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리/세계의 여러 나라/아시아/베트남
베트남의 국기와 개요
[편집]| width="484" align="left" valign="top"|
'공식명칭: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정치체제:사회주의 공화제 수 도:하노이(Hanoi) 인 구:8,162만 4,716명(2003) 면 적:32만 9,560㎢ 소 득:1인당 GDP 430달러(2002) 공 용 어 :베트남어 화폐단위 :동(dong / D) 주생산물 :쌀 / 시멘트, 비료, 섬유 / 석탄 기 타:92년 12월 남한과 수교
베트남의 자연
[편집]Vietnam-自然
베트남은 인도차이나 반도에 동단에 위치, 남중국해(南中國海)에 연해 있는 남북으로 약 1,600㎞에 걸쳐 길게 내리뻗은 땅이다. 최대 너비는 약 650㎞로 라오스와 맞닿은 북부 국경에서 통킹만에 이르는 거리이다.국토는 크게 북부 고원지대, 송코이강(Songkoi 江)의 통킹 삼각주, 안남산맥(安南山脈), 해안저지대, 메콩강 삼각주의 다섯지역으로 이루어진다. 북부 고원지대-북서부에 있는 산악지대로 중국과 라오스 영토 안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의 산들은 대부분 숲이나 밀림으로 덮여 있어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다.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산인 판사판산(3,143m)도 이 지역에 있다.송코이강 삼각주-북부 고원지대에서 통킹만까지 뻗어 있으며 거의 전역이 해발 3m 이하의 저지대이다. 통킹 삼각주는 베트남 북부에서 주요한 농경지대로 예부터 베트남 민족의 활동 무대다.안남산맥-북부 고원지대에서 서부지역을 가로질러 호치민시에서 북쪽으로 약 80㎞ 떨어진 지점까지 뻗어 있다. 중부는 대부분이 안남산맥으로 이루어지며, 평야는 해안에 접해서 대상(帶狀)으로 좁게 달리고 있을 뿐이다. 게다가 산맥이 해안으로 바싹 다가서 있으므로 좋은 항만이 없다. 이 산맥의 고지에는 타이족 이외에 먀오족·모이족·몬타냐족 등 많은 부족이 살고 있다.해안저지대- 베트남의 중동부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산지에서 남중국해 쪽으로 비스듬히 비탈져 있고, 송코이강 삼각주에서 메콩강 삼각주까지 펼쳐져 있다. 해안저지대 거의 전역에서 쌀을 생산한다. 해안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메콩강삼각주- 베트남의 남부지역을 모두 차지하고 있는 메콩강 삼각주는 해발 3m이하의 저지대이다. 베트남 주민의 절반이상이 이곳에 살고 있는 주요 농업지대이다. 베트남 민족은 17세기에 들어와서 선주민 크메르족을 쫓고 이 미래의 곡창지대를 지배하게 되었다.
베트남의 기후
[편집]열대계절풍으로 5월부터 10월까지는 남서몬순이 불어 많은 비를 몰고 오며, 11월부터 4월까지는 동북몬순으로 건조기가 된다. 북부 일부 지역은 사계절이 나타나지만 남부지방은 일년내내 습도가 높으며 여름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린다. 중부지방에는 베트남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과 가장 습한 지역이 자리잡고 있다. 산악지방은 삼각주나 해안저지대보다 대체로 기온이 낮고 비가 더 많이 온다.
