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훈몽자회/天倫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상31A

[편집]

(조〮) 하〮나〮비〮조〮
俗稱—公又
呼爺爺
(부〮) 아비〮부〮
俗稱老子又
稱—親
() 아비〮다
俗又呼——
又賤人呼貴
人曰老—
() 아비야
通作耶
(마〯) 할〮미〮마〯庶人
老自呼其妻
曰媽—或稱
尊老曰媽
() 할미파尊之
曰—又祖母
曰—曾祖母
曰——又賤
罵之曰—娘
(고〮) 아비〮고〮
殁曰—又壽
也成也察也
(비〯) 어미〮비〯
殁曰—
(모〯) 어〮미〮모〯俗稱
—親又曰孃
(냐ᇰ) 어미냐ᇰ尊稱
曰孃—
() 겨〯집〮쳐
俗呼大娘子
正娘子後—
曰塡房
(쳡〮) 고마〮쳡〮
俗稱小娘子
(륙〯) 겨〯집도ᇰ셰〮륙〯
兄弟之妻相
謂曰—娌又
曰娣姒
(리〯) 겨〮집〮도ᇰ셰〮리〯
俗語妯—
(뎨〯) 겨〯집도ᇰ셰뎨〯
又女弟又妻
之妹從妻来
為妾者也
(ᄉᆞ〯) 겨〯집도ᇰ셰〯ᄉᆞ〯

조〮부〮다야
하〮나〮비〮 조〮(할아버지 조) 俗稱祖公又呼爺爺
아비〮 부〮(아버지 부) 俗稱老子又稱父親
아비〮 다(아버지 다) 俗又呼爹爹又賤人呼貴人曰老爹
아비 야(아버지 야) 通作耶
마〯파고〮비〯
할〮미〮 마〯(어머니 마) 庶人老自呼其妻曰媽媽或稱尊老曰媽
할미 파(할머니 파) 尊之曰婆又祖母曰婆曾祖母曰婆婆又賤罵之曰婆娘
아비〮 고〮(생각할 고) 殁曰考又壽也成也察也
어미〮 비〯(죽은 어머니 비) 殁曰妣
모〯냐ᇰ쳐쳡〮
어〮미〮 모〯(어머니 모) 俗稱母親又曰孃
어미 냐ᇰ(아가씨 양) 尊稱曰孃孃
겨〯집〮 쳐(아내 처) 俗呼大娘子正娘子後妻曰塡房
고마〮 쳡〮(첩 첩) 俗稱小娘子
륙〯리〯뎨〯ᄉᆞ〯
겨〯집도ᇰ셰〮 륙〯(동서 축) 兄弟之妻相謂曰妯娌又曰娣姒
겨〮집〮도ᇰ셰〮 리〯(동서 리) 俗語妯娌
겨〯집도ᇰ셰 뎨〯(손아래 누이 제) 又女弟又妻之妹從妻来為妾者也
겨〯집도ᇰ셰〯 ᄉᆞ〯(손위 동서 사)

상31B

[편집]

() 아ᄃᆞ〮남
—女之對又
兒息曰—
() 겨집녀俗呼
—兒䖏—曰
閨—室—
() 샤〯오ᇰ〮부
妻呼丈夫曰
漢子
(부〮) 며느〮리부〮
又呼子之妻
曰媳—又泛
稱—女
(뎍〮) 뎍실〮뎍〮 (얼〮) 셔〯얼〮얼〮 () 권쇽권稱人
之妻曰貴—
𫞀(족〮) 아ᅀᆞᆷ〮족〮
又𩔗也
(금〯) 아ᄌᆞ〮미〮금〯
母之兄弟之妻
曰—母—子
兒母又兩壻
相謂曰連妗
(수〯) 아ᄌᆞ〮미수〯兄
之妻曰—子
大—小—
(심〯) 아ᄌᆞ〮미〮심〯叔
之妻曰—娘
又—子又——
(냐ᇰ) 겨집냐ᇰ汎稱
又伯父之妻
曰伯—又伯
(구〯) 아자비구〯
母之兄弟曰
——夫之父
曰—又妻之
父曰—
() 아ᄌᆞ〮미〮고父
之姊妹曰
—又—娘又
夫之母曰—
國語할미고
(ᄇᆡᆨ〮) ᄆᆞᆮ아지비〮ᄇᆡᆨ〮
俗呼—父又
云——又弟
之妻呼夫之
兄曰小
(슉〮) 아ᅀᆞ아자비〮
슉〮俗呼—父
又稱——又
兄之妻呼夫
之弟曰小

