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페이지:들온말 적는 법.djvu/42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페이지는 아직 교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세째 눈 한 낱말의 맑은 닿소리가 다른 낱말(흐린소리로 첫소리를 삼은)과 잇기 때문에 흐린소리되는 것은 그 본대의 맑은소리 대로 적고 흐린소리로 바꾸지 아니한다.

(1) 임자씨(體言)가 아래 또는 위로 다른 낱말의 흐린소리와 있는 경우의 보기: ―

가락 karak 가락이 Karak i 가락은 Karak ŭn
도(道) to 남도 nam to 경상도 Kyongsang To
군(郡) kun 울산군 Ursan Kun

(2) 토가 위로 다른 낱말의 흐린소리와 잇는 경우의 보기: ―

도 to 땅도 ddang to 새도 sai to
과 kwa 짐과 chim kwa 안(內)과 an kwa

〔붙임1〕 한 낱말 속의 ㄱ, ㄷ, ㅂ, 들이 흐린소리로 나는 것은 그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보기: ―

ㄱ. -g 지게 chige 포고 phogo
ㄷ. -d 지도 chido 전도 chŏndo

그러나, 다만 풀이씨의 씨끝(用言의語尾)만은 일정하게 맑은소리로 적는다. 보기: ―

맑은소리 흐린소리
먹다 mŏkta 갈다 karta 안다 anta
먹고 mŏkko 갈고 karko 안고 anko
먹지 mŏkchi 갈지 karchi 안지 anchi
〔붙임2〕 터짐소리 받침이 이붕소리된(口蓋音化) 것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