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자회/地理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상03A[편집]

(호ᇰ) 므〯지게〮호ᇰ () 므〮지게〮예
雄曰虹雌
曰—又入聲ᅌᅧᆯ
(톄〮) 므〮지게〮톄〮 (도ᇰ〯) 므〮지게〮도ᇰ〯
詩蝃—
() 오란〮비〮림
俗稱滛—厭
之也或稱甘
—喜之也
(도ᇰ〯) 쇠나기〮도ᇰ〯
俗稱驟雨又
曰過路雨
() 믈ᄭᅳ일로俗
稱水—
(한〯) ᄀᆞ〮ᄆᆞᆯ〮한〯
() 묏〯산
(악〮) 묏부〯리〮악〮
亦作岳
(보ᇰ) 묏보ᇰ으리〮보ᇰ
(슈〮) 묏부〯리〮슈〮
山有穴曰—
(학〮) 굴허ᇰ〮학〮
俗稱山—又
大—海也
() 골〯곡
又作峪音욕〮
() 묏언덕애
() 믈〮언덕안

산악〮보ᇰ슈〮
묏〯 산(메 산)
묏부〯리〮 악〮(멧부리; 큰 산 악) 亦作岳
묏보ᇰ으리〮 보ᇰ(멧부리; 봉우리 봉)
묏부〯리〮 슈〮(멧부리; 산굴 수) 山有穴曰岫
학〮곡애안
굴허ᇰ〮 학〮(골 학) 俗稱山壑又大壑海也
골〯 곡(골 곡) 又作峪音욕
묏언덕 애(멧언덕; 언덕 애)
믈〮언덕 안(멧언덕; 언덕 안)

상03B[편집]

() 바희〮암
俗稱—頭又
曰石硌
(쟈ᇰ〯) 묏〯쟈ᇰ〯
形如屏障
(려ᇰ〯) 재〮려ᇰ〯
(현〯) 고개〮현〯
峻嶺也
(가ᇰ) 묏부〯리〮가ᇰ
() 묏부〯리〮뎐
(도ᇰ〯) 묏골〯도ᇰ〯
俗稱山—通
作洞又平聲
崆—山名
(록〮) 묏기슭〮록〮
() 두던〮구
() 두던〮원
寬平曰—
() 두던〮고
岸也又澤也
(부〯) 두던〮부〯
大陸曰—
() 두듥〮파
(판〮) 두듥〮판〮
阪者曰—又
澤障又山脅
亦作坡
(르ᇰ) 두듥〮르ᇰ
大阜曰—
(륙〮) 두듥〮륙〮
高平曰—

암쟈ᇰ〯려ᇰ〯현〯
바희〮 암(바위 암) 俗稱巖頭又曰石硌
묏〯 쟈ᇰ〯(메; 산봉우리 장) 形如屏障
재〮 려ᇰ〯(재; 고개 령)
고개〮 현〯(고개 현) 峻嶺也
가ᇰ뎐도ᇰ〯록〮
묏부〯리〮 가ᇰ(멧부리; 언덕 강)
묏부〯리〮 뎐(멧부리; 산꼭대기 전)
묏골〯 도ᇰ〯(멧골; 산 이름 동) 俗稱山峒通作洞又平聲崆峒山名
묏기슭〮 록〮(멧기슭; 산기슭 록)
구원고부〯
두던〮 구(언덕 구)
두던〮 원(언덕 원) 寬平曰原
두던〮 고(언덕 고) 岸也又澤也
두던〮 부〯(언덕 부) 大陸曰阜
파판〮르ᇰ륙〮
두듥〮 파(두듥; 언덕 파)
두듥〮 판〮(두듥; 언덕 판) 阪者曰阪又澤障又山脅亦作坡
두듥〮 르ᇰ(두듥; 언덕 릉) 大阜曰陵
두듥〮 륙〮(두듥; 뭍 륙) 高平曰陸

상04A[편집]