남녀부부〮
아ᄃᆞ〮 남(아들; 사내 남) 男女之對又兒息曰男
겨집 녀(계집; 여자 녀) 俗呼女兒䖏女曰閨女室女
샤〯오ᇰ〮 부(남편; 지아비 부) 妻呼丈夫曰漢子
며느〮리 부〮(며느리 부) 又呼子之妻曰媳婦又泛稱婦女
뎍〮얼〮권족〮
뎍실〮 뎍〮(정실 적)
셔〯얼〮 얼〮(서자 얼)
권쇽 권(돌볼 권) 稱人之妻曰貴眷
𫞀 아ᅀᆞᆷ〮 족〮[친척; 겨레·친족 족(族)] 又𩔗也
금〯수〯심〯냐ᇰ
아ᄌᆞ〮미〮 금〯(아주머니; 외숙모 금) 母之兄弟之妻曰妗母妗子兒母又兩壻相謂曰連妗
아ᄌᆞ〮미 수〯(아주머니; 형수 수) 兄之妻曰嫂子大嫂小嫂
아ᄌᆞ〮미〮 심〯(아주머니; 숙모 심) 叔之妻曰嬸娘又嬸子又嬸嬸
겨집 냐ᇰ(계집; 여자 낭) 汎稱又伯父之妻曰伯娘又伯母
구〯고ᄇᆡᆨ〮슉〮
아자비 구〯(아저씨; 시아버지 구) 母之兄弟曰舅舅夫之父曰舅又妻之父曰舅
아ᄌᆞ〮미〮 고(아주머니; 시어머니 고) 父之姊妹曰姑又姑娘又夫之母曰姑國語할미고
ᄆᆞᆮ아지비〮 ᄇᆡᆨ〮(큰아버지; 맏 백) 俗呼伯父又云伯伯又弟之妻呼夫之兄曰小
아ᅀᆞ아자비〮 슉〮(작은아버지; 아저씨 숙) 俗呼叔父又稱叔叔又兄之妻呼夫之弟曰小

상32A

[편집]

(혀ᇰ) 몬혀ᇰ俗拜呼
兄弟曰第—
() 몬가俗呼—
—大—二—
() 몬곤
兄也又後也
(뎨〯) 아ᅀᆞ뎨〯
俗呼兄—
() 아ᄌᆞ〮미〮이
母之姊妹俗
呼兩—夫呼
妻之姊妹亦
曰—
(져〯) 몬누의져〯
俗呼—夫
曰—夫
(ᄌᆞ〯) 몬누의ᄌᆞ〯 (ᄆᆡ〯) 아ᅀᆞ누의ᄆᆡ〯
俗呼—子夫
曰—夫
(ᅀᆞ) 아ᄒᆡᅀᆞ
俗呼—子
(도ᇰ) 아ᄒᆡ도ᇰ
又山無草木
曰—
(견〯) 아ᄃᆞᆯ〮견〯
閩人呼子
(ᄌᆞ〮) 아ᄃᆞᆯᄌᆞ〮
俗呼兒子父
母呼曰我兒
(딜〮) 아ᄎᆞ〮나ᄃᆞᆮ〮딜〮
同姓俗呼—
() 손ᄌᆞ〮손 (ᄉᆡᇰ) 아ᄎᆞ〮나ᄃᆞᆯ〮ᄉᆡᇰ
又壻曰—又
女之子曰外
(셔〯) 사회〮셔〯
又妻謂夫亦
曰—

혀ᇰ가곤뎨〯
몬 혀ᇰ(형 형) 俗拜呼兄弟曰第兄
몬 가(성씨 가) 俗呼哥哥大哥二哥
몬 곤(맏 곤) 兄也又後也
아ᅀᆞ 뎨〯(아우 제) 俗呼兄弟
이져〯ᄌᆞ〯ᄆᆡ〯
아ᄌᆞ〮미〮 이(아주머니; 이모 이) 母之姊妹俗呼兩姨夫呼妻之姊妹亦曰姨
몬누의 져〯(맏누이[먼저누이]; 누이 저) 俗呼姐夫曰姐夫
몬누의 ᄌᆞ〯(맏누이[먼저누이]; 윗누이 자)
아ᅀᆞ누의 ᄆᆡ〯(작은누이; 누이 매) 俗呼妹子夫曰妹夫
ᅀᆞ도ᇰ견〯ᄌᆞ〮
아ᄒᆡ ᅀᆞ(아이 아) 俗呼兒子
아ᄒᆡ 도ᇰ(아이 동) 又山無草木曰童
아ᄃᆞᆯ〮 견〯(아들; 아이 건) 閩人呼子
아ᄃᆞᆯ ᄌᆞ〮(아들 자) 俗呼兒子父母呼曰我兒
딜〮손ᄉᆡᇰ셔〯
아ᄎᆞ〮나ᄃᆞᆯ〮 딜〮(조카 질) 同姓俗呼姪兒
손ᄌᆞ〮 손(손자 손)
아ᄎᆞ〮나ᄃᆞᆯ〮 ᄉᆡᇰ(생질 생) 又壻曰甥又女之子曰外甥
사회〮 셔〯(사위 서) 又妻謂夫亦曰壻

