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문화·민속/세계의 연극/서양의 고전극/유럽의 시민극
유럽의 시민극
[편집]Europe-市民劇
18세기에 들어오자 프랑스의 '대세기(大世紀)'의 작가들을 낳은 고전주의 문학도 야릇한 퇴색을 보이기 시작했다. 난숙했던 귀족문화 속에서 사교생활로 지새는 지배계급들에게도 이미 라신이 떨쳤던 그러한 정열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그의 후계자들은 고전비극의 여러 규칙을 준수하기에 급급할 뿐, 비극은 냉정하고 인공적인 허구(虛構)의 유희로 변해 버렸던 것이다. 시민극(Le Dreme bourgeois)이란 한마디로 말해서 18세기의 합리주의적 사고나 신흥 부르주아지의 요구에 부흥함으로써 이러한 비극을 쇄신하려고 한 소박한 사실극의 시도였다고도 하겠다.
볼테르의 비극 쇄신
[편집]Voltaire-悲劇刷新
18세기의 대표적인 철학자 볼테르가 시민극에 관심을 품은 계기의 하나는 그가 영국에 망명중 접했던 셰익스피어의 작품이었다. 셰익스피어극의 거친 에너지에 감동을 한 그의 눈에 당시의 프랑스 비극이 얼마나 무기력한 몰골로 비쳤을 것인지 짐작할 수 있겠으나 고전주의의 충실한 신봉자였던 그는 근본적인 개혁을 하지 않고서도 이를 개량할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즉 고전극에서는 주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 한정되었던 배경을 중국·인도·아메리카 등 모든 지방이나 세기(世紀)에 확대시키고 비극의 요인도 연예뿐 아니라 종교적 광신이나 정치적 야심 등을 다루어, 화려한 장치나 의상을 써서 여기에 생기를 주려고 앴다. 작품에는 <오셀로>를 연상시키는 비극 <자이르>, 모성의 비극을 그린 <메로프>나 그 밖의 작품들이 있으나 깊은 심리적 창조가 결여되어 있어 걸작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볼테르는 장르의 엄연한 구별을 준수했으나 <방탕아> <나닌>등의 희극에서는 시대의 풍조에 부응하여 감동과 미소의 융합을 꾀하고 있다. 결국 그는 비극 쇄신의 필요와 수단을 익히 알면서도 편협한 취미와 창조성의 부족으로 인해 이를 완수하지 못했으나, 고전극에서 시민극으로 혹은 낭만파극으로 이행하는 한 과정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고 하겠다.
유럽 시민극의 발생
[편집]Europe 市民劇-發生
고전주의 문학의 장르에서는 비극(悲劇)은 역사상 왕후귀족(王侯貴族)의 것이었으며, 희극(喜劇)은 서민들의 결점이나 오류를 소재로 하는 것으로 결정돼 있었으나 이러한 정의는 참으로 불합리한 것이며, "고뇌나 눈물은 오히려 서민들의 지붕밑에 있었던"(디드로) 것이다. 신흥 부르주아지가 자기들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 고뇌와 기쁨이나 도덕적인 주장을 전개하는 새로운 연극을 추구한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그들의 요구는 우선 시민에게 허락되었던 희극이라는 장르 속에서 성실하고 감동적인 요소를 채택하려는 시도로서 나타나 데투시(Destouches, 1680-1754)의 <거만한 남자>, 니벨 드 라 쇼세(Nivelle de La Chausse, 1692-1754)의 <유행의 편견> 등이 나왔다. 특히 후자는 그 극단적인 감상성(感傷性)으로 인해 '눈물을 주세요 희극'이라 불리면서 시대의 취미에 호응하여 한때는 대단히 유행했던 것이다. 라 쇼세가 41년에 발표한 <멜라니드>는 희극성이 전혀 없는 가정극으로서 운문(韻文)으로 쓰였다는 점을 제외하면 시민극과 흡사하며, 그가 시민극 선구자의 한 사람임을 부정할 수 없게 한다.
시민극의 발생을 유럽 전체에서 생각한다면 선구는 영국이라고 하겠으며, 영향을 받아 이론을 확립시킨 것이 프랑스, 실제로 걸작을 내놓은 것은 독일이라 하겠다.
