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해동염사/묘향산중의 괴처녀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妙香山中 (묘향산중)怪處女 (괴처녀)

때는 지금으로부터 약 五百四五十年前—바로 고려의 왕조(王朝)가 망하고 한양(漢陽)에 이조(李朝)가 새로 도읍하기 전 三十 내외 년간이었다. 황해도 백천군(黃海道 白川郡)에 사는 어떤 젊은 엽사(獵師) 한 사람이 영변 묘향산(寧邊 妙香山)으로 사냥을 갔었다. 짐승을 잡는 자미에 해가 가는 것도 알지 못하고 자꾸 자꾸 심산궁곡(深山窮谷)으로 가다가 급기야 어떤 무인지경에 이르러서는 해가 아주 서산에 떨어져서 천지가 암흑하게 되었다. 지척(咫尺)을 분별하기 어려운 적막(寂寞)한 산중에 인적(人跡)이 아주 고요하고 다만 바람소리 물소리만 들릴 뿐이었다. 그중에도 호랑이와 곰 같은 맹수(猛獸)가 가끔가끔 산이 울리도록 우는 데는 아무리 평소(平素)에 용맹스럽던 엽사라도 무시무시하여 머리끝이 쥐뼛쥐뼛 하였다. 일모도궁(日暮途窮)한 엽사는 아무 곳이라도 은신(隱身)할 곳만 있으면 하룻밤을 자고 가려고 피곤한 다리를 끌고 길 잃어버린 장님 모양으로 이곳저곳을 휘더듬어 찾아 다니었다. 진소위 절처봉생(絶處逢生)이라고 한 산곡을 다다르니 뜻밖에 오막사리 초가 한 집 있는데 반딧불 같은 조그마한 등불 빛이 나무 새로 비치었다. 대사막(大沙漠)에 여행하는 사람이 마치 감천(甘泉)이나 만난 듯이 엽사는 하도 반가워서 잡담 제하고 그 집을 찾아 들어가니까 그 집에는 아무도 없고 다만 처녀 한 사람이 있을 뿐인데 그 처녀는 아주 천하절색의 미인이었다. 엽사는 그가 귀신인지 선녀인지 알지 못하여 정신없이 한참 보다가 겨우 입을 열어서 자기의 내력과 일모도궁(日暮途窮)한 사정을 말하고 하룻밤 유숙하기를 간청(懇請)하니 그 처녀는 흠연(欣然)히 승낙하고 방안으로 맞아 들이었다. 엽사는 몸이 피곤하고 배가 고픈 중에도 그녀를 보니 마음이 자연 유쾌하여 모든 것을 다 잊어 버리게 되었다. 그중에도 그 처녀가 아주 친절하게 대우를 하고 또 산채수육(山菜獸肉)을 겸비(兼備)한 저녁밥을 잘하여 주는 데는 더욱 감사하게 생각하였다.

× ×

그러나 엽사는 그 처녀가 어떠한 사람의 딸이고 또 무슨 이유로 이 심산궁곡(深山窮谷)에 있는 줄도 알지 못하여 퍽이나 궁금하였다. 두어 차례나 말을 건네서 그의 가벌(家閥)과 신분을 물어도 그는 자서한 대답을 하지 않고 다만 차차 알 수가 있다고 하고 앵도 같은 어여쁜 입술을 벙긋벙긋하며 웃을 뿐이었다.