상32B

[편집]

(여ᇰ) 아ᄒᆡ여ᇰ
男曰孩女曰
—亦作嬰
(ᄒᆡ〮) 아ᄒᆡ〮ᄒᆡ〮
俗呼兒—兒
ᄉᆞ나히女—
兒간나ᄒᆡ
() 니〮ᄀᆞᆯ툐
俗稱退齒
(친〯) 니〮ᄀᆞᆯ친〯
(유〯) 져믈〮유〯 (튜ᇰ) 져믈튜ᇰ (ᅀᅲ〯) 져믈〮ᅀᅲ〯 (티〯) 져믈〮티〯
亦作穉
(셔ᇰ) 셔ᇰ셔ᇰ (시〮) 각시〮시〮 (며ᇰ) 일흠〮며ᇰ
俗稱—字
(호〯) 일흠〮호〯
又—令又召
也又平聲—
泣又大呼也
() 아ᅀᆞᆷ친
父母亦曰—
又婚姻家相
謂曰—家去
() 아ᅀᆞᆷ〮쳑
俗呼親—
(조ᇰ) ᄆᆞᄅᆞ조ᇰ
大—小—祖—
(계〯) 긴〮계〯
宗派也

여ᇰᄒᆡ〮툐친〯
아ᄒᆡ 여ᇰ(어린아이 영) 男曰孩女曰孾亦作嬰
아ᄒᆡ〮 ᄒᆡ〮(어린아이 해) 俗呼兒孩兒ᄉᆞ나히女孩兒간나ᄒᆡ
니〮ᄀᆞᆯ 툐(이 갈 초) 俗稱退齒
니〮ᄀᆞᆯ 친〯(이 갈 친)
유〯튜ᇰᅀᅲ〯티〯
져믈〮 유〯(어릴 유)
져믈 튜ᇰ(화할 충)
져믈〮 ᅀᅲ〯(젖먹이 유)
져믈〮 티〯(어릴 치) 亦作穉
셔ᇰ시〮며ᇰ호〯
셔ᇰ 셔ᇰ(성씨 성)
각시〮 시〮(각시 씨)
일흠〮 며ᇰ(이름 명) 俗稱名字
일흠〮 호〯(이름 호) 又號令又召也又平聲號泣又大呼也
친쳑조ᇰ계〯
아ᅀᆞᆷ 친(친척; 친할 친) 父母亦曰親又婚姻家相謂親家去聲
아ᅀᆞᆷ〮 쳑(친척 척) 俗呼親戚
ᄆᆞᄅᆞ 조ᇰ(마루 종) 大宗小宗祖宗
긴〮 계〯(맬 계) 宗派也

상33A

[편집]

() 남진죠ᇰ〯노
俗呼—材又
驅男驅女又
緫稱驅口
() 겨〯집〮죠ᇰ〯비
尊人之婢曰
女使又曰梅
香汎稱曰妮
子妮音尼
(도ᇰ) 죠ᇰ도ᇰ (복〮) 죠ᇰ〯복〮
—從傔—
(모〯) 졋〮어〮미〮모〯女
師又伯父之
妻亦曰—
(구〯) 할〮미〮구〯
汎稱老—
(모〯) 할〮미〮모〯
汎稱老女
() 할미온
汎稱老女
() 호ᅌᅳᆯ아비〮환 (과〯) 호ᅌᅳᆯ어〮미〮과〯
老而無夫曰
—又人君自
謙曰—人又
鮮少也
()
(⿱牧⿸厂女)
흐ᅌᅳᆯ어미리
汎稱
(솨ᇰ) 호ᅌᅳᆯᅌᅥ미솨ᇰ
(ᅌᅩᇰ) 하나비〮ᅌᅩᇰ
汎稱老者
(수〯) 하나비〮수〯
汎稱
() 늘글〮기
年六十曰—
又汎稱
(르〯) 늘〮글〮르〯
年七十曰—
又汎稱

