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페이지: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권1.pdf/43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페이지는 아직 교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이다. 하지만 주제문만으로 독자에게 주제가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주제를 충분하고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주제를 뒷받침하고 입증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주제를 뒷받침하고 입증하는 것을 글의 소재(素材)라 한다. 논문에서는 재료(data)라 하고, 소설에서는 소재 혹은 제재라 하는데, 주제를 지탱해 주는 재료를 풍부하게 수집하는 일은 중요하다.

재료의 수집材料-蒐集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많은 것을 보고 듣고 있다. 그런데도 정작 글을 쓰려면 무엇에 관해 어떻게 쓸까 망설이게 된다. 그러니까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무엇을 보고 듣고 경험했느냐 하는 것이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그 경험을 통해서 과연 어떤 인생의 의미를 찾아냈는가 하는 것이 소중하다. 아무리 좋은 경험을 했다 해도 그 경험에서 인생과 결부되는 어떤 의미를 끌어낼 수 없다면 경험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따라서 그것은 글의 소재가 되지 못한다.

재료의 출처는 대체로 체험·관찰·독서·청취·조사·사고라고 볼 수 있다. 체험은 과거의 경험 중에서 주제에 관계 있는 재료를 찾는 경우로서, 감상문·일기 등에 많이 쓰이나, 보고·논증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관찰은 실험을 통해 얻는 재료, 독서는 글에 의한 재료, 청취는 강연·강의를 비롯해 인터뷰 등으로 얻어지는 재료이고, 조사는 실제로 조사를 함으로써 얻어지는 재료이다. 사고는 그 자체로 재료가 되기도 하고, 동시에 체험·관찰·독서·청취·조사에서 얻어진 것들이 정말 재료로서 적합한 것인가를 가려내는 데도 중요한 요소이다.

이 페이지에 있는 이미지는 자유 저작물이 아니기 때문에 삭제되었습니다.
재료실험 관찰을 통해 훌륭한 재료를 얻어낼 수가 있다.

재료의 검토材料-檢討요컨대 재료는 주제를 뒷받침하는 도구인데, 재료가 적합하냐 부적합하냐에 따라 글이 잘 될 수도, 잘못 될 수도 있다. 여기에 글의 수집과 선택의 중요성이 있다.

또한 소재를 풍부히 하기 위해 메모 수첩을 언제나 지니고 다니면서 그때그때의 감정, 글 쓰는 데 도움이 됨직한 것 등을 기록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글을 쓸 때 많은 재료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다고 수집된 재료가 모두 글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주제를 설득력 있게 살리기 위해 많은 소재를 압축하고, 필요한 소재만을 고르는 과정에서 다음의 몇 가지를 유념해야 한다.

첫째, 주제에 관계 있는 재료를 선택한다.

둘째, 사실에 근거한 재료 및 합리적인 재료를 선택한다.

셋째, 비교·대조·분류·인용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넷째, 독자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참신하면서도 친근한 소재를 선택한다.

재료의 정리材料-整理재료가 넉넉하게 수집되면, 이것을 분류·정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재료의 분류·정리는 그것을 어떠한 순서로 배열하느냐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며, 이 재료 배열 계획은 문장 전체 구성에 관한 문제가 된다.

대개 계획을 세워 놓고 재료를 수집하며, 또한 수집된 재료에 의해서 세워 놓은 계획을 수정해 나가는 일을 되풀이하면서 차츰 구체적인 구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재료의 분류·정리는 문장 전체의 구성 문제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분리·정리에는 두 가지 원칙이 있다. 하나는 내용면에서 동일 사항에 관한 재료와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다른 하나는 중요도에서 주요 사항에 관한 것과 그렇지 않은 사항에 관한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구성에 관하여

■ 구성의 의미

아무리 좋은 쓸 거리, 즉 소재나 재료를 많이 갖추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 자체만으로는 글이 되지 않는다. 좋은 글이 되기 위해서는 그렇게 준비된 재료들을 효과적으로 짜맞추어 나가야 하는데, 이렇게 필요한 재료들을 주제와 목적에 맞추어 엮어가는 작업을 구성이라고 한다.

건축가가 건축 재료를 기초로 그것을 어떻게 맞추어 세우느냐에 따라 건축의 형태와 기능에 차이가 있듯이, 글의 재료를 어떻게 연결해 가는가에 따라 글의 성격은 달라진다. 따라서 작문에서의 구성의 과정은 준비된 재료를 이용하여 필자가 목적한 바 주제를 나타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구성의 방법은 크게 자연적 구성 방법과 논리적 구성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연적 구성 방법은 다시 시간적 순서에 따른 구성과 공간적 순서에 따른 구성의 방법으로 구분되고, 논리적 구성은 다시 일반에서 특수로, 특수에서 일반으로, 원인에서 결과로, 결과에서 원인으로, 점층적 방법, 중요도의 순서에 따른 방법, 기지에서 미지로, 호감도의 순서에 따르는 방법 등으로 구분된다.

■ 구성의 형태

자연적 구성自然的構成시간적 순서에 따른 구성자연적 순서에 따른 구성이란 어떤 사건이나 상태를 서술해감에 있어서 일어난 모습을 자연적 조건 그대로에 맞추어 서술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그 중 시간적 순서에 따른 구성이란 어떤 사건이나 일이 진행되어 가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재료를 배열하는 구성법을 말한다.

이 구성 방법은 가장 초보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시간적 순서에 따른 구성은 사건의 진행 절차에 따라 기술해 나가는 방법이기 때문에 특별한 작문상의 기교 없이도 수월하게 쓸 수 있으며, 오랜 시간 동안의 체험이나 기억을 정리하는 일 등에는 매우 편리하고도 적합한 방법이다. 기행문, 체험기, 회의록, 전기문, 역사적 기록 등은 대개 이 방법을 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