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자회/地理
< 훈몽자회
상03A[편집]
므〯지게〮호ᇰ | 므〮지게〮예 雄曰虹雌 曰—又入聲ᅌᅧᆯ |
므〮지게〮톄〮 | 므〮지게〮도ᇰ〯 詩蝃— | ||||
오란〮비〮림 俗稱滛—厭 之也或稱甘 —喜之也 |
쇠나기〮도ᇰ〯 俗稱驟雨又 曰過路雨 |
믈ᄭᅳ일로俗 稱水— |
ᄀᆞ〮ᄆᆞᆯ〮한〯 | ||||
묏〯산 |
묏부〯리〮악〮 亦作岳 |
묏보ᇰ으리〮보ᇰ |
묏부〯리〮슈〮 山有穴曰— | ||||
굴허ᇰ〮학〮 俗稱山—又 大—海也 |
골〯곡 又作峪音욕〮 |
묏언덕애 |
믈〮언덕안 |
- 산악〮보ᇰ슈〮
- 山 묏〯 산(메 산)
- 嶽 묏부〯리〮 악〮(멧부리; 큰 산 악) 亦作岳
- 峯 묏보ᇰ으리〮 보ᇰ(멧부리; 봉우리 봉)
- 岫 묏부〯리〮 슈〮(멧부리; 산굴 수) 山有穴曰岫
- 학〮곡애안
- 壑 굴허ᇰ〮 학〮(골 학) 俗稱山壑又大壑海也
- 谷 골〯 곡(골 곡) 又作峪音욕
- 崖 묏언덕 애(멧언덕; 언덕 애)
- 岸 믈〮언덕 안(멧언덕; 언덕 안)
상03B[편집]
바희〮암 俗稱—頭又 曰石硌 |
묏〯쟈ᇰ〯 形如屏障 |
재〮려ᇰ〯 |
고개〮현〯 峻嶺也 | ||||
묏부〯리〮가ᇰ |
묏부〯리〮뎐 |
묏골〯도ᇰ〯 俗稱山—通 作洞又平聲 崆—山名 |
묏기슭〮록〮 | ||||
두던〮구 |
두던〮원 寬平曰— |
두던〮고 岸也又澤也 |
두던〮부〯 大陸曰— | ||||
두듥〮파 |
두듥〮판〮 阪者曰—又 澤障又山脅 亦作坡 |
두듥〮르ᇰ 大阜曰— |
두듥〮륙〮 高平曰— |
- 암쟈ᇰ〯려ᇰ〯현〯
- 巖 바희〮 암(바위 암) 俗稱巖頭又曰石硌
- 嶂 묏〯 쟈ᇰ〯(메; 산봉우리 장) 形如屏障
- 嶺 재〮 려ᇰ〯(재; 고개 령)
- 峴 고개〮 현〯(고개 현) 峻嶺也
- 가ᇰ뎐도ᇰ〯록〮
- 崗 묏부〯리〮 가ᇰ(멧부리; 언덕 강)
- 巔 묏부〯리〮 뎐(멧부리; 산꼭대기 전)
- 峒 묏골〯 도ᇰ〯(멧골; 산 이름 동) 俗稱山峒通作洞又平聲崆峒山名
- 麓 묏기슭〮 록〮(멧기슭; 산기슭 록)
- 구원고부〯
- 丘 두던〮 구(언덕 구)
- 原 두던〮 원(언덕 원) 寬平曰原
- 皐 두던〮 고(언덕 고) 岸也又澤也
- 阜 두던〮 부〯(언덕 부) 大陸曰阜
- 파판〮르ᇰ륙〮
- 坡 두듥〮 파(두듥; 언덕 파)
- 阪 두듥〮 판〮(두듥; 언덕 판) 阪者曰阪又澤障又山脅亦作坡
- 陵 두듥〮 르ᇰ(두듥; 언덕 릉) 大阜曰陵
- 陸 두듥〮 륙〮(두듥; 뭍 륙) 高平曰陸
상04A[편집]
ᄒᆞᆰ니 水和土又塗 墁也 |
ᄒᆞᆰ토〮 —壤 |
언덕감〯 險崖陡峻處 |
무들기〮딜〮 又蟻穴封 | ||||
