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그날이 오면/조선의 영웅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우리 집과 등성이 하나를 격(隔)한 야학당(夜學堂)에서 종(鍾)치는 소리가 들린다. 우리집 편(便)으로 바람이 불어오는 저녁에는 아이들이 떼를 지어 모여가는 소리와, 아홉시 반이면 파(罷)해서 흩어져가며 재깔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이틈에 한 번쯤은 보던 책(冊)이나 들었던 붓을 던지고 가서 둘러보고 오는데 금년(今年)에는 토(土)담으로 쌓은 것이나마 새로 지은 야학당(夜學堂)에 여(女) 아동(兒童)이 팔십명(八十名)이나 들어 와서 세 반(班)에 나누어 가르친다. 물론(勿論) 오리(五里) 밖에 있는 보통학교(普通學校)에도 입학(入學)하지 못하는 극빈자(極貧者)의 자녀(子女)들인데 선생(先生)들도 또한 보교(普校)를 졸업(卒業)한 정도(程度)의 청년(靑年)들로 밤에 「가마니」때기라도 치지 않으면 잔돈푼 구경도 할 수 없는 처지(處地)에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그네들은 시간(時間)과 집안 살림을 희생(犧牲)하고 하루저녁도 빠지지 않고 와서는 교편(敎鞭)을 잡고 아이들과 저녁내 입씨름을 한다. 그 중(中)에는 동절(冬節)에 보리밥을 먹고 보리도 떨어지면 시래기 죽을 끓여 먹고 와서는 이팝이나 두둑히 먹고 온 듯이 목소리를 높여 글을 가르친다. 서너 시간(時間) 동안이나 칠판(漆板) 밑에 꼿꼿이 서서 선머슴 아이들과 소견 좁은 계집애들과 아귀다툼을 하고나면 상체(上體)의 피가 다리로 내려 몰리고 허기가 심(甚)해져서 나중에는 아이들의 얼굴이 돋보기 안경(眼境)을 쓰고 보는듯하다고 한다. 그러한 술회(述懷)를 들을 때 그네들을 직접(直接)으로 도라줄 시간(時間)과 자유(自由)가 아울러 없는 나로서는 양심(良心)의 고통(苦痛)을 느낄 때가 많다.

표면(表面)에 나서서 행동(行動)하지 못하고 배후(背後)에서 동정자(同情者)나 후원자(後援者) 노릇을 할 수 밖에 없는 처지(處地)에 놓여 있기 때문에 곁의 사람이 엿보지 못할 고민(苦悶)이 있다. 그네들의 속으로 벗고 뛰어들어서 동고동락(同苦同樂)을 하지 못하는 곳에 시대(時代)의 기형아(畸形兒)인 창백(蒼白)한 「인테리」로서의 탄식(歎息)이 있다.

나는 농촌(農村)을 제재(題材)로 한 작품(作品)을 두어 편(篇)이나 썼다. 그러나 나 자신(自身)은 농민(農民)도 아니요 농촌운동자(農村運動者)도 아니다. 이른바 작가(作家)는 자연(自然)과 인물(人物)을 보고 느낀대로 스케취판(板)에 옮기는, 화가(畫家)와 같이, 아무 것에도 구애(拘礙)되지않는 자유(自由)로운 처지(處地)에 몸을 두어, 오직 관조(觀照)의 세계(世界)에만 살아야하는 종류(種類)의 인간(人間)인지는 모른다. 또는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현실세계(現實世界)에 입각(立脚)해서 전적(全的) 존재(存在)의 의의(意義)를 방불(髣髴)ㅎ게 하는 재조(才操)가 예술(藝術)일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물 위의 기름처럼 떠돌아 다니는 예술가(藝術家)의 무리는, 실사회(實社會)에 있어서 한군데도 쓸 모가 없는 부유층(蜉蝤層)[1]에 속(屬)한다. 너무나 고답적(高踏的)이요 비생산적(非生産的)이어서 몹시 거치장스러운 존재(存在)다. 시각(視角)의 어느 한 모퉁이에서 호의(好意)로 바라다 본다면 세속(世俗)의 누(累)를 떨어버리고 오색(五色) 구름을 타고서 고왕독맥(孤往獨驀)[2]하려는 기개(氣)가 부러울 것도 같으나 기실(其實)은 단 하루도 입에 거미줄을 치고는 살지 못하는 유약(懦弱)한 인간(人間)이다. 「귀족(貴族)들이 좀 더 젠체하고 뽐내지 못하는 것은 저이들도 측간(廁間)[3]에 오르기 때문이다」라고 뾰죽한 소리를 한 【아꾸다가와(芥川)[4]의】 말이 생각 나거니와 예술가(藝術家)라고 결(決)코 특수부락(特殊部落)의 백성(百姓)도 아니요 태평성대(太平聖代)의 일민(逸民)[5]도 아닌 것이다.

적지아니 탈선(脫線)이 되었지만 백(百) 가지 천(千) 가지 골이 아픈 이론(理論)보다도 한 가지나마 실행(實行)하는 사람을 숭앙(崇仰)하고 싶다. 살살 입살발림만 하고 턱밑의 먼지만 톡톡 털고 앉은 백명(百名)의 이론가(理論家) 천명(천명)의 예술가(藝術家)보다도 우리에게는 단 한 사람의 농촌(農村) 청년(靑年)이 소중(所重)하다. 시래기 죽을 먹고 겨우내 「가갸거겨」를 가르치는 것을 천직(天職)이나 의무(義務)로 여기는 순진(純眞)한 계몽(啓蒙) 운동자(運動者)는, 조선(朝鮮)의 영웅(英雄)이다.

나는 영웅(英雄)을 숭배(崇拜)하기는커녕 그 얼굴에 침을 뱉고자 하는 자(者)이다. 그러나 이 농촌(農村)의 소영웅(小英雄)들 앞에서는 머리를 들지 못한다.

그네들을 쳐다볼 면목(面目)이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

[편집]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70년이 넘었으므로, 저자가 사망한 후 7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주의
주의
1923년에서 1977년 사이에 출판되었다면 미국에서 퍼블릭 도메인이 아닐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퍼블릭 도메인인 저작물에는 {{PD-1996}}를 사용하십시오.
 
  1. 하루살이(蜉蝤)와도 같은 계층.
  2. 외로이 가고 홀로 달림.
  3. ‘변소’라는 뜻. 즉, 귀족들도 같은 생리적 욕구를 가진 인간이라는 뜻.
  4.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참조
  5. 덕이 높으면서도 자기의 주의를 지키기 위해 숨어서 세상에 나오지 않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