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만흥 (윤선도)/현대 한국어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만흥(漫興)
현대 한국어
저자: 윤선도

윤선도가 1642년(인조 20년)에 지은 시조. 《산중신곡(山中新曲) 》 9편 중에서 첫 번째 작품이다. 1789년(정조 22년)에 재판된 문집 《고산유고(孤山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화자는 자연 속에서 안빈낙도의 삶을 즐기고 있다. 그러면서 그 밖의 다른 일 곧 세속의 일을 부러워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다. 화자는 세속을 부정하고 자연을 긍정하는 태도를 갖고 있는 것이다.
원문은 만흥 (윤선도)을 참조.

산수간 바위 아래 띠집을 짓노라하니
그 모르는 남들은 웃는다 한다마는
어리석고 향암의 뜻에는 내 분인가 하노라
 
보리밥 풋나물을 알맞게 먹은 후에
바위끝 물가에서 실컷 노니노라
그 밖에 남은 일이야 부러워할 줄이 있으랴
 
잔들고 혼자 앉아 먼 산을 바라보니
그리던 님이 온다고 반가움이 이러하랴
말씀도 웃음도 아니하여도 못내 좋아하노라
 
누가 삼공보다 낫다하더니 만승이 이만하랴
이제로 헤어든 소부 허유가 약았더라
아마도 임천한흥을 비길 곳이 없세라

내 성품이 게으르더니 하늘이 아셔서
인간만사를 한 일도 아니 맡겨
다만 다툴 이 없는 강산을 지키라 하시도다
 
강산이 좋다한들 내 분으로 얻었느냐
임금 은혜를 이제 더욱 알겠노라
아무리 갚고자 하여도 해드릴 일이 없구나

나는 이 저작물의 저작권자로서, 이 저작물을 퍼블릭 도메인으로 모두에게 공개합니다. 이 공개 선언은 전 세계적으로 유효합니다.
만약 저작권의 포기가 법률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경우,
나는 이 저작물을 법적으로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어떤 목적으로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