베트남의 역사
[편집]-歷史
베트남인의 선조는 중국의 화남(華南) 지방에 거주했던 월족(越族)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BC. 111년 전한(前漢)의 무제(武帝)에게 절벌되어 그후 약 1000년간 중국의 지배를 받았다.당대(唐代)에는 이곳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되어 이후 중국은 베트남을 안남이라고 불렀다. 938년 중국의 원정군에게 대승리를 거둔 오권(吳權)이 이듬해 스스로 왕위에 올라 처음으로 중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그로부터 19세기 중엽 프랑스가 침입하기까지 베트남은 독립왕국(大瞿越·大越國 등)으로 존속되고 여러 왕조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형식적으로 중국은 여전히 베트남의 종주국 행세를 하였다.18세기 말에는 타이손왕(西山黨)의 난(亂)이 일어나 전국으로 파급, 17세기 초부터 중부 이남에서 독립적 지위를 누리던 구엔씨(阮氏)를 궁지에 몰아넣었다. 구엔씨의 후손인 구엔푹안(阮福映)은 타이손당의 난을 진압하고 구엔 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2대 황제 성조명명제(聖祖明命帝)가 선교사(宣敎師) 박해사건을 일으켰기 때문에 영국과 경쟁하여 일찍부터 인도차이나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었던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는 그것을 구실 삼아 1858년 다낭을 공격하고 이듬해에는 사이공을 점령하였다. 그후 프랑스는 베트남의 북부 및 중부를 공략하여 1884년에는 베트남의 전국토가 프랑스의 식민지로 되었다.프랑스 세력에 대항하기 위한 베트남인의 독립운동은 20세기에 들어와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중국·일본 등지에 그들의 독립운동 단체가 만들어졌고,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아 1927년에는 베트남국민당이, 1930년에는 인도차이나공산당이 조직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일본이 베트남에 침입하자 많은 민족주의 세력 중 가장 조직력이 뛰어났던 공산주의 계열은 베트남 독립연맹(베트민)을 결성하였다. 1945년 8월 전쟁이 끝나자 베트민을 중심으로 베트남민주공화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전쟁 전의 지배권을 되찾고자 하였고 이로 인해 1946년 말부터 양국 사이에는 전쟁이 발발하였다.제1차 인도차이나전쟁이라고 부르는 타우 장군의 정권이 들어섰다. 타우 정권은 1966년 새 헌법을 제정·공포하고 1967년에는 총선거를 실시하여 정·부통령과 상·하의원을 선출하였는데, 1969년 2월 공산군이 베트남에 대하여 전면 공격을 개시하자 미국대통령 닉슨은 ‘베트남전쟁의 베트남화(化)계획’을 발표하였다. 1972년 1월 미국과 월맹 간의 비밀회담이 계기가 되어 1973년 1월 파리에서 미국·베트남·베트콩·월맹 간에 휴전협정이 조인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4월 공산군은 협정을 위반하고 맹렬한 공격을 재개하여 1975년 4월 30일, 월맹군이 사이공을 점령하자 30년에 걸쳤던 베트남 전쟁은 막을 내렸다.1882년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면서 민족의 독립을 표방하는 반(反)프랑스운동에 맹렬히 추진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호치민(胡志明)이 주도하는 베트남 공산당이 결성되었다. 이 공산당은 그후 각파의 정치세력을 규합하여 베트민(越盟)을 설립하고 2차대전의 종결을 맞이했다.
베트남 주민
[편집]-住民
베트남의 인구는 약 8,162만(2003년)으로, 그 90%가 베트남인이다. 그 밖에 타이인·중국인·크메르인 등이 있으며 산악지대에는 미오·랭이·몬타냐 등 많은 부족이 살고 있다.베트남의 종교는 대승불교(大乘佛敎)가 대종을 이루고 있으나 가톨릭·유교·도교의 신봉자도 적지 않다. 언어는 단철어(單綴語)로 성조(聲調)에 6성이 있다. 중국의 지배하에 오래 있었던 관계로 한자(漢字)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19세기부터의 프랑스 식민통치 밑에서 베트남어의 로마나이제이션(Romanization)이 추진되어 현재 한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베트남의 정치
[편집]-政治