() ᄒᆞᆰ니
水和土又塗
墁也
(토〮) ᄒᆞᆰ토〮
—壤
(감〯) 언덕감〯
險崖陡峻處
(딜〮) 무들기〮딜〮
又蟻穴封
() 드르〮교
邑外十里為
近—百里為
遠—
() 드르〮뎐
俗稱野—子
又規方十里
為—
(펴ᇰ) 드르〮펴ᇰ
大野曰—通
作平
(야〯) ᄆᆡ〮야〯
郊外曰—
(가ᇰ) 므ᇰ〯으〮리〮돌〯가ᇰ
(륵〮) 므ᇰ〯으〮리〮돌〯륵〮
() 몰애〮사
又水旁曰—
又汰也又下
() 쟉벼리젹
水渚有石又
虜中沙漠
() 돌〯쵸
水底尖石船
行所忌俗稱
暗—
(셕〮) 돌〯셕〮
(도〯) 셤〯도〯
(셔〯) 셤〯셔〯

니토〮감〯딜〮
ᄒᆞᆰ 니(진흙 니) 水和土又塗墁也
ᄒᆞᆰ 토〮(흙 토) 土壤
언덕 감〯(언덕 감) 險崖陡峻處
무들기〮 딜〮(무더기; 개밋둑 질) 又蟻穴封
교뎐펴ᇰ야〯
드르〮 교(들 교) 邑外十里為近郊百里為遠郊
드르〮 뎐(들; 경기,들판 전) 俗稱野甸子又規方十里為甸
드르〮 펴ᇰ(들 평) 大野曰坪通作平
ᄆᆡ〮 야〯(들 야) 郊外曰野
가ᇰ륵〮사젹
므ᇰ〯으〮리〮돌〯 가ᇰ(뭉우리돌; 자갈 강)
므ᇰ〯으〮리〮돌〯 륵〮(뭉우리돌; 조약돌 력)
몰애〮 사(모래 사) 又水旁曰沙又汰也又下卷
쟉벼리 젹(서덜 적) 水渚有石又虜中沙漠
쵸셕〮도〯셔〯
돌〯 쵸(돌; 암초 초) 水底尖石船行所忌俗稱暗礁
돌〯 셕〮(돌 석)
셤〯 도〯(섬 도)
셤〯 셔〯(섬 서)

상04B[편집]

() ᄀᆞᄅᆞᆷ〮호
大陂
(ᄒᆡ〯) 바다〮ᄒᆡ〯
大—
() 못〮연
止水而深曰
() 내〯쳔
衆流注海為
() 시〯내〯계
水注川曰—
小曰—大曰
(간〯) 시〯내〮간〯
山夾水曰—
(가ᇰ) ᄀᆞᄅᆞᆷ가ᇰ
今俗為川之
大者皆曰—
又水名
() ᄀᆞᄅᆞᆷ하
水名黃河又
北方流水通
(뎌ᇰ) 믓〮ᄀᆞᆺ〯뎌ᇰ
水際平地
() 믓ᄀᆞᆺ쥬
水中可居處
(져〯) 믓〮ᄀᆞᆺ〯져〯
小洲曰—
(지〮) 믓〮ᄀᆞᆺ〯지〮
小渚曰—
() 믓〮결〮도
大波又潮頭
(라ᇰ〯) 믓〮결〮라ᇰ〯
大波曰—又
謔—又平聲
滄—水名
() 믓〮결〮란
大波
() 믓〮결〮파
俗稱—浪兒

호ᄒᆡ〯연쳔
ᄀᆞᄅᆞᆷ〮 호(가람; 호수 호) 大陂
바다〮 ᄒᆡ〯(바다 해) 大海
못〮 연(못 연) 止水而深曰淵
내〯 쳔(내 천) 衆流注海為川
계간〯가ᇰ하
시〯내〯 계(시내 계) 水注川曰溪小曰溪大曰澗
시〯내〮 간〯(시내; 산골 물 간) 山夾水曰澗
ᄀᆞᄅᆞᆷ 가ᇰ(가람; 강 강) 今俗為川之大者皆曰江又水名
ᄀᆞᄅᆞᆷ 하(가람; 물 하) 水名黃河又北方流水通稱
뎌ᇰ쥬져〯지〮
믓〮ᄀᆞᆺ〯 뎌ᇰ(물가 정) 水際平地
믓ᄀᆞᆺ 쥬(물가 주) 水中可居處
믓〮ᄀᆞᆺ〯 져〯(물가 저) 小洲曰渚
믓〮ᄀᆞᆺ〯 지〮(물가 지) 小渚曰沚
도라ᇰ〯란파
믓〮결〮 도(물결 도) 大波又潮頭
믓〮결〮 라ᇰ〯(물결 랑) 大波曰浪又謔浪又平聲滄浪水名
믓〮결〮 란(물결 란) 大波
믓〮결〮 파(물결 파) 俗稱波浪兒