드르〮교 邑外十里為 近—百里為 遠— |
드르〮뎐 俗稱野—子 又規方十里 為— |
드르〮펴ᇰ 大野曰—通 作平 |
ᄆᆡ〮야〯 郊外曰— | ||||
므ᇰ〯으〮리〮돌〯가ᇰ |
므ᇰ〯으〮리〮돌〯륵〮 |
몰애〮사 又水旁曰— 又汰也又下 卷 |
쟉벼리젹 水渚有石又 虜中沙漠 | ||||
돌〯쵸 水底尖石船 行所忌俗稱 暗— |
돌〯셕〮 |
셤〯도〯 |
셤〯셔〯 |
- 니토〮감〯딜〮
- 泥 ᄒᆞᆰ 니(진흙 니) 水和土又塗墁也
- 土 ᄒᆞᆰ 토〮(흙 토) 土壤
- 墈 언덕 감〯(언덕 감) 險崖陡峻處
- 垤 무들기〮 딜〮(무더기; 개밋둑 질) 又蟻穴封
- 교뎐펴ᇰ야〯
- 郊 드르〮 교(들 교) 邑外十里為近郊百里為遠郊
- 甸 드르〮 뎐(들; 경기,들판 전) 俗稱野甸子又規方十里為甸
- 坪 드르〮 펴ᇰ(들 평) 大野曰坪通作平
- 野 ᄆᆡ〮 야〯(들 야) 郊外曰野
- 가ᇰ륵〮사젹
- 礓 므ᇰ〯으〮리〮돌〯 가ᇰ(뭉우리돌; 자갈 강)
- 礫 므ᇰ〯으〮리〮돌〯 륵〮(뭉우리돌; 조약돌 력)
- 沙 몰애〮 사(모래 사) 又水旁曰沙又汰也又下卷
- 磧 쟉벼리 젹(서덜 적) 水渚有石又虜中沙漠
- 쵸셕〮도〯셔〯
- 礁 돌〯 쵸(돌; 암초 초) 水底尖石船行所忌俗稱暗礁
- 石 돌〯 셕〮(돌 석)
- 島 셤〯 도〯(섬 도)
- 嶼 셤〯 셔〯(섬 서)
상04B[편집]
ᄀᆞᄅᆞᆷ〮호 大陂 |
바다〮ᄒᆡ〯 大— |
못〮연 止水而深曰 — |
내〯쳔 衆流注海為 — | ||||
시〯내〯계 水注川曰— 小曰—大曰 澗 |
시〯내〮간〯 山夾水曰— |
ᄀᆞᄅᆞᆷ가ᇰ 今俗為川之 大者皆曰— 又水名 |
ᄀᆞᄅᆞᆷ하 水名黃河又 北方流水通 稱 | ||||
믓〮ᄀᆞᆺ〯뎌ᇰ 水際平地 |
믓ᄀᆞᆺ쥬 水中可居處 |
믓〮ᄀᆞᆺ〯져〯 小洲曰— |
믓〮ᄀᆞᆺ〯지〮 小渚曰— | ||||
믓〮결〮도 大波又潮頭 |
믓〮결〮라ᇰ〯 大波曰—又 謔—又平聲 滄—水名 |
믓〮결〮란 大波 |
믓〮결〮파 俗稱—浪兒 |
- 호ᄒᆡ〯연쳔
- 湖 ᄀᆞᄅᆞᆷ〮 호(가람; 호수 호) 大陂
- 海 바다〮 ᄒᆡ〯(바다 해) 大海
- 淵 못〮 연(못 연) 止水而深曰淵
- 川 내〯 쳔(내 천) 衆流注海為川
- 계간〯가ᇰ하
- 溪 시〯내〯 계(시내 계) 水注川曰溪小曰溪大曰澗
- 澗 시〯내〮 간〯(시내; 산골 물 간) 山夾水曰澗
- 江 ᄀᆞᄅᆞᆷ 가ᇰ(가람; 강 강) 今俗為川之大者皆曰江又水名
- 河 ᄀᆞᄅᆞᆷ 하(가람; 물 하) 水名黃河又北方流水通稱
- 뎌ᇰ쥬져〯지〮
- 汀 믓〮ᄀᆞᆺ〯 뎌ᇰ(물가 정) 水際平地
- 洲 믓ᄀᆞᆺ 쥬(물가 주) 水中可居處
- 渚 믓〮ᄀᆞᆺ〯 져〯(물가 저) 小洲曰渚
- 沚 믓〮ᄀᆞᆺ〯 지〮(물가 지) 小渚曰沚