1969년 호치민이 사망한뒤 뒤트루옹 친 국민의회상임위 의장, 레 두안 당 제1서기, 팜반 동 수상 등 3인을 중심으로 집단지도 체제를 채택해 온 구(?) 월맹은 월남이 적화된 후 월남 임시혁명정부와 함께 1여 년간의 남북통일 준비작업을 끝내고 1976년 4월 25일 30년 만에 처음으로 국가최고 권력기구인 492석의 남북단일 국민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총선거를 실시했으며 인구 10만 명당 1석을 기준으로 하는 배분원칙에 따라 북베트남에서 249석, 남베트남에서 243석을 선출했다.남북 베트남의 18세 이상의 유권자들이 참가한 총선은 남북 베트남의 공산정권이 전국의 노동자·농민·여성·산악부족 및 그 밖의 소수인종에서 선정한 후보자 중에서 국민의회 대표들을 선출했으며 야당후보는 없었다.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남북 베트남 단일 국민의회는 1976년 7월 역사적인 통일 베트남 수립을 선포하고 국호를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으로 하였다. 수도는 하노이로 정하는 한편 초대 대통령으로 구(舊) 월맹의 마지막 대통령 톤둑 탕을, 그리고 2명의 부통령으로는 구엔 루옹 반 및 구엔후 토를 선출하였다.국민의회 또한 구(舊) 월남 수도 사이공을 호치민시로 개칭하고 국기는 종래의 월맹기였던 황성적기(黃星赤旗)를 그대로 쓰기로 하였다. 이 국민회의는 또 통일 베트남의 새 헌법을 마련할 36명의 헌법기초위원회를 구성하는 동시 새 헌법이 공포될 때까지 1959년도 월맹헌법을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다.입법기관으로 국민의회가 있고 각 성(省)에 각급 인민회의가 있다. 단원제이며 임기는 5년, 매년 2회 소집된다. 정부(正副) 의장과 간부의원 15명으로 구성되는 상임위원회가 실질적인 입법기능을 행사한다.1991년 6월 제7차 당대회에서 도이모이 추진에 중심역할을 해온 도무오이가 서기장으로 선출됐으며, 동 8월의 내각개편에서 개혁파인 보반 키에트가 총리로 선출됐다. 1996년 6월의 공산당 전당대회에서도 ‘도이모이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재확인 했다. 2001년 4월 농 득 만 서기장이 취임했다.외교는 1992년 중국과 남사군도 영유권을 놓고 분쟁이 있었다. 미국과는 1975년 이후 계속되어 왔던 대 베트남 금수조치가 1994년 2월 해제되고, 1995년 1월 양국간에 상호연락사무소가 개설된 데 이어 동 7월 11일에 국교정상화가 이루어졌다. 또 1995년 1월 독일과 정치·경제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동 4월에는 오스트리아와 4개 경제협정을 체결했다. 우리나라와는 1992년 수교했다.한편 유엔 등 국제기구들에 대한 외교도 활발히하여 1976년 9월 국제통화기금 (IMF) 및 세계은행 (IBRD)에 가입했으며 1995년 7월에는 아세안 (ASEAN)의 7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베트남의 산업
[편집]-産業
농업이 주산업으로 되어 있다. 국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메콩 삼각주에서 생산되는 쌀이 국민의 주식인 동시에 수출품목의 대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오랜 전쟁으로 국토는 황폐하고 사회주의 이식 실패에 따른 경제파탄이 왔다.1986년 12월 당대회(黨大會)에서 부분적인 사유경제제도를 도입하는 실용주의 경제정책을 채택했다. 제4차 5개년 계획(1986
90년)의 골간으로 1990년까지 2,300만 톤의 식량 생산, 5년간 70%의 수출증대를 선정하는 등 경제의 개방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북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석탄·목재·해산물·차 등이고, 석탄·철광석·인회석·크롬·주석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남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쌀·고무·새우·차 등이다. ‘도이모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는 89년 이래 연평균 8%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95, 96년도에도 9% 이상의 고속성장을 지속했다.
베트남의 교통·도시
[편집]-交通·都市
철도는 호치민(사이공)과 하노이(Hanoi)를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남부에서는 판랑(Phan Rang)·나트랑(Nha Trang)·다낭(Da Nang)·위에(Hu)·쾅트리(Quang Tri) 등지로(연장 1,300㎞, 1970년), 북부에서는 하이퐁(Haiphong)·타니호아(Thanh Hoa)·동호이(Dong Hoi) 등으로 연결된다.도로망도 남부의 주요 도시로 공로가 이어져 있고 북부의 하노이·하이퐁·남딘(Nam Dinh)을 잇는 외에 건설중인 것도 있으나 철도와 함께 육상 교통은 전쟁의 피해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었다.
호치민
[편집]胡志明
전 월남의 수도로, 옛날에는 캄보디아인이 살고 있었으나 17세기에 베트남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9세기에 프랑스의 도시계획으로 근대도시가 된 후 정치·경제의 중심지로 발전해 왔다.호치민 남서 약 6㎞의 솔롱(대시장의 의미로, 1932년 호치민에 흡수되었다)은 화교가 많은 거리로서, 상업중심지이다. 메콩 삼각지에서 나오는 쌀도 여기서 거래되고 정미된다.
하노이
[편집]Hanoi
베트남의 수도로 송코이강 우안에 위치하며, 6세기경부터 통킹 삼각주의 중심도시이다. 이조(李朝)·진조(陳朝)·여조(黎朝) 등 역대 왕조가 이곳에 왕도를 정했다. 원조(阮朝)는 안남의 위에를 왕도로 삼았으나 프랑스통치 시대에는 하노이에 총독부를 두어 행정의 중심으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