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염사/양봉래 모친
- 楊蓬萊 母親
이조 명종 때(李朝 明宗時)에 명필로 유명하던 양봉래 사은(楊蓬萊 士彦)이라면 별로 모를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의 부친 양민(楊旻)은 성종조(成宗朝)에 일찌기 문과(文科)를 하고 전라도 영광(全羅 靈光) 군수가 되었다. (어떤 記錄에는 楊旻을 仁宗時 人이라 하였으나. 其 子 士彦이 仁宗 以前 中宗 十二年 丁丑生인 즉 年代가 如干 잘못 된 것이 아니다)
영광은 호남(湖南) 중 무던히 번화한 골이요 양봉래의 아버지는 풍채 좋기로 당세에 유명하던 인물이다. 풍채 좋은 인물이 번화한 고을로 도임하는 그 호강은 여간 호화찬란하지 않았다. 신임 삿도를 맞은 본골 관속의 차림에 풍채 있는 군수의 장속을 합하였으니 그야말로 으리으리하였다. 때는 청명 한식(淸明 寒食)이 다 지나고 삼월 중순을 접어들어 일년 삼백육십일 중 가장 좋은 철이다. 낡은 꽃떨기는 반넘어 시들어지고 길가에 늘어 선 줄버들은 푸른 장막을 내리기 시작하였다. 동작 강을 건너서 남태령을 넘은 군수는 서울의 정치보다 시골의 그것이 한층 시원한 것을 칭찬하였다. 칠백 리 머나먼 길에 완만히 가는 그 길은 여간 늘정거리지 않았다. 주막 주막이 사처잡고 술 마시기와 경치 좋은 곳 닥치면 일행을 멈추고 글 읊으기를 항다 반하여 보통 걸음으로도 빠듯이 치면 이레, 늘정늘정 쳐도 열흘이면 넉넉한 잇수를 보름 가까이 갔어도 오히려 백 리나 넘어 남았으니 그리는 동안 도임하기로 정한 날자는 하루 저녁 밖에 남지 않았다. 이른 새벽에 술국으로 해장만 하고 떠난 그는 중로에서 주막을 만나지 못하여 허리가 저절로 굽으러짐을 이길 수 없었다. 주막을 찾으나 주막은 없고 고픈 배는 창자에서 소리가 나기 시작하여 아무리 체면을 보는 군수의 행차하도 체면을 돌아볼 여가가 없이 되었다.
시장기를 못이긴 군수는 관속을 시켜 손으로 들어가서라도 아침밥을 먹고 가게 하라고 분부하였다. 이런 분부를 받은 관속은 여간 황송하고 여간 민망하지 않았다. 서울보다 한철이 이른 전라도 영광은 벌써 한참 바쁜 농철이 되었다 늙은이 젊은이 애 어른 할 것 없이 모조리 논구룽이 밭가으로 헤매일 판이라 동리는 즐비해도 사람을 구경하지 못하여 아침 식사를 시킬 곳이 없다. 관속은 이미 헤매고 저리 헤매다 다행히 집을 지키는 열서너 살 되는 소녀를 하나 만났다. 이 소녀를 보고 반긴 관속은
『얘 여기 어디 아침밥 좀 시킬 데 없니』
물었다. 이 말을 들은 그 소녀는
『그건 왜 물으서요』
하고 수잡한 태도로 도리어 물었다.
관속은 황급한 말소리로
『신관 삿도 행차가 마침 이리로 지나는데 아침 진지를 궐하여 여간 민망하지 않다. 주막은 없고 여염집에서라도 아침을 시켜서 일행이 먹고 가야하겠다』
그 소녀는 이 말을 듣고 고개를 폭 숙이다가
『이 바쁜 농철에 겻밥 때가 지났는데 웬 사람이 있읍니까 정말 그렇게 딱한 사정이 계시면 저라도 해드리지요』
하였다. 관속은 껄껄 웃으며
『네가 정말 밥을 잘 짓겠니 반찬에 먼지나 양념처럼 놓고 밥에 모래나 집어 넣면 내 볼기짝은 매 끝에 피가 날 터이니 네가 그것을 대신 당할 테냐』
하였다. 계집애는 얼굴을 반듯이 들고
『저의 솜씨나 보실 일이지 어리다고 탓하실 것이야요. 제가 나이는 암만 어려도 국 끓이고 밥 짓는 법을 대강 배웠으니 너무 시장하시거든 아침 진지를 하여 드릴 터이니 우리 집으로 오십시오』
하고 당돌한 태도를 보였다.
길가에 행차를 멈춘 군수는 멀리 관속과 그 소녀의 수작하는 맵시를 대강 보았다. 군수는 관속을 보고 수작의 전말을 물은 후 그 소녀를 한없이 기뜩히 여겨 아무커나 그 거동이나 구경 하리라 하고 그 집으로 일행을 이끌어 들이었다. 오륙간 넓지 않은 집을 미리 깨끗이 치운 그 소녀는 군수는 안방으로 모시고 기외의 책방으로부터 육방 관속과 구중들을 모조리 앉칠 대로 앉친 후 이남박을 들고 토방으로 들어가서 쌀을 꺼내어 깨끗이 일어 앉히고 불을 한참 때는데 재티 하나 방이나 봉당으로 날아드는 일이 없다. 밥이 다 끓은 후 질서가 정연하게 여러 상을 벌려 놓고 조금도 급하거나 바쁜 기색이 없이 젓가락 숟가락 소리만 달각 달각 나더니 밥상을 차례로 드리는데 궁벽한 촌이라 산진해착의 별다른 음식은 없으나 깨끗하고 구수한 맛이 누구나 먹기 싫지 않을 만 하였다. 군수는 이 밥상을 받고 그 소녀의 영리하고 숙성한 것을 내심으로 여간 귀히 여기지 않았다. 그나 그뿐일까 물 심부름 상 심부름하는 맵시가 조금도 촌색씨의 수삽한 태도도 없고 또는 방정맞거나 건방진 태도도 볼 수 없었다. 군수는 그 소녀를 불러다 놓고
『네 나이가 얼마냐』
하고 물었다.