- 도라ᇰ〯란파
- 濤 믓〮결〮 도(물결 도) 大波又潮頭
- 浪 믓〮결〮 라ᇰ〯(물결 랑) 大波曰浪又謔浪又平聲滄浪水名
- 瀾 믓〮결〮 란(물결 란) 大波
- 波 믓〮결〮 파(물결 파) 俗稱波浪兒
상05A[편집]
ᄂᆞᄅᆞ진 水渡又氣液 진〯 |
돌〮랴ᇰ 水橋也又水 堰也又石絶 水為— |
밀〯믈〮됴 朝曰—俗稱 大—曰大汛 小—曰小汛 總呼—信 |
밀〯믈〮셕〮 夕曰— | ||||
여흘〮탄 瀨也即水中 沙處 |
여흘〮뢰〮 水流沙上又 湍也 |
뉘〯누〮리〮단 疾瀨 |
뉘〯누〮리〮와 水回俗呼旋 —水 | ||||
개〮보〯 大水有小口 |
개〮셔〯 浦也 |
개〮하ᇰ〯 汊—水派又 水中行舟道 又蔵舟處 |
개〮차 水歧流 | ||||
우믈〮져ᇰ〯 |
ᄉᆡᆷ〯쳔 |
못〮쇼〯 圓曰池曲曰 — |
못〮다ᇰ 池—又堤岸 |
- 진랴ᇰ됴셕〮
- 津 ᄂᆞᄅᆞ 진(나루 진) 水渡又氣液진〯
- 梁 돌〮 랴ᇰ(들보 량) 水橋也又水堰也又石絶水為梁
- 潮 밀〯믈〮 됴(밀물 조) 朝曰潮俗稱大潮曰大汛小潮曰小汛總呼潮信
- 汐 밀〯믈〮 셕〮(조수 석) 夕曰汐
- 탄뢰〮단와
- 灘 여흘〮 탄(여울 탄) 瀨也即水中沙處
- 瀨 여흘〮 뢰〮(여울 뢰) 水流沙上又湍也
- 湍 뉘〯누〮리〮 단(뉘누리; 여울 단) 疾瀨
- 渦 뉘〯누〮리〮 와(뉘누리; 소용돌이 와) 水回俗呼旋渦水
- 보〯셔〯하ᇰ〯차
- 浦 개〮 보〯(개 포) 大水有小口
- 溆 개〮 셔〯(개; 강 이름 서) 浦也
- 港 개〮 하ᇰ〯(개; 항구 항) 汊港水派又水中行舟道又蔵舟處
- 汊 개〮 차(개; 물 갈래지을 차) 水歧流
- 져ᇰ〯쳔쇼〯다ᇰ
- 井 우믈〮 져ᇰ〯(우물 정)
- 泉 ᄉᆡᆷ〯 쳔(샘 천)
- 沼 못〮 쇼〯(못 소) 圓曰池曲曰沼
- 塘 못〮 다ᇰ(못 당) 池塘又堤岸
상05B[편집]
바다〮야ᇰ 俗呼 海—凡物盛 多皆曰—又 ——盛貌 |
믌가ᄅᆞ〮패 水支流 |
믓〮ᄀᆞᆺ〯분 |
믓〮ᄀᆞᆺ〯애 俗稱河沿 | ||||
소〮담 水深處為— |
소〮츄 龍所居 |
자굇믈〮ᄌᆞᆷ 牛馬跡中水 |
뉘〯누〮리〮상 又音랑奔湍 | ||||
즌퍼〮리〮져 又水名 |
즌퍼〮리〮ᅀᅧ 又水名 |
즌퍼〮리와 沮洳—皆漸 濕之地非淀 濼之比 |
못〮ᄐᆡᆨ〮 汎稱 | ||||
으ᇰ더ᇰ〮이오 停水 |
으ᇰ더ᇰ〮이화ᇰ 洿池又天河 亦呼銀河 |
으ᇰ더ᇰ〮이〮뎌 水所停 |
으ᇰ더ᇰ〮이피 蓄水為陂又 音坡不平也 |
- 야ᇰ패분애
- 洋 바다〮 야ᇰ(큰 바다 양) 俗呼海洋凡物盛多皆曰洋又洋洋盛貌
- 派 믌가ᄅᆞ〮 패(물갈래; 갈래 파) 水支流
- 濆 믓〮ᄀᆞᆺ〯 분(물가; 뿜을 분)
- 涯 믓〮ᄀᆞᆺ〯 애(물가 애) 俗稱河沿
- 담츄ᄌᆞᆷ상