상05A[편집]

() ᄂᆞᄅᆞ진
水渡又氣液
진〯
(랴ᇰ) 돌〮랴ᇰ
水橋也又水
堰也又石絶
水為—
() 밀〯믈〮됴
朝曰—俗稱
大—曰大汛
小—曰小汛
總呼—信
(셕〮) 밀〯믈〮셕〮
夕曰—
() 여흘〮탄
瀨也即水中
沙處
(뢰〮) 여흘〮뢰〮
水流沙上又
湍也
() 뉘〯누〮리〮단
疾瀨
() 뉘〯누〮리〮와
水回俗呼旋
—水
(보〯) 개〮보〯
大水有小口
(셔〯) 개〮셔〯
浦也
(하ᇰ〯) 개〮하ᇰ〯
汊—水派又
水中行舟道
又蔵舟處
() 개〮차
水歧流
(져ᇰ〯) 우믈〮져ᇰ〯
() ᄉᆡᆷ〯쳔
(쇼〯) 못〮쇼〯
圓曰池曲曰
(다ᇰ) 못〮다ᇰ
池—又堤岸

진랴ᇰ됴셕〮
ᄂᆞᄅᆞ 진(나루 진) 水渡又氣液진〯
돌〮 랴ᇰ(들보 량) 水橋也又水堰也又石絶水為梁
밀〯믈〮 됴(밀물 조) 朝曰潮俗稱大潮曰大汛小潮曰小汛總呼潮信
밀〯믈〮 셕〮(조수 석) 夕曰汐
탄뢰〮단와
여흘〮 탄(여울 탄) 瀨也即水中沙處
여흘〮 뢰〮(여울 뢰) 水流沙上又湍也
뉘〯누〮리〮 단(뉘누리; 여울 단) 疾瀨
뉘〯누〮리〮 와(뉘누리; 소용돌이 와) 水回俗呼旋渦水
보〯셔〯하ᇰ〯차
개〮 보〯(개 포) 大水有小口
개〮 셔〯(개; 강 이름 서) 浦也
개〮 하ᇰ〯(개; 항구 항) 汊港水派又水中行舟道又蔵舟處
개〮 차(개; 물 갈래지을 차) 水歧流
져ᇰ〯쳔쇼〯다ᇰ
우믈〮 져ᇰ〯(우물 정)
ᄉᆡᆷ〯 쳔(샘 천)
못〮 쇼〯(못 소) 圓曰池曲曰沼
못〮 다ᇰ(못 당) 池塘又堤岸

상05B[편집]

(야ᇰ) 바다〮야ᇰ
俗呼
海—凡物盛
多皆曰—又
——盛貌
() 믌가ᄅᆞ〮패
水支流
() 믓〮ᄀᆞᆺ〯분
() 믓〮ᄀᆞᆺ〯애
俗稱河沿
() 소〮담
水深處為—
() 소〮츄
龍所居
(ᄌᆞᆷ) 자굇믈〮ᄌᆞᆷ
牛馬跡中水
() 뉘〯누〮리〮상
又音랑奔湍
() 즌퍼〮리〮져
又水名
(ᅀᅧ) 즌퍼〮리〮ᅀᅧ
又水名
() 즌퍼〮리와
沮洳—皆漸
濕之地非淀
濼之比
(ᄐᆡᆨ〮) 못〮ᄐᆡᆨ〮
汎稱
洿() 으ᇰ더ᇰ〮이오
停水
(화ᇰ) 으ᇰ더ᇰ〮이화ᇰ
洿池又天河
亦呼銀河
() 으ᇰ더ᇰ〮이〮뎌
水所停
() 으ᇰ더ᇰ〮이피
蓄水為陂又
音坡不平也

