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해동염사/고려태조 제이후 오씨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高麗 (고려) 太祖 (태조) 第二妃 (제이비) 莊和王后 (장화왕후) 吳氏 (오씨)

고려 태조의 제이 왕후 오씨(高麗 太祖 第二 王后 吳氏)는 전라도 금성 목포(錦城 木浦=錦城은 今 羅州)의 태생이다. 비록 한미한 가정에 태어 낳았으나 어려서부터 재색이 절등하고 지감이 특이하니 자기의 부모는 물론이고 이웃 사람들까지도 누구나 칭찬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그는 미천할 때에 집에서 항상 길삼을 하는데 우물에서 실(絲)을 씻은즉 그 우물 위에 오색구름이 영롱하게 떠오르니 다른 사람들이 모두 신기하게 생각하고 자기도 또한 자부심을 가지고 홀로 기뻐하였다—그 뒤의 사람들이 그 우물 이름을 특히 완사천(浣紗泉)이라고 하였다— 그는 성년이 된 후 하루는 꿈을 꾼즉 목포 바다에서 큰 용이 나오더니 자기의 뱃속으로 들어갔었다. 그 꿈을 꾸고는 하도 이상하여 자기 부모에게 말을 하니 부모도 또한 해석을 잘 못하고 그저 이상히만 여겼다. 그런지 얼마 아니하여 고려 태조가 후백제(後百濟)를 치려고 목포에까지 왔다가 도중에서 아리따운 그의 빨래하는 것을 보고 크게 기뻐하여 불러서 며칠 동안을 동거하였다. 그러나 태조는 이미 신혜왕후 유씨(神惠王后 柳氏)가 있을 뿐 아니라 오씨의 집이 원래에 너무 미천한 까닭에 그의 몸에서 만일 아들을 낳게까지 된다면 장래 왕통을 계승시킬 때에 여간한 문제가 아니로 생각하고 비록 동침을 할지언정 피임(避姙)을 하려고 일부러 정액(精液)을 자리 위에다 쏟아버리니 영리한 오씨는 그것을 미리 짐작하고 자리 위에 쏟아진 그 정액을 빨리 빨아 삼켜서 기어이 잉태를 하였다가 십삭만에 아들을 낳았으니 그는 곧 고려의 제이세왕 혜종의공 왕무(第二世王 惠宗義恭 王武) 였다. 그는 탄생하던 즉시부터 이상하게도 얼굴에 자리 자국(席文)이 있으니 세상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것은 그의 어머니가 그를 잉태할 때에 자리 위에 쏟아진 정액을 삼켜서 낳은 까닭에 그리 된 것이라고 별명 짓기를 접왕(襵王)이라 하였다. (접왕은 곧 주름 왕이란 뜻이다. 혜종은 비록 그런 미천한 몸에서 낳았으나 인물이 출중하고 용력이 남보다 뛰어나서 소년 시대부터 항상 태조의 뒤를 따라 사방으로 출정을 하였는데 가는 곳마다 몸소 활과 칼을 잡고 선봉으로 나서서 공을 이루고 후백제와 싸울 때에도 그가 선봉으로 나서 백제군을 크게 파하였으니 윤소종(尹紹宗)의 시(詩)에 일통삼한일 선등백제성(一統三韓日, 先登百濟城)이라 한 것이 즉 그것을 이름이었다. 그 뒤 태조는 혜종으로 태자(太子)를 삼고 싶었으나 외가가 한미한 까닭으로 여러 신하가 반대할까 염려하고 자황포(柘黃袍─왕자의 입는 옷)를 허름한 상자에 넣어서 오씨를 주매 오씨는 다시 대광 박술희(大匡 朴述熙)를 불러서 그것을 뵈었더니 술희는 그 뜻을 알고 즉시 혜종으로 태자 삼기를 상주하여 드디어 정식의 태자가 되었다. 그는 왕위에 오른 다음에 그 어머니의 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목포에 큰 절을 건축하고 흥룡사(興龍寺)라 이름 지였으니 아래에 기록한 점필재 김종직(佔𠌫齋 金宗直)의 시(詩)는 그것을 의미한 것이다.

비단 빨던 아가씨 옛 고향에는 흥룡사 새로 생겨서 깃드노나. 지금까지 늙은 데를 왕덕 생각코 통소마저 노래하며 기뻐 날뛰네
—原詩—
『濯錦江邊舅氏鄕, 興龍寺裏藹祥光. 只今父老懷遺德, 簫歌歡娛皺大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