그럭저럭 하는 동안에 밤은 벌써 깊어서 열시쯤이나 되었다. 문밖에 인적소리가 나더니 어떤 사람이 소리를 지르며 「애기야— 잘 있었니— 오늘은 사냥을 잘하여 한 짐 지고 왔다」고 한다. 엽사는 그가 그 처녀의 아버지이고 또 자기와 같은 엽사인 것을 짐작하였다. 그러나 크게 놀라운 일은 그 사람의 키가 어찌나 큰지 이 세상에서는 꿈에도 보지 못하든 큰 키인 것이다. 몸집이 마치 큰깍찌똥 같아서 허리가 집 첨아에 닿고 머리는 지붕 우에 닿아서 말하는 것이 공중에서 하는 것 같이 들리었다. 그는 방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횡(橫)으로 기어 들어와서 억지로 방의 귀를 맞추어 다리를 펴고 앉는다. 지게는 역시(亦是) 산떼미만 한데 호랑이, 사슴, 산돼지들의 수十 마리를 짊어 놓았다. 그는 자기 딸에게 「손님의 저녁 대접(待接)을 잘 하였느냐고 묻고는 또 자기의 저녁을 청한다. 그런데 그 처녀가 가지고 오는 자기 아버지의 저녁상은 보통의 밥상이 아니요 큰 돼지 한 마리를 통으로 소반에다 담아놓은 것이었다. 엽사는 그의 몸이 퍽도 큰 것을 놀란 즘에 또 그의 식물이 보통사람과 다른 것을 보고 더욱 놀라서 혼자 생각에 「아마도 오늘밤에는 저놈에게 잡혀 멕히게 되었다」 하고 아무 말도 못하고 방 한구석에 굽으리고 앉아서 그의 동정만 살피었다. 나남자는 처녀에게 「저 손님을 잘 대우하고 친절하게 모시라」고 말은 하나 엽사는 하도 무서워서 그 처녀가 비록 절세미인이나 감히 말 한 마디도 접근ㅎ지 못하고 두 눈이 말뚱말뚱하게 하룻밤을 지냈었다. 그 이튿날 아침까지도 아무 일은 없었다. 그 남자는 처녀에게 명하되 「손님에게는 익은 음식을 드리고 내게는 생것을 달라」고 한다. 그 엽사는 조반이고 무엇이고 먹을 생각도 없어지고 다만 잡혀 먹힐까 봐 겁만나서 불불 떨며 도망할 틈만 있으면 도망을 하려고 작정하였다. 그러나 도망을 하려고 하여도 또한 기회가 없어서 부득이 자기의 운명을 하늘에게만 맡길 수밖에 없다고 하고 여전히 한구석에 쭈구리고 있을 뿐이었다. 그 남자는 아침에도 역시 생지 한 마리를 통으로 다 먹고는 예의 큰 몸으로 기어서 밖으로 나갔다.

× ×

때는 마침 모춘(暮春)이라 그 집 뜰 앞에는 벽도화(碧桃花)가 만개(滿開)하여 주인 처녀와 안색을 다투는 듯하고 풀은 푸릇푸릇하여 자연의 자리를 이루었다. 그 큰 남자는 풀 위에 두 다리를 쩍 펴고 앉아서 눈을 감고 무엇을 생각하더니 다시 눈을 뜨고 엽사를 부른다. 엽사는 원래 겁을 집어먹고 있던 중이라 옳지 인제는 진짬 죽었구나 하고는 할 수 없이 머리를 굽으리고 단두대(斷頭臺)에 가는 사형수(死刑囚) 모양으로 걸리지 않는 걸음을 어정어정 걸어갔다. 그러나 그 남자는 예상 밖에 공손한 태도로 말을 아직 나직나직하면서 하는 말이 「여보시요 손님— 그리 놀라지 마시고 이리 가까이 오십시오. 손님은 참으로 행복(幸福)의 사람이올시다. 실상 당신이 이곳에 오시게 된 것도 내가 술법(術法)으로 오시게 한 것이요 내의 딸이 비록 미거하나마 당신이 처를 삼을 것 같으면 내가 이때까지 저축하였던 호피(虎皮) 웅담 등속(熊膽 等屬)을 다 당신에게 드리리다」 하고는 즉시 그 집 월편(越便)의 바우 굴에서 산떼미 같이 쌓인 귀중한 피물을 꺼내 가지고 와서는 또 하는 말이 「이것이 무거워서 당신은 도저히 가지고 가기가 어려운즉 내가 이 동구의 선두까지 져다 줄 터이니 당신은 내의 딸과 같이 손에 손을 잡고 선두로 가라」고 한다. 엽사는 이것이 꿈인지 생시인지 알지 못하고 다만 그의 말에 복종하여 자기는 그 처녀와 동행하고 그 남자는 각종 피물을 가지고 선두까지 갔다.