야ᇰ패분애
바다〮 야ᇰ(큰 바다 양) 俗呼海洋凡物盛多皆曰洋又洋洋盛貌
믌가ᄅᆞ〮 패(물갈래; 갈래 파) 水支流
믓〮ᄀᆞᆺ〯 분(물가; 뿜을 분)
믓〮ᄀᆞᆺ〯 애(물가 애) 俗稱河沿
담츄ᄌᆞᆷ상
소〮 담(늪[沼]; 못 담) 水深處為潭
소〮 츄(늪[沼]; 다할 추) 龍所居
자굇믈〮 ᄌᆞᆷ(자국물; 괸물 잠) 牛馬跡中水
뉘〯누〮리〮 상(뉘누리; 비 올 롱) 又音랑奔湍
져ᅀᅧ와ᄐᆡᆨ〮
즌퍼〮리〮 져(진펄; 막을 저) 又水名
즌퍼〮리〮 ᅀᅧ(진펄; 강 이름 여) 又水名
즌퍼〮리 와(진펄; 웅덩이 와) 沮洳窪皆漸濕之地非淀濼之比
못〮 ᄐᆡᆨ〮(못 택) 汎稱
오화ᇰ뎌피
洿 으ᇰ더ᇰ〮이 오(웅덩이 오) 停水
으ᇰ더ᇰ〮이 화ᇰ(웅덩이 황) 洿池又天河亦呼銀河
으ᇰ더ᇰ〮이〮 뎌(웅덩이 저) 水所停
으ᇰ더ᇰ〮이 피(웅덩이; 방죽 피) 蓄水為陂又音坡不平也

상06A[편집]

(료〯) 빗〮몰〮료〯
雨水
𤄏(호ᇰ) 시위〮호ᇰ
俗作洪發𤄏
시위〮나다〮
() 거품〮포
俗稱水—又
淹也字作
() 거ᄑᆞᆷ〮구
俗稱浮—又
去聲又漬也
(뎐〯) 즌퍼〮리〮뎐〯
淺泉
(박〮) 즌퍼〮리〮박〮
淀—皆湖泊
別名
(타ᇰ〯) 즌퍼〮리〮타ᇰ〯
俗稱茅—蘆
—ᄠᅱ와ᄀᆞᆯ조
차〮난ᄃᆡ〮又大
也放—滌—
() 믓〮ᄀᆞᆺ〮미
水草交處
(로〯) 길〮로〯
俗呼路子官
(도〮) 길〮도〮
(겨ᇰ〯) 길〮겨ᇰ〯
俗呼抄路
즈름ᄭᅵᆯ〮
() 길〮계
() 거리〮구
() 거리〮규
() 거리〮차
俗呼路—
() 거릴〮기

료〯호ᇰ포구
빗〮몰〮 료〯(빗물; 큰비 료) 雨水
𤄏 시위〮 호ᇰ(시위 홍) 俗作洪發𤄏시위〮나다〮
거품〮 포(거품 포) 俗稱水泡又淹也字作
거ᄑᆞᆷ〮 구(거품; 담글 구) 俗稱浮漚又去聲又漬也
뎐〯박〮타ᇰ〯미
즌퍼〮리〮 뎐〯(진펄; 앙금 정) 淺泉
즌퍼〮리〮 박〮(진펄; 강 이름 락) 淀濼皆湖泊別名
즌퍼〮리〮 타ᇰ〯(진펄; 방탕할 탕) 俗稱茅蕩蘆蕩ᄠᅱ와ᄀᆞᆯ조차〮난ᄃᆡ〮又大也放蕩滌蕩
믓〮ᄀᆞᆺ〮 미(물가 미) 水草交處
로〯도〮겨ᇰ〯계
길〮 로〯(길 로) 俗呼路子官路
길〮 도〮(길 도)
길〮 겨ᇰ〯(지름길 경) 俗呼抄路즈름ᄭᅵᆯ〮
길〮 계(좁은 길 혜)
구규차기
거리〮 구(네거리 구)
거리〮 규(길거리 규)
거리〮 차(갈림길 차) 俗呼路岔
거릴〮 기(갈림길 기)

상06B[편집]