- 潭 소〮 담(늪[沼]; 못 담) 水深處為潭
- 湫 소〮 츄(늪[沼]; 다할 추) 龍所居
- 涔 자굇믈〮 ᄌᆞᆷ(자국물; 괸물 잠) 牛馬跡中水
- 瀧 뉘〯누〮리〮 상(뉘누리; 비 올 롱) 又音랑奔湍
- 져ᅀᅧ와ᄐᆡᆨ〮
- 沮 즌퍼〮리〮 져(진펄; 막을 저) 又水名
- 洳 즌퍼〮리〮 ᅀᅧ(진펄; 강 이름 여) 又水名
- 窪 즌퍼〮리 와(진펄; 웅덩이 와) 沮洳窪皆漸濕之地非淀濼之比
- 澤 못〮 ᄐᆡᆨ〮(못 택) 汎稱
- 오화ᇰ뎌피
- 洿 으ᇰ더ᇰ〮이 오(웅덩이 오) 停水
- 潢 으ᇰ더ᇰ〮이 화ᇰ(웅덩이 황) 洿池又天河亦呼銀河
- 瀦 으ᇰ더ᇰ〮이〮 뎌(웅덩이 저) 水所停
- 陂 으ᇰ더ᇰ〮이 피(웅덩이; 방죽 피) 蓄水為陂又音坡不平也
상06A[편집]
빗〮몰〮료〯 雨水 |
시위〮호ᇰ 俗作洪發𤄏 시위〮나다〮 |
거품〮포 俗稱水—又 淹也字作 |
거ᄑᆞᆷ〮구 俗稱浮—又 去聲又漬也 | ||||
즌퍼〮리〮뎐〯 淺泉 |
즌퍼〮리〮박〮 淀—皆湖泊 別名 |
즌퍼〮리〮타ᇰ〯 俗稱茅—蘆 —ᄠᅱ와ᄀᆞᆯ조 차〮난ᄃᆡ〮又大 也放—滌— |
믓〮ᄀᆞᆺ〮미 水草交處 | ||||
길〮로〯 俗呼路子官 — |
길〮도〮 |
길〮겨ᇰ〯 俗呼抄路 즈름ᄭᅵᆯ〮 |
길〮계 | ||||
거리〮구 |
거리〮규 |
거리〮차 俗呼路— |
거릴〮기 |
- 료〯호ᇰ포구
- 潦 빗〮몰〮 료〯(빗물; 큰비 료) 雨水
- 𤄏 시위〮 호ᇰ(시위 홍) 俗作洪發𤄏시위〮나다〮
- 泡 거품〮 포(거품 포) 俗稱水泡又淹也字作
- 漚 거ᄑᆞᆷ〮 구(거품; 담글 구) 俗稱浮漚又去聲又漬也
- 뎐〯박〮타ᇰ〯미
- 淀 즌퍼〮리〮 뎐〯(진펄; 앙금 정) 淺泉
- 濼 즌퍼〮리〮 박〮(진펄; 강 이름 락) 淀濼皆湖泊別名
- 蕩 즌퍼〮리〮 타ᇰ〯(진펄; 방탕할 탕) 俗稱茅蕩蘆蕩ᄠᅱ와ᄀᆞᆯ조차〮난ᄃᆡ〮又大也放蕩滌蕩
- 湄 믓〮ᄀᆞᆺ〮 미(물가 미) 水草交處
- 로〯도〮겨ᇰ〯계
- 路 길〮 로〯(길 로) 俗呼路子官路
- 途 길〮 도〮(길 도)
- 徑 길〮 겨ᇰ〯(지름길 경) 俗呼抄路즈름ᄭᅵᆯ〮
- 蹊 길〮 계(좁은 길 혜)
- 구규차기
- 衢 거리〮 구(네거리 구)
- 逵 거리〮 규(길거리 규)
- 岔 거리〮 차(갈림길 차) 俗呼路岔
- 歧 거릴〮 기(갈림길 기)
상06B[편집]
언〮뎨 岸也綠邊也 亦作隄 |
언〮언〯 |
마글〮잡〮 以板防河蓄 水通舟俗稱 —河通作閘 |
언〯패〯 以石作堰障 水 | ||||
골〯호 |
골〯도ᇰ〯 俗稱衚— |
굴허ᇰ〮하ᇰ 街上交道又 宮中別道亦 作衖 |
거리〮ᄆᆡᆨ〮 市中街又阡 —即田間道 | ||||
모개관又 다ᄃᆞᆯ〮관又 支給官物 |
모개ᄋᆡᆨ 又陿也 |
ᄀᆞᆺ〯ᄉᆡᆨ〮 邊界又入聲 防— |