『열세 살예요』
나직한 목소리로 소녀는 대답하였다.
『네 아비는 누구며 네 어미는 어디 갔니』
『애비는 본관에 매인 몸이 되어 벌써 구실 치르러 들어갔삽고 어미는 김매러 갔읍니다」』
군수는 그 소녀의 모든 행동에 하도 신통하여 소매 속에서 청선 홍선(靑扇 紅扇) 두 자루를 꺼내어 주며
『이것은 내가 너에게 채단 대신 주는 것이다』
하고 농담 격으로 일렀다. 소녀는 급히 윗방으로 올라가 장속을 뒤져 조그만 홍보를 내다 놓고 부채를 보에 놓라고 청하였다. 군수는 도리어 의심이 나서
『이 보는 무엇 하니』
하였더니 그 소녀는
『채단은 예폐(禮幣)이요 예는 폐백 바치는 것이 제일 중한 일이올시다. 어찌 맨손으로 주시고 받을 수 있읍니까』
하니 그 일행은 모두 놀래었다. 군수는 관속을 시켜 후히 행하한 후 영광읍으로 도임하여 그럭저럭 수 삼년을 지내는 동안에 그 일을 모두 잊고 말았다. 하루는 본관 하인이 들어와 장교(將校)의 아무개가 보입기로 청한다고 한다. 군수는 그자를 불러 『네가 무슨 까닭으로 나를 보러 왔노』 하고 물었더니 그 장교는 허리를 굽으려 절하고
『삿도께서 어느 해 연분에 어느 동리를 지나시다가 아침 진지 잡수시고 오신 일을 기억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어찌 잊겠니 그때 그 계집애의 영리함을 지금도 못 잊는다.』
『그때 삿도께서 무슨 선물을 주신 일이 계십니까』
군수는 이상히 생각하고
『내가 그때 그 계집애를 사랑하여 색선(色扇)으로 상준 일이 있다』
하였다. 장교는 휘 한숨을 쉬더니
『그 계집애는 초인의 여식이올시다 지금 나이 열여섯이온데 어디로 시집보내려 하였더니 딸년이 한사코 시집가기를 싫어하며 이미 폐백을 영광 삿도에게 받았으니 다른 데는 시집가지 않겠다고 합니다. 소인이 일시의 일로 고집할 것이 무엇이냐고 하오나 한사코 다른 곳으로 가기를 고사하오니 애비 어미 된 사정으로는 여간 절박하지 않습니다』
하였다. 군수는 깔깔 웃으며 네 딸의 그 뜻을 내가 저버릴 수 있느냐 하고 택일(擇日)하여 장가를 들어 양첩(良妾)으로 삼았다. 그리자 군수의 정실은 돌아가고 그 소실이 겸 부인으로 되어 살림살이 대소사를 다 주장하는데 봉제사 접빈객에 여간 능난ㅎ지 않아 하향천생의 행루가 하나도 없다. 군수는 과만이 되어 서울로 올라왔는데 그 집의 일가친척과 상하 노복이 모두 그 마마의 숙덕에 심렬 성복하여 입에 침이 없이 칭찬하였다. 그러틋 숙덕 있는 여인이 사속을 못 볼 리 있으랴. 아들 형제를 낳았으니 유명한 양봉래 사언(士彦)과 양죽재 사기(楊竹齋 士奇)이다. 그때만 하여도 적서(嫡庶) 구분이 너무 심한 때라 친척이나 지구가 양봉래 형제의 재조와 풍채를 흠모하고 그 지위의 미천함을 한하더니 양봉래의 부친이 돌아가매 양봉래의 모친은 습렴(襲欽)의 절차를 모조리 보살피어 유감이 없이 하고 성복(成服) 날이 되어서 집안 식구를 불러놓고
『오늘 성복을 당하여 집안이 모두 모이고 상제들이 다 모인 곳에 내가 평생소원이 있음을 말할 터이니 들어 주겠소』
하고 울며 물어보았다. 상제 양사준(楊士俊)이
『서모가 우리 집에 들어와 평생 아버님의 뜻을 거스림이 없고 또 우리들을 키웠으므로 우리가 항상 서모의 숙덕을 탄복하는 터이니 소원을 말씀하시오 우리가 안 들을 리가 있소』
하고 허락하였다. 봉래의 어머니는
『첩(妾)이 두 아들이 있고 그것들의 작인이 용렬ㅎ지 않으나 우리나라 풍속이 서얼을 대하여 씨여 먹을 곳이 없고 큰 형님들이 아무리 무간하게 사랑하나 나 죽은 뒤에 큰 아드님은 석달 복 밖에 안 입으실 터이니 아무리 한들 그것을 형제가 남의 집 서자 소리를 면할 수 있으리까 내가 지금 영감의 성복날 목숨을 자르면 복제가 혼동하여 남들은 모를 터이니 또 아드님과 집안사람의 입으로 아무개가 서자란 소리만 안 하면 나는 죽어도 구천(九泉)의 아래서 한이 없겠소이다』
하고 품속으로 감춘 칼을 꺼내어 목을 괴연의 앞에서 찔렀다. 양봉래가 시(詩)와 글씨에 이름이 높고 이조에 유명한 인물 된 것이 그 어머니의 사랑과 정렬에서 성취된 것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