에 사 준게라나. 그것도 그 녀석이 팔아먹었는지 모르지.』

『영감이 죽을 적에 사 주어?』

하고 서방님이 묻는다.

『응, 할멈이 서른 다섯엔가 남편이 죽고, 그리고는 벌어먹을 수가 없어서, 열 살 된 아들을 데리고 다른 영감헌테로 갔다나. 그 영감은 아들도 있 고 먹을 것도 있는 사람인데, 죽을 적에 아들더러 할멈 집이나 한 간 장만 해 주라고 유언을 해서, 그래서 조그마한 집을 하나 사 주었다고.』

하고, 아씨는 바느질감을 뒤적거리며 말한다.

『그 영감네 집을 큰집이랄 적에는 아마 첩으로 갔나봅디다. 지금도 가면, 큰집에 가 있지요. 아들은 늘 오락하는데요, 그런다우.』

하고 아씨는 할멈의 사투리를 용하게 흉내를 내며 웃는다. 서방님도 웃었다. 뒤꼍에서 마님이 장독대에 무슨 일이 생겼는지,

『할멈, 할멈!』

하고 부른다. 아씨는 웃으면서,

『할멈 구경갔어요.』

하고 큰 소리로 대답한다.

『구경? 무슨 구경.』

여전히 마님은 안 보이고 소리만 들려 온다.

『상여 나가는 구경갔어요.』

하고 아씨는 또 소리를 높이하여 대답한다. 마님은 귀를 먹었다.

이윽고 마님은 지축지축 부엌문으로 나오면서,

『저거 또 길 잃어버리겠다. 상여 구경은 왜 그리 즐겨. 나간지 오랬니?』

하고 손줄을 잡고 마루에 올라선다. 아씨는,

『길은 왜 잃어, 어머니도. 한 번이나 잃지, 두 번씩 잃어요?』

하고 웃는다. 이때에 할멈이 어슬렁어슬렁 들어온다. 마님은 웃으며,

『이번에는 길 안 잃었나?』

『앙 잃었어요, 잃을가바 이번에는 따라가지 않고 앞에 서서 보았는데.』

하고 희미한 순량한 듯한 눈을 껌벅껌벅하고 마당 한가운데 선다. 모두 소리를 내어 웃었다. 할멈도 영문도 모르고 웃는다. 마님은 오므라진 입으로 화로 불에 담배를 피우며,

『그래 장하던가?』

『예?』

하고 할멈은 무슨 소린지 모른다.

『아니, 상여 나는 게 장하던가 말이야.』

『어디요. 사람도 얼마 안 되고 상제도 없는 것 같애. 메고 가는 사람들만 어니어니하구, 우는 사람도 없어요, 아마 불쌍한 사람인거야.』

하고 할멈은 툇마루 밑에 앉아 닦던 기명을 다시 잡는다.

『그거 어디 볼 만한가. 소여 대여에, 칠성겹줄에, 상제가 죽 늘어서고 호상군들이 늘어서고, 그런 게라야 재미있지.』

하고 마님이 할멈을 본다. 할멈은 「소여」,「대여」,「칠성겹줄」이란 말은 알아듣지도 못하고,

『아무렇게 나가면 무엇해요? 가서 묻히면 썩어버릴걸.』

하고 대접굽을 북북 문지른다.

『그래도 사람의 맘이 그런가.』

하고, 마님은 꺼진 담뱃불을 없는 입김으로 다시 붙이면서

『살아 한 번 죽어 한 번이라니, 죽어서도 잘 나가는게 좋지……내나 자네 나 이제는 죽을 날도 몇 날 안 남았네. 안 그런가. 자네 몇 살이야?』

할멈은 뚝뚝한 목소리로,

『예순 다섯 살이야요.』

하고 성난 듯이 대접굽을 더 힘껏 문지른다.