ᄀᆞᆺ〯교〯 邊也又邏卒 曰游—又平 聲—幸 | ||||
터〮겨ᇰ〯 |
ᄀᆞᆺ〯계〯 |
터〮가ᇰ |
에ᇰ엇〮역〮 |
- 뎨언〯잡〮패〯
- 堤 언〮 뎨(언; 둑 제) 岸也綠邊也亦作隄
- 堰 언〮 언〯(언; 둑 언)
- 牐 마글〮 잡〮(막을; 문빗장 삽) 以板防河蓄水通舟俗稱牐河通作閘
- 壩 언〯 패〯(언; 방죽 패) 以石作堰障水
- 호도ᇰ〯하ᇰᄆᆡᆨ〮
- 衚 골〯 호(골; 거리 호)
- 衕 골〯 도ᇰ〯(골; 거리 동) 俗稱衚衕
- 巷 굴허ᇰ〮 하ᇰ(구렁; 거리 항) 街上交道又宮中別道亦作衖
- 陌 거리〮 ᄆᆡᆨ〮(길 맥) 市中街又阡陌即田間道
- 관ᄋᆡᆨᄉᆡᆨ〮교〯
- 關 모개 관(길목; 관계할 관) 又다ᄃᆞᆯ〮관又支給官物
- 隘 모개 ᄋᆡᆨ(길목; 좁을 애) 又陿也
- 塞 ᄀᆞᆺ〯 ᄉᆡᆨ〮(가; 변방 새) 邊界又入聲防塞
- 徼 ᄀᆞᆺ〯 교〯(가; 돌 요) 邊也又邏卒曰游徼又平聲徼幸
- 경〯계〯강역〮
- 境 터〮 겨ᇰ〯(터; 지경 경)
- 界 ᄀᆞᆺ〯 계〯(가; 지경 계)
- 疆 터〮 가ᇰ(터; 지경 강)
- 域 에ᇰ엇〮 역〮(둘레, 지경 역)
상07A[편집]
받뎐水田 논〮旱—받 |
위〮안〮원 種果為—俗 稱果—又樊 籬也 |
맏댜ᇰ 俗呼稻— |
맏보〯 種菜為—俗 稱菜園 | ||||
동산원〯 植花木處 |
동산유〮 域養禽獸處 |
수플림 |
습〮수〯 | ||||
받두듥〮르ᇰ〯 |
받두듥〮판 平疇 |
ᄂᆞᄆᆞᆯ받완〯 |
받두듥〮딘〯 田間道 | ||||
이라ᇰ〮규 俗指菜田曰 菜—正音奚 |
이라ᇰ〮듀 汎稱 |
고라ᇰ겨ᇰ 田中溝 |
이라ᇰ〮모〯 六尺為步步 百為—百— 為頃 |
- 뎐원댜ᇰ보〯
- 田 받 뎐(밭 전) 水田논〮旱田받
- 園 위〮안〮 원(동산 원) 種果為園俗稱果園又樊籬也
- 塲 맏 댜ᇰ(마당 장) 俗呼稻塲
- 圃 맏 보〯(마당; 채마밭 포) 種菜為圃俗稱菜園
- 원〯유〮림수〯
- 𫟍 동산 원〯(동산 원) 植花木處
- 囿 동산 유〮(동산 유) 域養禽獸處
- 林 수플 림(수풀 림)
- 藪 습〮 수〯(숲; 늪 수)
- 르ᇰ〯판완〯딘〯
- 壟 받두듥〮 르ᇰ〯(밭두둑 롱)
- 畈 받두듥〮 판(밭두둑; 밭 판) 平疇
- 畹 ᄂᆞᄆᆞᆯ받 완〯(나물밭; 밭 면적 단위 원)
- 畛 받두듥〮 딘〯(밭두둑: 두둑 진) 田間道
- 규듀겨ᇰ모〯
- 畦 이라ᇰ〮 규(이랑; 밭두둑 휴) 俗指菜田曰菜畦正音奚
- 疇 이라ᇰ〮 듀(이랑 주) 汎稱
- 畎 고라ᇰ 겨ᇰ(고랑; 밭도랑 견) 田中溝
- 畒 이라ᇰ〮 모〯(이랑 묘) 六尺為步步百為畒百畒為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