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근대 유럽과 아시아/나폴레옹과 빈 체제/빈 체제
빈 체제〔槪說〕
[편집]나폴레옹 침략에 대한 여러 국민의 해방전쟁은 프랑스 혁명으로 태동한 자유주의의 세례를 받은 민중의 민족의식에서 우러나온 에너지가 승리로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나폴레옹 지배하에 있던 여러 국가는 자발적으로,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외부 압력에 의해 봉건제도를 파기하고 어느 정도 근대화를 실현하였다.
그러나 나폴레옹 패퇴 후 빈에서 모인 유럽 각국의 군주들은 복고주의 및 정통주의야말로 사회질서 안정화의 기본이라 생각하고, 유럽을 혁명 전의 상태로 복귀시켜 봉건적 특권을 회복시킬 것을 꾀했다. 이리하여 사회적 질서를 변경시킬 가능성을 내포하는 일체의 움직임은 이미 한 나라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전유럽의 문제이므로 연대책임을 지고 처리해야만 한다는 의사 통일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보수적 군주의 국제적 제휴 조직이 신성동맹이자 4국동맹이었다. 빈 체제, 또는 이를 주재했던 인물의 이름을 따서 메테르니히 체제라고 부르는 이 보수체제는 2월혁명으로 완전히 분쇄되기까지 약 30년 간에 걸쳐 전유럽을 지배하면서 각국의 국민에 의한 자유주의적·민주주의적, 나아가서는 민족주의적 요구를 계속 억압했던 것이다. 그러나 일단 각성한 자유주의·민족주의의 움직임은 탄압을 받으면 오히려 지하로 깊숙히 뿌리를 박아서 드디어 이 보수체제와 대결해 나갔던 것이다. 봉건적인 여러 세력이 재차 절대주의적 체제를 형성하려는 시도는 결국 근거가 없는 것이었다. 전쟁의 계속을 뜻하는 나폴레옹 지지를 지양한 부르주아지들은 결코 절대주의의 부활을 인정하지 않았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사회에 있어서의 부르주아적 발전은 보수체제에 대한 최종적 타격을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다.
빈 회의
[편집]-會議
프랑스혁명 전쟁 및 나폴레옹 전쟁의 뒤처리를 위하여 빈에서 개최된 열국회의(列國會議). 1814년의 파리조약을 바탕으로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등 열국의 군주와 영국의 카슬레이, 웰링턴,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 프랑스의 탈레랑 페리고르, 프로이센의 하르덴베르크 등이 참석하였다. 탈레랑은 열국간(列國間)의 대립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회의를 지도하면서 정통주의를 내걸고 나폴레옹을 찬탈자(簒奪者)로 규정하여 패전국인 프랑스의 지위를 향상시켰다. 폴란드와 작센의 처리 문제를 둘러싸고 러시아, 프로이센과 영국, 오스트리아가 대립하여 회의는 분규가 거듭되었으나, 나폴레옹의 엘바섬 탈출의 급보를 듣고, 서둘러 빈 조약을 체결하였다. 내용의 주요골자는, (1) 정통주의의 원칙을 바탕으로 하여 프랑스, 에스파냐, 나폴리, 포르투갈 등은 구군주(舊君主)가 복위하고, 특히 프랑스는 1792년 당시의 국경으로 복귀한다(백일천하 후의 제2차 파리조약으로 1790년 당시의 국경으로 수정됨). (2) 러시아는 폴란드의 대부분을 획득한 다음, 폴란드 왕국을 세워 러시아 황제가 왕위를 겸한다. (3) 프로이센은 작센의 북반부와 프랑스 국경의 라인 좌안(左岸)을 획득한다. (4) 오스트리아는 폴란드의 일부와 네덜란드 및 남독일의 영토를 포기하는 대신 이탈리아에 영토를 확장한다. (5) 영국은 몰타섬, 실론섬, 케이프 식민지를 확보한다. (6) 스위스는 영세중립국(永世中立國)이 된다. (7) 독일에서는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이하의 35개국 및 4개의 자유도시가 독일연방을 조직하고 프랑크푸르트에 연방의회(聯邦議會)를 설치하여 오스트리아가 의장국이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가진 빈 조약은 결국 메테르니히의 보수주의(保守主義)와 탈레랑의 정통주의를 기조로 하여, 열국간의 영토문제를 대상주의(代償主義)로써 조절하고 유럽의 세력균형을 재건하였다. 이 회의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 빈 체제는 베스트팔렌 조약, 위트레흐트 조약 등의 뒤를 이어, 유럽의 국제관계를 규제하는 근본원칙이 됨에 따라 국제연맹 등의 선구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복고적(復古的)인 보수주의의 경향이 강하여, 19세기의 기조를 이루는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운동의 물결에 밀려 얼마 안 되어 타파되었다.