영국의 시민극
[편집]英國-市民劇
자본주의의 선진국이었던 영국에서는 소설 분야에서도 리처드슨처럼 작가 자신이 중산계급의 출신으로, 자기들 계급의 요구에 적절히 부응하는 소설을 써서 국외에 미치는 반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실제로 그의 <클라리사>나 <파멜라>는 프랑스에서는 소설 분야뿐만 아니라 많은 시민극에도 영향을 주어 후에 상술하는 극작가 메르셰 등도 이 작가의 통찰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극작가로서 가장 영향이 컸던 작가는 릴로(George Lillo, 1693-1739), 무어(Edward Moore, 1712-1739)일 것이다. 전자의 <런던의 상인 또는 조지 번웰의 이야기>는 선량한 청년이 어느 창녀에게 열중한 나머지 돈이 곤궁하여 고용주의 물건을 훔치고 마침내는 유산에 탐을 내어 숙부를 살해하는 죄를 범한다는 비극이며, 후자의 <도박자>는 명우 개리크와의 합동작품으로 도박이 어느 남자의 인생을 파괴하고 감옥과 자살로 몰아넣는다는 비극이다. 이러한묘사의 리얼리티는 당시의 프랑스 작가들에게 대단한 감명을 주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프랑스의 시민극
[편집]France-市民劇
고전주의의 예절이 몸에 밴 프랑스 작가의 눈을 보다더 생생한 표현으로 돌리게 한 것은 영국의 시민극이었다. 디드로는 릴로와 무어의 작품을 시민적 가정비극의 전형으로 들고 있다. 그런데 새로운 관객의 취미에 부응하려는 연극의 동향은 이상에서 말했듯이 여러 측면에서 나타나 이미 부정할 수 없게 되었으며 여기에 이론을 확립시킨 사람이 백과전서(百科全書)의 편자(編者) 디드로였다.
디드로, 더니
[편집]Denis Diderot(1713-84)
1757년에 그는 희극이라고 자신을 갖고 내놓은 작품 <사생아>와 함께 이 작품의 의도와 테크닉을 분석한 <사생아에 관해서의 도르바르와의 대화>를 출판했다. 이는 대단한 반향을 일으켰으나 동시에 팔리소(Palissot)와 같은 반대파의 맹반격을 받아, 디드로는 이에 답하여 다음 해에 다시 극작 <한 집안의 아버지>와 전년의 <대화>보다 더욱 조직적인 연극론인 <극예술론>을 출판했다. 이 작품은 지난 해에 나온 <대화> 가운데에서 "한 집안의 부친이라는 흥미있는 상황을 지금까지 아무도 쓰려고 하지 않았던 것은 애석한 일이다"라고 말한 데 대해서 스스로가 대답한 것이었다.
그의 연극에서는 고전주의적 문학관과 같이 인간의 보편적인 성격을 문제로 삼지 않고, 시대나 국가나 직업이나 지위에 따라 특정한 처지에 놓인 인간을 묘사하는 것이다. 이는 관념적·추상적인 인간성의 파악에서 리얼리즘적 방향으로 한걸음 더 나아갔다고 하겠다. 동시에 이 처지에 부과되는 의무를 훌륭하게 다하는 시민도덕을 종용하고 이를 무대에서 읊는 긴 대사를 소중히 여겼다. 작품의 예술적 가치보다도 미덕으로 관객을 감동시키고 눈물을 유발시키려 했던 것이다. 그는 시민생활을 다룬 이 새로운 연극을 정극(正劇)이라 이름지어 여기에 어울리는 산문(散文)의 채용을 권장했다.