() 언〮뎨
岸也綠邊也
亦作隄
(언〯) 언〮언〯
(잡〮) 마글〮잡〮
以板防河蓄
水通舟俗稱
—河通作閘
(패〯) 언〯패〯
以石作堰障
() 골〯호
(도ᇰ〯) 골〯도ᇰ〯
俗稱衚—
(하ᇰ) 굴허ᇰ〮하ᇰ
街上交道又
宮中別道亦
作衖
(ᄆᆡᆨ〮) 거리〮ᄆᆡᆨ〮
市中街又阡
—即田間道
() 모개관又
다ᄃᆞᆯ〮관又
支給官物
(ᄋᆡᆨ) 모개ᄋᆡᆨ
又陿也
(ᄉᆡᆨ〮) ᄀᆞᆺ〯ᄉᆡᆨ〮
邊界又入聲
防—
(교〯) ᄀᆞᆺ〯교〯
邊也又邏卒
曰游—又平
聲—幸
(겨ᇰ〯) 터〮겨ᇰ〯
(계〯) ᄀᆞᆺ〯계〯
(가ᇰ) 터〮가ᇰ
(역〮) 에ᇰ엇〮역〮

뎨언〯잡〮패〯
언〮 뎨(언; 둑 제) 岸也綠邊也亦作隄
언〮 언〯(언; 둑 언)
마글〮 잡〮(막을; 문빗장 삽) 以板防河蓄水通舟俗稱牐河通作閘
언〯 패〯(언; 방죽 패) 以石作堰障水
호도ᇰ〯하ᇰᄆᆡᆨ〮
골〯 호(골; 거리 호)
골〯 도ᇰ〯(골; 거리 동) 俗稱衚衕
굴허ᇰ〮 하ᇰ(구렁; 거리 항) 街上交道又宮中別道亦作衖
거리〮 ᄆᆡᆨ〮(길 맥) 市中街又阡陌即田間道
관ᄋᆡᆨᄉᆡᆨ〮교〯
모개 관(길목; 관계할 관) 又다ᄃᆞᆯ〮관又支給官物
모개 ᄋᆡᆨ(길목; 좁을 애) 又陿也
ᄀᆞᆺ〯 ᄉᆡᆨ〮(가; 변방 새) 邊界又入聲防塞
ᄀᆞᆺ〯 교〯(가; 돌 요) 邊也又邏卒曰游徼又平聲徼幸
경〯계〯강역〮
터〮 겨ᇰ〯(터; 지경 경)
ᄀᆞᆺ〯 계〯(가; 지경 계)
터〮 가ᇰ(터; 지경 강)
에ᇰ엇〮 역〮(둘레, 지경 역)

상07A[편집]

() 받뎐水田
논〮旱—받
() 위〮안〮원
種果為—俗
稱果—又樊
籬也
(댜ᇰ) 맏댜ᇰ
俗呼稻—
(보〯) 맏보〯
種菜為—俗
稱菜園
𫟍(원〯) 동산원〯
植花木處
(유〮) 동산유〮
域養禽獸處
() 수플림
(수〯) 습〮수〯
(르ᇰ〯) 받두듥〮르ᇰ〯
() 받두듥〮판
平疇
(완〯) ᄂᆞᄆᆞᆯ받완〯
(딘〯) 받두듥〮딘〯
田間道
() 이라ᇰ〮규
俗指菜田曰
菜—正音奚
() 이라ᇰ〮듀
汎稱
(겨ᇰ) 고라ᇰ겨ᇰ
田中溝
(모〯) 이라ᇰ〮모〯
六尺為步步
百為—百—
為頃

뎐원댜ᇰ보〯
받 뎐(밭 전) 水田논〮旱田받
위〮안〮 원(동산 원) 種果為園俗稱果園又樊籬也
맏 댜ᇰ(마당 장) 俗呼稻塲
맏 보〯(마당; 채마밭 포) 種菜為圃俗稱菜園
원〯유〮림수〯
𫟍 동산 원〯(동산 원) 植花木處
동산 유〮(동산 유) 域養禽獸處
수플 림(수풀 림)
습〮 수〯(숲; 늪 수)
르ᇰ〯판완〯딘〯
받두듥〮 르ᇰ〯(밭두둑 롱)
받두듥〮 판(밭두둑; 밭 판) 平疇
ᄂᆞᄆᆞᆯ받 완〯(나물밭; 밭 면적 단위 원)
받두듥〮 딘〯(밭두둑: 두둑 진) 田間道
규듀겨ᇰ모〯
이라ᇰ〮 규(이랑; 밭두둑 휴) 俗指菜田曰菜畦正音奚
이라ᇰ〮 듀(이랑 주) 汎稱
고라ᇰ 겨ᇰ(고랑; 밭도랑 견) 田中溝
이라ᇰ〮 모〯(이랑 묘) 六尺為步步百為畒百畒為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