× ×

그 남자는 엽사부부를 친절하고 사랑스럽게 선중으로 안내하며 자기의 가지고 온 피물도 一一이 잘 실어주고는 자기는 일이 있어서 어디로 간다 하며 작별하게 되었는데 그는 엽사의 손을잡고 최후로 부탁하되 이 피물을 팔면 적어도 몇천금 되는 대금을 얻을 터이니 그때에는 나에게 소 두 필과 소금 백 석만 보내달라고 하였다. 그리고 또 기한은 그날로부터 五日까지, 장소는 그 도선장(渡船場)으로 하기로 약속하였다. 엽사는 원래 독신청년이므로 집에 돌아와서 그 처녀로 처를 삼고 또 피물을 시장에 팔아서 일시 천금의 장자가 되었다. 그리고 그의 약속과 같이 소 두 필과 소금 백 석(百石)을 사 배에 싣고 그 장소로 가니 과연 그 큰 남자가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엽사의 주는 물품을 받고는 또 자기가 지고 온 많은 피물을 주면서 하는 말이 자기는 산간에 있어서 피물은 소용이 없으므로 그대를 준다 하고 또 부탁하되 오늘부터 五日까지 한하여 소금 백 석만 더 갖다 달라고 하였다. 엽사는 일시(一時)에 장자가 된 까닭에 수렵업을 폐하고 전혀 상업 종사하였다. 그 뒤 五日 후에 엽부는 소금 백 석을 준비한 외에 전과 같이 소 두 필까지 사 가지고 전일 약속한 도선장으로 간즉 그 큰 남자는 역시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엽부는 그에게 우염(牛鹽)을 주려고 한즉 그 큰 남자는 깜짝 놀라면서 하는 말이 「전에 소금만 가져오라고 부탁하였는데 어찌하여 소까지 가지고 왔느냐」 하고 뜻밖에 실심한 기색이 뵈었다. 엽부는 말하기를 「원래 당신이 소를 가져 오라고 하지는 않았으나 나는 당신 덕으로 미녀의 처도 얻고 또 부자까지 되었으니 그까진 수 두 필쯤은 더 가지고 오더라도 관계가 없은즉 아무쪼록 받으라고」 하였다. 그 큰 남자는 별안간에 변색을 하며 말하되 「그런 말은 할 필요가 없다. 나에게는 소를 기피(忌避)하는 일이 있으니까 그러하다 인간의 운명이란 할 수 없는 것이다. 아— 이로부터 그대와 나는 영별인즉 부대 평안이 잘 있으라」 하고는 어슬렁어슬렁 하고 뒤도 돌아보지도 않고 간다. 엽부는 밤중에 홍두깨를 만난 듯이 어찌된 영문을 알지 못하여 길을 막고 그 남자에게 물으되 지금 하신 말씀은 무슨 말씀인지 그 이유를 알 수 없고 또 당신은 암만 생각하여도 누구신지 신분을 알 수 없읍니다. 집에서 처에게 물어도 역시 함구물어(含口勿語)하니 어찌된 일입니까? 대체 당신의 몸은 사람과 같지마는 혹은 묘향산(妙香山)의 산신이 아니신가요—한즉 그 남자는 대답하되 지금 나는 말을 할 수 없은즉 명년 五月 단오일(端午日)에 임진강두(臨津江頭)에 가면 반드시 초립청포(草笠靑袍)의 한 귀공자가 지나갈 터이니 그때 그에게 우리의 경과를 말하면 나의 신분을 알 수 있으리라 하고는 표현(飄然)히 가고 인홀불견(因忽不見)이었다.

× ×

엽부는 그 뒤에 점점 재산을 모아 훌륭한 큰 상인이 되었다. 그 이듬해 五月 단오절(端午節)이었다. 지금이나 예전이나 개성은 단오 명절이면 성대히 노는 풍속이 있으므로 그 엽부는 임진강에 선유를 꾸미고 성대한 연회(宴會)를 하였다. 그때에 과연 청포초립(靑袍草笠)의 일위 귀공자(一位 貴公子)가 나귀를 타고 지나간다. 엽부는 그를 쫓아가서 공손히 예를 하고 전후사정을 자서이 말한즉 그 공자는 그 말을 듣고 추연(愀然)한 안색으로 한참 있다가 긴 한숨을 쉬며 하는 말이 「그 큰 남자는 천지정기(天地精氣)의 화성(化成)한 영괴(靈塊)인데 이름을 우라 칭하는 것이라 그것이 존재하면 국가가 태평하나 그 禹가 멸망하면 그 정기가 화하여 영웅호걸이 되어 방가(邦家)의 액운(厄運)을 초(招)하는 법인데 특히 우가 사람으로 화하려면 소금을 먹어 자멸한 뒤에 화하여 인계에 현출하는 고로 소금이 아니면 자멸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당신에게 소금을 구한 것이다. 그러나 소금을 먹고도 생육(生肉)을 중간에 먹으면 五日 수명(壽命)을 연장(延長)한다고도 하므로 최후에는 자멸을 각오하고 생육을 단식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이 있다 하면 고려왕조의 운명은 장구ㅎ지 못할 것이다. 불과 三年에 국권을 탈(奪)할 자가 있으라」 하고 그 귀공자는 다시 장탄(長歎)하고 가려고 하므로 엽부는 다시 성명을 물은즉 그는 정몽주(鄭夢周)라고 대답하였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