노비도ᇰ복〮
남진죠ᇰ〯 노(종 노) 俗呼奴材又驅男驅女又緫稱驅口
겨〯집〮죠ᇰ〯 비(여자 종 비) 尊人之婢曰女使又曰梅香汎稱曰妮子妮音尼
죠ᇰ 도ᇰ(아이 동)
죠ᇰ〯 복〮(종 복) 僕從傔僕
모〯구〯노〯온
졋〮어〮미〮 모〯(젖어미; 유모 모) 女師又伯父之妻亦曰姆
할〮미〮 구〯(할머니 구) 汎稱老嫗
할〮미〮 모〯(할머니 모) 汎稱老女
할미 온(할머니 오) 汎稱老女
환과〯리솨ᇰ
호ᅌᅳᆯᅌᅡ비〮 환(홀아비; 환어 환)
호ᅌᅳᆯ어〮미〮 과〯(홀어미; 적을 과) 老而無夫曰寡又人君自謙曰寡人又鮮少也
⿱牧⿸厂女 흐ᅌᅳᆯ어미 리[과부·홀어머니 리(嫠)] 汎稱
호ᅌᅳᆯᅌᅥ미 솨ᇰ(과부·홀어머니 상)
오ᇰ수〯기르〯
하나비〮 ᅌᅩᇰ(할아비; 늙은이 옹) 汎稱老者
하나비〮 수〯(할아비; 늙은이 수) 汎稱
늘글〮 기(늙을 기) 年六十曰耆又汎稱
늘〮글〮 르〯(늙을 로) 年七十曰老又汎稱

상33B

[편집]

() 사돈혼
婦家又婦之
父曰—以婦
隂也娶以昏
故曰—
(ᅌᅵᆫ) 사돈〮ᅌᅵᆫ
壻家父曰—
以婦因人而
成故曰—
(가〯) ᅌᅥᆯᅌᅵᆯ〯가〯
女曰—
(ᄎᆔ〮) ᅌᅥ를〮ᄎᆔ〮
男曰—
(져ᇰ) 솝〮져ᇰ又真液
兩神相薄謂
之—神者—
氣之化—者
神氣之本
(ᄭᅴ〮) 긔〮운〮ᄭᅴ〮又憤
不泄曰—了
앧다又—不
忿了忿或作
(이ᇰ〯) ᄇᆡᆯ이ᇰ〯
俗稱重身
(ᅌᅲᆨ) 도읠ᅌᅲᆨ
(ᅀᅵᆷ〯) ᄇᆡᆯᅀᅵᆷ〯
俗稱懷胎
() ᄇᆡᆯ신
俗稱懷躭
(면〯) 나ᄒᆞᆯ면〯
俗稱—卧
(산〮) 나ᄒᆞᆯ산〮
俗又稱半—
아기〮디〯다〮
(솬〯) ᄀᆞᆯ오〮기〮솬〯
雙生子
(뉴〮)
(⿰孛殳)
졋〮머길〮뉴〮
楚人謂乳曰
(국〮) 칠〮국〮 (육〮) 칠〮ᅌᅲᆨ〮

혼ᅌᅵᆫ가〯ᄎᆔ〮
사돈 혼(사돈; 혼인할 혼) 婦家又婦之父曰婚以婦隂也娶以昏故曰婚
사돈〮 ᅌᅵᆫ(사돈; 혼인 인) 壻家父曰姻以婦因人而成故曰姻
ᅌᅥᆯᅌᅵᆯ〯 가〯(시집갈 가) 女曰嫁
ᅌᅥ를〮 ᄎᆔ〮(어를; 별 이름 추, 장가들 -) 男曰娵
져ᇰᄭᅴ〮이ᇰ〯육
솝〮 져ᇰ(정할 정) 又真液兩神相薄謂之精神者精氣之化精者神氣之本
긔〮운〮 ᄭᅴ〮(기운 기) 又憤不泄曰氣了앧다又氣不忿了忿或作分
ᄇᆡᆯ 이ᇰ〯(아이 밸 잉) 俗稱重身
도읠 ᅌᅲᆨ(기를 육)
ᅀᅵᆷ〯신면〯산〮
ᄇᆡᆯ ᅀᅵᆷ〯(밸; 임신할 임) 俗稱懷胎
ᄇᆡᆯ 신(아이 밸 신) 俗稱懷躭
나ᄒᆞᆯ 면〯(낳을 만) 俗稱娩卧
나ᄒᆞᆯ 산〮(낳을 산) 俗又稱半産아기〮디〯다〮
솬〯뉴〮국〮ᅌᅲᆨ〮
ᄀᆞᆯ오〮기〮 솬〯(쌍둥이 련) 雙生子
⿰孛殳 졋〮머길〮뉴〮[젖먹일; 젖 누(㜌)] 楚人謂乳曰⿰孛殳
칠〮 국〮(칠; 공 국)
칠〮 ᅌᅲᆨ〮(칠; 기를 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