『예순 다섯이라.』

하고 마님은 담뱃대를 길게 뿜으면서,

『그래 자네는 죽어서 잘 나가고 싶은 생각 없나?』

『왜 없어요!』

하고 이번에는 요강을 닦으면서,

『그럴 맘이야 있지마는, 돈이 있어야지요. 우리 따위야 섬거적에나 앙이 묻히면 좋지요. 자식놈이 말이나 잘 들어 주었으면 좋겠어요!』

한다. 모두 웃었다. 할멈도 웃는다. 아씨는 할멈을 위로 하는 듯이,

『묻히기야 아무렇게나 묻히면 어떤가. 좋은 데로만 가면 그만이지.』한다.

『무얼 잘했다고 좋은 데로 가기를 바라요?』

하고, 할멈은 물독에 가서 냉수를 한 그릇 퍼 먹는다. 마님은 가만히 앉았더니, 어느새에 담뱃대를 놓고,

『옴 지리지리 바으라 바다라 홈바따.』

하고 염불 외며 손을 꼽는다. 아씨는 물끄러미 마님의 오물거리는 입을 쳐다보더니, 서방을 돌아보며 저것 보라는 눈짓 손짓을 한다. 서방님도 마님의 입을 보고 할멈도 요강에, 손을 넣은 채로 물끄러미 마님의 입을 쳐다본다. 파리 한 마리가 할멈의 눈에 붙으려다가 미끄러지는 듯이 날아 달아난다. 아씨가 참다 못하여 깔깔 웃는다. 할멈도 웃고 서방님도 웃었다. 마님은 졸다가 깨는 듯이 눈을 번쩍 뜨며 역시 웃는다. 아씨는 대글대글 굴면서,

『어머니, 어머니, 하하하하, 어머니, 옴 바다라 홈바탕.』

한다. 할멈은 열심으로,

『마님, 옴 바다라, 그거 하면 좋은 데로 가유?』

하고 묻는다. 마님은 몸을 돌려 앉히며,

『누가 아나요. 죽은 뒤에야 무엇이 있는지 없는지 염불이나 모시면 좋다니 그러지.』한다.

『그러면 나도 좀 배워요? 우리야 정신이 있어야지요. 옴 바다라 함박 당…….』

할멈이 잘 안 돌아가는 혀로 한 번 불러 본다. 아씨가,

『아니야 할멈, 옴 바으라 바다라 홈바타. 자 해보아요!』

한즉, 할멈은,

『옴 바으라 홈바탁.』

하고 「바다라」를 잊어버렸다. 이번에는 마님이,

『옴 바으라 바다라 홈바땅.』

『에그, 우리는 못하겠어요. 자꾸 잊어버려서…….』

하고 요강을 뿍뿍 문지른다.

『할멈 가지 말고 있게. 그러면 염불을 가르쳐주지. 응 그러게.』

하고 마님이 진정으로 할멈을 달랜다.

『추워서 어떻게 있어요. 서울은 춥다는데.』

하고 늘 하던 추워서 못 있다는 핑계를 한다. 아씨는 한 번 더 만류하느라고,

『이것 바 할멈, 옷도 해주고, 이불도 주고 하께, 가지 말아요 응, 할멈.』

한다. 할멈은 간절한 만류를 얼른 거절하기 어려운 듯이 한참 머뭇머뭇하더니,

『그러면 추석쇠어서 가지요.』

한다. 할멈의 멍히 뜨고 있는 눈에는 그의 아들과 딸과 칠십 년간 고생은 하였건마는 정든 고향 산천이 비치는 듯하였다. 다시 크게 결심하는 듯한 어조로,

『그럼, 추석 지내서 가요.』

한다. 모두 엄숙해졌다. 말이 없었다. 볕이 마당 가운데 간 것을 보고, 할멈은 부엌으로 들어간다. 근 칠십년 동안에 많은 아이를 낳고, 쉴새 없이 많은 노동을 하여 온 할멈은 불평한빛 하나 없이 아궁이 앞에 불을 지키고 앉았다.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50년이 넘었으므로, 저자가 사망한 후 5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주의
주의
1929년에서 1977년 사이에 출판되었다면 미국에서 퍼블릭 도메인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미국에서 퍼블릭 도메인인 저작에는 {{PD-1996}}를 사용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