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메이지 44년 제령 제5호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법령은 폐지되었거나 사용 국가가 소멸하는 등의 원인으로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메이지 44년 제령 제5호
조선총독부판사징계령

원문 출처 : 조선총독부 관보 제205호(1911년 5월 9일 발행)

45249

조선총독부판사징계령을 메이지 44년 법률 제30호 제1조 및 제2조에 의해 칙재를 받아 이를 공포한다

메이지 44년 5월 9일 조선총독 백작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문

[편집]

제령 제5호

조선총독부판사징계령

제1조 조선총독부 판사가 직무상의 의무를 위배했을 때 또는 관직상의 위신을 잃는 행위를 했을 때에는 이를 징계한다

징계는 조선총독부 판사징계위원회의 의결에 의해 행한다

제2조 징계벌은 아래와 같다

1 유책
2 감봉
3 정직
4 면관

제3조 징계위원회는 평생의 행장을 짐작하여 소범의 경중에 따라 벌을 적용할지를 정한다

제4조 감봉은 1개월 이상 1년 이하의 연봉 월할액의 3분의 1 이하를 감한다

제5조 정직은 3개월 이상 1년 이하의 직무의 집행을 정지한다

정직중에는 봉급을 지급하지 않는다

제6조 면관 및 칙임관의 정직 또는 감봉은 징계위원회의 의결을 구하여 내각총리대신을 거쳐 조선총독이 주청하며 유책 및 주임관의 정직 또는 감봉은 조선총독이 행한다

제7조 징계위원회는 위원장 1명 및 위원 4명으로 조직한다

징계위원회에 예비위원 4명을 둔다

제8조 위원장은 고등법원장으로 이를 충당한다

제9조 조선총독은 매년 미리 조선총독부 판사 중에서 위원 및 예비위원을 임명한다

제10조 위원장에게 사고가 있을 때에는 위원 중 상석의 판사가 대리한다

위원에게 사고가 있을 때에는 예비위원이 대리하며 그 대리순서는 위원장이 미리 정한다

제11조 위원장은 조선총독부 재판소 서기 중에서 징계위원회 서기를 임명한다

제12조 위원장 및 위원은 자기 또는 친족에 관한 징계사건의 회의에 참여할 수 없다

제13조 징계위원회의 회의는 조선총독의 청구로 인해 개시한다

제14조 징계위원회 회의를 개시했을 때 조선총독은 본인의 직무집행을 정지할 수 있다

제15조 고등법원 검사장은 언제라도 징계위원회의 회의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제16조 징계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기일을 정해 본인의 출두를 명하거나 또는 변명서를 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17조 징계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위원 중 1명 또는 수명에게 조사를 명할 수 있다

조사의 명을 받은 위원은 본인을 출두시켜 사실의 진술을 하도록 하며 기타 필요한 증거를 수집할 수 있다

증인은 형사소송의 예심에 관한 규정에 의해 범문할 수 있다

조사의 명을 받은 위원은 필요할 때에는 증거의 집취를 조선총독부 재판소 판사에게 촉탁할 수 있다

제18조 출두의 명을 받은 본인에게는 그 소속관청에서 본관까지의 여비를 지급한다

제19조 징계위원회는 취조가 충분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고등법원 검사장의 의견을 듣고 평의결정을 해야 한다

제20조 징계위원회의 결정이 있을 때 위원장은 즉시 결정서의 등본을 첨부하여 조선총독에게 보고해야 한다

징계위원회에서 본인의 행위가 징계할 것이 아니라고 결정했을 때 조선총독은 본인에게 통지한다

부칙

[편집]

본령은 공포일 부터 시행한다

본령은 본령 시행 이전의 행위에 대해서도 적용한다

라이선스

[편집]

  이 저작물은 번역문으로서 원문과 다른 저작권의 적용을 받습니다. 원문과 번역문의 저작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문:

이 저작물은 일본국 구 저작권법 제11조에 따라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여기에는 법률·명령 및 관·공문서, 신문 또는 잡지에 게재된 잡보 및 시사를 보도한 기사, 공개된 재판소, 의회 및 정담 집회에서 한 연술이 해당됩니다.


이 저작물은 미국 바깥에서 처음 공표되었고 (이와 동시에 30일 이내에 미국에서 공표되지 않았고), 그리고 1978년 이전에 미국의 저작권 형식 요건(갱신 및/또는 저작권 공고)을 준수하지 않고 처음 출판되었거나 1978년보다 후에 저작권 형식 요건 없이 출판되었고, 그리고 공표국에서의 우루과이 라운드 발효일(일본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1996년 1월 1일)에 모국에서 퍼블릭 도메인이었기 때문에, 미국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

번역:

나는 이 저작물의 저작권자로서, 이 저작물을 퍼블릭 도메인으로 모두에게 공개합니다. 이 공개 선언은 전 세계적으로 유효합니다.
만약 저작권의 포기가 법률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경우,
나는 이 저작물을 법적으로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어떤 목적으로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