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조선왕조실록/세종장헌대왕실록/1년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元年 春正月

[편집]

1月 1日

[편집]

햇무리 지다

[편집]

○丙午朔/日暈有珥。


황제에게 정조 하례 드리고, 신하들의 하례 받고, 상왕에게 하례하다

[편집]

○上以冕服率群臣, 遙賀帝正, 以遠遊冠、絳紗袍, 御仁政殿, 受群臣朝賀, 僧徒、回回、倭人亦與賀。 議政府獻遞手帕, 各道畢獻方物。 上以冕服率群臣, 詣上王殿行賀禮, 獻表裏、鞍馬, 又獻表裏于大妃。 初, 議政府啓: “恭妃今在父服, 不宜進手帕于壽康宮。” 上王曰: “雖在父服, 進手帕賀, 何害於義?” 至是, 恭妃亦獻表裏于兩殿。 上又遣人, 以衣襨一襲及遞手帕, 獻老上王殿, 上壽于上王。 宗親、議政府參贊、六曹判書以上及大司憲、六代言侍宴。 酒酣, 上王起舞, 群臣以次上壽迭舞, 爭進聯句。 上王有曰: “天視自民宜敬畏。” 每宴以敬愼爲戒, 群臣醉益敬焉。 歡極夜深乃罷。 當宴, 上王語孟思誠、卞季良、許稠等曰: “《後殿眞勺》, 其音節雖好, 其歌詞不欲聞也。” 思誠等曰: “上旨允當。 今樂府用其調, 不用其詞。” 《眞勺》有慢調, 有平調, 有數調。 高麗忠惠王頗好淫聲, 與嬖幸在後殿, 作新聲淫詞以自娛, 時人謂之《後殿眞勺》, 非獨其詞, 調亦不可用。


1月 2日

[편집]

햇무리 지다

[편집]

○丁未/日冠有珥。


경연에 나아가다

[편집]

○上御經筵。


임귀년을 곤장을 때려 장성현 객사 청지기로 정배하다

[편집]

○杖任龜年七十, 配長城縣客舍廳直。 龜年前爲義州牧使, 私以沈溫伴人充遼東護送軍故也。


1月 3日

[편집]

백관의 입춘 하례식을 정지하게 하다

[편집]

○戊申/立春。 上命停百官朝賀。


경연에 나아가다

[편집]

○御經筵。


일본 대마도 만호가 토산물을 바치다

[편집]

○日本國對馬島萬戶左衛門大郞遣人來獻土物。


1月 4日

[편집]

상왕을 모시고 인덕궁에 가서 노상왕께 수주를 올리다

[편집]

○己酉/上從上王, 朝老上王于仁德宮, 仍置酒上壽, 夜分乃罷。 老上王送兩上于宮門外, 兩上挾侍老上王, 老上王且行且舞, 謂代言曰: “二王扶我, 卿等以爲如何?” 元肅曰: “如此盛事, 千古罕見。” 老上王欣然曰: “卿言然。”


1月 5日

[편집]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편집]

○庚戌/太白晝見。


경연에 나아가다. 수강궁에 문안하다

[편집]

○御經筵。 朝壽康宮。


여러 도에 지인을 보내어 수령들의 구휼 상황을 살펴보게 하다

[편집]

○分遣知印四人于慶尙、忠淸、江原、咸吉道, 審視守令賑飢勤怠及飢死人有無。


오도리와 오랑합의 지휘 등이 조회하고 토산물을 바치다

[편집]

○吾都里指揮李好心波、吾郞哈指揮謝伊帖木兒、骨看亐知哈指揮豆稱哈、嫌進亐知哈指揮巨兒帖哈、東良北吾都里李都兒赤等來朝獻土物。


1月 6日

[편집]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편집]

○辛亥/太白晝見。


일을 아뢰는 재상들에게 양녕을 보고 싶음을 말하다

[편집]

○上御仁政殿, 受群臣朝, 仍御便殿視事, 經筵。 上謂啓事宰樞曰: “父王母后新年欲見讓寧, 予亦欲見。” 大司憲許遲曰: “讓寧不可輕易入京。” 上曰: “前者因卿等之言, 不敢强留, 其在兄弟之間, 豈無思慕之心?” 禮曹判書許稠曰: “入見不久, 不必數來。”


각전의 공상과 제사, 빈객 접대 외에는 금주하게 하다

[편집]

○司憲府以歲歉民食不裕, 請各殿供上、祭享、賓客外, 公私用酒, 一皆禁斷, 從之。


진상하는 복용이나 기명 등을 제외하고 금과 은의 사용을 금하다

[편집]

○傳旨: “金銀本國不産之物, 進獻方物, 尙且難繼, 酒食器皿, 上下通用, 尤爲未便。 今後進上服用器皿、闕內酒器及朝廷使臣支應器皿、朝官品帶、命婦首飾、士大夫子孫耳環外, 一皆禁用。 銷金泥金亦皆禁斷, 犯者論以制書有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