메테르니히
[편집]Klemens Wenzel Lothar Metternich (1773
1859)
오스트리아의 재상. 빈 회의에서 정통주의를 제창하고 시종 회의를 리드하였다. 그는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극력 반대하여 철저한 보수 정치에 의한 질서 유지를 지향하고 있었으며, 오스트리아는 영내에 다수의 이민족이 사는 복합국가였다. 따라서 자유주의의 침투와 제휴하는 민족주의 운동이 국내에 대두할 때 국내의 분열은 필연적인 것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독일의 통일을 열망하는 소리가 높아졌기 때문에 통일 운동의 지도권을 프로이센에 빼앗기는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오스트리아 중심인 통일을 획책하고 독일연방을 조직, 이를 리드하려 했다.
독일연방
[편집]獨逸聯邦
Deutscher Bund
빈 회의(會議)에서 발족하여,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후의 프라하 조약(條約)으로 소멸된 19세기의 독일 국가조직. 참가한 나라는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을 비롯하여 35방(邦)과 4개의 자유시로 구성되었으며,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 연방의회(聯邦議會)가 설치되었다. 의회(議會)의 의장(議長)은 오스트리아인으로 선출되고, 참가방(參加邦)은 평등이라고는 하지만 오스트리아가 지도권을 가졌고, 메테르니히 지도하에 3월 혁명(革命)까지는 통일과 자유운동을 억압, 반동적(反動的)인 역할을 하였다. 3월혁명(三月革命)에 의해서 한때 의회는 해산되었지만, 반혁명(反革命) 후 드레스덴에서 의회가 열렸다. 1850∼1860년대에 들어가서 1830년대부터 관세동맹(關稅同盟)을 주최해온 프로이센의 세력이 상승(上昇)하고, 특히 비스마르크의 출현 후는 반(反)오스트리아적인 소(小)독일주의를 표명, 양국(兩國)의 쟁투(爭鬪)가 계속되었으며,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결과 독일 연방은 해체되고, 북독일 연방(聯邦)이 이에 대신하고, 얼마 후인 1871년에 독일 제국(帝國)의 탄생을 보게 되었다.
정통주의
[편집]正統主義 Legitimism
빈 회의의 지도 이념은 정통주의와 복고주의였다. 이것은 전통적인 권리가 정치권력의 합법성을 부여한다는 사상이었다. 국민·국가라는 개념은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고, 군주에 대한 개인적 충성이야말로 정치적·사회적 안정성을 초래한다는 보수적 사상이었다. 군주제야말로 가장 자연스러운 정치 형태라고 생각하였다. 이렇게 해서 두세 개의 소국(小國)을 제외하고는 유럽에서 군주제가 부활되고, 이와 함께 새로운 사회정세를 구(舊)질서 속에 억지로 밀폐시키려 하였다.
신성동맹
[편집]神聖同盟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는 혁명과 민족 해방 운동을 억압하는 봉건적 군주의 국제적 제휴를 강화시킬 것을 제창했다. 1815년 9월 러시아·오스트리아·프로이센의 군주들은 자기들이 모두 동일한 그리스도교 민족이며, 신의 은총으로 제각기 국가 통치를 위임받은 것이라 밝히면서 유일하고 진정한 통치자인 신의 지배를 위협하는 움직임을 분쇄하기 위해 상호간에 원조와 지지를 부여할 의무를 지닌다고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신비 사상을 근거로 결성된 것이 신성동맹인데, 영국 ·로마 교황·투르크를 제외한 전(全)유럽 국가가 이에 참가했다.
4국동맹
[편집]四國同盟
영국은 신성동맹이 단순한 도덕적 선언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하는 한편 내정간섭을 유발시킬 위험성도 인정하여 여기에 조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1815년 11월 오스트리아·프로이센·러시아와 함께 4국동맹을 결성했다. 이것은 나폴레옹의 부활과 혁명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네 나라가 공동 방위를 펼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그 후 프랑스도 이에 참가하여(1818) 5국동맹이 되었는데, 메테르니히는 이것을 혁명을 탄압하기 위한 조직으로 이용했다.
회의외교
[편집]會議外交
4국동맹의 협정에 따라 각국은 공동방위를 목적으로 국제회의를 가끔 소집했다. 1818년의 아헨 회의는 프랑스의 동맹 참가를 승인하는 한편, 다른 유럽 열강과 동등한 외교상의 자격을 인정하고 점령군을 철수시켰다. 알렉산드르 1세는 각국의 군비 축소와 국제군의 설치를 제안했으나 거부되었다.
그러나 1820년에는 트로파우 회의가 개최되어 러시아·프로이센·오스트리아가 각국의 혁명운동 탄압에 공동으로 무력을 행사할 것을 약속했고, 1821년의 라이바하 회의에서나 1822년의 베로나 회의에서도 혁명 탄압을 위한 3개국의 군사행동이 협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