디드로의 연극관은 볼테르의 경우에 비해 훨씬 혁신적이라고는 하나 아직도 많은 고전주의적 희극 요소를 남기고 있었다. 예컨대 그의 정극(正劇)은 비극과 희극이라는 종래의 장르를 파괴한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새로 '시민적 비극' 혹은 '성실한 희극'을 포함하는 중간적 장르를 창시했던 것이며, 고전극의 중요한 규칙인 '삼일치(三一致)의 법칙'도 이를 합리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디드로의 <한 집안의 아버지>는 1761년에 프랑스 극장에서 상연, 상연 횟수 7회라는 당시로서는 명예 있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너무나 도덕과다였다고 하겠으며 예술적 가치가 낮아, 오늘날에 와서는 별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사생아>는 작품으로는 더욱 서투르고 1771년 프랑스 극장에서의 상연은 배우들의 적대감정도 곁들여 참담한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스덴, 미셸 장
[편집]Michel Jean Sedaine(1719-1797)
시민극의 장르에서 자연스런 인간성을 그런대로 묘사한 극작가가 미셸 장 스덴이라고 하겠다. <천성(天成)의 철학자(Philosophe sans le savoir)>(1765)는 스덴의 가장 훌륭한 작품이며 스덴은 디드로의 가장 훌륭한 작품이라 말하듯이 그는 대상인(大商人) 반데르크라는 인물을 통해 한 집안의 부친으로서의 고뇌나 애정이나 권위를 묘사함과 동시에 결투라는 악습에 대한 항의, 귀족의 교만에 대한 부르주아의 긍지를 그려 시민극의 전형을 만들었다. 1765년에 프랑스 극장에서 초연, 상연 횟수 21회라는 기록적인 성공을 거두었던 것도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보마르셰, 피에르 오귀스탱 카롱 드
[편집]Pierre-Augustin Caron de Beaumarchais(1732-99)
이론면에서 디드로의 계승자인 그는 오늘날에 와서는 <세비야의 이발사> <피가로의 결혼>이라는 두 희극으로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다. 그는 극작가로서의 첫걸음을 정극 <외제니(Eugenie)>(1767)로 출발했다. 이 작품의 서론 '성실한 극에 관해서의 시론' 가운데에서 그는 디드로의 계승자로서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으나, 이론의 표현에 생생한 빛깔을 더했다는 정도로 내용적으로는 별다른 발전이 없고 작품도 성공하지 못했다. 다음의 <두 벗(Les Deux amis)>은 상업극(商業劇)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지불기일이라든가 어음 할인이라든가 하는 극장 안에서는 별로 들어보지 못한 말이 뒤섞인 복잡한 삽화가 특히 여성관객의 흥미를 상실케 하고 말았다. 19세기 후반에 오지에와 베크가 무대에서 다루었던 이러한 금전문제는 가장 부르주아적인 주제의 하나이면서 당시로는 아직 시기가 빨랐던 것이다. 이 두 작품의 실패는 그로 하여금 당분간 극작에서 떠나게 했으며, 1775년에 이르러 4막의 희극 <세비야의 이발사>, 84년에 5막희극 <피가로의 결혼>이라는 18세기 희극작품을 낳았던 것이다. 이것은 시민극의 항목에서 언급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나 역시 시대풍조라고 할 수 있는 센티멘털리즘을 여기서도 볼 수 있다. 사생아 피가로가 우연히 친어머니와 만나 그것이 계기가 되어 부모가 정식으로 결혼한다는 줄거리는 관객의 눈물을 노린 것이며, 과연 도덕적 설교는 없다 해도 모자간을 시민적 질서라는 관념에서 다룬 것이었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한 하인인 피가로와 그의 애인 스잔이 극히 주역이며 주인인 알마비바 백작을 농락하면서 귀족계급의 부패나 현 정체(政體)의 부정을 폭로한다는 작가의 자세는 혁명 직전의 시민극과 같은 것이라 하겠다. 그는 이 두 작품의 속편으로서 산문 5막의 <죄를 진 어머니>를 써서 3부작을 이루었으나 이는 희극이 아니라 정극(正劇)의 장르에 들어간다. 발표 당시는 성공을 했으나 앞의 두 작품보다는 훨씬 생기가 빈약하고 연설투의 결함이 두드러져 오늘날에 와서는 상연되지 않고 있다.
프랑스 시민극의 상연 형태
[편집]France 市民劇-上演形態디드로가 의도한 시민극은 당시의 시민생활을 사실적으로 무대에 표현하려 했던 것이나 사상적 성격으로 말미암아 자주 상연금지를 당했으며, 또한 보수적인 파리의 대극장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때문에 시민극은 줄곧 극장을 구하지 못해 고난을 겪었고 보르도, 리옹, 마르세유 등 지방도시의 극장이나 파리의 '불바르(큰 거리)' 극장에까지 진출하거나 또는 오를레앙 공(公)과 같은 연극 애호가의 살롱에서 그 활로를 찾기도 했다. 연극 그 자체도 음악을 곁들인 시민 변장을 하거나 과거의 역사에서 소재를 구하여 정치적 의도를 위장했다. 그래도 콜레(Charles Colle, 1709-83)의 <앙리 4세의 사냥대회>는 현 정체(政體)에 대한 간접적 비판이라 하여 공개가 허락되기까지는 2년이나 걸렸으며, 메르셰(1740-1814)의 <리쥬의 주교 장 앙뉴이에>는 성 바톨로메 대학살에서 소재를 구한 것으로 종교 문제에 대한 비판이라 하여 상연은커녕 출판조차 비밀리에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의 <식초 장수의 손수레>는 <극예술 신론(新論)>에서 말한 민중극의 주장을 실현한 것으로, 시민극을 더욱 대중에게 개방하고 있다.
독일의 시민극
[편집]獨逸-市民劇
영국의 작가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에서 꽃핀 시민극은 그 당시로서는 열광적으로 환영받았던 것조차도 오늘날에 와서는 거의 감상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18세기에는 신선했던 새 사상도 이미 상식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과 시사성에 의존하는 정치적 작품이 많았다는 것도 원인이라 하겠다. 그러나 결국은 예술성의 결여가 최대 결함이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는 독일의 시민극이 훌륭하게 반증을 보이고 있다.
레싱, 곳홀트 에프라임
[편집]Gotthold Ephraim Lessing(1729-1781)
독일의 국민연극(國民演劇)의 이론적 기초를 이룩한 레싱은 디드로(Dedrot)의 연극론(演劇論)에서 직접 영향을 받고 게다가 셰익스피어적 연극관을 더함으로써 프랑스 고전주의의 영향에서 완전히 탈피하여 시민극을 참으로 생기있는 장르로 만들었다. 그의 <함브르크 연극론>(1755)에서는 디드로가 반고전주의적 의식에서 등장인물의 경우만을 강조했음에 반해 여기에다 성격의 중요성을 가미시켰던 것이다. 즉 어떤 성격이 어떤 상황에서 낳은 비극적 결말을 보고 관객이 같은 상황을 자신의 처지로 상정(想定)하여 불안과 동정을 느낄 때 비극의 효과가 생겨난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에서 시민극이라고 자신 있게 내놓은 것은 <사라 삼프슨양(孃)>뿐이지만 그 밖에 특히 걸작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미나 폰 바른헬름>은 희극으로서 '신분이 다른 결혼'을 주제로 한다. 등장인물은 모두 7년전쟁으로 어떤 피해를 입으면서도 고결하고 성실하게 살려는 사람들이며, 안이한 희극의 메커니즘에 의존하지 않고 인물의 리얼리티에 뿌리를 박은 웃음은 참으로 시민극의 성과라고 할 수 있겠다. 비극 <에밀리아 갈로티>(1772)에 관해서는 로마 역사의 한 삽화를 근세 이탈리아로 옮겨 놓았으며 이를 구태여 국내에서 취재하지 않았던 점으로 당시의 어려운 국내사정을 짐작케 한다. 견고한 미덕을 갖춘 아가씨가 영주의 사련(邪戀)을 물리치기 위해 부친 손에 죽어야 한다는 이야기로 '폭군에 대립하는 시민의 자유와 명예'라는 시민극적 주제를 '상황과 성격'에 겹치면서 훌륭하게 처리하고 있다. 독일연극은 이 작품으로 프랑스 고전극의 모방에서 탈피한 고유의 근대 시민극을 확립시켰으며, 괴테와 실러에 의해서 그 최성기로 계승되어 나아갔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